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439A -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 Google Patents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439A
KR20220170439A KR1020210081260A KR20210081260A KR20220170439A KR 20220170439 A KR20220170439 A KR 20220170439A KR 1020210081260 A KR1020210081260 A KR 1020210081260A KR 20210081260 A KR20210081260 A KR 20210081260A KR 20220170439 A KR20220170439 A KR 20220170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
nonwoven fabric
contact
reinforc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덕
윤미정
전홍찬
한주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439A/ko
Publication of KR2022017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강화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는 상부 복합층, 하부 복합층 및 상기 상부 복합층과 하부 복합층 사이에 개재된 다공성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다층형의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Fiber-reinforced composite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본 발명은 섬유강화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는 상부 복합층, 하부 복합층 및 상기 상부 복합층과 하부 복합층 사이에 개재된 다공성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다층형의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천정재는 내열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등의 열가소성 섬유를 바인더 섬유로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거나 천연섬유와 혼합하여 제품을 생산한 후 자동차에 조립시까지 이동, 보관 중에 제품의 변형이 발생하여 자동차 차체에 조립 시 자동차 차체와 천정재의 체결 부위가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아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변형 발생 시 BSR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의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는 조명을 위한 각종 램프류, 탑승객 천정 손잡이, 휴대폰 핸즈 프리 MIC, 냉난방 부품, 사고 시 자동차 탑승자의 두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방지 구조물 등의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정성 증대를 위한 각종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내부 모듈(Interior Module) 부품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보다 더 많은 편의성 제공을 위해 부품의 종류 및 수량 또한 증대되는 추세이다. 이렇게 장착되는 부품이 증가하면서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여 기존의 천정재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지 못하여 천정재가 생산된 후 자동차 조림 공정까지 이송되는 과정이나 자동차에 조립되는 과정 중에 천정재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외관상의 품질 문제, 제품 폐기 등의 문제가 번번하게 발생하고 추가 장착하는 부품에 한계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른 새로운 재질의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1958호는 차량용 경량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유리섬유 및 바인더섬유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에 적층되는 보강재층 및 상기 보강재층이 적층된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천정재 구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원하는 만큼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1958호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 및 제품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조립성의 향상 및 조립을 위한 보관 및 운송 관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차체에 조립 시 체결 부위가 정확하게 위치하여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램프류, 손잡이, 핸즈프리 마이크 등의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켜 주는 다양한 부품을 더 많이 장착시킬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복합층; 하부 복합층; 및 상기 상부 복합층 및 하부 복합층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다공성 부직포층;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복합층 및 하부 복합층은 각각 부직포층, 보강재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복합층에 포함된 보강재층의 일면은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복합층에 포함된 보강재층의 일면은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층은 유리섬유층; 및 상기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접하는 코팅재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T-die 압출을 통해 코팅재층을 접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재층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1코팅재층; 및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2코팅재층;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유리섬유층과 접하고, 상기 제2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부직포층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층은 통기성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 아라미드 및 탄소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용융온도 150℃ 이상이고, 면밀도 200 내지 600g/m2 및 두께 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면밀도 20 내지 50g/m2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면밀도 100 내지 150g/m2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40 내지 60 중량% 및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재층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ISO 4625-1에서 규정하는 연화점이 14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 및 제품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조립성의 향상 및 조립을 위한 보관 및 운송 관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차체에 조립 시 체결 부위가 정확하게 위치하여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램프류, 손잡이, 핸즈프리 마이크 등의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켜 주는 다양한 부품을 더 많이 장착시킬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곡탄성률이 높아 차량 장착 시 꺾임 등의 품질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1의 복합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2 및 비교예3의 복합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4 및 비교예5의 복합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강화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는 상부 복합층, 하부 복합층 및 상기 상부 복합층과 하부 복합층 사이에 개재된 다공성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다층형의 섬유강화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는 상부 복합층, 하부 복합층 및 상기 상부 복합층 및 하부 복합층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다공성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의 구조가 나타나 있는데, 이를 참고하여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부 복합층
본 발명의 상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보강재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층은 본 발명의 다공성 부직포층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적용되며, 다공성 부직포층의 일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재층의 일면은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한다.
상기 보강재층은 유리섬유층 및 상기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접하는 코팅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재층은 바람직하게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T-die 압출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재층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ISO 4625-1에서 규정하는 연화점이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층은 바람직하게 면밀도 50 내지 100g/m2이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재층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1코팅재층 및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2코팅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유리섬유층과 접하고, 상기 제2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부직포층과 접한다.
상기 부직포층은 니들펀칭, 에어레이드(Air Laid) 및 스펀레이스(Spun-lace) 공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스펀레이스(Spun-lace) 공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부직포층은 면밀도 20 내지 50g/m2이고, 상기 유리섬유층은 면밀도 100 내지 150 g/m2 이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바람직하게 유리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유리섬유는 직경 10 내지 30㎛이고 굵기 50 내지 80㎜이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40 내지 60 중량% 및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포함한다.
하부 복합층
본 발명의 하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보강재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층은 본 발명의 다공성 부직포층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적용되며, 다공성 부직포층의 일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재층의 일면은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한다.
상기 보강재층은 유리섬유층 및 상기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접하는 코팅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재층은 바람직하게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T-die 압출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재층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ISO 4625-1에서 규정하는 연화점이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층은 바람직하게 면밀도 50 내지 100g/m2이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재층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1코팅재층 및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2코팅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유리섬유층과 접하고, 상기 제2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부직포층과 접한다.
상기 부직포층은 면밀도 20 내지 50g/m2이고, 상기 유리섬유층은 면밀도 100 내지 150 g/m2 이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바람직하게 유리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유리섬유는 직경 10 내지 30㎛이고 굵기 50 내지 80㎜이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40 내지 60 중량% 및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포함한다.
다공성 부직포층
본 발명의 다공성 부직포층은 통기성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니들펀칭, 에어레이드(Air Laid) 및 스펀레이스(Spun-lace) 공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스펀레이스(Spun-lace) 공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 아라미드 및 탄소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용융온도 150℃ 이상이고, 면밀도 200 내지 600 g/m2 및 두께 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용융온도 150 내지 170 ℃ 이고, 면밀도 400 내지 600 g/m2 및 두께 3 내지 6 ㎜ 이다.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흡차음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내지 14
하기 표 1과 같은 면밀도 구성을 갖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상부 복합층 다공성
부직포층
하부 복합층
부직포층 보강재층 보강재층 부직포층
제2
코팅재층
유리섬유층 제1
코팅재층
제1
코팅재층
유리섬유층 제2
코팅재층
실시예1 20 100 100 100 200 100 100 100 20
실시예2 20 100 100 100 400 100 100 100 20
실시예3 20 100 100 100 600 100 100 100 20
실시예4 20 100 100 50 400 50 100 100 20
실시예5 20 50 100 100 400 100 100 50 20
실시예6 20 100 150 100 200 100 150 100 20
실시예7 20 100 150 100 400 100 150 100 20
실시예8 20 100 150 100 600 100 150 100 20
실시예9 20 50 100 50 200 50 100 50 20
실시예10 20 50 100 50 400 50 100 50 20
실시예11 20 50 100 50 600 50 100 50 20
실시예12 20 50 150 50 200 50 150 50 20
실시예13 20 50 150 50 400 50 150 50 20
실시예14 20 50 150 50 600 50 150 50 20
부직포층: 휴비스 Polypropylene spunbond 부직포
제1/2코팅재층: 롯데케미칼 270A 동등
유리섬유층: 부양소재 glass mat, 직경 6 ~ 24 ㎛ (90~95%) + polyvinylacetate 바인더 (5~10%)
다공성 부직포층: Regular PET, Low melting PET 50:50
비교예1
도 2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표 2의 면밀도를 갖는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경질 폴리우레탄폼 상하 양측에 바인더를 도포한 뒤 보강재인 유리섬유를 적층하고 최외곽층에 부직포를 부착한 후 가압 열성형하여 바인더를 경화시켜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복합재 구성
부직포층 유리섬유 바인더 폴리우레탄폼 바인더 유리섬유 부직포층
50 120 55 210 55 120 50
비교예2 내지 3
도 3과 같은 구성으로 하기 표 3의 면밀도를 갖는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리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합하고 부직포를 부착한 후 열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용융시킨 후 가압성형하여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복합재 구성
부직포 유리섬유
+ 폴리프로필렌 섬유
부직포
비교예2 50 850 50
비교예3 50 1000 50
비교예4 내지 5
도 4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표 4의 면밀도를 갖는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천연섬유(Kenaf),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혼합하고 부직포를 부착한 후 열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필름을 용융시킨 뒤 가압성형하여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복합재
천연섬유 + 폴리프로필렌 섬유
+ 폴리프로필렌 필름
부직포
비교예4 1200 50
비교예5 1400 50
실험예
상기 제작된 실시예1 내지 실시예14, 비교예1 내지 비교예5의 복합재에 대해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및 치수안정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굴곡강도
(N)
굴곡탄성률
(MPa)
치수안정성
(%)
세로 가로 세로 가로 세로 가로
실시예1 20.1 17.8 151 127 0.5 1
실시예2 24.5 22.3 223 199 0.1 0.1
실시예3 30.1 27.9 288 258 0.1 0.1
실시예4 - - - - - -
실시예5 - - - - - -
실시예6 22.1 20.3 188 153 0.5 1
실시예7 25.5 23.7 231 215 0.1 0.1
실시예8 32.5 31.2 306 295 0.1 0.1
실시예9 18.3 16.5 130 115 1 1
실시예10 21.9 20.4 179 153 0.1 0.5
실시예11 26.1 24.9 248 229 0.1 0.1
실시예12 19.8 17.6 145 121 0.5 1
실시예13 23.5 21.5 201 177 0.5 0.5
실시예14 27.3 26.2 255 246 0.1 0.1
비교예1 23.5 17.3 101 99 0.1 0.1
비교예2 23.2 20.1 430 331 1 2
비교예3 29.3 25.5 589 453 2 2
비교예4 27.1 18.2 325 295 2 2
비교예5 29.3 20.2 348 312 2 2
*굴곡강도/굴곡탄성률: ASTM D790(속도 100mm/min, SPAN길이 100mm, 시험편의 크기 50mm X 150mm)
*치수안정성: 90℃, 300시간 동안 열처리 후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하고, 시험편 크기 500mm X 500mm 의 내측에 각변에서 50mm 떨어진 부위에 기준선을 긋고, 기준선으로 만들어진 정사각형 각 변의 길이 변화율을 측정한다.

Claims (17)

  1. 상부 복합층;
    하부 복합층; 및
    상기 상부 복합층 및 하부 복합층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다공성 부직포층;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복합층 및 하부 복합층은 각각 부직포층, 보강재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복합층은 부직포층 및 보강재층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복합층에 포함된 보강재층의 일면은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복합층에 포함된 보강재층의 일면은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은 유리섬유층; 및 상기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접하는 코팅재층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층의 양면에 T-die 압출을 통해 코팅재층을 접합시키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층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1코팅재층; 및 부직포층과 접하는 제2코팅재층; 을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유리섬유층과 접하고,
    상기 제2코팅재층의 일면은 다공성 부직포층과 접하고, 타면은 부직포층과 접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층은 통기성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 아라미드 및 탄소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용융온도 150℃ 이상이고, 면밀도 200 내지 600g/m2 및 두께 2㎜ 이상인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면밀도 20 내지 50g/m2 인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층은 면밀도 100 내지 150g/m2 인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40 내지 60 중량% 및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층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ISO 4625-1에서 규정하는 연화점이 145℃ 이상인 것인 섬유강화복합재.
KR1020210081260A 2021-06-23 2021-06-23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KR20220170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60A KR20220170439A (ko) 2021-06-23 2021-06-23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60A KR20220170439A (ko) 2021-06-23 2021-06-23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439A true KR20220170439A (ko) 2022-12-30

Family

ID=8453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260A KR20220170439A (ko) 2021-06-23 2021-06-23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4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58B1 (ko) 2008-12-15 2010-04-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경량 천정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58B1 (ko) 2008-12-15 2010-04-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경량 천정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1092B1 (en) The member for headliner on motor vehicles of multilayer structure
KR101279522B1 (ko) 내열 및 접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기지재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천정재용 경량 천연섬유강화복합보드 및 그 제조 방법
US5549776A (en) Self-supporting impact resistant laminate
KR101233813B1 (ko) 열가소성 유기 섬유, 그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섬유 복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7241B1 (ko)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756303B1 (ko)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45363A (ko)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KR20170028282A (ko)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552009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소재와 그 제조방법
KR100741377B1 (ko) 자동차 실내 천장재와 그 제조 방법
KR20220170439A (ko)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섬유강화복합재
JP3247629B2 (ja) 自動車用内装材
KR20210098569A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181B1 (ko) 절곡 금속박막과 부직포를 갖는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07655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219310B1 (ko) 강성 및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와 이의 제조방법 및, 강성 및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포함한 자동차 언더커버
KR101302220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패널
KR101896624B1 (ko) 자동차 천정재용 다층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161616A (ja) 遮音用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2重壁遮音構造体
CN109795171B (zh) 一种车用高吸音cmt增强聚氨酯泡沫复合材料
KR20200062086A (ko) 플로어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1136A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100755102B1 (ko) 자동차내장 천정성형용 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내장천정부재
KR20210052670A (ko) 차량용 복합소재
JPH10316770A (ja) 抄造法スタンパブルシート、軽量スタンパブル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