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750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9750A KR20220169750A KR1020210080225A KR20210080225A KR20220169750A KR 20220169750 A KR20220169750 A KR 20220169750A KR 1020210080225 A KR1020210080225 A KR 1020210080225A KR 20210080225 A KR20210080225 A KR 20210080225A KR 20220169750 A KR20220169750 A KR 202201697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ratio
- clothes
- time
-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05—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2—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75—Windows; 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reof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에 따라 구분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세탁기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세탁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기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건조 구동부), 및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세탁기에도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제품도 다양하게 출시되었다.
세탁 구동부는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터브를 관통하여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반면, 건조 구동부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운동을 상기 건조드럼에 연결하는 벨트(동력전달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물론, 건조 구동부도 세탁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스테이터와 로터를 이용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한국 등록특허10-0747589에서는 전극 센서를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게시한다. 전극 센서는 건조 대상물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임피던스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를 출력해서, 출력된 전압값에 따라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고, 충분히 의류가 건조되었다고 판단하면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방식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접촉하는 의류에 따라 건조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건조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류에서 발생되는 열을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 측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향상된 정확도에 의해서 과도하게 의류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향상된 정확도에 의해서 의류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았음에도 건조 행정을 종료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온도를 측정(열을 감지)해서, 건조도 판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의류처리장치 또는 건조기능을 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지지패널의 상단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드럼 배면 중앙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외선 센서는 전면 중앙에 평탄부를 배치하고, 평탄부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서, 적외선이 적외선 센서 내부로 투과되는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또한 평탄부는 볼록하지 않고 평면 형상을 이루어서, 드럼 회전시에 옷감이 걸리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센서는 드럼 내부의 조도를 높이기 위한 광원, 즉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LED의 동작과 적외선 센서의 감지에 시간차를 두어서, LED에 의해 발생된 열 때문에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옷감의 온도 진폭을 계산하고, 기준값을 산출한 후 두 개의 비율을 구해서 건조도를 산출한다.
의류의 온도 진폭값만으로는 건조도 판단이 힘들기 때문에 기준값을 함께 고려하는데, 건포는 온도 변화 진폭이 작고, 습포는 진폭이 크다는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두 개의 비율 중에 제1비율은 한 사이클의 최종값을 이용하고, 제2비율은 duct 온도나,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의류의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도진폭을 계산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선하는데, 온도 진폭이란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의 온도의 차가 아닌 로패스필터를 통과한 값 등을 이용하고, 절대값을 구해서 새로운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습윤포와 건포를 구분하는 기준값은 고정되지 않고 변화되기 때문에, 초기에 건조가 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초기에는 온도진폭이 작아서, 습윤포가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기준값의 이하에 존재하는 경향이 있음).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와 전극 센서를 혼합해서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극 센서에서 건조도를 감지해서, 종료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종료 시간 이전에 소정 시간 동안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건조도 측정후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 종료 예정시각을 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건조가 거의 완료되어 가는 상태에, 도어 개방 등으로 인해서 건조가 일시 정지된 후에, 다시 건조도를 측정하기는 어렵다(전극 센서에서 측정된 전극값이 일정값 이상이 되면, 더 이상 건조가 되었는지 판단을 못하기 때문).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보완해서, 미건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에 따라 구분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의류의 온도는 적외선 센서로 측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의류의 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소정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매번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기준 시간 내에 습윤포와 건포의 시간 비율로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로 판단된 시간을 건포로 판단된 시간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기준 시간 시간 내에 습윤포와 건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의 비율을 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을 건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을 건포로 판단된 시간과 기준값을 곱한 값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비율은 저온인 제1온도와 고온인 제2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를 기준으로 측정 온도를 0에서 1내에서 정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온도는 측정된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온도는 측정된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추가 건조를 수행한 후에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서 회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면에 마련되는 지지 패널; 상기 지지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열을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드럼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드럼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지지 패널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와,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부는,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이디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이디가 동작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사용해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는 복수 개가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전면에 평탄부가 마련되고, 상기 평탄부는 상기 센서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탄부는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는 상기 드럼의 배면을 향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탄부의 후방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물부는 주변보다 두께가 얇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탄부는 평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센서부의 설치 각도를 고정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이격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보다 짧아서, 상기 센서부가 기울어지도록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전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지지 패널에 면접촉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 공정으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에 접촉하면서 임피던스에 상응하는 전압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를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해 가공해서,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에 따라 구분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측정된 의류 온도의 높은 주파수를 감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서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온도값을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빼진 온도 값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시간 경과에 따른 의류의 온도값에 따라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의 크기와 비교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의류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습윤포로 판단하고, 의류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건포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값은, 시간 경과에 따른 산출된 온도 진폭에 따라 산출되는 저역통과필터에 의해서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값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값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비율은 저온인 제1온도와 고온인 제2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를 기준으로 측정 온도를 0에서 1내에서 정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비율이 1이 되면, 상기 기준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에 따라 구분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 및 전극 센서에 측정된 전압 신호에 의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단 단계와 상기 제2판단 단계를 모두 만족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최종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최종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제1판단 단계와 상기 제2판단 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1예상 종료 시점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제2예상 종료 시점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최종 판단 단계는, 상기 제1예상 시점과 상기 제2예상 시점 중에 늦은 시점에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예상 종료시점은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부터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으로 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제1설정 시간보다 짧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예상 종료 시점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판단 단계는, 상기 예상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제2설정 시간 이전부터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예상 종료 시점에 건조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최종 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으면, 예상 종료시점을 제3설정 시간 만큼 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의류가 과도하게 건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가 과도하게 건조되어, 불필요한 에너지가 의류에 전달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대로 건조되지 않는 의류를 제공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면.
도 3과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6은 지지 패널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적외선 센서를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적외선 센서의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의류의 건조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12 내지 도 30은 의류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건조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설명한 도면.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설명한 도면.
도 3과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6은 지지 패널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적외선 센서를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적외선 센서의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의류의 건조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12 내지 도 30은 의류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건조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설명한 도면.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설명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으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외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23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2)은 바디 제1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후방커버(23)는 모터(5, 구동부)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패널(11)의 후방면(지지패널을 향하는 면)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도 2 참고),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이 상기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는 링 형상의 연결 댐퍼(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댐퍼(124)는 상기 드럼(2)이 회전하거나 진동할 때 상기 드럼 투입구(221)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는 위험(드럼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으로 누출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를 관통하는 배기구(126)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126)에는 필터(127)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7)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구(126)로 이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의 처짐을 방지하는 드럼 지지부(128, 1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부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28) 및 제2롤러(12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1롤러(128)와 제2롤러(129)가 드럼 바디(2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롤러들(128, 129)은 상기 전방 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장착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축(출력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 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배기유로(3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안내하는 공급유로(32), 및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공급유로(32)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덕트(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49)을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33)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유로(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유로(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덕트(312)는 상기 공급덕트(321)의 원주면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ring)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급덕트(321)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4는 상기 유로형성부들(323, 324)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경우,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링 형상의 유로)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고무나 펠트(fel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모터(5)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에 위치하여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의 회전운동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드럼(2)으로 전달되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고정패널(151)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면, 상기 동력전달부(6)에 구비된 입력축(65)과 출력축(66)의 동축도(coaxiality) 유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드럼의 회전 시 의류처리장치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하고, 동력전달부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512)에 구비된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외부 환경에 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 향상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패널(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패널(19)은 상기 공급덕트(321)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형상(공급덕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의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공급덕트(321)에 신체가 접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고, 도 6은 지지 패널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 패널(121)에는 적외선 센서(400)이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상기 지지 패널(121) 중에서도 상기 패널 연결 바디(125)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상기 드럼(2)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 내부의 열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드럼(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상기 드럼(2)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서, 상기 드럼(2)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의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원통 모양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드럼(2) 내부의 전체적인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상기 지지 패널(121)의 상단에 배치되어서, 상기 드럼(2)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바라보게 배치된다.
도 7은 적외선 센서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적외선 센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410)와, 센서부(450)와, 상기 센서부(450)를 고정하는 홀더(48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450)의 전방에는 상기 커버(410)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450)의 후방에는 상기 홀더(480)가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450)는 상기 커버(410)와 상기 홀더(48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450)는, 피시비(454)와, 상기 피시비(454)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싱부(460)와,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470);를 포함한다.
상기 피시비(454)는 상기 센싱부(460)와 상기 엘이디(470)가 배치되고, 상기 엘이디(47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센싱부(46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70)는 상기 드럼(2) 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경우에, 상기 엘이디(470)가 구동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47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서, 상기 드럼 내부를 충분히 밝힐 수 있을 정도의 광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싱부(460)는 상기 커버(410)를 통해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지해서, 드럼 내부는 물론 드럼 내부에 건조가 진행되고 있는 의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460)는 특정 점이 아니라, 드럼 배면을 향한 일정한 영역의 적외선을 감지해서, 드럼 내부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410)는, 전면에 평탄부(412)가 마련되고, 상기 평탄부(412)는 상기 센서부(45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탄부(412)의 전방 및 후방은 상기 센서부(450)의 피시비(454)와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싱부(460)는 상기 피시비(454)에 실장되는데, 평평한 상기 피시비(454)에 놓이기 때문에 상기 센싱부(460)도 상기 평탄부(412)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12)는 상기 커버(410)의 전면에 대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평탄부(412)는 돌출된 부분의 하방을 이루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탄부(412)는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412)는 상기 드럼의 배면을 향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탄부(412)는 평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탄부(412)는 어느 하나의 점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의류가 상기 드럼 내에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평탄부(41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에 의해서 상기 평탄부(412)의 특정 부위가 마모가 되면서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평탄부(412)의 특정 부위가 상대적으로 많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12)의 후방에는 함몰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주변보다 두께가 얇은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함몰부(420)를 통해서 상기 센싱부(460)로 적외선이 쉽게 침투해서, 상기 센싱부(460)에서 적외선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420)는 상기 평탄부(412)의 후방에 움푹 들어간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함몰부(420)로 인해서 상기 센싱부(460)의 돌출된 형상이 배치되고, 상기 센싱부(46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커버(410)는 상기 센서부(450)의 설치 각도를 고정하는 리브(420)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420)는 상기 커버(410)의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서, 일단이 상기 센서부(450)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브(420)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부재(422)와, 상기 제1부재(422)에 이격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2부재(42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부재(422)와 상기 제2부재(424)는 상기 커버(410)의 배면으로부터 사각형 형태로 돌출되어서, 일단이 상기 피시비(454)에 접촉하도록 연장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부재(422)는 상기 제2부재(424)보다 짧아서, 상기 센서부(450)가 기울어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450)는 상기 센싱부(460)가 설치되면 면이 하방을 바라보록 배치되어서, 상기 센싱부(460)가 상기 드럼의 후방보다는 후방의 아래쪽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480)는 상기 피시비(454)에서 상기 엘이디(470)가 배치되지 않는 다른 면에 접촉해서, 상기 피시비(454)의 설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454)의 전방은 상기 리브(420)에 의해서 가압되고, 상기 피시비(454)의 후방은 상기 홀더(480)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피시비(454)의 위치 및 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410)는 고정홈(430)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80)는 상기 고정홈(430)에 삽입되는 돌기(4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30)은 상기 피시비(454)가 상기 커버(410)에 배치되는 부분의 후방에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430)과 상기 돌기(482)가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피시비(454)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홀더(480)는 전체적으로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기둥의 형상을 이뤄서, 상기 센서부(450)에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454)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은 상기 홀더(480)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도록 배치도리 수 있다.
상기 홀더(480)의 제1면(482)은 상기 피시비(454)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454)는 상기 제1면(482)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상기 홀더(482)와 상기 커버(410)의 사이에 위치 및 설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80)의 제2면(484)는 상기 커버(410)에 마련된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면(484)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482)가 마련되어서, 상기 커버(410)에 형성된 고정홈(430)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돌기(482)는 상기 홀더(480)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430)도 상기 커버(410)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410)와 상기 홀더(480)는 상하측에서 모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10)는 전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440)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440)는 상기 지지 패널(121)에 면접촉되어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440)는 상기 평탄부(412)의 외곽에 상기 커버(410)의 면이 커지도록 배치되어서, 의류에 잔존하는 물기가 상기 커버(410)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410)의 전면은 상기 평탄부(412)를 중심으로, 상기 플랜지(440)까지 연장되는데, 상기 플랜지(440)가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피시비(454)의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440)는 상기 피시비(454)를 벗어나도록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440)의 후방면이 상기 지지 패널(121)에 접촉해서 결합된다.
상기 커버(410)는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 공정으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410)는 상기 커버(410)를 관통해서 물이 상기 피시비(45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에 접촉하면서 임피던스에 상응하는 전압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 센서(5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 센서(520)에서 수집된 신호는 제어부(500)로 전달되어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전극 센서(520)에 근거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엘이디(470)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상기 센싱부(460)에서 감지된 온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470)가 구동되어서 드럼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상기 엘이디(47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즉 상기 엘이디(470)는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에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엘이디(470)가 동작할 때에는 상기 센싱부(460)를 통해서 온도를 감지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엘이디(470)가 동작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싱부(460)에서 감지된 온도를 사용해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470)가 구동되면 상기 엘이디(470)에 의해서 열이 발생된 상태인데, 상기 엘이디(470)가 구동을 멈추더라도 상기 엘이디(470)에 의해서 가해진 열은 바로 사라지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460)에서 측정된 온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엘이디(470)가 동작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싱부(460)를 통해서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00)는 타이머(510)를 통해서 시간 경과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싱부(460)에서 온도를 감지할 때에, 상기 타이머(510)에 의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해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의류의 건조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의류에 대한 건조가 진행되면서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드럼 내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의류의 온도를 측정해보면, 도 10과 같은 패턴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시간이 건조 시간이 경과할 수록 전체적인 의류의 온도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드럼 내부에는 여러 벌의 의류가 존재하고, 의류의 종류, 크기 또는 의류의 위치 등에 따라서 의류의 건조 속도가 상이하다. 즉 동일한 드럼 내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에 의류의 건조가 수행되었지만, 어떤 의류는 건조가 완료된 반면에 다른 의류는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의류의 건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적외선 센서(400)에 의해서 측정된 의류의 온도는 의류의 최고 온도와 의류의 최저 온도 내에서 온도 진폭을 가지면서 변화될 수 있다. 드럼이 회전되면서 의류가 건조되는데, 의류의 배치에 따라서 상기 적외선 센서(400)로 측정했을 때에 어떤 순간에는 온도가 높게 측정되는 반면에, 해당 순간이 지나면 다시 온도가 낮게 측정되는 편차가 존재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400)에 의해서 시간에 따라 온도를 측정할 때에, 가장 높게 측정된 온도를 의류의 최고 온도라고 정의하고, 가장 낮게 측정된 온도를 의류의 최저 온도라고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류는 상기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범위 내에서 측정시간에 따라 온도가 변화될 수 있다.
건조가 수행되는 초기에는 의류의 최고 온도와 의류의 최저 온도가 시간에 비해서 빠르게 상승하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온도의 상승이 지연된다. 또한, 건조가 수행되는 동안에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의류의 최저 온도의 상승 속도에 비해서, 의류의 최고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른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건조도가 상승될 수 있는 과도기적인 구간으로 지연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건조가 수행되어서 상기 지연 구간을 지나치면, 의류의 최저 온도와 의류의 최고 온도가 서로 수렴해가면서 의류가 충분히 건조된 상황으로 진행될 수 있다. 드럼 내부에 여러 벌의 의류들이 모두 건조됨에 따라서, 드럼이 회전되어서 의류의 위치가 변화되더라도 적외선 센서(400)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변화폭이 줄어든다.
한편, 의류의 최고 온도와 의류의 최저 온도의 차이를 온도 진폭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온도 진폭을 시간에 따라 나타내보면 도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건조가 처음에 시작되는 동안에는 드럼 내부에 투입된 모든 의류가 건조가 안된 상태이기 때문에 모든 의류의 온도가 동일하게 낮아서 온도 진폭이 작다. 또한 건조가 완료되는 시점에는 드럼 내부에 투입된 모든 의류의 건조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모든 의류의 온도가 고르게 온도가 높아서, 온도 진폭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건조의 초기와 후반에 비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온도 진폭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30은 의류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건조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전체적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에 따라 구분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의류에 대한 세탁이 완료된 후에 의류의 건조가 시작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의류를 건조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류가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후에 건조 행정이 시작될 수 있다.
의류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적외선 센서(400)를 통해서 드럼 내부의 의류의 온도를 측정한다(S10). 상기 드럼(2)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의류에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거나, 습도가 낮은 공기를 제공해서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의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의류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적외선 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를 측정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할 수 있다.
측정된 온도 값을 이용해서 온도 진폭을 계산한다(S20). 도 13에서와 같이, 측정된 적외선 온도를 저역 필터링한 온도 값을 구할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측정된 적외선 온도를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해서 처리한 값이다. 14는 도 13에서 초반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때 사용되는 저역통과필터는 측정된 의류 온도의 높은 주파수를 감쇠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정된 의류의 온도의 최고값과 최저값이 요동이 큰 경우에는 잘못된 노이즈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해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서 데이터의 정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역통과필터를 거친 온도값은 측정된 의류의 온도의 범위 내에서 의류의 온도 변화의 추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값을 기준으로 측정된 적외선 온도값의 분포를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서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온도값을 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빼진 온도 값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값을 기준으로 의류의 온도가 낮은 값과 높은 값의 절대값을 구할 수 있다. 절대값을 취하는 것에 의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측정된 의류의 온도의 크기만을 포현해서, 도 16에서와 같이 온도진폭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시간 경과에 따른 의류의 온도값에 따라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값은 의류의 건조도가 변해서, 의류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산출된 온도 진폭에 대해서, 도 17의 실선에 표시된 것과같이,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S30). 이때 기준값은 도 17 및 18에서 표시된 것처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값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서 기준값만을 별도로 표시한 것으로, 기준값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했다가 다시 하강하는 추이를 보일 수 있다.
한편 산출된 기준값을 이용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할 수 있다. 기준값보다 측정된 의류의 온도 진폭이 작은 경우에는 해당 의류는 건포이지만, 온도 진폭이 큰 경우에는 습윤포일 수 있다. 의류가 아직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의류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측정된 온도의 진폭이 크기 때문에, 습윤포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건조가 수행되는 동안에 온도 변화가 작아지게 되고, 따라서 온도 진폭이 작기 때문에 건포라고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의류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습윤포로 판단하고, 의류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건포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기준값은, 시간 경과에 따른 산출된 온도 진폭에 따라 산출되는 저역통과필터에 의해서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산출되는 기준값은 일정한 값으로 고정하지 않아서, 의류의 건조도 여부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결론적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에서 기준값을 기준으로 표현한 것으로, 직선으로 표현된 기준값을 기준으로 온도진폭값이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습윤포라고 판정하고, 기준값을 기준으로 온도진폭값이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건포라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서와 같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기준값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에서와 같이 기준값을 고정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충 설명한다.
S30에서 산출된 기준값을 기준으로 제1비율을 산출한다(S40). 상기 제1비율은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비율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유은 소정 시간, 즉 하나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매번 산출되어서 건조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1비율이 계산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비율은 소정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매번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소정 시간 간격, 즉 하나의 사이클이 종료되는 시점마다 상기 제1비율이 산출되어서, 하나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습윤포와 건포의 비율이 매번 산출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상기 제1비율은 기준 시간 내에 습윤포와 건포의 시간 비율로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에서와 같이 하나의 사이클 타임에 기준값의 상측에 위치한 온도 진폭을 갖는 부분을 습윤포라고 정의하고, 기준값의 하측에 위치한 온도 진폭을 갖는 부분을 건포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사이클 타임의 시간 동안에 습윤포와 건포로 정의된 시간이 각각 산출된다. 이때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로 판단된 시간을 건포로 판단된 시간으로 나눈 값을 뺀 것으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비율이 1에 가깝게 되면, 습윤포에 해당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건포에 해당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1에서 곡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의류의 온도 진폭을 표시한 값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습윤포나 건포로 판단되는 시간만을 고려할 뿐, 습윤포나 건포로 판단될 때에 온도 진폭은 고려하지 않은 값으로 계산이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기준 시간 시간 내에 습윤포와 건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의 비율을 뺀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을 건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습윤포와 건포로 판단하더라도, 습윤포의 온도 진폭값과 건포의 온도진폭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습윤포의 온도진폭과 건포의 온도진폭의 크기에 따라 건조도가 좀 더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비율과 달리 시간값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진폭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예와 동일한 시간비율을 가지는 경우라도, 다른 제1비율이 산출될 수 있다. 상술한 예보다는 온도진폭값의 변화가 반영될 수 있다.
도 22와 같이,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을 건포로 판단된 시간과 기준값을 곱한 값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이 가능하다. 즉 분모는 건포로 판단된 시간과 기준값을 곱한 값으로, 온도 진폭값을 고려하지 않고 산출한다. 반면에 분자는 습윤포로 판단된 부분의 온도 진폭값을 고려해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 번째 방식에 따라 산출된 제1비율은 분모는 온도진폭값은 고려하지 않되, 분자는 온도진폭값을 고려한다. 따라서, 세 번째 방식에서는 습윤포로 판단되는 부분에 온도진폭값을 고려해서, 습윤포로 판단되는 동안의 정보를 좀 더 반영해서 습윤포와 건포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분모에 대한 데이터 처리는 단순하게 하는 반면에, 습윤포에 대한 값의 크기변화도 반영해서 좀 더 정확한 제1비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방식에 의해서 산출된 제1비율은 도 23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값으로 도시된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서, 기준 시간을 정하고, 기준시간별로 제1비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기준 시간은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고, 건조가 수행되면서 복수 개의 사이클 동안에 제1비율이 산출될 수 있다. 도 24에서와 같이 실시간으로 산출된 제1비율값을 기준시간별로 평균을 구해서, 최종 제1비율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4에서는 기준시간별로, 실시간으로 산출된 제1비율을 각 기준시간별로 평균을 낸 값으로 변경한 값을 도시하고, 도 25에서는 도 24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표현한다. 도 26에서는 도24에서 최종 제1비율값만을 따로 도시한 것으로, 기준시간별로 제1비율값이 산출된 형태를 표현한다.
한편, S40에서 제1비율을 산출하는 과정과 병행해서, 측정된 의류의 온도를 이용해서 제2비율을 산출한다(S50). 제2비율은 상기 적외선 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비율은 저온인 제1온도와 고온인 제2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를 기준으로 측정 온도를 0에서 1내에서 정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조하는 제조자 또는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규화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가 제1온도에 가까운 값일수록 0에 가까운 값에 대응되고, 적외선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2온도에 가까운 값일수록 1에 가까운 값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온도는 측정된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낮은 온도도 정규화되는 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0에 가까운 값으로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는 측정된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높은 온도도 정규화되는 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1에 가까운 값으로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는 의류처리장치의 건조부에서 제공하는 온도보다 낮다. 따라서, 제2온도는 건조부에서 제공하는 온도와 유사하거나 낮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의류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하강할 가능성이 크지는 않다. 따라서, 정규화하는 온도의 범위를 제한해서 제2비율을 산출할 때에 계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센서(400)가 아닌 도 27과 같이 건조부의 온도를 측정해서 기준시간 별로 제2비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7은 덕트, 즉 건조부의 온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에서는 도 27에서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해서, 산출된 제2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에서는 제2온도를 55도로설정하고, 제1온도를 20도로 설정해서 정규화했다.
이와는 달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측정된 온도는 도 12 내지 도 14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실시예 건조부의 온도를 이용한 데이터를 도 27 및 도 2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상술한 설명으로 당업자는 충분히 적용가능한 내용이다.
한편, 도 20에서 기준값을 고정하는 시점은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비율이 1이 되면, 상기 기준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비율이 1이되는 시점이 되면, 그 시간 이후부터는 기준값은 온도진폭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그 시점의 기준값과 동일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비율을 사용해서, 건조가 수행되는 초기(습포가 많은 상황)에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제1비율과 제2비율을 곱해서, 건조도를 산출한다(S60). 즉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곱해서 산출된 값은 도 30에 도시된다.
산출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S70).
한편,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판단은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것을 전제로 소정 시간을 더 요구하는 조건이다.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추가 건조를 수행한 후에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의류의 건조도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측정한 온도값을 이용해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판단에 근거에서 의류가 충분히 건조되었다고 판단하면, 건조 행정을 종료하고 사용자에게 건조 행정이 종료했다고 알람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측정한 온도 값 이외에도 전극 센서를 이용한 값을 고려해서, 의류의 건조도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S70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 및 전극 센서에 측정된 전압 신호에 의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단 단계와 상기 제2판단 단계를 모두 만족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최종 판단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측정한 온도 값을 이용해서 건조도를 판단하고, 전극 센서를 이용해서 건조도를 판단해서, 최종적으로 건조 행정을 종료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해서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도에 대해서 정확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종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제1판단 단계와 상기 제2판단 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값에 기반한 건조도 판단을 통해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결정하고, 전극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값에 기반한 건조도 판단을 통해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결정한 경우에 한해서, 최종적으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1에 따른 건조 판단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전극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제1값에 도달하는 시점과 제2값에 도달하는 시점에 시간간격 T1이 산출될 수 있다. 해당 시간 간격 T1와 설정된 값 Tsat를 서로 곱해서, 전극 센서에 의해서 판단한 종료 시점 A1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시간 간격 T1이 길어지면, A1이 늦어질 수 있는 반면에, 시간 간격 T1이 짧아지면 빠른 시간내에 건조도가 상승된다고 판단해서 A1이 빨라질 수 있다.
전극 센서에 의해서 판단된 건조의 종료 시점 A1을 기준으로 M1 시간 이전에, 적외선 센서(400)을 이용한 건조도 판단을 한다. 즉 A1으로부터 M1시간 이전에 적외선에 의한 건조도를 판단해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A1의 시점에 건조행정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적외선 센서(400)에 의해서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은 A1으로부터 M1시간 이전의 시점이 아니라, 그때부터 M2의 시간 동안 건조도가 높게 유지가 되는 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건조도를 판단할 때에 M2시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설정된 건조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전극 센서에 의해서 판단된 A1의 시점에 건조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극 센서에 의해서 A1의 시점이 설정되었음에도, A1의 M1시간 이전 시점에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충분히 건조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건조 종료시점을 A1이 아닌 A2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A1에서 M3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A2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극 센서에 의해서 변경된 A2시점에서 M2시간 이전이 되는 시점에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건조도가 M2시간 만큼 충분히 높게 유지되면, 건조 행정을 A2시점에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예상 종료 시점(A1)을 선정한다.
이때 상기 제1판단 단계는, 상기 예상 종료 시점(A1)을 기준으로 제2설정 시간(M1) 이전부터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M2) 동안 유지되면, 예상 종료 시점(A1)에 건조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상 종료시점(A1)은 전극 센서에 의해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고,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도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시점이다.
반면에,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으면, 예상 종료시점(A1)을 제3설정 시간(M3) 만큼 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A1이 제3설정 시간(M3)만큼 연기된 시점은 A2이고, A2가 다시 예상 종료시점이 되면서 A2의 M1시간 이전에 적외선 센서에 의한 건조도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르면, 의류의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과 전극 센서에 의해서 건조가 종료되는 것을 판단하는 과정은 동일한다.
즉 상기 제2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제2예상 종료 시점(B2)을 선정된다. 이때 전극 센서에 의해서만 건조도가 판단되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와는 다른 신호의 교환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1예상 종료 시점(B1)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최종 판단 단계는, 상기 제1예상 시점(B1)과 상기 제2예상 시점(B2) 중에 늦은 시점에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최종 건조가 종료되는 시점은 시점이 늦은 B2인 제2예상시점이 된다.
상술한 방식과는 달리, 상기 제1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예상 종료시점은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부터 제1설정 시간(M4)이 경과한 시점으로 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예상 종료시점은 B3로 선정될 수 있다. B3는 B1에 비해서 M4만큼 이후에 위치한 시점이다. 참고로, 제1설정 시간(M4)는 소정 시간보다는 짧은 것이 가능하다. 즉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건조도가 유지되는 것을 판단하는 시간보다는 이후 시점에 예상 종료 시점을 선정해서, 적외선 센서에 의한 건조도 판단을 위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르면, 건조가 수행되는데에 종료 시점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어서 건조종료가 빨라질 수 있다.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11: 투입구
113: 도어 115: 컨트롤패널
11: 전방패널 111: 투입구
113: 도어 115: 컨트롤패널
Claims (18)
- 의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의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진폭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 진폭을 기준값에 따라 구분해서, 의류를 건포와 습윤포로 구분하는 단계;
의류의 건포와 습윤포의 비율인 제1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를 정규화하는 제2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이용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온도는 적외선 센서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소정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매번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기준 시간 내에 습윤포와 건포의 시간 비율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로 판단된 시간을 건포로 판단된 시간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기준 시간 시간 내에 습윤포와 건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의 비율을 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을 건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1에서 습윤포의 온도 진폭 누적값을 건포로 판단된 시간과 기준값을 곱한 값으로 나눈 값을 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율은 저온인 제1온도와 고온인 제2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를 기준으로 측정 온도를 0에서 1내에서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측정된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는 측정된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율과 상기 제2비율을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건조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추가 건조를 수행한 후에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225A KR20220169750A (ko) | 2021-06-21 | 2021-06-2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8/562,707 US20240247423A1 (en) | 2021-06-21 | 2022-06-17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EP22828656.3A EP4326935A1 (en) | 2021-06-21 | 2022-06-17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PCT/KR2022/008397 WO2022270809A1 (en) | 2021-06-21 | 2022-06-17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225A KR20220169750A (ko) | 2021-06-21 | 2021-06-2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9750A true KR20220169750A (ko) | 2022-12-28 |
Family
ID=8453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0225A KR20220169750A (ko) | 2021-06-21 | 2021-06-2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47423A1 (ko) |
EP (1) | EP4326935A1 (ko) |
KR (1) | KR20220169750A (ko) |
WO (1) | WO202227080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51192A (en) * | 1996-07-01 | 1997-07-29 |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 Infrared temperature sensing for tumble drying control |
JP2009106699A (ja) * | 2007-11-01 | 2009-05-21 | Seiko Instruments Inc |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
JP2010042118A (ja) * | 2008-08-12 | 2010-02-25 | Mitsubishi Electric Corp | 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
US8549770B2 (en) * | 2009-12-18 | 2013-10-08 | Whirlpoo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with drying uniformity determination |
KR101669909B1 (ko) * | 2010-04-02 | 2016-10-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업용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
-
2021
- 2021-06-21 KR KR1020210080225A patent/KR2022016975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6-17 EP EP22828656.3A patent/EP4326935A1/en active Pending
- 2022-06-17 US US18/562,707 patent/US20240247423A1/en active Pending
- 2022-06-17 WO PCT/KR2022/008397 patent/WO202227080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26935A1 (en) | 2024-02-28 |
WO2022270809A1 (en) | 2022-12-29 |
US20240247423A1 (en) | 2024-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6458B2 (en) | Drying machine | |
KR100640789B1 (ko) | 의류건조기 | |
US20070251118A1 (en) |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10000100A1 (en) | Laundry treatment appliance comprising a drum and a sensor,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 |
US9435587B2 (en) | Clothing dryer and blockage detection method thereof | |
US9009987B2 (en) |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070144031A1 (en) | Condensing type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US20070039200A1 (en) | Drying apparatus | |
KR100556806B1 (ko) |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신호처리방법 | |
EP2336419A1 (en) | Clothes dryer | |
KR100747589B1 (ko) |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행정 제어방법 | |
US20110023321A1 (en) |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same | |
JP2011239990A (ja) | 乾燥機 | |
US10087571B2 (en) |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dryer appliances utilizing wireless moisture data transfer systems | |
US20100064546A1 (en) |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716903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169750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169748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169747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169749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169751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10146523A (ko)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1952699B2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346043B2 (en) |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response to restricted air flow | |
KR20210130662A (ko) |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