KR20230000401U - 장식용 초 - Google Patents

장식용 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401U
KR20230000401U KR2020210002559U KR20210002559U KR20230000401U KR 20230000401 U KR20230000401 U KR 20230000401U KR 2020210002559 U KR2020210002559 U KR 2020210002559U KR 20210002559 U KR20210002559 U KR 20210002559U KR 20230000401 U KR20230000401 U KR 202300004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lock
sphere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255Y1 (ko
Inventor
박규남
Original Assignee
박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남 filed Critical 박규남
Priority to KR2020210002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55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02Candle holders for birthday or anniversary c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에 관한 것으로,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장식초;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식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초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초기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둥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둥이 케이크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초받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용 초{DECORATION CANDLE}
본 고안은 장식용 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깊에 꽂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에 관한 것이다.
서양문명이 전례되면서 축하잔치와 생일 및 기념일등에는 케이크를 이용하고 또한 이 케이크에는 초를 꽂아 불빛을 밝혀 축포와 함께 앞날의 발전과 축복을 기원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즉, 케이크에 초를 꽂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촛불을 밝히고 기원과 축하인사 및 노래를 불러 축하의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는 심지와 심지를 감싸며 파라핀 왁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 몸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최근에는 더욱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장식물이 구성된 장식용 초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생일이나 그 밖의 축하행사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케이크에는 축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기 위해 장식물이 구성된 초를 케이크에 꽂은 뒤 촛불을 켜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장식용 초의 경우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에 지나치게 깊게 꽂히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2442호
본 고안의 일측면은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초기둥에 설치되는 초받침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지나치게 깊게 꽂히는 것을 초기둥에 설치되는 초받침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는,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장식초;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식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초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초기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둥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둥이 케이크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초받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기둥은, 케이크에 삽입되기 위한 하부 기둥; 상기 하부 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상부 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기 하부 기둥이 상기 케이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기둥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받침은,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받침은,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받침 돌기; 및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2 받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상기 제2 받침 돌기는, 전후 폭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하부 기둥 또는 상기 상부 기둥의 지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받침은,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받침 돌기; 및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3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4 받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기둥은, 상기 장식초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식초가 타들어 감에 따라 상기 장식초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전달받은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유닛;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장식초에 의한 불꽃이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발생시켜 주는 회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블록; 상기 회전 유닛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기둥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설치 바아;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및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 설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발사부는,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시키는 열전달 프레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열전달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열전달 프레임으로부터 열이 전달됨에 따라 타단이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 밖으로 이동되는 바이메탈 스위치; 일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일측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이 절곡됨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타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개방시켜 주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이 회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이 개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 구체; 및 압축된 상태로 상기 중량 구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 구체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구체 발사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하부 블록;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착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중량 구체를 내부 공간으로 수용시키는 동시에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블록의 회전을 유도시켜 주는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와 교차되지 아니하면서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 내측에 상기 설치 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파이프; 및 상기 회전 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류 발생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구체부는,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블록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부가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상기 구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받침대; 상기 구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를 지지하는 받침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블록은, 하측면에 상기 구체가 안착되기 위한 제1 블록 하부홈과 제2 블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과 상기 제2 블록 하부홈 사이에 상기 구체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구체 이동홈과 제2 구체 이동홈이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수용부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며 형성되며, 상기 하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용 하우징; 상기 수용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중량 구체가 타격될 수 있도록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측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받침 플레이트;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가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해 타격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받침대 지지대를 함께 하강시켜 주는 지지대 하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크에 초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초가 케이크의 표면에 지나치게 깊게 꽂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초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초받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초받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상부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회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10)는, 장식초(100), 초기둥(200) 및 초받침(300)을 포함한다.
장식초(100)는, 초의 제작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인 파라핀 등에 다양한 색소 또는 향기 등을 추가하여 제조된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꽃 모양 등)으로 형성하며, 상부에 심지(11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초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초기둥(200)은, 케이크(C)에 삽입된 상태로 장식초(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장식초(1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둥(200)의 두께(L8)는, 2.4cm 내지 2.8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6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초받침(30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크(C)에 삽입된 상태의 초기둥(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초기둥(200)의 중단에 설치되며,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일 일시예에서, 초받침(300)의 두께(L9)는, 초기둥(200)의 두께보다 두꺼운 5.8cm 내지 6.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6.0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초받침(300)의 하단과 초기둥(200)의 하단부 또는 전단부까지의 연장선의 각도(?3)가 83도 각도로 형성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10)는, 초받침(300)를 이용하여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초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둥(200)은, 하부 기둥(210), 상부 기둥(220) 및 나선형 스크류(230)를 포함한다.
하부 기둥(210)은, 케이크(C) 등의 식품에 삽입되며, 상측으로부터 상부 기둥(220)이 연장 형성되며, 외측을 따라 나선형 스크류(230)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기둥(210)의 길이(L3)는, 27.8cm 내지 28.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
상부 기둥(220)은, 하부 기둥(21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장식초(1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기둥(220)의 길이(L2)는, 17.0cm 내지 17.4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7.2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
즉, 초기둥(200)이 전체 길이(L1)는, 44.8cm 내지 45.6cm, 보다 바람직하게는 45.2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
일 실시예에서, 초받침(300)은,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나선형 스크류(230)는, 케이크(C)에 삽입된 하부 기둥(210)이 케이크(C)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기둥(210)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하부 기둥의 상측 6cm(L4)과 하측 6cm(L7)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나사산 간의 간격(L5)이 3.2cm 내지 3.6cm, 보다 바람직하게는 3.4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나사산의 두께(L6)가 0.9cm 내지 1.3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1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나사산의 경사각(?1, ?2)이 70도 각도 또는 110도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초기둥(200)은,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초받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받침(300a)은, 제1 받침 돌기(310) 및 제2 받침 돌기(320)를 포함한다.
제1 받침 돌기(310)는,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제2 받침 돌기(32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제2 받침 돌기(320)는,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제1 받침 돌기(31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받침 돌기(310)와 제2 받침 돌기(320)는, 전후 폭(L9)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기둥(210) 또는 상부 기둥(220)의 지름(L8)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
도 5는 도 1의 초받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받침(300)은, 제3 받침 돌기(330) 및 제4 받침 돌기(340)를 포함한다.
제3 받침 돌기(330)는,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제4 받침 돌기(34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제4 받침 돌기(340)는,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제3 받침 돌기(33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받침 돌기(330)와 제4 받침 돌기(340)는, 전후 폭(L9)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기둥(210) 또는 상부 기둥(220)의 지름(L8)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
도 6은 도 3의 상부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400)은, 열전달 유닛(410), 구동 유닛(420) 및 회전 유닛(43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열전달 유닛(410)은,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제작되며, 장식초(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장식초(100)가 타들어 감에 따라 장식초(10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전달받은 열을 구동 유닛(420)으로 전달한다.
구동 유닛(420)은, 열전달 유닛(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열전달 유닛(4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회전 유닛(430)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회전 유닛(430)은, 구동 유닛(4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동 유닛(420)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장식초(100)에 의한 불꽃이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발생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400)은, 상승 기류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장식초(100)가 타들어 감에 따라 발생되는 불꽃뿐만 아니라 그을음 등을 상측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초가 안정적으로 발화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그을음 등에 의해 케이크(C)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420)은, 상부 블록(421), 설치 바아(422), 안착 하우징(42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부 블록(4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달 유닛(41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안착 하우징(42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가 설치되며, 하측에 설치 바아(422)가 설치된다.
설치 바아(422)는, 회전 유닛(430)의 중심(431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회전 유닛(4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블록(421)과 하부 기둥(210) 사이에 연장 형성된다.
안착 하우징(423)은, 상부 블록(421)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부 블록(42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가 차례로 설치된다.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는, 안착 하우징(423)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 설치된다.
이때,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는, 각각의 바이메탈 스위치(4242)의 길이 또는 설치 위치 등을 달리 구성함으로써,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424-1)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424-3)가 순서대로 구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회전 유도 발사부(424)는, 열전달 프레임(4241), 바이메탈 스위치(4242), 거치 프레임(4243), 중량 구체(4244) 및 구체 발사 스프링(4245)을 포함한다.
열전달 프레임(4241)은,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제작되며, 열전달 유닛(4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열전달 유닛(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바이메탈 스위치(4242)로 전달시킨다.
바이메탈 스위치(4242)는, 두 종류의 얇고, 좁고, 긴 금속판을 긴 면을 포개어 맞붙여서 하나의 막대 형태로 만든 바이메탈(Bi-Metal) 물질로서, 평소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열전달 프레임(4241)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타단이 안착 하우징(423)의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어 거치 프레임(4243)을 지지하고, 열전달 프레임(4241)으로부터 열이 전달됨에 따라 타단이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안착 하우징(423) 밖으로 이동되어 거치 프레임(4243)이 회동되도록 한다.
거치 프레임(4243)은, 일단이 안착 하우징(423)의 일측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바이메탈 스위치(4242)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안착 하우징(423)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바이메탈 스위치(4242)의 타단이 절곡됨에 따라 바이메탈 스위치(4242)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타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안착 하우징(423)을 개방시켜 중량 구체(4244)가 낙하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하우징(423)은, 내부 공간을 개방시켜 주는 거치 프레임(4243)이 안착될 수 있도록 거치 프레임(4243)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4242a)이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중량 구체(4244)는, 철 등과 같은 중량이 큰 재질로 제작되며, 거치 프레임(4243)의 상측에서 구체 발사 스프링(424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안착되며, 거치 프레임(4243)이 회동되어 안착 하우징(423)이 개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그리고 구체 발사 스프링(424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이동되어 후술하는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로 투입된다.
구체 발사 스프링(4245)은, 압축된 상태로 중량 구체(4244)의 상측에 설치되어 중량 구체(4244)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켜 준다.
도 8은 도 6의 회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회전 유닛(430)은, 하부 블록(431),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433-1, 433-2), 회전 파이프(434) 및 기류 발생 스크류(435)를 포함한다.
하부 블록(431)은, 상부 블록(421)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내측에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433-1, 433-2) 등의 구성들이 설치되고, 하측에 회전 파이프(434)가 설치되며, 중심을 따라 설치 바아(422)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431a)이 형성된다.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는, 안착 하우징(423)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하부 블록(43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안착 하우징(423)으로부터 배출되는 중량 구체(4244)를 내부 공간으로 수용시키는 동시에 중량 구체(4244)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하부 블록(431)의 회전을 유도시켜 준다.
즉,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는, 중량 구체(4244)가 삽입됨에 따라 180도 각도씩 회전하면서 차례로 중량 구체(4244)가 삽입되도록 한다.
회전 유도 구체부(433-1, 433-2)는, 하부 블록(431)의 상부에서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와 교차되지 아니하면서 연결 설치된다.
회전 파이프(434)는, 내측(434a)에 설치 바아(4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블록(431)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기류 발생 스크류(435)가 연장 형성된다.
기류 발생 스크류(435)는, 회전 파이프(434)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회전 파이프(434)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회전 유도 구체부(433)는, 구체(4331), 구체 받침대(4332), 구체 지지 스프링(4333), 받침대 지지대(4334) 및 구체 안착홈(4335)을 포함한다.
구체 안착홈(4335)은,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하부 블록(43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구체(4331), 구체 받침대(4332), 구체 지지 스프링(4333), 및 받침대 지지대(433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구체(4331)는, 후술하는 제1 블록 하부홈(421a) 또는 제2 블록 하부홈(421b)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구체 안착홈(4335)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구체 안착홈(4335)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체 받침대(4332)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체(4331)는, 제1 블록 하부홈(421a) 또는 제2 블록 하부홈(421b)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 유도 수용부(432)의 구동에 따라 제1 블록 하부홈(421a) 또는 제2 블록 하부홈(421b)으로부터 제1 구체 이동홈(R1) 또는 제2 구체 이동홈(R2)으로 이동된 후 제1 구체 이동홈(R1) 또는 제2 구체 이동홈(R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구체 받침대(4332)는, 구체(4331)의 하측을 지지하며, 구체 지지 스프링(4333)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 지지 스프링(4333)은, 구체 안착홈(4335)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체 받침대(4332)의 하측을 지지한다.
받침대 지지대(4334)는, 구체 받침대(4332)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체 받침대(4332)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블록(421)은, 하측면에 구체(4331)가 안착되기 위한 제1 블록 하부홈(421a)과 제2 블록 하부홈(421b)이 형성되며, 제1 블록 하부홈(421a)과 제2 블록 하부홈(421b) 사이에 구체(4331)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구체 이동홈(R1)과 제2 구체 이동홈(R2)이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체 이동홈(R1)은, 구체 지지 스프링(433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구체(4331)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블록 하부홈(421a)으로부터 제2 블록 하부홈(421b)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체 이동홈(R2)은, 구체 지지 스프링(433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구체(4331)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블록 하부홈(421b)으로부터 제1 블록 하부홈(421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회전 유도 수용부(432)는, 수용 하우징(4321),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 및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을 포함한다.
수용 하우징(4321)은, 중량 구체(4244)가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측 개구부가 하부 블록(431)의 상부에서 안착 하우징(423)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며 형성되며, 하부 블록(431)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 및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는, 수용 하우징(4321)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 하우징(4321)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중량 구체(4244)가 타격될 수 있도록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되,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에 의해 지지되면서 하측이 수용 하우징(4321)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은,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의 하측을 지지한다.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은,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가 중량 구체(4244)에 의해 타격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받침대 지지대(4334)를 함께 하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과 받침대 지지대(4334) 간에는 지지대(4334a)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가 하강함에 따라 지지대(4334a)를 하강시키면, 지지대(4334a)가 받침대 지지대(4334)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유도 수용부(432)는, 중량 구체(4244)가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뒤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를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부 블록(421)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장식용 초
100: 장식초
200: 초기둥
300: 초받침
400: 상부 기둥

Claims (10)

  1.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장식초;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식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초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초기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둥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둥이 케이크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초받침;을 포함하는, 장식용 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둥은,
    케이크에 삽입되기 위한 하부 기둥;
    상기 하부 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상부 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기 하부 기둥이 상기 케이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기둥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받침은,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장식용 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받침은,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받침 돌기; 및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2 받침 돌기;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상기 제2 받침 돌기는,
    전후 폭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하부 기둥 또는 상기 상부 기둥의 지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장식용 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받침은,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받침 돌기; 및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3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4 받침 돌기;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둥의 두께는,
    2.4cm 내지 2.8cm로 형성되며,
    상기 초받침의 두께는,
    5.8cm 내지 6.2cm로 형성되는, 장식용 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둥의 길이는,
    27.8cm 내지 28.2cm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둥의 길이는,
    17.0cm 내지 17.4cm로 형성되는, 장식용 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둥은,
    상기 장식초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식초가 타들어 감에 따라 상기 장식초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전달받은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유닛;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장식초에 의한 불꽃이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발생시켜 주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블록;
    상기 회전 유닛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기둥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설치 바아;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및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 설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 발사부는,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시키는 열전달 프레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열전달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열전달 프레임으로부터 열이 전달됨에 따라 타단이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 밖으로 이동되는 바이메탈 스위치;
    일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일측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이 절곡됨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타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개방시켜 주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이 회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이 개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 구체; 및
    압축된 상태로 상기 중량 구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 구체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구체 발사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하부 블록;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착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중량 구체를 내부 공간으로 수용시키는 동시에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블록의 회전을 유도시켜 주는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와 교차되지 아니하면서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
    내측에 상기 설치 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파이프; 및
    상기 회전 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류 발생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도 구체부는,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블록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부가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상기 구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받침대;
    상기 구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를 지지하는 받침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블록은,
    하측면에 상기 구체가 안착되기 위한 제1 블록 하부홈과 제2 블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과 상기 제2 블록 하부홈 사이에 상기 구체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구체 이동홈과 제2 구체 이동홈이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유도 수용부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며 형성되며, 상기 하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용 하우징;
    상기 수용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중량 구체가 타격될 수 있도록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측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받침 플레이트;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가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해 타격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받침대 지지대를 함께 하강시켜 주는 지지대 하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식용 초.
KR2020210002559U 2021-08-17 2021-08-17 장식용 초 KR200497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59U KR200497255Y1 (ko) 2021-08-17 2021-08-17 장식용 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59U KR200497255Y1 (ko) 2021-08-17 2021-08-17 장식용 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01U true KR20230000401U (ko) 2023-02-24
KR200497255Y1 KR200497255Y1 (ko) 2023-09-12

Family

ID=8532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59U KR200497255Y1 (ko) 2021-08-17 2021-08-17 장식용 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55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375U (ko) * 1988-11-09 1990-06-02 정광순 버어너
KR950027992U (ko) * 1994-03-09 1995-10-18 이사영 케잌용 촛대
KR19980024768U (ko) * 1998-01-17 1998-07-25 유기창 케익용 양초받침대.
KR20000019259U (ko) * 1999-04-07 2000-11-06 유기창 케익용 촛농받침대
KR200320094Y1 (ko) * 2003-04-15 2003-07-12 장치식 회전식 케익용 초
KR20100042442A (ko) 2008-10-16 2010-04-26 이애연 케이크 장식용 초
KR20100012810U (ko) * 2009-06-17 2010-12-27 배원진 시각적 효과가 증진된 축하용 숫자 양초
KR20140008689A (ko) * 2012-07-11 2014-01-22 김선수 십이지신 양초
KR20190091058A (ko) * 2018-01-26 2019-08-05 이학철 촛농흐름방지를 위한 방사형 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375U (ko) * 1988-11-09 1990-06-02 정광순 버어너
KR950027992U (ko) * 1994-03-09 1995-10-18 이사영 케잌용 촛대
KR19980024768U (ko) * 1998-01-17 1998-07-25 유기창 케익용 양초받침대.
KR20000019259U (ko) * 1999-04-07 2000-11-06 유기창 케익용 촛농받침대
KR200320094Y1 (ko) * 2003-04-15 2003-07-12 장치식 회전식 케익용 초
KR20100042442A (ko) 2008-10-16 2010-04-26 이애연 케이크 장식용 초
KR20100012810U (ko) * 2009-06-17 2010-12-27 배원진 시각적 효과가 증진된 축하용 숫자 양초
KR20140008689A (ko) * 2012-07-11 2014-01-22 김선수 십이지신 양초
KR20190091058A (ko) * 2018-01-26 2019-08-05 이학철 촛농흐름방지를 위한 방사형 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55Y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62440A (en) Candle holder
US2151192A (en) Flower and candle holder
KR20230000401U (ko) 장식용 초
US20070275336A1 (en) Candle holder
US6234786B1 (en) Candle holder
US6113048A (en) Candle cradle
US6056541A (en) Candle apparatus
Avdusina Medieval Lighting Devices from the Collection of the State Historical Museum of Russia
US1054296A (en) Holder for votive candle-stands.
JPH0135386Y2 (ko)
US2965080A (en) Conical furnace
CN212698489U (zh) 一种便于清洁的香炉
US747780A (en) Candelabrum.
CN214619465U (zh) 一种插蜡烛的器具
CN215951357U (zh) 一种防撞蜡烛台
US20040086817A1 (en) Candle with embedded decorative sculpture
KR102532208B1 (ko) 이벤트용 양초
CN2508134Y (zh) 打火机展示架
CN203052611U (zh) 一种自动旋转烛台
CN2144246Y (zh) 空心炉条
KR20040108522A (ko) 캔들 장치
KR200177770Y1 (ko) 축하용 케익에 장착되는 다용도 유희구
US3376664A (en) Mobile
CN112781021A (zh) 一种防撞蜡烛台
KR20190002748U (ko) 초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