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636A -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636A
KR20220170636A KR1020210081729A KR20210081729A KR20220170636A KR 20220170636 A KR20220170636 A KR 20220170636A KR 1020210081729 A KR1020210081729 A KR 1020210081729A KR 20210081729 A KR20210081729 A KR 20210081729A KR 20220170636 A KR20220170636 A KR 20220170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block
induction coil
switch block
resona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936B1 (ko
Inventor
권중학
이승안
홍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1008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에 구비된 히터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하되, 유도 가열을 위한 코일을 무선 충전에 이용하여 크래들에 삽입된 홀더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홀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배터리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TX 코일을 구비하는 크래들과; RX 무선 충전 블럭을 구비하고 크래들에 삽입되어 크래들에 구비된 TX 코일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충전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홀더는 스틱이 삽입될 수 있는 챔버와; 히터 구동부와; 히터 구동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공진 캐패시터 및 인덕션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부와; 유도 가열부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서셉터와; 히터 구동부와 유도 가열부 사이 및 RX 무선 충전 블럭과 유도 가열부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 블럭과; 유도 가열부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는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과; 유도 가열부와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 및 RX 무선 충전 블럭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 블럭과; 히터 구동부 및/또는 제1 스위치 블럭 및/또는 제2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AEROSOL GENERATIGN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터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하되, 유도 가열을 위한 코일을 무선 충전에 이용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의 에어로졸, 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으로 흔히 말하는 흡연과 같은 기호 물질 흡입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궐련 형태의 담배가 이러한 기호 물질 흡입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담배라는 것도 또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자 담배는 흡입 물질이 액체 형태로 담긴 카트리지에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여 흡입 물질을 증기로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므로 연소를 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궐련 형태의 담배와는 방식 면에서 완전히 차별되며, 그로 인한 장점, 특히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또한, 궐련 형태의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스틱)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틱은 스틱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기재를 전자히터로 가열하여 기화시켜서 에어로졸을 형성시키고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스틱의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렇게 스틱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로는, 홀더와 크래들로 구분된 타입이 상용화되었는데, 스틱이 삽입되는 챔버를 갖는 형상의 홀더에는 히터, 제어기판, 저용량의 배터리가 포함되고, 홀더의 저용량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대용량 배터리가 포함된 크래들에는 홀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이 제공되고, 홀더 및 크래들에는 대응하는 접촉식 단자가 제공되어, 홀더를 크래들의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충전시킨 뒤에, 홀더의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히터로 인가하여 홀더의 챔버에 삽입되는 스틱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홀더의 히터로는 저항 가열 방식의 히터가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충전을 위해 홀더 및 크래들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단자는 수분 혹은 습기에 노출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고, 단자가 노출되는 것이 디자인상의 미감에 좋지 않고, 홀더의 히터가 가열되는 과정에서 단자에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손에 쥐는 홀더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크래들에 삽입된 홀더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을 통해 충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하되, 유도 가열을 위한 코일을 무선 충전에 이용하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전환하여 무선 충전 효율을 높혀줄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에 구비된 히터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하되, 유도 가열을 위한 코일을 무선 충전에 이용하여 크래들에 삽입된 홀더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홀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배터리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TX 코일을 구비하는 크래들과; RX 무선 충전 블럭을 구비하고 크래들에 삽입되어 크래들에 구비된 TX 코일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충전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홀더는 스틱이 삽입될 수 있는 챔버와; 히터 구동부와; 히터 구동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공진 캐패시터 및 인덕션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부와; 유도 가열부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서셉터와; 히터 구동부와 유도 가열부 사이 및 RX 무선 충전 블럭과 유도 가열부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 블럭과; 유도 가열부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는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과; 유도 가열부와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 및 RX 무선 충전 블럭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 블럭과; 히터 구동부 및/또는 제1 스위치 블럭 및/또는 제2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공진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며,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는 마이크로컨틀로러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3 스위치 블럭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과, 공진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공진 캐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공진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며,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3 스위치 블럭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과, 공진 캐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과, 공진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RX 무선 충전 블럭은 정류 회로와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에 구비된 히터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하되,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을 무선 충전에 이용하여 크래들에 삽입된 홀더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을 무선 충전을 위한 RX 코일로 기능하게 하며 무선 충전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전환하여 무선 충전 효율을 높힐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와 크래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와 크래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홀더(20)에는 미도시된 스틱을 삽입할 수 있는 챔버(21-1)가 제공된다. 챔버(21-1)에 스틱을 삽입하고 홀더(20)의 히터로 스틱의 에어로졸 형성기재를 가열하면 에어로졸이 발생하고 사용자는 스틱의 상단에 제공된 필터부를 통해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틱은 통상의 궐련 담배와 비슷한 형상을 갖는다.
홀더(20)는 소용량 배터리(22)와, 제어기판(23)과, 히터를 구비하는데 홀더(20)의 히터가, 인덕션 코일(L1)과, 스틱에 삽입될 수 있는 서셉터(21-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즉 인덕션 코일(L1)에 의해 서셉터(21-2)가 유도 가열되고, 유도 가열된 서셉터(21-2)가 스틱 내부의 에어로졸 형성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서셉터(21-2)는 그림과 같이 블레이드 혹은 봉침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삼지창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서셉터는 스틱에 삽입되는 형식에 부가하여 홀더(20)의 챔버(21-1) 벽면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파이프 자체가 서셉터로 제공되어 이와 간극을 갖고 제공되는 인덕션 코일(L1)에 의해 파이프가 유도 가열되고 파이프가 챔버(21-1)에 삽입되는 스틱의 외면에 접촉하여 스틱을 가열하여 스틱 내부에 제공되는 에어로졸 형성기재를 가열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다르게는 스틱에 삽입되는 형식의 서셉터가 없이, 홀더(20)의 챔버(21-1) 벽면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으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파이프 자체가 서셉터로 제공되어 이와 간극을 갖고 제공되는 인덕션 코일(L1)에 의해 파이프가 유도 가열되고 파이프가 챔버(21-1)에 삽입되는 스틱의 외면에 접촉하여 스틱을 가열하여 스틱 내부에 제공되는 에어로졸 형성기재를 가열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홀더(20)는 크래들(10)의 삽입공간(11)에 삽입되어, 크래들(10)에 제공되는 TX 코일(13)과, 홀더(20)에서 RX 코일로 기능하는 인덕션 코일(L1)에 의해 무선 충전이 진행된다. 크래들(10)에는 대용량 배터리(12)와, 홀더(20)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기판(14) 등이 제공된다. TX 코일은 배터리(12)와 연결된다. 사용자가 홀더(20)를 사용하려고 홀더(20)의 소용량 배터리(22)를 충전하기 위하여, 크래들(10)에 제공되는 삽입공간(11)에 홀더(20)를 삽입시켜 무선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크래들(10)의 삽입공간(11) 하부에는 삽입공간(11)을 에워싸도록 삽입공간(11)의 벽면 바깥에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TX 코일(TX 안테나)(13)을 갖고, 홀더(20)를 삽입공간(11)에 완전히 삽입했을 때, TX 코일(13)의 대응하는 홀더(20)의 위치에 홀더(20)벽면의 안쪽에는 인덕션 코일(L1)이 위치하게 된다.
TX 코일(13)은 삽입공간(11)의 소정 높이를 에워싸도록 삽입공간(11)의 벽면 바깥에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제공되며, 홀더(20)를 삽입공간(11)에 완전히 삽입했을 때, TX 코일(13)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덕션 코일(L1)이 TX 코일(13)과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제공된다. TX 코일(13)과 인덕션 코일(L1) 모두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원통 형상의 홀더(20)를 삽입 공간(11)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쉽게 충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TX 코일(13)과 인덕션 코일(L1) 모두 홀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더(20) 높이의 일부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서 구성되므로, 홀더(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어떤 위치로 삽입하더라도 충전이 이루어지는데는 문제가 없게 된다.
홀더(20)를 삽입한 후에 별도로 제공되는 버튼 등을 눌러서 충전을 시작할 수도 있고, 크래들(10)에 광센서 혹은 압력센서와 같은 적절한 센서에 의해 홀더(20)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고, 홀더(20)의 삽입을 감지함에 따라 충전을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별개의 버튼만으로 충전을 시작하게 되면, 버튼이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충전모드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충전을 위한 버튼을 누르더라도 센서에 의해 홀더(20)의 삽입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충전 모드가 시작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홀더(20)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에만 버튼을 누른 것이 충전 모드로 시작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잘못 눌려질 가능성이 있는 물리적인 버튼 없이, 전술한 센서에 의해 홀더(20)의 삽입이 감지되는 경우만 충전모드가 시작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홀더(20)는 반드시 배터리(22)가 위치하는 부분이 위로 가도록 삽입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삽입공간(11)의 내측면 형상과 홀더(20)의 외측면 형상을 대응되게 하여, 일례로 홀더(20)의 챔버(21-1)측 구멍이 있는 쪽인 상단이 위로 가도록 삽입하려는 경우에는 삽입공간(11)의 상부 일정 높이까지만 삽입되고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홀더(20)의 외측면 형상을 상부(챔버 부분)에서 하부(배터리 부분)로 가면서 약간 커지게 형성하고, 크래들(10)의 삽입공간(11)의 내측면 형상도 이와 대응하게 형성하면 홀더(20)를 삽입공간(11)에 완전히 삽입하려면 홀더(20)의 상부(챔버 부분)가 아래로 향하도록 삽입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렇게 홀더(20)의 상부(챔버 부분)가 아래를 향하도록 크래들(10)의 삽입공간(11) 내로 삽입하는 구성을 갖는 경우, 홀더(20)의 삽입에 따라 홀더(20)의 하부(배터리 부분)의 끝단이 삽입 공간(11)을 폐쇄하게 되므로 크래들(10)에 별개의 삽입 공간 개폐 구조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즉 홀더(20)를 삽입함에 따라 삽입 공간(11)이 폐쇄되고, 챔버(21-1)는 삽입공간(11) 내로 완전히 수용되므로, 이러한 개폐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르게는 홀더(20)의 상부(챔버 부분)가 아래를 향하도록 크래들(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20)의 챔버(21-1)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물질 내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크래들(10)에 크래들 커버(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대개 크래들(10)을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게 되는데, 크래들 커버(15)를 개방하면 홀더(20)의 챔버(21-1) 내에 있을 수 있는 오염물질이나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제거되기 쉬운 상황이 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는, 인덕션 코일(L1)을 무선 충전 시에는 RX 코일로 기능하게 하고, 유도 가열시에는 유도 가열 코일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홀더(20)를 크래들(10)의 삽입공간(11) 내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려는 경우에는 인덕션 코일(L1)이 RX 코일로 기능하여 홀더(20)의 소용량 배터리(22)를 충전하는데 이용되고, 홀더(20)를 크래들(10)의 삽입공간(11)으로부터 분리하고 스틱을 챔버(21-1)에 수용하여 스틱 내에서 에어로졸 형성기재를 가열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인덕션 코일(L1)이 유도 가열 코일로 기능하여 전술한 파이프 형상 및/또는 스틱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서셉터에 유도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홀더(2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과 배터리(12)와 배터리(12)에 연결되는 TX 코일(13)을 구비하는 크래들(10)과, RX 무선 충전 블럭(24)을 구비하고 크래들(10)에 삽입되어 크래들(10)에 구비된 TX 코일(13)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충전하는 홀더(20)를 포함하되, 홀더(20)는 스틱이 삽입될 수 있는 챔버(21-1)와, 히터 구동부(25)와, 히터 구동부(25)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공진 캐패시터(C1) 및 인덕션 코일(L1)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부(26)와,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서셉터(21-2)와,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 사이(26) 및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유도 가열부(26)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과, 유도 가열부(26)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는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과, 유도 가열부(26)와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 및 RX 무선 충전 블럭(24)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 블럭(28-2)과, 히터 구동부(25) 및/또는 제1 스위치 블럭(28-1) 및/또는 제2 스위치 블럭(28-2)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를 포함한다. 홀더(20)에 구비된 챔버(21-1)에 스틱이 삽입되어 유도 가열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26)가 연결되고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서셉터(21-2)가 유도 가열되는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에 PWM신호를 입력하고 히터 구동부(25)를 통하여 공진 캐패시터(C1)와 인덕션 코일(L1)에 일정 주파수의 전원이 입력된다. 이 때 유도 가열부(26)와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유도 가열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fh)는 하기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01
또한, 홀더(20)를 충전 목적으로 크래들(10)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는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와 상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인덕션 코일(L1)을 RX 코일로 기능하게 할 경우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해야 최대의 효율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홀더(20)를 무선 충전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게 하고, 제 2 스위치 블럭(28-2)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와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 및 RX 무선 충전 블럭(24)이 연결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fc)는 하기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Lc는 총 무선 충전 인덕턴스이며 일반적으로 Lc는 인덕션 코일(L1)에 인덕션 코일(Ls)이 직렬 연결시 하기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03
또한, 인덕션 코일(L1)에 인덕션 코일(Lp)이 병렬 연결시 하기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04
또한, 여기서 Cc는 총 무선 충전 캐패시턴스이며 일반적으로 Cc는 공진 캐패시터(C1)에 캐패시터(Cs)가 직렬 연결시 하기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05
또한, 공진 캐패시터(C1)에 캐패시터(Cp)가 병렬 연결시 하기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06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RX 무선 공진 주파수보다 클 경우 실시예에 따라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인덕션 코일(L1)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28-1)은 인덕션 코일(L1)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 사이에 구비한다. 홀더(20)를 무선 충전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2 스위치 블럭(28-2)을 제어하여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이 인덕션 코일(L1)과 직렬로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에 의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감소되어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공진 주파수는 기설정값이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의 인덕턴스값을 설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RX 무선 충전 블럭(24)은 무선 충전 전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정류 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직류 전류를 충전하는 배터리(2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공진 캐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28-2)은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C2)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하며,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는 마이크로컨틀로러(29)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3 스위치 블럭(28-3)을 포함한다. 홀더(20)에 구비된 챔버(21-1)에 스틱이 삽입되어 유도 가열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26)가 연결되고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서셉터(21-2)가 유도 가열되는데, 이 때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와 인덕션 코일(L1)은 각각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홀더(20)를 충전 목적으로 크래들(10)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 블럭(28-2)을 제어하여 공진 캐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된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가 RX 무선 충전 블럭(24)에 연결되게 하며, 제3 스위치 블럭(28-3)을 제어하여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을 연결하게 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보다 클 경우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에 의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감소되어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공진 주파수는 기설정값이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값을 설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 과 도 4를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인덕션 코일(L1)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과, 공진 캐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이며, 제2 스위치 블럭(28-2)은 인덕션 코일(L1)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C2)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각각 포함한다. 홀더(20)에 구비된 챔버(21-1)에 스틱이 삽입되어 유도 가열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26)가 연결되고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서셉터(21-2)가 유도 가열되는데, 이 때 유도 가열부(26)와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는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홀더(20)를 충전 목적으로 크래들(10)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 블럭(28-2)의 인덕션 코일(L1)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여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이 인덕션 코일(L1)과 직렬로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 블럭(28-2)의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C2)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여 공진 캐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된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가 RX 무선 충전 블럭(24)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보다 클 경우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에 의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감소되어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공진 주파수는 기설정값이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의 인덕턴스값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값을 설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인덕션 코일(L1)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28-2)은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한다. 홀더(20)에 구비된 챔버(21-1)에 스틱이 삽입되어 유도 가열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26)가 연결되고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서셉터(21-2)가 유도 가열되는데, 이 때 인덕션 코일(L1)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홀더(20)를 충전 목적으로 크래들(10)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 블럭(28-2)을 제어하여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이 연결되게 되며 인덕션 코일(L1)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이 병렬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보다 작을 경우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에 의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증가되어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공진 주파수는 기설정값이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의 인덕턴스값을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공진 캐패시터(C1)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인덕션 코일(L1)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28-2)은 공진 캐패시터(C1)와 인덕션 코일(L1)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와 인덕션 코일(L1) 사이에 구비하며,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는 마이크로컨틀로러(29)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3 스위치 블럭(28-3)을 포함한다. 홀더(20)에 구비된 챔버(21-1)에 스틱이 삽입되어 유도 가열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26)가 연결되고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서셉터(21-2)가 유도 가열되는데, 이 때 공진 캐패시터(C1)는 인덕션 코일(L1)에 연결된 상태이고,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와 인덕션 코일(L1)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홀더(20)를 충전 목적으로 크래들(10)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 블럭(28-2)을 제어하여 공진 캐패시터(C1)와 직렬로 연결된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가 인덕션 코일(L1)에 연결되게 하며, 제3 스위치 블럭(28-3)을 제어하여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을 연결하게 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보다 작을 경우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에 의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증가되어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공진 주파수는 기설정값이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값을 설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홀더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27)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인덕션 코일(L1)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과, 공진 캐패시터(C1)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28-2)에 의해 인덕션 코일(L1)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이며, 제2 스위치 블럭(28-2)은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과, 공진 캐패시터(C1)와 인덕션 코일(L1)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와 인덕션 코일(L1)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각각 포함한다. 홀더(20)에 구비된 챔버(21-1)에 스틱이 삽입되어 유도 가열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히터 구동부(25)와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5)와 유도 가열부(26)가 연결되고 유도 가열부(26)에 의해 스틱이 유도 가열되는데, 이 때 인덕션 코일(L1)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고, 공진 캐패시터(C1)는 인덕션 코일(L1)에 연결된 상태이고,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와 인덕션 코일(L1)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홀더(20)를 충전 목적으로 크래들(10)에 삽입하여 무선 충전을 할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9)는 제1 스위치 블럭(28-1)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부(26)가 RX 무선 충전 블럭(24)과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 블럭(28-2)의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여 인덕션 코일(L1)과 RX 무선 충전 블럭(24)이 연결되게 되며 인덕션 코일(L1)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이 병렬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제2 스위치 블럭(28-2)의 공진 캐패시터(C1)와 인덕션 코일(L1)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와 인덕션 코일(L1)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여 공진 캐패시터(C1)와 직렬로 연결된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가 인덕션 코일(L1)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보다 작을 경우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에 의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가 증가되어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공진 주파수는 기설정값이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L2)의 인덕턴스값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값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홀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배터리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TX 코일을 구비하는 크래들과;
    RX 무선 충전 블럭을 구비하고 크래들에 삽입되어 크래들에 구비된 TX 코일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충전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홀더는 스틱이 삽입될 수 있는 챔버와;
    히터 구동부와;
    히터 구동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공진 캐패시터 및 인덕션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부와;
    유도 가열부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서셉터와;
    히터 구동부와 유도 가열부 사이 및 RX 무선 충전 블럭과 유도 가열부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 블럭과;
    유도 가열부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유도 가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충전 RX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는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과;
    유도 가열부와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 및 RX 무선 충전 블럭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 블럭과;
    히터 구동부 및/또는 제1 스위치 블럭 및/또는 제2 스위치 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공진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며,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는 마이크로컨틀로러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3 스위치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과, 공진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과, 공진 주파수 조절 캐피시터와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공진 캐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여기서 제2 스위치 블럭은 공진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며,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는 마이크로컨틀로러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3 스위치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 조절 수단은 RX 무선 충전 블럭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인덕션 코일과, 공진 캐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블럭에 의해 인덕션 코일과 연결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이며, 제2 스위치 블럭은 인덕션 코일과 RX 무선 충전 블럭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과, 공진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 및 공진 주파수 조절 캐패시터와 인덕션 코일 사이에 구비하는 스위치 블럭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X 무선 충전 블럭은 정류 회로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10081729A 2021-06-23 2021-06-23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58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729A KR102588936B1 (ko) 2021-06-23 2021-06-23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729A KR102588936B1 (ko) 2021-06-23 2021-06-23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636A true KR20220170636A (ko) 2022-12-30
KR102588936B1 KR102588936B1 (ko) 2023-10-16

Family

ID=8453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729A KR102588936B1 (ko) 2021-06-23 2021-06-23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208A (ko) * 2011-09-22 2013-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086024A (ko) * 2016-12-02 2019-07-19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의 유도 충전 기법
KR20200051603A (ko) * 2017-09-06 2020-05-13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증기 생성 디바이스에 대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
KR20200126048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이엠텍 유도 가열 장치
WO2020260884A1 (en) * 2019-06-28 2020-12-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10006209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236871B1 (ko) * 2019-01-15 2021-04-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208A (ko) * 2011-09-22 2013-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086024A (ko) * 2016-12-02 2019-07-19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의 유도 충전 기법
KR20200051603A (ko) * 2017-09-06 2020-05-13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증기 생성 디바이스에 대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
KR102236871B1 (ko) * 2019-01-15 2021-04-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26048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이엠텍 유도 가열 장치
WO2020260884A1 (en) * 2019-06-28 2020-12-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10006209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36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0645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
JP6864047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
US11277884B2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nductive heating system with efficient power control
US11547148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magnetic force generator for coupling a case with a cover
WO2018167817A1 (ja)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JP2020529857A (ja) 着脱自在で挿入可能な加熱区画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WO2022107387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EP3838004A1 (en) Charging device and smoking substitute kit
KR102588936B1 (ko)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20125641A (ko) 무선 충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장치
WO2022107359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WO2023286116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制御方法
KR20240057551A (ko) 홀더의 오토 팝업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6451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2069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22696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30128054A (ko) 흡인 장치, 기재,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P4250985A1 (en) Accessory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heating element
KR20130002328U (ko)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