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48U - 초 받침대 - Google Patents

초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48U
KR20190002748U KR2020180001828U KR20180001828U KR20190002748U KR 20190002748 U KR20190002748 U KR 20190002748U KR 2020180001828 U KR2020180001828 U KR 2020180001828U KR 20180001828 U KR20180001828 U KR 20180001828U KR 20190002748 U KR20190002748 U KR 201900027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holder
tealight
hol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Original Assignee
박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우 filed Critical 박현우
Priority to KR2020180001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748U/ko
Publication of KR20190002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초 받침대는 몸체(3)와; 몸체(3)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티라이트(T)가 적층되는 안착부(5)와; 그리고 몸체(3)의 하부에 장착되어 꽂이(9)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꽂이홀(7)을 포함한다. 이러한 초 받침대는 원통형상의 필라초 상부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티라이트 양초를 적치함으로써 초에서 초가 연소하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티라이트의 사용으로 인하여 촛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꽂이홀을 형성하고 이 꽂이홀에 초꽂이를 삽입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 받침대{Candle prop}
본 고안은 초 받침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라초모양의 원통형상 초받침대 상부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티라이트 양초를 적치함으로써 필라초에서 초가 연소하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티라이트의 사용으로 인하여 촛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꽂이홀을 형성하고 이 꽂이홀에 초꽂이를 삽입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 받침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는 불빛을 내는 데 쓰는 물건의 하나이며, 밀, 백랍(白蠟),파라핀, 쇠기름 따위의 지방을 끓인 뒤 원기둥 따위 같은 일정한 모양으로 굳히고 그 가운데에 실 따위로 심지를 만들어 박는다.
그리고, 이러한 초는 필요에 따라 초 받침대에 꽂아서 직립형태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초 받침대는 단순히 쐐기 형상으로서 초의 하부에 삽입됨으로써 초를 직립 형태로 세우는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가 연소하는 경우 촛물이 외부로 흘러내림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1267호(명칭: 촛농 재활용 촛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21111호(명칭: 받침용기를 가지는 조립식 촛대)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과제는 필라초 모양의 원통형상의 초받침대 상부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티라이트 양초를 적치함으로써 필라초에서 초가 연소하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티라이트 사용으로 인하여 촛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꽂이홀을 형성하고 이 꽂이홀에 초꽂이를 삽입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초 받침대를 제공하는 바, 초 받침대는 몸체(3)와;
몸체(3)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티라이트(T)가 적층되는 안착부(5)와; 그리고
몸체(3)의 하부에 장착되어 꽂이(9)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꽂이홀(7)을 포함한다.
이러한 초 받침대에 있어서, 안착부(5)의 내부에 원반형상이며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판(20)을 삽입하고, 그 위에 티라이트(T)를 적치한다.
티라이트는 외주면 및 바닥면이 알루미늄 혹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싸임으로써 촛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홀(7)은 몸체(3)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13)과; 안착홈(13)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는 삽입관(11)을 포함하며, 꽂이가 안착홈(13)과 삽입관(11)에 삽입됨으로써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2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티라이트(T)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받침대는 필라초 모양의 원통형상의 초받침대 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티라이트 양초를 적치함으로써 필라초에서 초가 연소하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티라이트 사용으로 인하여 촛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꽂이홀을 형성하고 이 꽂이홀에 초꽂이를 삽입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받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 받침대의 안착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판이 삽입되고, 그 위에 티라이트가 적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받침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초 받침대(1)는 몸체(3)와; 몸체(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은 초(이하, 티라이트;T)가 안착되는 안착부(5)와; 몸체(3)의 하부에 장착되어 꽂이(9)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꽂이홀(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초 받침대(1)에 있어서, 몸체(3)는 원통형상으로서 일명 필라초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몸체(3)의 상부 안착부(5)에 티라이트(T)를 적치하고 점화하는 경우, 티라이트(T)와 몸체(3)가 일체를 이루어 양초의 상부에서 양초가 점화되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5)는 몸체(3)의 상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티라이트(T)가 적치될 수 있다.
즉, 안착부(5)의 내측은 원통형상으로서 바닥에는 원통 형상의 티라이트(T)가 적치될 수 있다.
이러한 티라이트(T)는 원통형상의 작은 초를 의미하며, 외주면과 바닥이 알루미늄(Al) 혹은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로 싸여있다.
따라서, 티라이트(T)가 연소되는 경우 촛물이 알루미늄 혹은 PC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초의 몸체(3)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므로 미관상 좋다.
이러한 티라이트(T)는 안착부(5)의 내측에 적치되며, 하부에 받침판(20)이 배치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0)은 일정 높이를 갖는 원반형상으로서 안착부(5)의 내부에 삽입하여 바닥에 적치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판(20)이 안착부(5)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위에 티라이트(T)를 적치하게 된다.
이때, 받침판(2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티라이트(T)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꽂이홀(7)은 몸체(3)의 하부에 형성되며, 꽂이(9)가 삽입됨으로써 양초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꽂이홀(7)은 몸체(3)의 하면 중간에 형성된 빈 공간이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꽂이홀(7)은 몸체(3)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13)과; 안착홈(13)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는 삽입관(11)을 포함한다.
따라서, 꽂이홀(7)의 내부에 꽂이(9)가 삽입됨으로써 양초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꽂이홀(7)의 내직경과 꽂이(9)의 외직경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음으로써 꽂이(9)가 꽂이홀(7)에 삽입되는 경우 공차 범위 이내에서 삽입되므로 양초가 꽂이(9)에 고정되었을 경우 양초가 직립상태를 유지하므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꽂이홀(7)의 하부에는 안착홈(13)이 형성되며, 꽂이(9)가 꽂이홀(7)에 삽입될 때 꽂이(9)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14)가 이 안착홈(13)에 삽입된다.
따라서, 몸체(3)가 꽂이(9)에 고정되는 경우, 몸체(3)의 하면은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받침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 받침대(1)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몸체(3)의 꽂이홀(7)을 꽂이 위치로 이동시키고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꽂이(9)에 고정시킨다.
이때, 꽂이홀(7)의 내부에 꽂이(7)가 삽입됨으로써 초 받침대(1)는 안정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5)의 내부에 받침판(20)을 삽입하고, 그 위에 티라이트(T)를 적치한다.
이때, 받침판(2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티라이트(T)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티라이트(T)를 안착부(5)에 삽입한 후, 티라이트(T) 심지에 점화하게 된다.
티라이트(T)가 점화되면, 티라이트(T)는 몸체(3)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점화된 심지만 보이게 되므로 외부에서는 필라초 형상의 몸체(3)와 티라이트(T)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마치 양초의 상부에 양초가 점화되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Claims (5)

  1. 몸체(3)와;
    몸체(3)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티라이트(T)가 적치되는 안착부(5)와; 그리고
    몸체(3)의 하부에 장착되어 꽂이(9)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꽂이홀(7)을 포함하는 초 받침대(1).
  2. 제 1항에 있어서,
    안착부(5)의 내부에 원반형상이며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판(20)을 삽입하고, 그 위에 티라이트를 적치하는 초 받침대(1)
  3. 제 1항에 있어서,
    티라이트는 외주면 및 바닥면이 알루미늄 혹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싸임으로써 촛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초 받침대(1).
  4. 제 1항에 있어서,
    꽂이홀(7)은 몸체(3)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13)과; 안착홈(13)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는 삽입관(11)을 포함하며, 꽂이가 안착홈(13)과 삽입관(11)에 삽입됨으로써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초 받침대(1).
  5. 제 2항에 있어서,
    받침판(2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티라이트(T)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초 받침대(1).



KR2020180001828U 2018-04-25 2018-04-25 초 받침대 KR201900027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28U KR20190002748U (ko) 2018-04-25 2018-04-25 초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28U KR20190002748U (ko) 2018-04-25 2018-04-25 초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48U true KR20190002748U (ko) 2019-11-04

Family

ID=6853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28U KR20190002748U (ko) 2018-04-25 2018-04-25 초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74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111U (ko) 1997-11-28 1999-06-25 정몽규 엔진 점화장치
KR20130001267U (ko) 2011-08-17 2013-02-27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칩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111U (ko) 1997-11-28 1999-06-25 정몽규 엔진 점화장치
KR20130001267U (ko) 2011-08-17 2013-02-27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칩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850A (en) Anti-flash wick sustainer and pedestal
US9745542B2 (en) Burner cup
WO2000032989A1 (en) Anti-flash wick support
US6637713B1 (en) Log supporting apparatus
US10563860B2 (en) Tealight cup
KR20190002748U (ko) 초 받침대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US6234786B1 (en) Candle holder
JP6556729B2 (ja) 液体キャンドルシステム
CN213608567U (zh) 一种香薰蜡烛杯
KR102269188B1 (ko) 케이스형 양초용 촛대
KR100463052B1 (ko) 양초 자동 촛대
JPS634332Y2 (ko)
KR200302071Y1 (ko) 양초 자동 촛대
US20100104994A1 (en) Candle holder converter assembly
JP5294178B1 (ja) ローソクの完全燃焼構造および燃焼方法
KR200320052Y1 (ko) 양초 자동 촛대
KR200257842Y1 (ko) 양초 케이스
KR200355918Y1 (ko) 방풍 촛대
CN205655166U (zh) 改进的透光灯管灯座
CN2386319Y (zh) 旋转式照明灯
JPS5915988Y2 (ja) 霊園灯装置
KR200309674Y1 (ko) 양초 자동 촛대
US1974375A (en) Sanctuary lamp
CN2344647Y (zh) 灯芯辅助固定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