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771A -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771A
KR20220169771A KR1020210080274A KR20210080274A KR20220169771A KR 20220169771 A KR20220169771 A KR 20220169771A KR 1020210080274 A KR1020210080274 A KR 1020210080274A KR 20210080274 A KR20210080274 A KR 20210080274A KR 20220169771 A KR20220169771 A KR 2022016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message
mobile device
distanc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771A/ko
Priority to PCT/KR2022/006973 priority patent/WO2022270765A1/ko
Publication of KR2022016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771A/ko
Priority to US18/390,260 priority patent/US2024012915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4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broadcast or multicast in a specific location, e.g. geo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가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devic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가전제품에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고,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인공지능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고 있다. 또한, 가전제품에 LCD, 스피커 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탑재되어 있어,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전제품에 탑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해당 제품에 특화된 서비스용으로만 사용되고 있어, 가전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가전제품에 탑재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제품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댁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는 통신 단말, 웨어러블 장치 등의 모바일 장치이다. 최근 거의 모든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이를 활용해 많은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 주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주로 MMS, 알림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런데 이러한 MMS나 알림 서비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사용 중인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자를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로 고객 센터 및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 많은 사용자가 게임 중 알림 금지 방법을 문의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 중에 긴급 알림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긴급 알림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할 메시지를 적절한 주변의 가전기기로 출력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가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모바일 장치와 제1 가전기기 사이의 산출된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각각으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가전기기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전송함에 의해, 나머지 가전기기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 이후에,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로부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의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의 중단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부터의 거리 정보의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긴급 타입인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스피커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고, 제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제2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제1 모바일 장치 및 제2 모바일 장치가 존재한다고 식별되는 경우, 제1 모바일 장치 및 제2 모바일 장치 중 제1 가전기기와 거리가 가까운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제1 가전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설정한 가전기기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선택 정보에서 선택된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선택 정보에서 선택되지 않은 가전기기로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가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가전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전기기로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및 메시지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댁내 기기 제어 장치가 가전기기로부터 사용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의 사용이 검출되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가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장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를 중단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 모드를 종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로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가전기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고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uni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또는 “부”가 하나의 요소(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또는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작용 원리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장치(11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를 포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통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소정의 실내 공간 내에 배치된다. 소정의 실내 공간은 예를 들면, 집, 방, 또는 사무실 등에 대응된다. 소정의 실내 공간은 모바일 장치(110)가 접속된 홈 네트워크(150)가 구축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12)는 모바일 장치(110)를 장치 관리 서버(140)의 제1 계정에 등록하고, 제1 계정에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등록한다. 제1 계정에 기기 등록이 되면, 제1 계정에 등록된 모바일 장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댁내 공간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이와 같이, 동일 계정에 등록된 모바일 장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홈 네트워크(150)를 형성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전자 장치이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통신한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10)는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기와 통신하면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고, 복수의 기기에서 요청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장치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계정을 저장하고, 각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112)가 등록한 기기 정보를 저장한다. 장치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교환한다. 장치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기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포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장치 관리 서버(14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가 로그인한 제1 계정에 등록된 가전기기를 검색하고 인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여,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장치 관리 서버(14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가 로그인한 제1 계정에 등록된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검색하고, 제1 계정에 등록된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달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112)가 소지하고,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에 대응된다. 모바일 장치(110)는 예를 들면, 통신 단말, 웨어러블 장치, 태블릿 PC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 관리 서버(140) 및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휴대 전화, 스마트폰 등의 형태로 구현된다. 모바일 장치(110)는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실행,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전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알림, 시스템 알림(예를 들면, 배터리 부족, 업데이트 알림 등) 등의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 등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림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알림을 제공할 때, 기존에 수행 중인 프로세스의 출력을 잠시 중단하고, 알림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가 비디오를 재생하는 중에, MMS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장치(110)는 비디오의 재생을 잠시 중단하고 MMS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 중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자(112)는 알림 이벤트로 인해, 현재 수행 중인 프로세스에 방해를 받게 되어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112)가 모바일 장치(110)를 사용하는 중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모바일 장치(110)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에 관련된 메시지를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달하여,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자(112)가 모바일 장치(110)를 사용 중에 알림으로 인해 방해받는 상황을 방지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주변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의 알림 이벤트에 관련된 메시지를 출력함에 의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이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댁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예를 들면, 냉장고, 김치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공기청정기, 청소 로봇, 청소기, 의류관리기, 오븐, 전자레인지, 인덕션, 오디오 출력장치, 또는 스마트홈 허브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장치 관리 서버(140)에 등록된 소정의 계정에 등록되고,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다른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통신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소정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포함한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의 동작 정보, 상태 정보, 알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고, 메시지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112)가 모바일 장치(110)를 사용하는 중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112)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가전기기(120c)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비디오를 재생하는 중에, M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MMS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고,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112)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냉장고(120c)가 MMS 메시지(13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에서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달되는 요청 신호이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통해 출력할 메시지가 있다는 정보, 및 출력할 메시지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송할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한다.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과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송할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은 동일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일부 내용 및 형식이 다른 데이터일 수도 있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각각의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에서 요구되는 정보, 프로토콜, 데이터 형식 등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송할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하거나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의 종류에 따라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TV(120a)로 전송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과 냉장고(120c)로 전송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에도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서버와 단말 간의 네트워크 딜레이로 인해 실시간 정보 전달이 어렵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150)를 이용함에 의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딜레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실시간으로 모바일 장치(110)의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112)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에서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거나,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 사이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112)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거리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112)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가전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한다. 가전기기(120)는 앞서 설명한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프로세서(210) 및 통신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와 통신한다. 홈 네트워크(150)는 소정의 인증을 거친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 사이의 통신 네트워크이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Ant+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홈 네트워크(150), 모바일 장치(110), 가전기기(210), 및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고, 가전기기(12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프로세서(230), 통신 인터페이스(232), 입력 인터페이스(234), 및 출력 인터페이스(23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30)는 모바일 장치(1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및 가전기기(120)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Ant+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홈 네트워크(150),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가전기기(210), 및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32)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와 가전기기(12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와 가전기기(12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234)는 모바일 장치(11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3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11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34)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key),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36)는 모바일 장치(110)의 동작에 관련된 소정의 정보, 데이터 등을 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236)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스피커, 진동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가전기기(120)는 프로세서(240), 통신 인터페이스(242), 가전 기능 모듈(244), 출력 인터페이스(246), 및 입력 인터페이스(24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0)는 가전기기(1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및 모바일 장치(110)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Ant+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홈 네트워크(150),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모바일 장치(110), 다른 가전기기(120), 및 장치 관리 서버(14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42)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11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가전 기능 모듈(244)은 가전기기(12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가전 기능 모듈(244)은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각기, 컨테이너, 도어, 온도 센서, 도어 개폐 센서, 전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244)은 세탁기에 구비되는 세탁조, 모터, 도어, 도어 개폐 센서, 급수부, 배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244)은 청소기에 구비되는 진공 흡입 어셈블리, 먼지통, 브러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능 모듈(244)은 가전기기(12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가전 기능 모듈(244)은 냉장고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센서를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244)은 세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센서를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48)는 가전기기(120)의 동작에 관련된 소정의 정보,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246)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스피커, 진동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248)의 디스플레이는 가전기기(120)의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인터페이스(248)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를 검출하여, 제1 가전기기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1 가전기기의 출력 인터페이스(246)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246)는 가전기기(12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4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가전기기(12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key), 다이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가전기기(120)의 조작을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기기(120)가 에어컨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에어컨의 온/오프 명령, 설정온도 입력, 동작 모드(예를 들면, 송풍, 냉방 등) 설정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전기기(120)가 세탁기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세탁기의 온/오프 명령, 세탁 모드(예를 들면, 표준, 섬세 등) 설정 입력, 헹굼 추가 설정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가 냉장고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냉장실 온도 설정, 냉동실 온도 설정 등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인터넷 쇼핑, 인터넷 브라우징, 메모 등의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248)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모바일 장치(110)의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된 메시지가 응답이 필요한 메시지인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모바일 장치(110)의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확인하였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48)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확인하였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메시지가 해당 가전기기(120)에서 확인되었다는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10a)에서 모바일 장치(110)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해당 기기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232) 및 프로세서(230)를 이용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장치(110)는 해당 장치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가전 기기(120a, 120b, 및 120c)로 전송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근거리 통신 장치(310)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장치(310)는 라우터(router), 또는 이더넷(Ethernet) 허브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장치(310)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에 대응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장치(310)는 와이파이 칩셋과 안테나를 구비하여, 홈 네트워크 및 원거리 네트워크에 대한 AP(Access point)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10a)은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근거리 통신 장치(310)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에 의해 홈 네트워크(150)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근거리 통신 장치(31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10b)에서 가전기기(120c)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c)는 해당 기기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242) 및 프로세서(240)를 이용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c)는 항시 전원이 턴 온되어 있는 Always on 가전기기에 대응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120c)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c)와 다른 가전기기(120a, 120b)는 근거리 통신 장치(310)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가전기기(120c)와 모바일 장치(110)는 근거리 통신 장치(310)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10b)은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근거리 통신 장치(310)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에 의해 홈 네트워크(150)를 형성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장치간 통신(Device to Device) 방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150)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BLE를 통해 장치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는 BLE,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해 장치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배치되는 경우,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장치간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고,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가 장치간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 중 하나(예를 들면, 가전기기(120c))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고,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가 장치간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 및 120c)와 연결된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댁내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하고, 반대로 댁내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은 본 개시에 개시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그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서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모바일 장치(110)에 대응되고,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에서 검출된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은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모바일 장치(110)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검출하는 동작 또는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함에 의해,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고,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요청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가전기기(120a, 120b, 120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각각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로부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 이후에 주기적으로 각각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로부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장치와 가전기기(120a, 120b, 120c) 사이의 BLE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a, 120b, 120c)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면, 해당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다는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각각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다는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다는 사용자 검출 정보를 가전기기(120a, 120b, 120c)로부터 수신함에 의해, 원거리 통신에서 발생하는 지연 없이 실시간으로 거리 정보 또는 사용자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S608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된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를 통해 메시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로 메시지 컨텐츠를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컨텐츠를 수신하고,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다는 사용자 검출 정보를 전달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로 메시지 컨텐츠를 전송한다.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는 메시지 컨텐츠를 수신하면, 출력 인터페이스(246)를 통해 메시지 컨텐츠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는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예로서, 제1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는 스피커로 메시지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전기기로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제1 가전기기가 120a에 대응하고, 제2 가전기기가 120b에 대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1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S702에서, 모바일 장치(110)는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인 중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여 메시지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인 경우는 모바일 장치(110)의 동작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인 경우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가 미리 정의된 동작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110)는 현재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 상태는 제품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자가 알림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들을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해받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사용자가 방해 받는 것으로 느끼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10)는 소정 상태들을 사용 상태로 정의하고, 사용 상태에서는 알림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메시지를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비디오 재생 중인 경우, 게임 중인 경우, 통화 중인 경우, 카메라 촬영 중인 경우,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GUI 뷰가 업데이트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또는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턴 온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도 8에 예시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경우들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도 8에 예시된 경우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의 사용자가 미리 정의된 복수의 경우들 중,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가전기기(120a, 120b, 또는 120c)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경우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실행 중인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한다. 모바일 장치(1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 미들 웨어, 및 운영 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카메라, 미디어플레이어, 게임, 또는 다이얼러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 중인 경우,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미들 웨어로부터 특정 기능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미들 웨어로부터 획득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미들 웨어의 윈도우 매니저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전체 화면 모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체 화면 모드인 경우,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미들 웨어의 윈도우 매니저에서, GUI 뷰가 업데이트된 시점 정보를 수신하고, GUI 뷰가 업데이트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미들 웨어의 멀티미디어 매니저로부터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미들 웨어의 통화 매니저로부터 통화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통화 중인 경우,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미들 웨어의 리소스 메니저로부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턴 온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가 턴 온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입력 인터페이스(234)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 모듈, 키(버튼), 또는 제스처 인식 모듈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234)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23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는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는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한 음성 입력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는 사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단계 S702 이후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S704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제1 가전 기기(120a) 및 제2 가전 기기(120b)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제1 가전 기기(120a) 및 제2 가전 기기(120b)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 모든 수신자에게 동시에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의 범위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 모바일 장치(110) 및 가전기기(120a, 120b)를 포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여, 해당 주소 범위에 있는 전체 옵저버(observer)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특정 IP 주소로 식별되는 단일 수신 장치로 패킷을 전송하는 유니 캐스트 방식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BLE Advertise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가전기기(120a, 120b)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함에 의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복수의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동작의 로드를 감소시키고, 복수의 장치로 동시에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면,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제1 가전기기(120a)와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및 메시지 컨텐츠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은 메시지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은 메시지의 내용, 즉 메시지 컨텐츠는 포함하지 않고, 메시지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은 타입 정보(902), 서브 타입 정보(904), 인터렉션 정보(906), 및 서비스 제공자 정보(908)를 포함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의 각 정보에서 정의되는 속성은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은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을 발송한 모바일 장치 정보(식별 정보, 주소 등), 또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및 메시지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은 대응하는 메시지 컨텐츠(910)를 가질 수 있다. 메시지 컨텐츠(91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이 전달된 이후에 해당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제1 가전 기기(120a)가 결정되면, 제1 가전 기기(120a)로 전송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에 포함되는 각 정보는 도 9b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타입 정보(902)는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정보(902)는 일반, 긴급, 또는 서비스 중 하나로 정의된다. 일반 타입은 긴급 속성을 갖지 않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일반 타입은 MMS 메시지 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채팅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 등)의 메시지에 대응된다. 긴급 타입은 긴급 속성을 갖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긴급 타입은 MMS 메시지 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중 긴급 속성을 갖는 메시지이다. 서비스 타입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된 알림 메시지이다.
서브 타입 정보(904)는 각 타입의 메시지에 부가적으로 부여된 속성이다. 타입 속성(902)의 값이 일반인 일반 타입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 값이 MMS 또는 알림으로 정의될 수 있다. MMS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로 MMS 값을 갖고,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로 알림 값을 가질 수 있다. 타입 속성(902) 값이 긴급인 긴급 타입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 값이 MMS 또는 알림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긴급 타입 메시지도 일반 타입 메시지와 유사하게, MMS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로 MMS 값을 갖고,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로 알림 값을 가질 수 있다. 타입 속성(902)이 서비스인 서비스 타입 메시지는 서브 타입 정보(904) 값이 알림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터렉션 정보(906)는 해당 메시지에 대한 추가적인 입력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나타낸 정보이다. 추가적인 입력은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선택 신호, 설정 신호, 텍스트 정보 등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타입 메시지 및 긴급 타입 메시지는 인터렉션 정보(906)의 값이 부(X)로 정의된다. 또한, 서비스 타입 메시지의 인터렉션 정보(906)의 값은 인터렉션이 필요한 경우 여(Y)로 정의되고, 인터렉션이 필요 없는 경우 부(X)로 정의된다.
서비스 제공자 정보(908)는 해당 메시지를 제공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체제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알림인 경우 서비스 제공자 값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MS는 서비스 제공자(908)의 값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타입 메시지의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RM, Kitchen Service 등의 값으로 서비스 제공자(908)의 값이 정의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알림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900)에 포함되는 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시지 컨텐츠(910)는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타입의 MMS 메시지는 메시지 컨텐츠(910)로 '이따가 10시에 PC방에서 만나 - 철구'의 메시지 컨텐츠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고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S704 이후의 동작을 설명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브로드캐스팅되면(S704), 제1 가전기기(120a)와 제2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제1 가전기기(120a)와 제2 가전기기(120b) 이외에도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110) 및 다른 가전기기 또는 전자 장치도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정보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생성한 거리 값에 대응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정보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기준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06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제1 가전기기(120a)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 상태 정보는 제1 가전기기(120a)에서 사용자가 제1 가전기기(120a)를 사용하는 동작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다. 사용자가 제1 가전기기(120a)를 조작하는 경우, 제1 가전기기(120a)에서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08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제2 가전기기(120b)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2 가전기기(120b)는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가전기기(120a 또는 120b)로부터 사용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댁내 기기 제어 장치가 가전기기로부터 사용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제1 가전기기(120a)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1 가전기기(120a) 이외의 가전기기들도 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사용자가 제1 가전기기(120a)를 조작하는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전 기능 모듈(244) 및 입력 인터페이스(248)를 포함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가전 기능 모듈(244)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248)를 조작하는 사용자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가전 기능 모듈(244)의 구성요소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 검출 값에 기초하여 가전 기능 모듈(244)을 조작하는 사용자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가전 기능 모듈(244)은 제1 가전기기(120a)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를 구비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가전 기능 모듈(244)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센서의 검출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1 가전기기(120a)를 조작하는 사용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사용 동작을 검출하면,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1 가전기기(120a)는 냉장고(1010)에 대응된다. 냉장고(1010)는 도어(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10)는 도어(1012)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한다. 냉장고(1010)는 도어 센서에서 도어(1012)가 열린 상태임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냉장고(1010)를 사용한다고 판단한다. 냉장고(1010)는 사용자가 냉장고(1010)를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냉장고(1010)에서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냉장고(1010)는 정수기(1014)를 포함한다. 냉장고(1010)는 정수기(1014)를 조작하는 동작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1010)는 정수기(1014)의 출수를 제어하는 조작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냉장고(1010)는 출수를 제어하는 조작부의 센서의 센서 검출 값에 기초하여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 냉장고(1010)는 센서 검출 값에 기초하여 출수 중이라고 판단되면, 냉장고(1010)에서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제1 가전기기(120a)는 세탁기(1020)에 대응된다. 세탁기(1020)는 도어(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20)는 도어(1022)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한다. 세탁기(1020)는 도어 센서에서 도어(1022)가 열린 상태임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세탁기(1020)를 사용한다고 판단한다. 세탁기(1020)는 사용자가 세탁기(1020)를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세탁기(1020)에서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세탁기(1020)는 입력 인터페이스(1024)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024)는 다이얼, 터치 키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1030)는 입력 인터페이스(1024)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세탁기(1020)를 사용한다고 판단한다. 세탁기(1020)는 사용자가 세탁기(1020)를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세탁기(1020)에서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여, 단계 S706 및 단계 S708 이후의 동작을 설명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단계 S710에서,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단계 S710에서,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제1 가전기기(120a)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짧은지 판단하여,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2 가전기기(120b)에 대해서도 제1 가전기기(120a)와 유사하게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 중 하나에서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검출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 또는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해당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동작이 검출되었다는 사용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 또는 제2 가전기기(120b) 중 하나로부터 사용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 상태 정보가 수신된 가전기기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도 7에서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S711에서,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가 메시지 컨텐츠를 모바일 장치(110)로 요청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가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메시지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권한 정보를 제1 가전기기(120a) 또는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계 S712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모바일 장치(110)로 메시지 컨텐츠를 요청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식별 정보, 제1 가전기기(120a) 정보(식별정보 또는 주소 등)를 포함하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생성하여,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서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포함된 모바일 장치(1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10)로 메시지 컨텐츠를 요청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은 모바일 장치(110)의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포함된 모바일 장치(110)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10)로 메시지 컨텐츠를 요청한다. 메시지 컨텐츠 요청은 제1 가전기기(120a)가 모바일 장치(110)의 주소로 접속하여 요청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브로드캐스트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함에 의해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한다. 메시지 컨텐츠 요청이 브로드캐스트되면,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및 다른 가전기기들(120b)도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및 다른 가전기기들(120b)은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수신함에 의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정보를 출력한 모바일 장치(110)로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S714에서,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로 전송한다. 메시지 컨텐츠 요청은 제1 가전기기(120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에 포함된 제1 가전기기(120a)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로 전송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제1 가전기기(120a)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메시지 컨텐츠를 변환하여 전송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처리 가능한 메시지 컨텐츠의 최대 크기, 형식, 종류 등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전기기(120a)는 텍스트 정보만 출력 가능하고, 최대 100자의 메시지 컨텐츠를 출력 가능하고, .txt 확장자의 파일만 처리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컨텐츠 중 이미지, 비디오 등의 컨텐츠를 제외한 텍스트 정보만 추출하고, 텍스트 정보가 100자를 초과하는 경우, 100자를 초과하는 부분은 제거하고, 메시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txt 파일로 생성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이와 같이 제1 가전기기(120a)에서 호환 가능한 형태로 메시지 컨텐츠를 변환하고, 변환된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로 전송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컨텐츠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컨텐츠를 수신하여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에서 호환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크기, 형식, 종류 등에 기초하여 변환할 수 있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변환된 메시지 컨텐츠를 제1 가전기기(120a)로 전송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컨텐츠를 수신하면, 단계 S712에서 메시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출력 인터페이스(246)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1 가전기기(120a)는 수신된 메시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다른 예로서, 제1 가전기기(120a)는 수신된 메시지 컨텐츠의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전기기(120a)는 TTS(Text to Speech) 모듈을 포함하고, TTS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 컨텐츠의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에서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면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가 모바일 장치(110) 및 제2 가전기기(120b)로 전송된다.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는 제1 가전기기(120a)가 출력하거나,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완료는 제1 가전기기(120a)에서 출력되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전기기(120a)는 단계 S716에서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면,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모바일 장치(110) 및 제2 가전기기(120b)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완료는 제1 가전기기(120a)가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전송한 것에 기초하여 알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한다. 제1 가전기기(120a)가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전송하면,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가 제1 가전기기(120a)를 통해 출력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 가전기기(120a)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1 가전기기(120a)를 제어한다. 따라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를 통해 메시지가 출력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메시지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장치(110) 및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컨텐츠 요청이 수신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는 메시지 출력이 완료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정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면,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110),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S720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 전송을 중단한다. 또한,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S722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 전송을 중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전 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이후에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면, 제1 가전 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를 종료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한다. 메시지는 모바일 장치(110)에서 출력될 소정의 알림에 대응된다. 모바일 장치(110)는 제1 가전기기(120a)에서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모바일 장치(110)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모바일 장치(110)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130)을 복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 120d)로 브로드캐스팅한다(1110). 도 11에서는 서비스 타입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1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면(1110),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 120d)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110)을 수신한다. 만약 제1 가전기기(120a)에서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면, 제1 가전기기(120a)는 사용 상태 정보를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모바일 장치(110)는 제1 가전기기(120a)로 메시지 컨텐츠를 전송한다.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컨텐츠(1112)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1120)를 통해 메시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1122)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모바일 장치(110)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모바일 장치(110)와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타입 메시지에 대해, 스피커를 구비한 가전기기(120b, 120c)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긴급 타입의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긴급 타입의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긴급 타입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모바일 장치(110)는 긴급 타입 메시지에 대한 긴급 타입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212)을 생성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212)을 브로드캐스팅한다(1210).
모바일 장치(110)는 복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 120d) 중 스피커를 포함하는 가전기기(120b, 120c)로 긴급 메시지의 메시지 컨텐츠(1214)를 전송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복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 120d)에 구비된 출력 인터페이스(246)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냉장고(120a)는 LCD를 포함하고, 에어컨(120b)은 LCD와 스피커를 포함하고, 세탁기(120c)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오븐(120d)은 LCD를 포함한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등록된 복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 120d) 중 스피커를 포함하는 에어컨(120b)과 세탁기(120c)로 긴급 메시지의 메시지 컨텐츠(1214)를 전송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긴급 타입의 메시지의 경우,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이면, 복수의 가전기기(120a, 120b, 120c, 120d)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스피커를 포함하는 가전기기(120b, 120c)로 메시지 컨텐츠(1214)를 전송할 수 있다.
긴급 타입의 메시지 컨텐츠(1214)가 수신되면, 스피커를 구비한 가전기기(120b, 120c)는 메시지 컨텐츠(1214)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1220a, 1220b). 가전기기(120b, 120c)는 TTS 모듈을 포함하고, TTS 모듈을 이용하여 메시지 컨텐츠(1214)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가전기기(120a, 120b)만 도시하였다. 그러나 가전기기(120a, 120b)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120a, 120b)의 개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가전기기(120)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 장치(1310)와 가전기기(120) 사이의 BLE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 장치(131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 모바일 장치(110)에 대응된다. 모바일 장치(110)는 가전기기(120a, 120b)와 BLE 통신을 수행한다. 모바일 장치(110)와 가전기기(120a, 120b)는 각각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 장치(1310)는 웨어러블 장치(1312)에 대응된다. 웨어러블 장치(1312)는 예를 들면, 와치, 이어폰, 밴드, 안경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312)는 장치 관리 서버(140)에 등록된 장치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312)는 모바일 장치(110)가 로그인 되어 있는 동일한 계정에 등록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312)는 홈 네트워크(150)에 접속된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310)는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와 BLE 통신한다. 단계 1320에서, 전자 장치(1310)는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로 BLE 신호와 신호 세기 정보 전달 요청을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10)는 BLE 비콘을 포함하고, 비콘으로부터 BLE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1322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수신된 BLE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신호 세기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신호 세기 정보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단계 1324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수신된 BLE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신호 세기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1326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120a)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제1 가전기기(120a)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단계 1326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제2 가전기기(120b)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제2 가전기기(120b)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BLE 신호는 해당 신호를 송신한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그 세기가 작아진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이러한 BLE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BLE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310)와 가전기기(120a, 120b)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의 신호 세기 정보만을 이용하여 각 가전기기(120a, 120b)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BLE 신호의 제1 신호 세기 정보와, 웨어러블 장치(1312)로부터 전송된 BLE 신호의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모두 이용 가능한 경우, 제1 신호 세기 정보 및 제2 신호 세기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와 가전기기(120a, 120b)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웨어러블 장치(1312)가 착용 상태인 경우, 제2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웨어러블 장치(1312)가 미착용 상태인 경우, 제1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150) 내에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가 접속할 수 있다.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는 각각 알림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에서 각각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고, 메시지 알림 요청이 출력되어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 구간이 오버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가전기기(120)는 해당 가전기기(120)와 가까운 모바일 장치(110a 또는 110b)로부터 출력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된 경우에, 각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전기기(120)는 제1 모바일 장치(110a) 및 제2 모바일 장치(110b)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다. 가전기기(120)는 예를 들면, 제1 모바일 장치(110a)의 제1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의해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제2 모바일 장치(110b)로부터 제2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는 2개의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제1 모바일 장치(110a)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2 모바일 장치(110b)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 중에, 가전기기(120)는 제1 모바일 장치(110a) 및 제2 모바일 장치(110b)로 BLE 신호를 전송한다(1410). 가전기기(120)는 BLE 비콘을 포함하고, BLE 비콘 신호를 제1 모바일 장치(110a) 및 제2 모바일 장치(110b)로 전송한다. 제1 모바일 장치(110a)는 수신된 BLE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를 생성하여 가전기기(12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모바일 장치(110b)는 수신된 BLE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를 생성하여 가전기기(120)로 전송한다.
제1 모바일 장치(110a)까지의 거리 측정과, 제2 모바일 장치(110b)까지의 거리 측정은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 중에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전기기(120)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 중에,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 중 하나가 가전기기(120)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모바일 장치(110a 또는 110b)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만약,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가 모두 가전기기(120)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가전기기(120)는 가전기기(120)로부터 거리가 더 가까운 모바일 장치(예를 들면, 110a)로부터 출력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0b)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될 수 있다. 가전기기(120)는 제1 모바일 장치(110a)로부터 제1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510a)을 수신하고, 제2 모바일 장치(110b)로부터 제2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510b)을 수신한다. 가전기기(120)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가전기기(12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120)를 사용하는 동작이 검출되면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1 모바일 장치(110a)의 사용자가 이동하여 가전기기(120)를 조작하는 경우(1520)를 가정한다. 제1 모바일 장치(110a)의 사용자가 이동하여 가전기기(120)를 조작하는 경우, 가전기기(120)는 사용자의 사용 동작을 검출한다(1530).
다음으로 단계 1532에서, 가전기기(1530)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 중에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면, 수신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리스트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가전기기(1530)는 미처리된 제1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510a) 및 제2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1510b)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1534에서, 가전기기(120)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110a, 11b)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가 가까운 모바일 장치의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가전기기(120)는 BLE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모바일 장치(110a)까지의 거리와, 제2 모바일 장치(110b)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가전기기(120)는 제1 모바일 장치(110a)까지의 거리가 제2 모바일 장치(110b)까지의 거리보다 더 가깝다고 판단된 경우, 제1 모바일 장치(110a)로부터 출력된 제1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의 사용이 검출되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는 사용자의 사용 동작이 검출되면, 출력할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가 아니더라도, 가전기기(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동작이 검출되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우선 단계 1602에서, 가전기기(120)가 사용자의 사용 동작을 검출한다.
가전기기(120)는 사용자의 사용 동작을 검출하면, 단계 1604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가전기기(12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존재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존재 여부를 문의하거나, 모바일 장치(11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존재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120)는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존재 여부 문의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 1606에서,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존재 여부 문의를 수신하면, 출력할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존재 여부 문의를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이고 아직 출력되지 않은 알림 이벤트의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출력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1610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및 메시지 컨텐츠를 가전기기(120)로 전송한다. 가전기기(12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및 메시지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 컨텐츠를 출력 인터페이스(246)를 통해 출력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출력할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1608에서, 출력할 메시지가 없다는 출력 메시지 부재 정보를 가전기기(120)로 전송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가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장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전기기(120a)는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전기기(120a)는 동일 공간에 위치하고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제2 가전기기(120b)를 통해 모바일 장치(110a, 110b)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제1 가전기기(120a)에 대응하는 오븐(120a)이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제2 가전기기(120b)에 대응하는 냉장고(120b)가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오븐(120a)과 냉장고(120b)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1710에서, 오븐(120a)은 동일 공간에 배치된 냉장고(120b)로 위치 측위 결과를 요청한다. 각 가전기기(120a, 120b)에 대한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는 장치 관리 서버(140)에 저장될 수 있다.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는 가전기기의 타입 정보(예를 들면, 냉장고, 오븐, TV 등), 공간 정보(예를 들면, 부엌, 거실 등), 또는 BLE 통신 모듈 구비 정보(예를 들면, 구비(O), 구비하지 않음(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븐(120a)은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를 장치 관리 서버(14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에 기초하여 동일 공간(즉, 부엌)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오븐(120a)은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에 기초하여 동일 공간에 배치된 냉장고(120b)를 식별하고, 냉장고(120b)로 위치 측위 결과 요청을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를 장치 관리 서버(140)로부터 획득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획득된 가전기기 속성 정보(1720)에 기초하여,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가전기기(즉, 오븐)가 동일 공간에 배치되고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한 다른 가전기기(즉, 냉장고)로부터 거리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오븐(120a)에 동일 공간에 배치된 BLE 통신 모듈 구비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오븐(120a)이 냉장고(120b)로 위치 측위 결과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냉장고(120b)로 위치 측위 결과 요청을 전송하여, 냉장고(120b)가 오븐(120a)으로 거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냉장고(120b)로 위치 측위 결과 요청을 전송하고, 냉장고(120b)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1712에서, 냉장고(120b)는 모바일 장치(110a, 110b)로부터 BLE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홈 네트워크(150)에 두 개의 모바일 장치(110a, 110b)가 연결된 경우, 냉장고(120b)는 두 개의 모바일 장치(110a, 110b)로부터 각각 BLE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1714에서, 냉장고(120b)는 오븐(120a)으로 모바일 장치(110a, 110b)의 거리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20b)는 오븐(120a)으로 직접 거리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20b)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를 통하여 거리 정보를 전송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를 중단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 상태가 종료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되고,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중단할 것을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및 가전기기(120a, 120b)로 요청할 수 있다. 도 18의 단계들은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출력된 후에,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가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 이후의 동작들을 나타낸다.
우선 단계 1802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단계 1804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단계 1806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 이후에, 동작 상태가 사용 상태에서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10)는 비디오 재생 중인 상태에서 비디오 재생이 종료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게임 중인 상태에서 게임이 종료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통화 중인 상태에서 통화가 종료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카메라 촬영 중인 상태에서 카메라 촬영이 종료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인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상 경과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GUI 뷰가 업데이트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내인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GUI 뷰가 업데이트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상 경과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10)는 디스플레이가 턴 온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가 턴 오프 상태로 변경된 경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다.
단계 1808에서,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것에 기초하여,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생성하고,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단계 1810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브로드캐스트한다.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브로드캐스트 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1810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수신한다.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를 종료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1812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거리 정보 및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중단한다. 또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1814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거리 정보 및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중단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 모드를 종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제한 시간 이내에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의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가 중단될 수 있다.
우선 단계 1902에서,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 상태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단계 1904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홈 네트워크(150)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브로드캐스팅되면, 단계 1906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브로드캐스팅되면, 단계 1908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거리 정보 또는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단계 1910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지 않은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메시지 출력을 위한 제한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단계 1902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전달된 시점으로부터 제한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단계 1904에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브로드캐스팅된 시점으로부터 제한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메시지 출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한 시간이 초과된 경우, 단계 1912에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의 중단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다.
제1 가전기기(120a) 및 제2 가전기기(120b)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의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의 중단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를 종료한다.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1914에서 제1 가전기기(120a)는 거리 정보 및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중단한다. 또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1916에서 제2 가전기기(120b)는 거리 정보 및 사용 상태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중단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기기로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110)를 통해 가전기기(120)로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IoT 출력 메시지 설정 메뉴(2010)를 선택하여,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복수의 알림 이벤트를 포함하는 알림 이벤트 선택 옵션(2020)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알림 이벤트 선택 옵션(20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2022), 가전기기(120)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할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10)는 MMS 메시지, B 쇼핑 알림, 및 재난 문자를 가전기기(120)를 통해 출력하고, A 메신저 메시지는 가전기기(120)를 통해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가전기기(120)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할 알림 이벤트의 종류가 결정되면,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알림 이벤트에 대해서만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110)가 사용 상태인 중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120)로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선택한 알림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검출된 알림 이벤트가 사용자가 가전기기(120)로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선택한 알림 이벤트인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모바일 장치(110)는 검출된 알림 이벤트가 사용자가 가전기기(120)로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선택한 알림 이벤트가 아닌 경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출력하지 않는다.
도 20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특정 알림 이벤트는 가전기기(120)를 통해 출력하지 않기를 원할 수 있다. 도 20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전기기(120)를 통해 출력할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선택함에 의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가전기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110)를 통해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가전기기(120)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시지 출력 IoT 기기 선택 메뉴(2110)를 선택하여, 메시지 출력을 요청할 가전기기(120)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홈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120)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선택 옵션(2120)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가전기기 선택 옵션(21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2122), 메시지를 출력할 가전기기(12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10)는 냉장고, 에어컨, 및 TV를 통해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세탁기에서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설정한 가전기기(12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10)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설정한 가전기기(120)에 대한 선택 정보를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는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설정한 가전기기(120)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한다.
도 21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특정 가전기기(120)를 통해서는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가전기기(120)를 통해서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도 사용하는 가전기기(120)를 통해서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기를 원할 수 있다. 도 21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시지를 출력할 가전기기(120)를 선택함에 의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은 출력 인터페이스(2210), 입력 인터페이스(2220), 메모리(2230), 통신 인터페이스(2240), 및 프로세서(2250)를 포함한다.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은 도 2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2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도 22의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은 도 1에서 설명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에 대응되고, 통신 인터페이스(2210)는 도 2에서 설명한 통신 인터페이스(220)에 대응되고, 프로세서(2250)는 도 2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10)에 대응된다.
출력 인터페이스(2210)는 디스플레이(2211) 또는 스피커(221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210)는 프로세서(2250)에서 생성된 다양한 알림, 메시지, 정보 등을 출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2220)는 키(2221), 터치스크린(2222),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2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2250)로 전달한다.
메모리(2230)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22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40)는 근거리 통신부(2242) 또는 이동 통신부(224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40)는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2242)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2244)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50)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50)는 메모리(2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댁내 기기 제어 장치(22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50)는 기계학습 모델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N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50)는 중앙 처리부(CPU),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모바일 장치(110), 또는 가전기기(12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댁내 기기 제어 장치(100), 모바일 장치(110), 또는 가전기기(120)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가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제1 가전기기 사이의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제2 가전기기에 대해, 상기 제2 가전기기가 배치된 공간 정보가 동일하고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제3 가전기기에 대해 산출된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제3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가전기기와 상기 모바일 장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가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가전기기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전송함에 의해, 상기 나머지 가전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 이후에,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 컨텐츠를 상기 제1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메시지 출력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의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의 중단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부터의 거리 정보의 수신을 중단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이 긴급 타입인 경우,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스피커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1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하고, 제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제1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제2 모바일 장치가 존재한다고 식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제2 모바일 장치 중 상기 제1 가전기기와 거리가 가까운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가전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시지를 출력하기로 설정한 가전기기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선택 정보에서 선택된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서 선택되지 않은 가전기기로는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 댁내 기기 제어 장치.
  12. 모바일 장치로부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가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제1 가전기기 사이의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제2 가전기기에 대해, 상기 제2 가전기기와 공간 정보가 동일하고 BLE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제3 가전기기에 대해 산출된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제3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가전기기와 상기 모바일 장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가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가전기기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출력 완료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나머지 가전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 이후에, 상기 제1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제1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 컨텐츠를 상기 제1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메시지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출력 대기 요청에 의한 메시지 출력 대기 모드의 중단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부터의 거리 정보의 수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기기 제어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80274A 2021-06-21 2021-06-21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169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274A KR20220169771A (ko) 2021-06-21 2021-06-21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CT/KR2022/006973 WO2022270765A1 (ko) 2021-06-21 2022-05-16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18/390,260 US20240129157A1 (en) 2021-06-21 2023-12-20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274A KR20220169771A (ko) 2021-06-21 2021-06-21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771A true KR20220169771A (ko) 2022-12-28

Family

ID=8453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274A KR20220169771A (ko) 2021-06-21 2021-06-21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29157A1 (ko)
KR (1) KR20220169771A (ko)
WO (1) WO20222707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43B1 (ko) * 2001-10-23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742B1 (ko) * 2010-01-07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송수신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335925B1 (ko) * 2014-10-13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전자장치와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KR101923901B1 (ko) * 2014-12-12 2019-02-25 주식회사 경동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US10482756B2 (en) * 2017-07-06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Intelligent alerts in multi-user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765A1 (ko) 2022-12-29
US20240129157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8036B (zh) 音量调节方法及装置
RU2662362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группировк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201803680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ccess,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1979251B2 (en) Home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US20220239718A1 (en) Communication Protocol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70032213A (ko) 지능형 전기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작동 디바이스
CN105207864A (zh) 家电设备控制方法和装置
WO2016000099A1 (zh) 一种提示通信事件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385351B (zh)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301308B (zh) 通话控制方法及装置
CN108377157B (zh) 一种Wi-Fi天线的控制方法及装置
CN113660650B (zh) 设备回连的方法及相关装置
US11622319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P lis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CN114629932B (zh) 电子设备间的协同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26870A (ko)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371327A (zh) 分享控制权的方法及装置
US11929872B2 (en) Method for configuring home devices in batches and device
CN104105224A (zh) 用于连接电子装置中的短程通信的方法和电子装置
AU2013364730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CN109495769B (zh) 视频通信方法、终端、智能电视、服务器及存储介质
CN109792320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8282388B (zh) 用于向家居设备传递数据信息的装置与方法
EP32914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identification
CN108925016A (zh) 智能电灯的状态显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