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73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0173A KR20230000173A KR1020210082253A KR20210082253A KR20230000173A KR 20230000173 A KR20230000173 A KR 20230000173A KR 1020210082253 A KR1020210082253 A KR 1020210082253A KR 20210082253 A KR20210082253 A KR 20210082253A KR 20230000173 A KR20230000173 A KR 20230000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cover
- passage
- duc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및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는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1열교환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공급덕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를 차폐하고,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드럼을 연통시키는 유입연통홀을 포함하는 덕트 커버부; 상기 덕트 커버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의 세척을 위한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노즐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커버부는 상면에 상기 물이 상기 제 1열교환기측으로 안내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형성부에 의해 안내되는 물이 상기 제 1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커버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는 상기 유로형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이동되도록 세척유로를 형성하는 돌출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에는 상기 세척유로의 단면적을 축소하여 상기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돌출부가 더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에 물리력을 가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되는데, 공통적으로 히터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고 상기 열풍을 의류에 노출시킴으로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근자에는, 건조기는 의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캐비닛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도 생략하여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건조기는 상기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하되,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의 표면이 상기 열풍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의류의 표면 전체가 고르게 상기 열풍과 접촉하여 건조가 완료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에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건조기는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터브가 존재하지 않게 때문에, 세탁기와 같이 구동부를 터브에 고정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 고정하는 건조기가 등장하였다.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08191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115455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06372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124674A 참조]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캐비닛 배면에 결합된 종래 건조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과,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드럼(2)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패널(1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었다.
전술한 종래 건조기의 구동부(3)는 공통적으로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1)와, 상기 스테이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와, 상기 로터(32)와 결합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3)을 포함할 수 있었고, 상기 회전축(33)의 rpm을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켜 상기 드럼(2)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감속기(37)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 건조기는 공통적으로 상기 구동부(3)를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하는 고정부(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스테이터(31)를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부(41)와, 상기 회전축(33)을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부(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건조기들은 상기 드럼(2)에 결합된 회전축(33)과 상기 구동부(3)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기 드럼(2)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11)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당히 작은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진동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배면패널(11)은 상기 구동부(3)의 하중뿐 아니라, 상기 드럼(2)의 하중까지 상기 회전축(33)을 통해 전달받게 되므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 내부에 의류가 편심되어 있거나, 회전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드럼(2) 내부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 배면패널(11)로 반복적인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배면패널(11)이 진동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1)에 진동이나 외력이 전달되어 일시적이라도 상기 배면패널(11)이 휘거나 변형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3)와 상기 드럼(2)을 연결하는 회전축(33)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3)에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상기 회전축(33)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1)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1)이 진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터(32)와 상기 스테이터(31)의 간격이 일시적으로 가변되어 상기 로터(32)가 상기 스테이터(31)에 충돌하거나 불필요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구동부(3)가 상기 감속기(37)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37)에 결합된 회전축(33)과, 상기 감속기(37)에서 상기 드럼(2)으로 연결되는 감속축(33a)이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이때, 상기 감속기(37)가 상기 스테이터(31)나 상기 회전축(33)을 통해 상기 배면패널(11)에 지지되므로, 상기 배면패널(11)이 조금이라도 변형되면 상기 감속축(33a)과 상기 회전축(33)이 틀어지거나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2)에 연결된 감속축(33a)은 상기 드럼(2)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구동부(3)에 결합된 회전축(33)보다 위치 변화량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면패널(11)이 일시적으로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기울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가 작동할 때마다,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어긋나게 되어 상기 감속기(37)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속기(37)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 언급된 건조기는 특허문서로만 공개되어 있을 뿐, 실제 제품으로는 적용되어 출시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건조기는 드럼 보다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에 드럼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나, 상기 유로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명시적인 암시나 구조를 제시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구동부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의 구조가 어떻게 변경되어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암시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 커버부를 조립하는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급덕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덕트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로전환밸브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유로전환밸브의 조립성을 개선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커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덕트 커버부와 노즐 커버부 사이를 흐르는 물의 유로를 개선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커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덕트 커버부에 체결되는 하네스 및 호스들의 체결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 커버부가 터브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하여 베이스의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 커버부에 형성되는 물의 유로를 개선하여 세척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개선하여 컨트롤 박스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및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는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1열교환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공급덕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를 차폐하고,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드럼을 연통시키는 유입연통홀을 포함하는 덕트 커버부; 상기 덕트 커버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의 세척을 위한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노즐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커버부는 상면에 상기 물이 상기 제 1열교환기측으로 안내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형성부에 의해 안내되는 물이 상기 제 1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커버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는 상기 유로형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이동되도록 세척유로를 형성하는 돌출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에는 상기 세척유로의 단면적을 축소하여 상기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세척유로를 이동하는 물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유로는 상기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확장되는 배출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출유로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세척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리브를 구비하며, 유로 형성리브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 형성리브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양측에서 상기 커버 관통홀의 폭보다 더 연장되는 한쌍의 제 1연장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 형성리브는 상기 한쌍의 제 1연장리브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상기 제 1연장리브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커버 관통홀의 후단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 2연장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커버부는 상기 세척유로를 이동돠는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전환되도록 상기 커버관통홀의 상부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측으로 연장되는 노즐전환리브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유로는 상기 커버관통홀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노즐전환리브는 상기 세척유로 중 유로가 긴측에 상기 노즐전환리브보다 더 연장되는 노즐전환리브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 전환리브의 양단에는 상기 커버관통홀측으로 연장되는 집수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커버부 상면에는 상기 드럼의 회주면 하부에서 이격되는 드럼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 가이드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리브를 보강하는 보조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 커버부를 조립하는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급덕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덕트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로전환밸브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유로전환밸브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커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덕트 커버부와 노즐 커버부 사이를 흐르는 물의 유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커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덕트 커버부에 체결되는 하네스 및 호스들의 체결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 커버부가 터브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하여 베이스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 커버부에 형성되는 물의 유로를 개선하여 세척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개선하여 컨트롤 박스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커버부, 노즐 커버부 및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1의 (A) 내지 (C)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와 터브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5의 (D) 내지 (F)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체결을 나타내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커버부, 노즐 커버부 및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1의 (A) 내지 (C)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와 터브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5의 (D) 내지 (F)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체결을 나타내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부(900) 및 순환유로부(820)가 구비되는 베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의류 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50) 및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패널(140)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캐비닛(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개구부(111) 및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조작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 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상기 입력부(118)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190, 도 17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90)는 의류 처리장치 내부의 구성들과 연결되어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해당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탱크(120)가 상기 전면패널(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탱크(120)는 건조 행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120)를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 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120)는 상기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120)를 상기 전면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드럼(200)은 일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원주면을 포함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의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의 후방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는 회전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섞일 수 있도록, 내부의 의류를 상부로 견인하는 리프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이 회전할 때,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리프트(213)에 의해 상승 및 낙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열풍에 골고루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효율이 증가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에는 강화비드(212)가 형성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는 드럼(200)의 원주면을 따라 내/외부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는 드럼바디(210)의 강성이 증가시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구동부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이나 베이스(8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과 드럼(2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는 상기 투입구(211)와 연통하는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하측에 구비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결부(416)를 관통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연통홀(417)은 중공의 형태로 구비되어 드럼의 투입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순환유로부(8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통홀(417)에는 의류에서 발생하는 린트 또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의 전단 또는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200)의 후방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이격되되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상기 모터부(500)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이 상기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하부에 접촉된 채로 회전될 수 있다.
드럼(200)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경우 드럼(200)은 후방에 연결된 드럼회전축(63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면, 상기 의류에 의해 드럼회전축(6341)에 부과되는 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은 하중에 의해 휘어질 위험이 있다.
지지휠(415)이 드럼(200)의 전방 하부를 지지할 경우 드럼회전축(6341)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드럼(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드럼(20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200)의 작동 환경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지지휠(41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순환유로부(820)로 공급돨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800),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드럼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10, 520, 540),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600),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상기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상기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RPM을 저감시켜 모터부(500)의 최대 출력을 활용하면서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켜 다시 상기 드럼(200) 내부로 투입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821),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823), 상기 유입덕트(821)와 배출덕트(823)를 연결하는 이동덕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는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는 덕트 커버부(830)가 결합되어,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을 일부 차폐할 수 있다. 덕트 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덕트 커버부(830)는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열교환부(9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제 1열교환기(910)와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910)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 2열교환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기(91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제 2열교환기(920)는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되어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기(910)와 상기 제 2열교환기(920)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경우 제 1열교환기(910)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열교환기(920)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기(910)와 제 2열교환기(92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900)는 순환유로부(820)에 설치되어 순환유로부(820)의 내부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순환유로팬(9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900)는 순환유로팬(950)을 회전시키는 순환유로팬모터(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순환유로팬모터(951)에 의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순환유로팬(950)이 작동하면, 제 1열교환기(910)에서 제습되고, 제 2열교환기(920)에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20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유로팬(950)은 유입덕트(821), 이동덕트(822), 배출덕트(82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유로팬(950)은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순환유로팬(950)이 작동할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순환유로팬(950)이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상기 송풍부(82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는 상기 송풍부(823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팬(950)이 회전하면,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부(8231)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211)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순환유로부(820) 및 상기 열교환부(900)는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220)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통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지나서 상기 드럼(2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배출되는 공기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역으로 골고루 퍼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 설치될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상기 송풍부(823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에 안내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드럼배면(220)을 통해 드럼(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 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되는 구동부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 의류 처리장치의 드럼의 후방은 차폐되어 상기 구동부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직접 결합되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드럼(20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바디(210) 중 전방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드럼배면(2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에는 상기 구동부와 드럼배면(220)을 연결하는 부싱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드럼배면(220) 보다 강성이나 내구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회전중심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둘레부(221)와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결합될 수 있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장착판(222)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상기 부싱부(300)를 통해 장착판(222)에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배면(22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둘레부(221)와 상기 장착판(222) 사이에 관통 형성되어, 드럼배면(220)의 전후방을 연통하는 흡입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흡입홀(224)을 통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드럼배면(2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500)와 상기 모터부(50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드럼(200)에 전달하는 감속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배면에 고정되고,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드럼(20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에서 공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411), 상기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반경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전방가스켓(413) 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2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사이로 상기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가스켓(413) 에 추가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통홀(417)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드럼바디(210)와 순환유로부(820)를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드럼바디(21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덕트연결부(416)로 유입되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결부(416)에 의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되므로, 드럼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에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이물질 또는 린트를 여과하여, 순환유로부(8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여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120, 도 3참조)가 인출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저수탱크지지홀(414)이 구비될 수 있다. 저수탱크지지홀(414)이 상측에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저수탱크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은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연결되는 둘레부(221),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서 드럼배면(22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흡입홀(224) 및 드럼배면(220)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회전축과 결합되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을 통해 드럼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둘레부(221)로부터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보강리브(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흡입홀(224)을 회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흡입홀(224)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의 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장착판(222)의 외주면에서 상기 둘레부(221)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배면(220)은 상기 보강리브(225)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원주리브(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7) 및 상기 둘레부(221)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7)는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모터부(50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덕트연통홀(417)에 연통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내부에 설치된 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유입덕트(821)의 말단에서 상기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하류측에 위치비될 수 있으며, 송풍부(8231)는 순환유로팬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환팬유로팬이 작동하면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송풍부(8231)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800)에는 드럼(20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하고 가열할 수 있는 열교환부(9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900)는 제 1열교환기 및 제 2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930)는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모로, 순환유로부(82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지지되어 순환유로팬을 회전시키는 순환유로팬모터(9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드럼(200)의 후방 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열교환기(920)를 통과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배출덕트(823) 보다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의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순환유로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골고루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유로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베이스(800)에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800)에 지지되어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리어패널(421), 상기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거나 지지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리어패널(4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덕트부(423)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결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부(500)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구성을 구동부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42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상기 구동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장착부(425)에 지지된 채로 상기 드럼(2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함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423)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착부(425)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425)에 설치되되, 후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상기 스테이터(5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상기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며 상기 스테이터(5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520)에는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장착부(425)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로터(520)가 직접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와셔부(540)를 통해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와셔부(540)는 구동축과 로터(520)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와셔부(540)에 의해 로터(520)와 구동축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로터(520)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의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부(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로터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로터(520)와 결합되어 상기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내부에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의 rpm을 변형하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결합체는 상기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30)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회전축 상기 구동축 보다는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더 큰 토크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600)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동축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서로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결합체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결합이 해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의 동력이 상기 드럼회전축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상기 구동축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들이 서로 어긋나 충돌되어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는 각도가 심해질 경우 상기 감속기(600)가 정위치를 완전히 벗어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속기를 구비한 의류 처리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외력이 발생하여도 변형이 없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체에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600)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가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때 상기 모터부(500)는 항상 상기 감속기(600)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서로를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 중 상기 스테이터(510)가 직접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의 중심과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과 동축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것이므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0)가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 상기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600)에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은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는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510)도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로터(520)의 간격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로터(5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로터(520)가 상기 스테이터(510)를 회전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진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감속기(6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고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감속기(600)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회전축(6341)과 상기 구동축(530)은 항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의 중심과 상기 구동축(53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실링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덕트부(423)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흡입홀(224)로 유입되도록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덕트부(423)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 1실링(451)이 구비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에는 제 2실링(4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링(451)은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실링(452)은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실링(451)은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 2실링은(452)은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가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200)은 의류 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얇은 철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감속기(600) 및 드럼(200)에 의해 감속기(60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강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리어플레이트(420)는 결합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추가적으로 브라켓(7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브라켓(700)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브라켓(700) 및 리어플레이트(420)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속기(600), 리어플레이트(420), 브라켓(70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브라켓(700)이 결합되어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강성이 확보된 리어플레이트(420)에는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에 감속기(600)가 먼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700)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는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직접 결합되지 않고 브라켓(700)을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경우 모터부(500)와 감속기(6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모터부(5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423)는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부(423)의 후면을 단열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3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부(423)와 상기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30)는 상기 덕트부(423) 및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모터부(500)가 외부의 간섭을 받아 파손되거나, 덕트부(423)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어 건조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열풍을 드럼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열풍이 드럼 전체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과 마주하는 리어패널(421)과, 상기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드럼배면을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순환유로부 후방에 위치되는 유입부(4233)과 드럼 후방에 위치되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을 일부 수용하여, 드럼 후방에 구비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배면에 형성되는 흡입홀과 마주하도록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부(4231)는 전방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드럼의 배면과 함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의 전방이 개방되게 구비될 경우 상기 유동부(4231)로 이동된 열풍은 별도의 구성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드럼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이 별도의 구성을 통과하면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열풍의 열손실을 저감시켜 건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내측에 구비되는 장착부(425), 장착부(425)의 반경방향 외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423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유동내주부(4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를 형성하며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이동하는 유로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유동함몰면(4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함몰면(4232)는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 유동외주부(4231a), 유동함몰면(4232)에 의해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함몰면(4232)에 의해 열풍이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을 향해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부(4231)의 함몰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순환유로부(820)와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송풍부(8231)와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송풍부(823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의 상측은 유동부(423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송풍부(8231)에 연결되는 커넥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배출된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송풍부(4231)에서 배출된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와 유동부(4231)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85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송풍부(8231)와 멀어질수록 증가도되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입부(4233)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상기 커넥터(8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은 상기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에서 배출된 열풍은 상기 유동부(4231)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부(423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동부(4231)에 열풍을 골고루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너비가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은 상기 유동외주부(4231a)의 원주방향 연장선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850)에서 배출된 열풍은 유입부(4233)로 이동되지 않고 유동부(4231)에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유동부(4231)의 일측에 열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건조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커넥터(850)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의 속도는 유동방향에 따라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열풍의 속도를 조절하는 디퓨저(diffus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열풍의 속도를 감소시켜, 열풍이 드럼을 특정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85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커넥터(850)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커넥터(8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유입부(4233) 또한 송풍부(8231)와 멀어질수록 너비가 증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의 형상에 의해 덕트부(423)는 전체적인 형상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9'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건조행정 중에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드럼(200)은 상기 유동부(4231)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열풍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장치는 드럼과 유동부(423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유동부(4231)의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 1실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실링(451)은 드럼과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실링(451)은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실링(451)은 상기 커넥터(850)의 전방면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실링(451)은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동부(4231)와 함께 열풍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링(451)은 커넥터(850)와 접촉되게 구비되어 드럼과 커넥터(850) 사이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 2실링(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실링(452)은 드럼과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실링(452)은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실링(452)은 유동부(4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이 장착부(425)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200)은 의류 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220)과 유동부(423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커버부, 노즐 커버부 및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는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커버부(830)와, 덕트 커버부(830)에 결합되어 제 1열교환기(910)를 세척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 커버부(840) 및 상기 덕트 커버부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는 유로전환밸브(87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 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이동덕트(8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차폐커버바디(8311) 및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될 수 있는 복수의 세척유로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연통커버바디(8311)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세척유로부(833)와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부(840)는 상기 덕트 커버부(83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제 1열교환기(910)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노즐 커버부(840)는 상면에 드럼(200)의 유동을 제항하기 위한 드럼 가이드(8415)와, 하면에 덕트 커버부(830)와 접하여 덕트 커버부(830)와 노즐 커버부(840) 사이의 물의 유로가 제 1열교환기(910)로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유로전환밸브(870)는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결합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세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덕트 커버부(8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내지 (C)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 덕트 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이동덕트(8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차폐커버바디(8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연통커버바디(8311)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는 상기 드럼과 유입덕트(821)를 연통하는 유입연통홀(8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커버바디(8312)가 유입덕트(821)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유입연통홀(8314)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덕트(821)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이동덕트(822)를 통해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덕트(823)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세척유로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덕트 커버부(830) 하측에 위치하는 제 1열교환기(910)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하류측에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를 상하로 관통하는 커버관통홀(83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차폐커버바디(8311)의 하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의 하부에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 1열교환기(9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관통홀(8313)을 통과한 물은 상기 제 1열교환기(910)를 향해 분사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910)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상측에는 노즐 커버부(8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부(840)는 세척유로부(833)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이동덕트(8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제 1열교환기(9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덕트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필터(미도시)는 상기 유입덕트(821)와 상기 제 1열교환기(9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910)의 전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결합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세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유로전환밸브(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은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세척유로부(833)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저수탱크(120)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환연결부(879)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기 커버관통홀(8313)까지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전환연결부(879)로부터 상기 커버관통홀(8313)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환연결부(879)를 통해 상기 세척유로부(833)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내면과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유속이 점점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유로부(833)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세척유로부(833)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면 중 일부가 전방을 향하며 경사지며 연장되는 경사면(8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경사면(8316)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척유로부(833)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잔수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이동하는 물은 상기 경사면(8316)을 따라 이동되면서 유속이 자연스럽게 증가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910)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8316)은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서 전방을 향하며 경사지며 연장되는 제 1경사면(8316a)과, 상기 제 1경사면(8316a)에서 상기 연통커버바디(8312)를 향해 경사지며 연장되는 제 2경사면(831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경사면(8316a)는 상기 제 2경사면(8316b)보다 더 경사지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일단에 가장 가깝게 구비되는 제 1세척유로(833a)와,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타단에 가장 가깝게 구비되는 제 2세척유로(833b)와, 상기 제 1세척유로(833a)와 상기 제 2세척유로(833b) 사이에 구비되는 제 3세척유로(83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세척유로(833a, 833b, 833c)는 상기 전환연결부(879)과 연통되어 상기 전환연결부(879)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안내유로(8331)와, 상기 안내유로(8331)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관통홀(8313)로 연장되는 배출유로(8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8331)는 상기 경사면(8316)보다 높게 형성되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유로(8332)는 상기 경사면(8316)에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세척유로(833a)의 말단은 상기 커버관통홀(8313)의 일단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세척유로(833b)의 말단은 상기 커버관통홀(8313)의 타단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세척유로(833a), 제 2세척유로(833b) 및 제 3세척유로(833c)는 상기 유로전환밸브(870)에 의해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밸브연통홀(8382)로 유입된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834)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834)는 상기 밸브연통홀(8382)로부터 상기 커버관통홀(831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형성부(834)는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형성부(834)는 상기 안내유로(8331)의 내주면 및 배출유로(8332)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834)는 상기 배출유로(8332)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형성부(834)는 상기 제 1세척유로(833a)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 1유로형성부(834a)와, 상기 제 2세척유로(833b)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 2유로형성부(834b)와, 상기 제 3세척유로(833c)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 3유로형성부(83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유로형성부(834a)의 말단과 상기 제 3유로형성부(834c)의 말단은 서로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1유로형성부(834a)의 말단과 상기 제 2유로형성부(834b)의 말단은 서로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을 통해 상기 안내유로(8331)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배출유로(8332)를 지나면서 유속이 자연스럽게 증가될 수 있다. 액체는 이동할수록 유속이 빨라지면 직경이 점점 좁아지게 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응축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너비가 증가되도록 구비되어 말단에서 응축수가 넓게 퍼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8332)는 상기 안내유로(8331)보다 너비가 크게 구비되어 상기 안내유로(8331)로부터 상기 배출유로(8332)로 유입된 물이 균일하게 배출되는 것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8332)의 너비는 상기 안내유로(8331)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제 1열교환기(910)의 전면에 고르게 물을 분사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 1열교환기(910) 전체 물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배출유로(8332)의 유로를 형성하는 최외측의 제 1, 3유로형성부(834a, 834c)에는 커버관통홀(8313)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유로형성부(834d)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유로형성부(834d)는 배출유로(8332)에서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되는 응축수가 커버관통홀(8313) 외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관통홀(8313)의 양측에는 제 1, 3유로형성부(834a, 834c)에서 연장되는 연장 유로형성부(834d)가 연장된다. 연장 유로형성부(834d)는 제 1, 3유로형성부(834a, 834c)에서 이동되는 응축수가 제 1, 3유로형성부(834a, 834c)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방지하면 이동되는 응축수가 커버관통홀(8313)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연장 유로형성부(834d)는 제 1, 3유로형성부(834a, 834c)에서 연장되는 제 1연장리브(8347a)와, 제 1연장리브(8347a)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커버관통홀(831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연장리브(8347b)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연장리브(8347a)는 커버관통홀(8313)의 양측에서는 커버관통홀(8313)의 폭보다 일정간격(D3) 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연장리브(8347a)는 배출유로(8332)를 통해 이동되는 응축수가 커버관통홀(8313)의 전면에 걸쳐 확장되도록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제 1연장리브(8347a)는 커버관통홀(8313)의 양측에서 커버관통홀(8313)을 횡단하도록 연장되어 커버관통홀(8313)의 양측 외측을 따라 이동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연장리브(8347a)는 제 1, 2, 3유로형성부(834a, 834b, 834c)를 통하여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되는 물이 커버관통홀(8313)을 통과함에 있어 커버관통홀(8313)의 가장 외측 부분을 이동하는 물이 제 1연장리브(8347a)를 따라 커버관통홀(8313)의 선단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연장리브(8347b)는 제 1연장리브(8347a)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 1연장리브(8347a)의 내측에서 커버관통홀(8313)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연장리브(8347b)는 제 1연장리브(8347a)와 다르게 커버관통홀(8313)을 향하여 연장되지만 커버관통홀(8313)의 넘지않도록 연장된다.
즉, 제 2연장리브(8347b)는 제 1연장리브(8347a)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제 1, 3유로형성부(834a, 834c)에서 커버관통홀(8313) 측으로 연장되며, 커버관통홀(8313)의 후단에 대하여 일정간격(D4)만큼 이격되는 거리를 두고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연장리브(8347b)는 제 1, 2, 3유로형성부(834a, 834b, 834c)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제 1연장리브(8347a)에 의해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될 때 과도하게 많은 양의 물이 제 1연장리브(8347a)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되는 물이 커버관통홀(8313)의 전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커버부(830)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외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커버연장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연장부(832)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양측면 및 전면,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상부에 별도의 구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덕트 커버부(83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커버장착후크(8391)를 포함하고, 순환유로부(820)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커버장착후크(8391)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덕트돌기(8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장착후크(8391)는 덕트돌기(824)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 커버부(830)를 순환유로부(82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 커버부(830)는 상기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의 둘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장착후크(8391)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돌기(824)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부(830)의 둘레 일측에는 덕트 커버부(83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하네스 고정후크(839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덕트 커버부(830)의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 커버부(830)의 경우 통상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금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 커버부(830)의 상부의 경우 금형의 이동방향에 따라 하네스의 고정을 위한 고정후크를 형성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덕트 커버부(830)의 성형시 금형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덕트 커버부의 외주면에 하네스 고정후크(839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네스 고정후크(8394)는 덕트 커버부의 덕트커버연장부(83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연장부(8394a)와, 연장부(8394a)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네스를 권취하기 위한 곡면부(8394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네스 고정후크(8394)의 연장부(8394a)와 곡면부(8394b)는 덕트 커버부(830)를 성형하는 금형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즐 커버부(8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와 터브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부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D) 내지 (F)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덕트 커버부(830)에 안착되어 덕트 커버부(830)를 유동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커버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부(840)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부에서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부(840)의 상면에는 드럼(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드럼 가이드(8415)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840)의 하면에는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차폐하는 노즐커버바디(8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커버바디(841)는 상기 유로형성부(834)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유로(8331)를 차폐하는 노즐융착판(8411)과 상기 노즐융착판(8411)에서 연장되고 상기 유로형성부(834)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유로(8332)를 차폐하는 제 1노즐경사판(8412)과, 상기 제 1노즐경사판(8412)에서 연장되고 상기 유로형성부(834)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배출유로를 차폐하는 제 2노즐경사판(8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가이드(84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커버부(840)의 노즐융착판(8411)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가이드(8415)는 드럼(200)의 회전축 중심을 기준으로 노즐융착판(8411)의 양측에 드럼(20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가이드(8415)는 드럼(200)의 장착시 드럼(200)을 안착하여 드럼(20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드럼 가이드(8415)는 드럼(200)의 구동시 세탁물의 언밸런스에 의해 드럼(200)이 유동될 때 드럼(200)이 노즐 커버부(840)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 가이드(8415)는 노즐융착판(8411)의 상면 양측에서 드럼(20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곡면이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 리브(8416)와, 한쌍의 가이드 리브(8416)를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조 리브(84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8416)는 드럼(200)의 회전축에 직교한 방향으로 드럼(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며, 드럼(200)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8416)는 드럼(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마주하는 가이드 리브(8416)는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드럼(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만곡면이 형성된다.
하지만. 한쌍의 마주하는 가이드 리브(8416)의 만곡면을 연결하였을 때 드럼(200)의 외주면의 곡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각각의 가이드 리브(8416)에 형성되는 만곡면은 드럼(20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될 수 있으나 각 가이드 리브(8416)는 드럼(200)의 유동을 고려하여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각 가이드 리브(8416)의 만곡면을 연결하였을 때 드럼(200)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지 않알 수도 있다.
한편, 각 가이드 리브(8416)는 드럼(200)의 회전축 방향에 나란한 적어도 2개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리브(8417)는 드럼(2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가이드 리브(8416)의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보조 리브(8417)는 가이드 리브(8416)를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리브(8417)는 보조 리브(8417)가 연결되는 위치의 가이드 리브(8416)의 만곡형상에 따라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드럼 가이드(8415)는 최초 드럼(200)이 설치될 때 드럼(200)의 설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면서 드럼(200)이 임시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드럼 가이드(8415)는 드럼(200)의 회전 구동시 드럼의 세탁물의 언밸런스에 의해 드럼(200)이 진동 또는 유동될 때 드럼 가이드(8415)가 드럼(200)에 먼저 접촉되어 드럼(200)이 노즐커버바디(84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커버바디(841)의 하면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커버바디(841)가 상기 세척유로부(833)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연장리브(8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연장리브(842)는 상기 노즐커버바디(841)의 외주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형성부(834)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연장리브(842)는 상기 유로형성부(834)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유로형성부(834)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버바디의 하면에는 덕트 커버부(830)에 형성되는 제 1, 2, 3유로형성부(834a, 834b, 834c)와 체결되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형성하는 하면에는 덕트 커버부(830)에 체결되어 덕트 커버부(830)에 형성되는 제 1, 2, 3유로 형성리브(8341a, 8341b, 8341c)와 체결되어 물이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2, 3돌출유로부(844a, 844b, 844c)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 3돌출유로부(844a, 844b, 844c)는 제 1, 2, 3유로 형성리브(8341a, 8341b, 8341c)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2, 3돌출유로부(844a, 844b, 844c)는 제 1, 2, 3유로 형성리브(8341a, 8341b, 8341c)와 융착됨으로써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커버부(830)의 제 1노즐경사판(8412)과 제 2노즐경사판(8413)의 사이 하면에는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통과하는 물의 수압을 일시적으로 높임과 동시에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통과하는 물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의 각각 전체로 퍼지게 하는 돌출부(84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 돌출부(8418)는 덕트 커버부(830)의 하면에서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따라 흐르는 물의 이동방향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8418)는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흐르는 물과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물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부(8418)는 덕트 커버부(830)의 제 1노즐경사판(8412)과 제 2노즐경사판(8413)의 사이 하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의 경우 유로전환밸브(870)측으로부터 물이 공급됨에 따라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통하여 커버관통홀(8313)로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는 유로전환밸브(870)부터 각기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커버관통홀(8313)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870)를 기준으로 제 1세척유로(833a)는 제 3세척유로(833c)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가 길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세척유로(833a)를 이동하는 물은 제 3세척유로(833c)를 이동하는 물보다 상대적으로 이송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세척유로(833a)에 돌출부(8418)를 형성하여 제 1세척유로(833a)의 부피를 축소하여 제 1세척유로(833a)를 흐르는 물의 압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의 (E)에 도시한 바와 상기 노즐 커버부(840)는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상기 커버관통홀(8313)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노즐전환리브(8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전환리브(846)는 상기 노즐커버바디(841)의 말단에서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전환리브(846)는 노즐전환리브(846)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리브(846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리브(846c)는 배출유로(8332)에서 배출되는 물의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노즐전환리브(846)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전환리브(846)는 상기 노즐 커버부(840)에서 상기 커버관통홀(8313)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전환리브(846)은 상기 제 1열교환기(910)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노즐전환리브(846)의 말단은 상기 커버관통홀(8313)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는 유로전환밸브(870)를 기준으로 각기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는 유로전환밸브(870)를 기준으로 제 3세척유로(833c)로부터 제 1세척유로(833a)로 진행될수록 유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 3세척유로(833c)를 통과하는 물의 수압보다 제 1세척유로(833a)를 통과하는 물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통과하여 배출유로(8332)에서 배출되는 물은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의 길이에 따라 압력이 변화되어 배출유로(8332)에서 노즐전환리브(846)를 통해 커버관통홀(8313)로 그 방향이 전환된다. 이때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에서의 물의 압력이 변화됨에 따라 노즐전환리브(846)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물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에 따라 전환되는 양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를 통과하는 물은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의 길이에 따라 제 1세척유로(833a)가 압력이 가장 낮게 형성되며, 제 3세척유로(833c)가 압력이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세척유로(833a)를 통과하여 배출유로(8332)에서 노즐전환리브(846)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물과, 제 3세척유로(833c)를 통과하여 배출유로(8332)에서 노즐전환리브(846)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물의 각도 및 확산 정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세척유로(833a)에서 배출유로(8332)로 배출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노즐전환리브(846)와 제 3세척유로(833c)에서 배출유로(8332)로 배출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노즐전환리브(846)의 높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세척유로(833a)에서 배출유로(8332)로 배출되는 위치의 노즐전환리브(846)는 제 3세척유로(833c)에서 배출유로(8332)로 배출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노즐전환리브(846)의 높이보다 소정의 높이차(D5)로 더 높게 형성되는 노즐전환리브 단턱(846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세척유로(833a)에서 배출유로(8332)로 배출되는 물은 노즐전환리브(846) 보다 상대적으로 더 연장되는 노즐전환리브 단턱(846a)에 의해 방향이 전환 및 확산되어 커버관통홀(8313)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노즐전환리브 단턱(846a)에 의해 방향이 전환 및 확산되는 물은 제 1세척유로(833a)의 수압이 제 3세척유로(833c)의 수압보다 낮더라도 제 3세척유로(833c)와 유사한 양상으로 물의 방향을 전환 및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 1세척유로(833a)와 제 3세척유로(833c)만을 비교하여 노즐전환리브 단턱(846a)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 2세척유로(833b)에 대응되는 별도의 노즐전환리브 단턱(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의 (F)에 도시한 바와 노즐전환리브(846)의 양 끝단에는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에서 배출유로(833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커버관통홀(8313)로 집수되어 배출되도록 집수단턱(846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집수단턱(846b)은 노즐전환리브(846)의 양단에서 배출유로(8332)에서 이동되는 물의 이동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출유로(8332)에서 이동되는 물이 노즐전환리브(846)의 양측단에서 누설되지 않고 커버관통홀(8313)로 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로전환밸브(87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의 체결을 나타내 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덕트 커버부(830)의 밸브연결부(838)에 구비되는 전환연결부(879)와 전환연결부(879)에 연결되는 전달부(872)와 전달부(872)에 체결되어 전달부(872)의 유로를 변경하는 공급전환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환연결부(879)는 외부의 급수원 또는 저수탱크(12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연결전달유로(8792)와, 연결전달유로(8792)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전달부(872)의 유로전환에 따라 제 1, 2, 3세척유로(833a, 833b, 833c)로 안내되는 제 1, 2, 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전달부(872)는 전환연결부(879)의 연결전달유로(8792) 및 제 1, 2, 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에 대응되어 상기 제1연결공급유로(8791a)와 연통되는 제 1전달공급유로(8722a)와, 상기 제 2연결공급유로(8791b)와 연통되는 제 2전달공급유로(8722b)와, 상기 제 3연결공급유로(8791c)와 연통되는 제 3전달공급유로(8722c)와, 상기 연결전달유로(8792)와 연통되는 제 4전달공급유로(8722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부(872)는 내부에 제 1, 2, 3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와 제 4전달공급유로(8722d)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환스크롤판(미도시)가 구비되며, 공급전환부는 전환스크롤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환스크롤판에 연결되는 횐전축을 구비하는 밸브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달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환스크롤판 및 전환스크롤판을 회전시키는 밸브구동부는 다양한 실시예에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와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공급전환부의 밸브구동부가 작동됨에 따라 전환스크롤판이 회전되면서 제 1, 2, 3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와 제 4전달공급유로(8722d)를 순차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전달유로(8792)에서 제 4전달공급유로로 공급되는 물은 전환스크롤판의 회전에 따라 제 1, 2, 3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제 1, 2, 3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로 공급되는 물은 제 1, 2, 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환연결부(879)에는 전환연결부(879)의 양측에 구비되어 전달부(872)가 고정되는 연결장착후크(8797)가 구비되며, 전달부(872)의 양측에는 연결장착후크(8797)에 체결되는 전달돌기(872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장착후크(8797)는 전환연결부(879)의 양측의 위치하며 전환연결부(879)의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같도록 구비된다. 또한, 연결장착후크(8797)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전달돌기(8729)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달돌기(8729)는 연결장착후크(8797)의 위치에 대응되어 전달부(872)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마주하는 전달돌기(8729)의 외측면에는 연결장착후크(8797)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미도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달부(872)와 전환연결부(879)의 체결을 위해서 전환연결부(879)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 커버부(840)에는 노즐체결부(8419)가 형성되며, 전환연결부(879)의 하부에는 전환고정부(8794)가 형성된다. 또한, 전달부(872)의 상부에는 노즐체결부(8419)에 체결되는 제 1전달체결부(8725a)가 형성되고, 전달부(872)의 하부에는 전환고정부(8794)에 체결되는 제 2전달체결부(872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체결부(8419)와 제 1전달체결부(8725a) 및 전환고정부(8794)와 제 2전달체결부(8725b)는 별도의 체결부제(미도시)에 의해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전달부(872)와 전환연결부(879)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전달부(872)와 전환연결부(879)의 사이에는 전달부(872)에 형성되는 제 1, 2, 3, 4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 8722d)와, 전환연결부(879)에 형성되는 제 1, 2, 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및 연결전달유로(8792) 사이의 수밀을 형성하는 연결실링부재(877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실링부재(8773)는 상기 제 1연결공급유로(8791a)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제 1연결실링부재(8773a)와, 상기 제 2연결공급유로(8791b)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제 2연결실링부재(8773b)와, 상기 제 3연결공급유로(8791c)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제 3연결실링부재(8773c)와, 상기 전달돌출부(8727)를 수용하는 제 4연결실링부재(877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실링부재(8773a), 제 2연결실링부재(8773b), 제 3연결실링부재(8773c) 및 상기 제4연결실링부재(8773d)는 서로 대응되는 직경 및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3, 4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는 각각 서로 접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마름모형태의 관통공(8773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2, 3, 4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는 각 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의 중심을 연결하였을 때 정사각형 형상의 연결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연결선과 각각의 제 1, 2, 3, 4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이 교차하는 지점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2, 3, 4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의 중앙부(즉, 각 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선에 의해 형성되는 정사각형의 중심)에 마름모형태의 관통공(8773e)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2, 3, 4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는 전환연결부(879)에 형성되는 제 1, 2, 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및 연결전달유로(8792)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삽입됨으로써 전달부의 제 1, 2, 3, 4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 8722d)와의 수밀을 형성한다.
한편, 전환연결부(879)와 마주하는 전달부(872)의 일면에는 연결실링부재(8773)의 설치 및 장착위치를 가이드 하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8724a, 8724b)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달부(872)의 중앙부(즉, 제 1, 2, 3, 4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 8722d)의 사이 중앙)에는 연결실링부재(8773)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공(8773e)에 삽입되는 중앙 가이드 리브(8724a)가 형성되며, 제 1, 2, 3, 4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 8722d)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면의 모서리에는 제 1, 2, 3, 4연결실링부재(8773a, 8773b, 8773c, 8773d)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를 지지하는 다수의 외곽 가이드 리브(8724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실링부재(8773)는 중앙부의 관통공(8773e)에 중앙 가이드 리브(8724a)가 삽입되고, 연결실링부재(8773)의 외주부는 외곽 가이드 리브(8724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연결실링부재(8773)는 전달부(872)의 중앙 가이드 리브(8724a)와, 외곽 가이드 리브(8724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전달부(872)가 전환연결부(879)에 체결됨과 동시에 전달부(872)와 전환연결부(879)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2, 3, 4전달공급유로(8722a, 8722b, 8722c, 8722d)와 제 1, 2, 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및 연결전달유로(8792) 사이의 수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컨트롤 박스(19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800)의 일측에는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90)가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컨트롤 박스(190)는 베이스(800)의 측방에 위치하며 의류 처리장치의 측면패널(140)의 개방에 따라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00)의 일측에는 컨트롤 박스(190)가 설치되기 위한 컨트롤 박스 설치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190)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에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19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에 고정되며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어하는 PCB(미도시)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에 체결되는 PCB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192)와, 상기 컨트롤 박스(19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냉각팬(19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CB는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각 구성부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PCB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가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 및 제어부는 별도 또는 단일 PC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PCB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는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 구동부(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순환유로팬을 구동하기 위한 순환유로팬모터 등)의 동작을 위한 전원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191)는 PCB가 안착될 수 있는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컨트롤 박스 설치부에 체결되며, 베이스에 대하여 PCB 및 커버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고정 플레이트(191)의 하부에는 제 1, 2, 3삽입 지지돌기(1911a, 1911b, 1911c)가 구비되며, 컨트롤 박스 설치부에는 제 1, 2, 3삽입 지지돌기(1911a, 1911b, 1911c)의 위치에 대응되어 제 1, 2, 3삽입 지지돌기(1911a, 1911b, 1911c)가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돌기 삽입홈(881)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돌기 삽입홈(881)은 베이스(800)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컨트롤 박스 설치부의 상부에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베이스(800)의 측면을 관통하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 1, 2, 3삽입 지지돌기(1911a, 1911b, 1911c)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191)의 외측면에는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912)에 의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191)의 상면 및 측면은 후술할 커버 플레이트(192)가 고정되는 걸림돌기(192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92)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에 구비되는 PCB를 덮는 형태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92)에 고정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92)는 의류 처리장치의 내측면을 향하는 커버 패널(1921)과, 커버 패널(1921)의 상면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의 상면으로 절곡되는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과, 커버 패널(1921)의 양측에서 고정 플레이트(191)의 측면으로 절곡되는 제 1, 2측면패널(1923a, 1923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커버 패널(1921)의 하부에는 커버 패널(1921)의 하부에서 고정 플레이트(191)의 하부로 절곡되는 하부 패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192)는 고정 플레이트(191)에 체결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191)에 체결된 PCB를 덮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800)와 동일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에는 PCB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는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191)는 절연재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 패널(1921)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1921) 상기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 상기 제 1, 2측면패널(1923a, 1923b)은 상기 커버 패널(1921)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과, 상기 제 1, 2측면패널(1923a, 1923b)은 상기 커버 패널(1921)의 프레스 성형에 따라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박스(190)의 PCB의 경우 전원 공급부와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PCB에서 발생되는 열은 고정 플레이트(191)와 커버 플레이트(19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체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92)에는 PCB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방열홈(1921a, 1921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92)의 상기 커버 패널(1921)에는 상기 커버 패널(1921)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190)의 내측으로 함입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방열홈(1921a, 19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홈(1921a, 1921b)은 상술한 다수의 전원 공급부에 위치에 대응되어 각 전원공급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전원 공급부의 경우 전원 변환시 방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방열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핀들은 각각 공기의 유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방열홈(1921a, 1921b) 또한 방열핀의 형성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홈(1921a, 1921b)은 방열핀의 배치 형태에 따라 수직방향의 방열핀에 대응되는 제 1방열홈(1921a)과 수평방향의 방열핀에 대응되는 제 2방열홈(1921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박스(190)에는 내부의 PCB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 및 방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팬(19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94)은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제 2측면패널(1923b))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패널(1921)과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제 2측면패널(1923b))에는 냉각팬(194)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방출홀(1921c, 19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방출홀(1921c, 19231a)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팬(194)에 의해 상기 컨트롤 박스(19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경로가 가장 길게 형성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팬(194)은 상기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상기 제 2측면패널(1923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출홀(1921c, 19231a)들은 상기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상기 제 2측면패널(1923b))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냉각팬(194)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컨트롤 박스(190) 내부에서 "⊃" 또는 "⊂"의 유로를 형성하여 방출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원 공급부는 다수의 방열핀(미도시)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전원 공급부의 방열핀들은 상기 냉각팬(194)에 의해 컨트롤 박스(190)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에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 패널(1921)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의 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패널(1921)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의 좌우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패널(1921)의 상하 높이는 고정 플레이트(191)의 상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1921)의 상하 높이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의 상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커버 패널(1921)의 상부에 위지하는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191)에서 커버 패널(1921)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이 상기 커버 패널(1921)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컨트롤 박스(190)의 사부로 낙하되는 물이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의 경사를 따라 커버 패널(1921)측으로 흘러 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은 각각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방출홀(1921c, 19231a)들은 상기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 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제 1상부패널(1922a) 또는 제 2상부패널(1922b)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박스(19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컨트롤 박스(190)의 내부에서 상승될 수 있으며,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박스(190)에서 발생되는 열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 중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제 1상부패널(1922a)에 인접하는 커버 패널(1921)에는 제 1상부패널(1922a)측으로 상승되는 공기가 컨트롤 박스(19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면 방출홀(192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2상부패널(1922a, 1922b) 중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제 1상부패널(1922a)에 인접하는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제 2측면패널(1923b))에는 제 1상부패널(1922a)측으로 상승되는 공기가 컨트롤 박스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측면 방출홀(192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 내부에서 PCB의 전원 공급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제 2측면패널)에 구비되는 냉각팬에 의해 컨트롤 박스 외부의 공기가 컨트롤 박스 내부로 유입되면서 PCB의 전원 공급부을 강제 냉각시키며, 전원 공급부에서 발생된 열을 공기의 이동을 따라 이동되어 커버패널에 형성되는 배면 방출홀 또는 제 1측면패널(1923a)(또는 제 2측면패널)에 형성되는 측면 방출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의류 처리장치 100: 캐비닛 200: 드럼
800: 베이스 810: 장치설치부 820: 순환유로부
821: 유입덕트 822: 이동덕트 823: 배출덕트
8231: 팬설치부 824: 덕트돌기 830: 덕트 커버부
831: 덕트커버바디 8311: 차폐커버바디 83111: 증발기커버바디
83112: 응축기커버바디 8312: 연통커버바디 8313: 커버관통홀
8314: 유입연통홀 8315a: 제 1방열리브 8315b: 제 2방열리브
8316a: 제 1경사면 8316b: 제 2경사면 8317: 유입연통리브
832: 덕트커버연장부 8322: 커버삽입부 8223: 커버단차부
83241: 제 1실링안착부 83242: 제 2실링안착부 8324: 실링안착부
833: 세척유로부 8331: 안내유로 8332: 제 1배출유로
8333: 제 2배출유로 834: 유로형성부 8341: 결합돌출부
8342: 제 1결합리브 8343: 제 2결합리브 8344: 유로실링홈
8345: 유로실링부재 8349: 유로인입홈 835: 유로배출리브
836: 유로구획리브 837: 유로지지부 8371: 유로지지만곡부
838: 밸브연결부 8381: 밸브연통관 8382: 밸브연통홀
8383: 밸브체결부 8391: 커버장착후크 8392: 커버결합부
8393: 커버체결홀 840: 노즐 커버부 841: 노즐커버바디
8411: 노즐융착판 8412: 제 1노즐경사판 8413: 제 2노즐경사판
8414: 노즐연통홀 8419: 노즐체결부 842: 노즐연장리브
843: 노즐차폐리브 844: 노즐결합부 846: 노즐전환리브
847: 노즐연통부 848: 노즐구획리브 849: 노즐인입부
861: 펌프 862: 집수바디 880: 덕트실링부
881: 제 1덕트실링부 882: 제 2덕트실링부 1000: 실링지그부재
1010: 지그삽입부 1011: 실링삽입부 1012: 지그가이드부
1013: 탄성부재수용부 1014: 안착수용부 1020: 지그안착부
1021: 안착삽입부 1022: 지그가이드홈 1023: 탄성부재지지부
1024: 지지단차부 1025: 지그안착연장부 1030: 지그탄성부재
800: 베이스 810: 장치설치부 820: 순환유로부
821: 유입덕트 822: 이동덕트 823: 배출덕트
8231: 팬설치부 824: 덕트돌기 830: 덕트 커버부
831: 덕트커버바디 8311: 차폐커버바디 83111: 증발기커버바디
83112: 응축기커버바디 8312: 연통커버바디 8313: 커버관통홀
8314: 유입연통홀 8315a: 제 1방열리브 8315b: 제 2방열리브
8316a: 제 1경사면 8316b: 제 2경사면 8317: 유입연통리브
832: 덕트커버연장부 8322: 커버삽입부 8223: 커버단차부
83241: 제 1실링안착부 83242: 제 2실링안착부 8324: 실링안착부
833: 세척유로부 8331: 안내유로 8332: 제 1배출유로
8333: 제 2배출유로 834: 유로형성부 8341: 결합돌출부
8342: 제 1결합리브 8343: 제 2결합리브 8344: 유로실링홈
8345: 유로실링부재 8349: 유로인입홈 835: 유로배출리브
836: 유로구획리브 837: 유로지지부 8371: 유로지지만곡부
838: 밸브연결부 8381: 밸브연통관 8382: 밸브연통홀
8383: 밸브체결부 8391: 커버장착후크 8392: 커버결합부
8393: 커버체결홀 840: 노즐 커버부 841: 노즐커버바디
8411: 노즐융착판 8412: 제 1노즐경사판 8413: 제 2노즐경사판
8414: 노즐연통홀 8419: 노즐체결부 842: 노즐연장리브
843: 노즐차폐리브 844: 노즐결합부 846: 노즐전환리브
847: 노즐연통부 848: 노즐구획리브 849: 노즐인입부
861: 펌프 862: 집수바디 880: 덕트실링부
881: 제 1덕트실링부 882: 제 2덕트실링부 1000: 실링지그부재
1010: 지그삽입부 1011: 실링삽입부 1012: 지그가이드부
1013: 탄성부재수용부 1014: 안착수용부 1020: 지그안착부
1021: 안착삽입부 1022: 지그가이드홈 1023: 탄성부재지지부
1024: 지지단차부 1025: 지그안착연장부 1030: 지그탄성부재
Claims (11)
-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및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는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1열교환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공급덕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를 차폐하고,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드럼을 연통시키는 유입연통홀을 포함하는 덕트 커버부;
상기 덕트 커버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 1열교환기의 세척을 위한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노즐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커버부는 상면에 상기 물이 상기 제 1열교환기측으로 안내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형성부에 의해 안내되는 물이 상기 제 1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커버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는 상기 유로형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이동되도록 세척유로를 형성하는 돌출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부에는 상기 세척유로의 단면적을 축소하여 상기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세척유로를 이동하는 물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로는 상기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확장되는 배출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출유로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세척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리브를 구비하며, 유로 형성리브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리브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양측에서 상기 커버 관통홀의 폭보다 더 연장되는 한쌍의 제 1연장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리브는 상기 한쌍의 제 1연장리브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상기 제 1연장리브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커버 관통홀의 후단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 2연장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커버부는 상기 세척유로를 이동돠는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전환되도록 상기 커버관통홀의 상부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측으로 연장되는 노즐전환리브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로는 상기 커버관통홀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노즐전환리브는 상기 세척유로 중 유로가 긴측에 상기 노즐전환리브보다 더 연장되는 노즐전환리브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전환리브의 양단에는 상기 커버관통홀측으로 연장되는 집수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커버부 상면에는 상기 드럼의 회주면 하부에서 이격되는 드럼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가이드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리브를 보강하는 보조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253A KR20230000173A (ko) | 2021-06-24 | 2021-06-24 | 의류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253A KR20230000173A (ko) | 2021-06-24 | 2021-06-24 | 의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173A true KR20230000173A (ko) | 2023-01-02 |
Family
ID=8492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2253A KR20230000173A (ko) | 2021-06-24 | 2021-06-24 | 의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0173A (ko) |
-
2021
- 2021-06-24 KR KR1020210082253A patent/KR2023000017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908534B (zh) | 衣物处理装置 | |
US20220251766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30399790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30000173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30000174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20114266A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4908538B (zh) | 衣物处理装置 | |
KR20230111012A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4908508B (zh) | 衣物处理装置 | |
EP4039861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CN114908539B (zh) | 衣物处理装置 | |
US20220251768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251771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20114271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11426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07049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30007050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2011427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114276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114282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114283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045540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