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406A -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406A
KR20220169406A KR1020220069602A KR20220069602A KR20220169406A KR 20220169406 A KR20220169406 A KR 20220169406A KR 1020220069602 A KR1020220069602 A KR 1020220069602A KR 20220069602 A KR20220069602 A KR 20220069602A KR 20220169406 A KR20220169406 A KR 2022016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round
power supply
power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키 요코야마
도시야 하시모토
히로야 지바
슌타로 오카자키
šœ타로 오카자키
쇼고 츠게
가즈히사 마츠다
료스케 이케무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2016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2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by charging in short intervals along the itinerary, e.g. during shor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과제)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면, 무선 송신할 때의 통신의 지연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 지상 급전 장치에 있어서의 급전 제어가 늦어질 우려가 있다.
(해결 수단)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비접촉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차량 (3) 은,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지상 급전 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지상 급전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와,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때에,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지상 급전 장치로 송신하게 하고, 또한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한 후에,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를 지상 급전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제어 장치 (34) 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VEHICLE, GROUND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CONTACT POWER SUPPLYING SYSTEM}
본 개시는,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계 결합 (전자 유도), 전계 결합, 자계 공진 결합 (자계 공명) 및 전계 공진 결합 (전계 공명) 과 같은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지면에 형성된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에 전력을 비접촉으로 전송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지상 급전 장치에 의해 차량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하려면, 차량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에,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송신하고, 이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지상 급전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으로서, 차량 주행 중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급전 요구가 무선 송신되면,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57686호
그러나,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면, 무선 송신할 때의 통신의 지연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 지상 급전 장치에 있어서의 급전 제어가 늦어질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차량으로서,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 급전 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 급전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와,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때에,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 송신하게 하고, 또한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한 후에,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차량.
(2) 상기 광역 무선 통신은, 통신 거리가 10 미터 이상인 통신이고, 상기 협역 무선 통신은, 통신 거리가 10 미터 미만인 통신인, 상기 (1) 에 기재된 차량.
(3)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차량.
(4) 상기 차량의 상태가, 배터리의 충전율, 배터리의 온도, 허용 충전 전력 및 차량 요구 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차량.
(5) 상기 차량 정보는, 이용 요금을 청구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차량.
(6) 상기 차량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정보가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될 때의,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차량.
(7)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수신했을 때에는, 당해 차량이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가까워졌을 때에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를 기동시키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차량.
(8)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수신했을 때에는, 당해 차량이 상기 지상 급전 장치 위를 주행했을 때에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전 장치를 기동시키는, 상기 (7) 에 기재된 차량.
(9)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 그 지상 급전 장치에서 급전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의 리스트에, 당해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인, 상기 (7) 또는 (8) 에 기재된 차량.
(10) 차량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지상 급전 장치로서,
차량 식별 정보를 협역 무선 통신으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와,
상기 송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서 급전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차량 식별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이 당해 지상 급전 장치 위를 주행했을 때에 그 차량에 송전할 수 있도록 상기 송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지상 급전 장치.
(11) 상기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광역 무선 통신으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차량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리스트에 등록하는, 상기 (10) 에 기재된 지상 급전 장치.
(12)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하나라도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기 (11) 에 기재된 지상 급전 장치.
(13)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스트에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됐을 때에는,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그 차량 식별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게 하는, 상기 (11) 또는 (12) 에 기재된 지상 급전 장치.
(14) 상기 리스트에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주위의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상기 (10)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상 급전 장치.
(15)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주위의 상기 영역으로부터 나온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는 상기 리스트에서 소거되는, 상기 (14) 에 기재된 지상 급전 장치.
(16) 차량과, 그 차량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하는 지상 급전 장치를 갖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은,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와, 이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및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지상 급전 장치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를 갖고,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는,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고,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는,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와 직접 통신하고,
상기 차량측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때에,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로 송신하게 한 후에,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7) 상기 지상 급전 장치는, 상기 차량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와, 그 송전 장치를 제어하는 지상측 제어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 요구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지상측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요구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전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에 대한 비접촉 급전을 제어하는, 상기 (16) 에 기재된 비접촉 급전 시스템.
(18) 당해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과 광역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을 실시함과 함께 상기 지상 급전 장치와 통신을 실시하는 서버를 추가로 갖고,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는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량 정보가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될 때의,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상기 (16) 또는 (17) 에 기재된 비접촉 급전 시스템.
본 개시에 의하면, 광역 무선 통신과 협역 무선 통신의 2 개의 통신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지상 급전 장치에 있어서의 급전 제어를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에 접속된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은, ECU 및 ECU 에 접속된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는, 도로에 형성되는 자계 검출기의 배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 은,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서버 및 지상 급전 장치 사이의 통신에 관한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8 은,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서버 및 지상 급전 장치 사이의 통신에 관한, 도 7 과 동일한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9 는, 서버에 있어서의,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 은, 지상 급전 장치에 있어서의,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 은, 차량이 지상 급전 장치에 접근하여 급전이 실시될 때의 차량 및 지상 급전 장치의 동작 및 상태의 추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지상 급전 장치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지상 급전 장치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차량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수전 종료 처리의 실행에 관한 작업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의 전체 구성>
도 1 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은, 지상 급전 장치 (2) 와, 도로 (100) 상의 주행하는 차량 (3) 을 갖고,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자계 공진 결합 (자계 공명) 에 의한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은, 차량 (3) 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한다.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는, 차량 (3) 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차량 (3) 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전하고, 차량 (3) 은, 차량 (3) 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비접촉으로 전력을 수전한다. 지상 급전 장치 (2) 는, 비접촉으로 차량 (3) 에 송전하도록 구성된 송전 장치 (4) 를 갖고, 차량 (3) 은, 비접촉으로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하도록 구성된 수전 장치 (5) 를 갖는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전 장치 (4) 는 차량 (3) 이 주행하는 도로 (100) 내 (지중) 에, 예를 들어 차량 (3) 이 주행하는 차선의 중앙에 매립된다.
또한, 주행 중이라는 용어는, 차량 (3) 이 주행을 위해 도로 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행 중이라는 용어는, 차량 (3) 이 실제로 제로보다 큰 임의의 속도로 달리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신호 대기 등에 의해 도로 상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한편, 차량 (3) 이 도로 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예를 들어 주정차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행 중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지상 급전 장치의 구성>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는, 송전 장치 (4) 에 더하여, 전원 (21) 및 컨트롤러 (22) 를 구비한다. 전원 (21) 및 컨트롤러 (22) 는, 도로 (100) 내에 매립되어도 되고, 도로 (100) 내와는 다른 장소 (지상을 포함한다) 에 배치되어도 된다.
전원 (21) 은, 송전 장치 (4) 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21) 은, 예를 들어, 단층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상용 교류 전원이다. 또한, 전원 (21) 은, 삼상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다른 교류 전원이어도 되고, 연료 전지와 같은 직류 전원이어도 된다.
송전 장치 (4) 는, 전원 (21) 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차량 (3) 에 보낸다. 송전 장치 (4) 는, 송전측 정류 회로 (41), 인버터 (42) 및 송전측 공진 회로 (43) 를 갖는다. 송전 장치 (4) 에서는, 전원 (21) 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이 송전측 정류 회로 (41) 에 있어서 정류되어 직류 전류로 변환되고, 이 직류 전류가 인버터 (42) 에 있어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고, 이 교류 전력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된다.
송전측 정류 회로 (41) 는, 전원 (21) 및 인버터 (4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송전측 정류 회로 (41) 는, 전원 (21) 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력을 인버터 (42) 에 공급한다. 송전측 정류 회로 (41) 는 예를 들어 AC/DC 컨버터이다.
인버터 (42) 는 송전측 정류 회로 (41) 및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버터 (42) 는, 송전측 정류 회로 (41) 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전원 (21) 의 교류 전력보다 높은 주파수의 교류 전력 (고주파 전력) 으로 변환하고, 고주파 전력을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한다.
송전측 공진 회로 (43) 는, 코일 (44) 및 콘덴서 (45) 로 구성되는 공진기를 갖는다. 코일 (44) 및 콘덴서 (45) 의 각종 파라미터 (코일 (44) 의 외경 및 내경, 코일 (44) 의 권수, 콘덴서 (45) 의 정전 용량 등) 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공진 주파수가 소정의 설정값이 되도록 정해진다. 소정의 설정값은, 예를 들어 10 kHz ∼ 100 GHz 이고, 바람직하게는, 비접촉 전력 전송용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SAE TIR J2954 규격에 의해 정해진 85 kHz 이다.
송전측 공진 회로 (43) 는, 코일 (44) 의 중심이 차선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차량 (3) 이 통과하는 차선의 중앙에 배치된다. 인버터 (42) 로부터 공급된 고주파 전력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인가되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는, 송전하기 위한 교류 자계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21) 이 직류 전원인 경우에는, 송전측 정류 회로 (41) 는 생략되어도 된다.
컨트롤러 (22) 는,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이고, 지상 급전 장치 (2) 의 각종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22) 는, 송전 장치 (4) 의 인버터 (4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송전 장치 (4) 에 의한 전력 송신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42) 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 (22) 는, 후술하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및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를 제어한다.
도 2 는, 컨트롤러 (22) 및 컨트롤러 (22) 에 접속된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컨트롤러 (22) 는, 통신 인터페이스 (221), 메모리 (222) 및 프로세서 (223) 를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221), 메모리 (222) 및 프로세서 (223) 는 신호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221) 는, 지상 급전 장치 (2) 를 구성하는 각종 기기 (예를 들어, 인버터 (42), 후술하는 지상측 센서 (23),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및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등) 에 컨트롤러 (22) 를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갖는다. 컨트롤러 (22) 는, 통신 인터페이스 (221) 를 통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한다.
메모리 (222) 는, 예를 들어,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RAM),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ROM) 등을 갖는다. 메모리 (222) 는, 프로세서 (223) 에 있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223) 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 (222) 는,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에서 급전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의 리스트 (이하,「식별 정보 리스트」라고 한다) 및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프로세서 (223) 는, 하나 또는 복수의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및 그 주변 회로를 갖는다. 프로세서 (223) 는, 논리 연산 유닛 또는 수치 연산 유닛과 같은 연산 회로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프로세서 (223) 는, 메모리 (222)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는, 지상측 센서 (23) 를 추가로 구비한다. 지상측 센서 (23) 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상측 센서 (23) 는, 예를 들어, 송전 장치 (4) 의 각종 기기 (특히,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인버터 (42) 및 송전측 정류 회로 (41)) 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송전 장치 전류 센서, 송전 장치 (4) 의 각종 기기에 가해지는 전압을 검출하는 송전 장치 전압 센서, 송전 장치 (4) 의 각종 기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송전 장치 온도 센서, 송전 장치 (4) 가 매립된 도로 상의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센서, 및 송전 장치 (4) 가 매립된 도로 상의 생체를 검출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한다. 지상측 센서 (23) 의 출력은, 컨트롤러 (22) 에 입력된다.
또한, 송전 장치 (4) 는, 차량 (3) 으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송전 장치 (4) 는, 후술하는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와 마찬가지로, 수전한 전력을 전원 (21) 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또는 회로를 갖는다. 또, 이 경우, 송전 장치 (4) 는, 차량 (3) 으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데에 상기 서술한 코일 (44) 및 콘덴서 (45) 로 구성되는 공진기를 이용해도 된다.
<차량의 구성>
한편, 차량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 장치 (5) 에 더하여, 모터 (31), 배터리 (32), 파워 컨트롤 유닛 (PCU) (33) 및 전자 제어 유닛 (ECU) (34)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3) 은, 모터 (31) 가 차량 (3) 을 구동시키는 전동 차량 (EV) 이다. 그러나, 차량 (3) 은, 모터 (31) 에 더하여 내연 기관이 차량 (3) 을 구동시키는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HEV) 이어도 된다.
모터 (31) 는, 예를 들어 교류 동기 모터이고, 전동기 및 발전기로서 기능한다. 모터 (31) 는, 전동기로서 기능할 때, 배터리 (32) 에 축적된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모터 (31) 의 출력은 감속기 및 차축을 통하여 차륜 (30) 에 전달된다. 한편, 차량 (3) 의 감속시에는 차륜 (30) 의 회전에 의해 모터 (31) 가 구동되고, 모터 (31) 는 발전기로서 기능하여 회생 전력을 발전한다.
배터리 (32) 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이고,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으로 구성된다. 배터리 (32) 는 차량 (3) 의 주행에 필요한 전력 (예를 들어 모터 (31) 의 구동 전력) 을 축적한다.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 장치 (5) 가 수전한 전력이 공급되면, 배터리 (32) 가 충전된다. 또, 모터 (31) 에 의해 발전된 회생 전력이 배터리 (32) 에 공급되면, 배터리 (32) 가 충전된다. 배터리 (32) 가 충전되면,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 State Of Charge) 이 회복된다. 또한, 배터리 (32) 는, 차량 (3) 에 형성된 충전 포트를 통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이외의 외부 전원에 의해서도 충전 가능해도 된다.
PCU (33) 는 배터리 (32) 및 모터 (3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PCU (33) 는, 인버터, 승압 컨버터 및 DC/DC 컨버터를 갖는다. 인버터는, 배터리 (32) 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교류 전력을 모터 (31) 에 공급한다. 한편, 인버터는, 모터 (31)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 (회생 전력) 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력을 배터리 (32) 에 공급한다. 승압 컨버터는, 배터리 (32) 에 축적된 전력이 모터 (31) 에 공급될 때에, 필요에 따라 배터리 (32) 의 전압을 승압한다. DC/DC 컨버터는, 배터리 (32) 에 축적된 전력이 헤드라이트 등의 전자 기기에 공급될 때에, 배터리 (32) 의 전압을 강압한다.
수전 장치 (5) 는,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하고, 수전한 전력을 배터리 (32) 에 공급한다. 수전 장치 (5) 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수전측 정류 회로 (54) 및 충전 회로 (55) 를 갖는다.
수전측 공진 회로 (51) 는, 노면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차량 (3) 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 (3) 의 중앙에 배치된다. 수전측 공진 회로 (51) 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코일 (52) 및 콘덴서 (53) 로 구성되는 공진기를 갖는다. 코일 (52) 및 콘덴서 (53) 의 각종 파라미터 (코일 (52) 의 외경 및 내경, 코일 (52) 의 권수, 콘덴서 (53) 의 정전 용량 등) 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공진 주파수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정해진다. 또한,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공진 주파수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공진 주파수의 어긋남량이 작으면, 예를 들어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공진 주파수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공진 주파수의 ±20 % 의 범위 내이면,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공진 주파수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공진 주파수와 반드시 일치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대향하고 있을 때에,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의해 교류 자계가 생성되면, 교류 자계의 진동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공명하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에 전달된다. 이 결과, 전자 유도에 의해 수전측 공진 회로 (51) 에 유도 전류가 흐르고, 유도 전류에 의해 수전측 공진 회로 (51) 에 있어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즉, 송전측 공진 회로 (43) 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에 송전하고, 수전측 공진 회로 (51) 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수전한다.
수전측 정류 회로 (54) 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및 충전 회로 (55)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전측 정류 회로 (54) 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력을 충전 회로 (55) 에 공급한다. 수전측 정류 회로 (54) 는 예를 들어 AC/DC 컨버터이다.
충전 회로 (55) 는 수전측 정류 회로 (54) 및 배터리 (3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배터리 (32) 에는, 릴레이 (38) 를 통하여 접속된다. 충전 회로 (55) 는, 수전측 정류 회로 (54) 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 (32) 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배터리 (32) 에 공급한다. 송전 장치 (4) 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수전 장치 (5) 에 의해 배터리 (32) 에 공급되면, 배터리 (32) 가 충전된다. 충전 회로 (55) 는 예를 들어 DC/DC 컨버터이다.
ECU (34) 는 차량 (3) 의 각종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ECU (34) 는, 수전 장치 (5) 의 충전 회로 (55)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송전 장치 (4) 로부터 송신된 전력에 의한 배터리 (32) 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해 충전 회로 (55) 를 제어한다. 또, ECU (34) 는, PCU (3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터리 (32) 와 모터 (31) 사이의 전력의 수수를 제어하기 위해 PCU (33) 를 제어한다. 또한, ECU (34) 는, 후술하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및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를 제어한다.
도 3 은, ECU (34) 및 ECU (34) 에 접속된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ECU (34) 는, 통신 인터페이스 (341), 메모리 (342) 및 프로세서 (343) 를 갖는다. 통신 인터페이스 (341), 메모리 (342) 및 프로세서 (343) 는 신호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341) 는,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규격에 준거한 차내 네트워크에 ECU (34) 를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갖는다. ECU (34) 는, 통신 인터페이스 (341) 를 통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한다.
메모리 (342) 는, 예를 들어,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RAM) 및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ROM) 를 갖는다. 메모리 (342) 는, 프로세서 (343) 에 있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343) 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프로세서 (343) 는, 하나 또는 복수의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및 그 주변 회로를 갖는다. 프로세서 (343) 는, 논리 연산 유닛 또는 수치 연산 유닛과 같은 연산 회로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프로세서 (343) 는, 메모리 (342)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3) 은, GNSS 수신기 (35), 스토리지 장치 (36), 복수의 차량측 센서 (37) 및 릴레이 (38) 를 추가로 구비한다. GNSS 수신기 (35), 스토리지 장치 (36), 차량측 센서 (37) 및 릴레이 (38) 는 차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ECU (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GNSS 수신기 (35) 는, 복수 (예를 들어 3 개 이상) 의 측위 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3) 의 현재 위치 (예를 들어 차량 (3) 의 위도 및 경도) 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GNSS 수신기 (35) 는, 복수의 측위 위성을 포착하고, 측위 위성으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GNSS 수신기 (35) 는, 전파의 발신 시각과 수신 시각의 차에 기초하여 측위 위성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측위 위성까지의 거리 및 측위 위성의 위치 (궤도 정보) 에 기초하여 차량 (3) 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GNSS 수신기 (35) 의 출력, 즉 GNSS 수신기 (35) 에 의해 검출된 차량 (3) 의 현재 위치는 ECU (34) 에 송신된다. 이 GNSS 수신기 (35) 로서, 예를 들어, GPS 수신기가 사용된다.
스토리지 장치 (36) 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 장치 (36) 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또는 광 기록 매체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리지 장치 (36) 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다. 지도 정보에는, 도로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 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ECU (34) 는 스토리지 장치 (36) 로부터 지도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 (36) 에는 지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 ECU (34) 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를 통하여 차량 (3) 의 외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서버 (91)) 로부터 지도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차량측 센서 (37) 는, 차량 (3) 의 상태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측 센서 (37) 는, 차량 (3) 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차량 (3) 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 배터리 (32) 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터리 온도 센서, 수전 장치 (5) 의 각종 기기 (특히, 수전측 공진 회로 (51) 및 수전측 정류 회로 (54)) 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전 장치 온도 센서, 배터리 (32) 의 충전 전류값 및 방전 전류값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류 센서, 수전 장치 (5) 의 각종 기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수전 장치 전류 센서, 및 수전 장치 (5) 의 각종 기기에 가해지는 전압을 검출하는 수전 장치 전압 센서를 포함한다. 차량측 센서 (37) 의 출력은, ECU (34) 에 입력된다.
릴레이 (38) 는, 배터리 (32) 와 수전 장치 (5)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 (32) 와 수전 장치 (5) 를 접속·차단한다. 릴레이 (38) 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수전 장치 (5) 가 수전한 전력이 배터리 (32) 에 공급된다. 그러나, 릴레이 (38) 가 차단되어 있을 때에는 수전 장치 (5) 로부터 배터리 (32) 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따라서 수전 장치 (5) 는 실질적으로 수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전 장치 (5) 는,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전력을 송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수전 장치 (5) 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32) 의 전력을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전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또, 이 경우, 수전 장치 (5) 는,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전력을 송전하는 데에 상기 서술한 코일 (52) 및 콘덴서 (53) 로 구성되는 공진기를 이용해도 된다.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의 구성>
비접촉 전력 전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와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의 위치 어긋남이 작은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은, 차량 (3) 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송전 장치 (4) 와 수전 장치 (5) 의 위치 어긋남 (이하,「가로 어긋남」이라고 한다) 을 검출하기 위한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를 갖는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는, 차량 (3) 에 형성된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및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와, 지상 급전 장치 (2) 에 형성된 자계 검출기 (66) 를 구비한다.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는, 송전 장치 (4) (특히,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 장치 (5) (특히,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검지하기 위한 교류 자계 (이하,「가로 어긋남 검지용의 교류 자계」라고 칭한다) 를 발생시킨다.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는, 노면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차량 (3) 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 (3) 의 중앙에 배치되고, 차량 (3) 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전측 공진 회로 (51)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는 차량 (3) 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동일한 위치 또는 수전측 공진 회로 (51)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코일 (62) 및 콘덴서 (63) 로 구성되는 공진기를 갖는다. 코일 (62) 및 콘덴서 (63) 의 각종 파라미터 (코일 (62) 의 외경 및 내경, 코일 (62) 의 권수, 콘덴서 (63) 의 정전 용량 등) 는,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의 공진 주파수가 소정의 설정값이 되도록 정해진다. 소정의 설정값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공진 주파수, 즉 자계 공진 결합의 공진 주파수와는 상이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는 반드시 공진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킬 필요는 없고, 따라서 콘덴서 (63) 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배터리 (32) 및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고, 교류 전력을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발진 회로 및 증폭기를 갖는다. 발진 회로는, 예를 들어 인버터로 구성되고, 배터리 (32) 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증폭기는 발진 회로의 출력 전력 (교류 전력) 을 증폭시킨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ECU (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ECU (34) 는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를 제어한다.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ECU (34) 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배터리 (32) 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교류 전력을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에 공급한다.
자계 검출기 (66) 는 주위의 자계를 검출한다. 자계 검출기 (66) 는, 예를 들어, 자기 임피던스 (MI : Magneto-Impedance) 센서이다. 자계 검출기 (66) 의 구동 전력은, 예를 들어 전원 (21) 등으로부터 구동 회로를 통하여 자계 검출기 (66) 에 공급된다. 또한, 자계 검출기 (66) 는, 홀 센서, 자기 저항 효과 (MR : Magneto Resistive) 센서 등이어도 된다.
도 4 는, 도로 (100) 에 형성되는 자계 검출기 (66) 의 배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계 검출기 (66) 는, 송전 장치 (4) 가 형성된 도로에 있어서, 차량 (3) 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송전 장치 (4)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또, 차량 (3) 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자계 검출기 (66) 는, 차량 (3) 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고, 예를 들어 이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 자계 검출기 (66) 는 지중 (노면 아래) 또는 노면 위에 배치된다. 자계 검출기 (66) 의 주위의 차량 (3) 으로부터 가로 어긋남 검지용의 교류 자계가 발해지면, 자계 검출기 (66) 는 위치 어긋남 검지용의 교류 자계를 검출한다.
자계 검출기 (66) 는 컨트롤러 (2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자계 검출기 (66) 의 출력은 컨트롤러 (22) 에 송신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 (22) 에는, 자계 검출기 (66) 로부터의 출력이 입력되고, 컨트롤러 (22) 는, 이 출력에 기초하여,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의 가로 어긋남의 유무, 즉 송전 장치 (4) 와 수전 장치 (5) 의 가로 어긋남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서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위를 통과할 때에 복수 나열된 자계 검출기 (66) 에 의해 검출되는 자계의 강도에 따라,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에 있어서의 차량 (3) 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가로 어긋남을 검출한다.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의 가로 어긋남이 작은 경우, 즉 차량 (3) 이 차선의 중앙 부근을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선의 중앙에 배치된 자계 검출기 (66) 에 의해 검출되는 자계의 강도가 가장 강해진다. 한편,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의 가로 어긋남이 큰 경우, 즉 차량 (3) 이 차선의 중앙으로부터 어긋나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선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져 배치된 자계 검출기 (66) 에 의해 검출되는 자계의 강도가 가장 강해진다.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는, 이와 같이 하여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의 가로 어긋남의 유무, 즉 송전 장치 (4) 와 수전 장치 (5) 의 가로 어긋남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3) 에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가 형성되고,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자계 검출기 (66) 가 형성된다. 그러나, 지상 급전 장치 (2) 에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가 형성되고, 차량 (3) 에 자계 검출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차량 (3) 에 형성된 자계 검출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차량 (3) 의 ECU (34) 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의 가로 어긋남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는, 자계를 사용하여 가로 어긋남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다. 그러나,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는, 자계 이외를 사용하여 가로 어긋남을 검출해도 되고, 예를 들어, 초음파를 사용한 소나 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는, 가로 어긋남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지만, 차선의 중앙으로부터의 차량 (3) 의 가로 어긋남량을 검출해도 된다. 이 경우,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가로 어긋남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는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에 있어서,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는, 송전 장치 (4) 위를 주행하는 차량 (3) 을 특정할 필요가 있고, 또, 그 차량 (3) 의 요구 급전 전력 등의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에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고, 또, 지상 급전 장치 (2) 는 차량 (3) 으로부터 송신된 차량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지상 급전 장치 (2) 는, 송전 장치 (4) 위를 주행하는 차량 (3) 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을 주행하는 차량 (3) 으로부터만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한편으로, 차량 (3) 의 속도가 빨라지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을 주행하는 동안에 차량 (3) 으로부터 요구 급전 전력 등을 포함하는 모든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3) 은,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멀어져 있을 때에,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광역 무선 통신에 의해,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차량 (3) 은,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에 가까워졌을 때에, 혹은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에 도달했을 때에, 차량 식별 정보를 협역 무선 통신에 의해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정보가 광역 무선 통신으로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에 미리 송신된 후, 차량 식별 정보가 협역 무선 통신으로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된다.
여기서, 차량 식별 정보는, 차량 (3) 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차량 ID 이다. 이 차량 식별 정보는, 차량 (3) 의 ECU (34) 의 메모리 (342) 내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차량 정보는, 전력 전송에 관한 차량 (3) 의 정보이고,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수전할 것을 요구하는 전력 (또는 전력량), 즉, 차량 요구 전력 (또는 차량 요구 전력량) 을 포함한다. 차량 요구 전력은, 차량 (3) 의 ECU (34) 내에 있어서 산출된다. 또, 차량 정보는, 수전 장치 (5) 의 상태 (배터리 (32) 와 수전 장치 (5) 의 접속 상태),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배터리 (32) 의 온도 및 허용 충전 전력 Win 과 같은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는, 차량측 센서 (37) (배터리 전류 센서) 에 의해 검출된 배터리 (32) 의 충전 전류값 및 방전 전류값에 기초하여, ECU (34) 에 있어서 산출된다. 또, 배터리 (32) 의 온도는, 차량측 센서 (37) (배터리 온도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또, 허용 충전 전력 Win 은, 리튬 이온 전지의 부극 표면에 금속 리튬을 석출시키지 않기 위한 충전 전력의 최댓값을 나타내고 있고, 이 허용 충전 전력 Win 은, 배터리 (32) 의 충전 이력,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및 배터리 (32) 의 온도에 기초하여 ECU (34) 에 있어서 산출된다.
게다가, 차량 정보는,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는, GNSS 수신기 (35) 의 출력에 기초하여, ECU (34) 에 있어서 산출된다. 또한, 차량 정보는, 수전 장치 (5) 의 코일 (44) 및 콘덴서 (45) 의 각종 파라미터 (코일 (44) 의 외경 및 내경, 코일 (44) 의 권수, 콘덴서 (45) 의 정전 용량 등), 코일 (44) 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및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공진 주파수와 같은 수전 장치 (5)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차량 정보는, 차량 (3) 의 ECU (34) 의 메모리 (342) 내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차량 정보는, 이용 요금을 청구할 때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결제 계좌를 특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3) 의 입력 장치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되거나, 또는 차량 (3) 에 형성된 카드 판독 장치에 인증 정보를 갖는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다.
도 5 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3) 은, 광역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협역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를 갖는다. 이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및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차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ECU (34) 에 접속된다. 한편,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는, 광역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와, 협역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를 갖는다. 이들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및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유선으로 전기적으로 컨트롤러 (22) 에 접속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일방향 또는 쌍방향의 통신을 실시한다. 또,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일방향 또는 쌍방향의 통신을 실시한다.
광역 무선 통신은, 협역 무선 통신에 비해 통신 거리가 긴 통신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거리가 10 미터 내지 10 킬로미터인 통신이다. 광역 무선 통신으로는, 통신 거리가 긴 여러 가지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GPP, IEEE 에 의해 책정된 4G, LTE, 5G, WiMAX 등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이 사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가,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3) 의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서버 (91) 를 통하여 통신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91) 는, 광통신 회선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92) 를 통하여, 복수의 무선 기지국 (93) 에 접속된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및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광역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93) 과 통신한다. 따라서, 차량 (3) 의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광역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통신 네트워크 (92) 에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무선이 아니라 유선으로 서버 (91)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는, 무선에 의해 직접,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91) 를 통하지 않고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와 통신을 실시해도 된다. 따라서, 서버 (91) 는, 차량 (3) 과 광역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을 실시함과 함께, 지상 급전 장치 (2) 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실시한다.
도 6 은, 서버 (91) 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 (91)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통신 모듈 (911) 과, 기억 장치 (912) 와, 프로세서 (913) 를 구비한다. 또, 서버 (91) 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장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외부 통신 모듈 (911) 은, 서버 (91) 외의 기기 (지상 급전 장치 (2), 차량 (3) 등) 와 통신을 실시한다. 외부 통신 모듈 (911) 은, 서버 (91) 를 통신 네트워크 (92) 에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한다. 외부 통신 모듈 (911) 은, 통신 네트워크 (92) 및 무선 기지국 (93) 을 통하여, 복수의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각각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기억 장치 (912) 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RAM),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어, 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또는 광 기록 매체를 갖는다. 기억 장치 (912) 는, 프로세서 (913) 에 의해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913) 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 장치 (912) 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다. 지도 정보에는, 도로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 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프로세서 (913) 는, 하나 또는 복수의 CPU 및 그 주변 회로를 갖는다. 프로세서 (913) 는, GPU, 또는 논리 연산 유닛 혹은 수치 연산 유닛과 같은 연산 회로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프로세서 (913) 는, 서버 (91) 의 기억 장치 (912)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협역 무선 통신이란, 광역 무선 통신에 비해 통신 거리가 짧은 통신을 나타내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거리가 10 미터 미만인 통신을 나타내고 있다. 협역 무선 통신으로는, 통신 거리가 짧은 여러 가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ISO, IEC 등에 의해 책정된 임의의 통신 규격 (예를 들어, Bluetooth (등록상표), ZigBee (등록상표)) 에 준거한 통신이 사용된다. 또, 협역 무선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기술로는, 예를 들어,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등이 사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식별 정보가, 차량 (3) 으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3) 의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협역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전파 또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안테나와, 안테나에 전력 또는 전류를 공급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다. 송신 회로는, 발진 회로, 변조 회로 및 증폭 회로를 갖고, 발진 회로에서 생성된 반송파를, 변조 회로에서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변조하고, 변조된 반송파를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시킨 교류 전류 (교류 전력) 를 안테나에 흐르게 한다. 이 결과, 안테나에 있어서, 전파 또는 자계가 발생한다.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전파 또는 자계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안테나가 수신한 전파 또는 자계로부터 정보를 꺼내는 수신 회로를 갖는다. 수신 회로는, 증폭 회로 및 복조 회로를 갖고, 안테나에서 수신한 전파 또는 자계에 의해 생성된 미약 전류를 증폭 회로에서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를 복조 회로에서 복조함으로써,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정보 (여기서는 차량 식별 정보) 를 꺼낸다.
또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의 통신은, 전파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자계에 의해 (즉, 전자 유도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특히, 반송파의 주파수가 낮은 경우 (예를 들어, 50 Hz ∼ 50 kHz) 에는, 자계에 의해 통신이 실시된다. 이 경우, 안테나로는 코일이 사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신호를 송신하고,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신호의 송신에 더하여 수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수신 회로를 갖고 있어도 되고, 또,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신호의 수신에 더하여 송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송신 회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및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와는 다른 장치로서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의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서 사용되고,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의 자계 검출기 (66) 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에서는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변조된 교류 전류에 의해 교류 자계가 발생되고, 자계 검출기 (66) 에서는 검출한 교류 자계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류를 복조함으로써 차량 식별 정보가 꺼내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 자계 검출기 (66) 에 의해 검출된 자계의 강도에 기초하여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고, 자계 검출기 (66) 에 의해 검출된 자계에 포함되는 신호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가 꺼내어진다.
<급전의 개략적인 흐름>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에 있어서,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할 때의 제어의 개략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먼저, 차량 (3) 의 ECU (34) 가,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게,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로 송신하게 한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가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송신하면, 광역 무선 통신을 통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이러한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주위의 소정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에 대해, 그 차량 (3) 의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의 메모리 (222) 에는, 지상 급전 장치에서 급전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의 식별 정보 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차량 (3) 으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이 차량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점에서, 식별 정보 리스트에는,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게 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하나라도 등록되어 있으면,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와 통신할 수 있도록, 즉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를 작동시킨다 (후술하는「수신 대기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작동되면,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차량 (3) 이 가까워지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가 발신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됐을 때에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에게,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를 이 차량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 (3) 으로 송신하게 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작동된다. 따라서,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는, 지상 급전 장치 (2) 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라고 할 수 있다.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를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로부터 광역 무선 통신을 통하여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가 수신하면, 차량 (3) 의 ECU (34) 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가까워졌을 때에,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발신할 수 있도록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시키고, 게다가,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위를 주행했을 때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수 있도록 수전 장치 (5) 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후술하는「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가 작동되어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고,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와 통신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하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차량 (3) 의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발신된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차량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리스트와 대조한다. 그리고, 수신한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위를 주행했을 때에 차량 (3) 에 전력을 송전할 수 있도록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전력을 공급한다 (후술하는「송전 액티브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전력이 공급된 상태이고 또한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가 작동된 상태에서 차량 (3) 이 이동하여,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위치하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실시된다. 그 후, 차량 (3) 이 이동하여,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로부터 멀어지면 급전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3) 의 ECU (34) 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때에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게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로 송신하게 한다. 게다가, ECU (34) 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가 차량 정보를 송신한 후에,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에게 차량 식별 정보를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로 송신하게 한다. 이 결과, 지상 급전 장치 (2) 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을 주행하는 동안에는 차량 식별 정보만을 협역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 밖의 차량 정보를 협역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것이 필요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차량 (3) 의 속도가 다소 빨라도, 지상 급전 장치 (2) 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다음으로, 도 7 ∼ 도 10 을 참조하여,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3), 서버 (91) 및 지상 급전 장치 (2) 사이의 통신 및 이 통신에 관한 차량 (3), 서버 (91) 및 지상 급전 장치 (2)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은,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3), 서버 (91) 및 지상 급전 장치 (2) 사이의 통신에 관한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3) 의 ECU (34) 는, 차량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취득한 차량 정보를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게 서버 (91) 로 광역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하게 한다 (스텝 S11).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정보는, 차량 식별 정보, 수전 장치 (5) 의 각종 파라미터,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 요구 전력 및 전력 전송에 관한 차량 (3) 의 그 밖의 정보를 포함한다. ECU (34) 는, 차량 식별 정보 및 수전 장치 (5) 의 각종 파라미터를 메모리 (342) 로부터 취득하고,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를 GNSS 수신기 (35) 로부터 취득한다. 또, ECU (34) 는, 차량 (3) 의 각종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 요구 전력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34) 는,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가 높을수록 차량 요구 전력을 작게 설정하고, 배터리 (32) 의 온도가 높을수록 차량 요구 전력을 작게 설정한다.
또, 차량 (3) 의 ECU (34) 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 차량 정보를 송신시킨다. 이 시간 간격은, 항상 일정하다. 혹은, 이 시간 간격은, 상황에 따라 변화해도 된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이 시간 간격은, 예를 들어, GNSS 수신기 (35) 로부터 취득된 차량 (3) 의 현재 위치로부터 스토리지 장치 (36) 에 기억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짧아지도록 설정된다.
서버 (91) 는, 서버 (91) 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차량 (3) 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각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스텝 S12). 구체적으로는, 서버 (91) 는, 각 차량 (3) 으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각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와, 서버 (91) 의 기억 장치 (912) 에 격납된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주위의 소정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상기「근방 영역」은, 예를 들어, 대상이 되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를 들어, 500 m) 이내의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혹은, 상기「근방 영역」은, 지상 급전 장치 (2) 를 향하는 차량 (3) 이 주행하는 차선에 대해서는, 대상이 되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소정의 제 1 거리 이내이고, 또한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멀어지는 차량 (3) 이 주행하는 차선에 대해서는, 대상이 되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제 1 거리보다 짧은 소정의 제 2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근방 영역」은, 차량 (3) 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넓어지는 영역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 차량 (3) 에 대해 어느 영역이「소정의 영역」으로서 설정되면,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보다 빠른 차량에 대해, 상기 어느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어느 영역보다 넓은 영역이「근방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이 경우, 차량 (3) 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 의해 차량 정보가 서버 (91) 를 통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될 때의, 차량 (3) 의 현재 위치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서버 (91) 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이 시간 간격은, 차량 (3) 의 ECU (34) 가, 서버 (91) 에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가장 짧은 시간 간격과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91) 는,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특정하면, 각 지상 급전 장치 (2) 에 특정된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3) 의 차량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 (92) 를 통하여 송신한다 (스텝 S13). 따라서, 각 지상 급전 장치 (2) 에는, 서버 (91) 로부터,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주위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정보가 송신된다. 이 때 송신되는 차량 정보에는, 차량 식별 정보 외에,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의 차량 (3) 에 대한 급전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서버 (91) 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수신한 차량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 리스트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의 등록·소거를 실시한다 (스텝 S14).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 (22) 는, 수신한 차량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식별 정보가 과부족 없이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상태가 되도록, 식별 정보 리스트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의 등록·소거를 실시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차량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소거하면, 서버 (91) 에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 (92) 를 통하여 송신시킨다 (스텝 S15). 컨트롤러 (22) 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차량 식별 정보를 서버 (91) 에 송신한다. 이 때, 컨트롤러 (22) 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차량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컨트롤러 (22) 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 새롭게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 및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소거된 차량 식별 정보만을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 (22) 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가 아니라, 식별 정보 리스트에 기재된 차량 식별 정보가 변화할 때마다, 차량 식별 정보를 서버 (91) 에 송신해도 된다.
서버 (91) 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3) 에,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다는 취지의 통지 (이하,「리스트 등록 통지」라고 한다) 를 송신한다 (스텝 S16).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스트 등록 통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송신된다. 리스트 등록 통지에는,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또는 설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결과,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그 차량 (3) 에는 리스트 등록 통지가 송신된다. 한편,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도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그 차량 (3) 에는 리스트 등록 통지가 송신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 차량 (3) 은, 자기의 차량 식별 정보가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 (91) 로부터 새롭게 등록 또는 소거된 차량 식별 정보만을 수신할 때에는, 서버 (91) 는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됐다는 취지 또는 소거됐다는 취지의 통지를, 이 차량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3) 에 송신한다.
그런데, 도 7 에 나타낸 동작 시퀀스도에서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의 등록/소거가 정해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는, 기본적으로,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외로 나왔을 때에,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소거된다. 그러나,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의 등록/소거는, 다른 요인에 기초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종료된 경우에는,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는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소거해도 된다. 또, 차량 (3) 으로부터, 특정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의 소거가 요구된 경우에는,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는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소거해도 된다.
도 8 은,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3), 서버 (91) 및 지상 급전 장치 (2) 사이의 통신에 관한, 도 7 과 동일한 동작 시퀀스도이다. 특히, 도 8 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종료된 후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차량 (3) 의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이 종료되면 (스텝 S21), 차량 (3) 의 ECU (34) 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게 수전 종료 정보를 서버 (91) 로 송신하게 한다 (스텝 S22). 수전 종료 정보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전 종료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 전력, 수전 효율, 및 수전 중 및 수전 전후에 있어서의 차량 (3) 의 수전에 관한 이상 검출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 수전 종료 정보는, 그 밖에도, 수전 기간 (예를 들어,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 전력량 등을 포함해도 된다. 수전 종료 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값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 중에 있어서의 차량측 센서 (37) 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ECU (34) 에서 산출된다.
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종료되면 (스텝 S23),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에게 송전 종료 정보를 서버 (91) 로 송신하게 한다 (스텝 S24). 송전 종료 정보는, 차량 (3) 에 대한 송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전 종료 정보는,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 차량 (3) 에 대한 송전 전력, 송전 효율, 및 송전 중 및 송전 전후에 있어서의 차량 (3) 의 송전에 관한 이상 검출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 송전 종료 정보는, 그 밖에도, 송전 기간 (예를 들어,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 차량 (3) 에 대한 송전 전력량 등을 포함해도 된다. 송전 종료 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값은, 차량 (3) 에 대한 송전 중에 있어서의 지상측 센서 (23) 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22) 에서 산출된다.
서버 (91) 는, 동일한 차량 (3) 의 동일한 기간에 대한 수전 종료 정보와 송전 종료 정보를 각각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수신하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대응하는 급전에 대한 급전 종료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25). 급전 종료 처리에서는, 수전 종료 정보 및 송전 종료 정보에 기초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 전력량의 산출, 산출된 급전 전력량에 기초하는 차량 (3) 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및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의 이상 진단 등이 실시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 전력량은,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 전력 및 차량 (3) 에 대한 송전 전력의 시간 추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또, 차량 (3) 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결제 계좌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 전력량에 따른 과금이 실시된다. 또, 송전 장치 (4) 및 수전 장치 (5) 의 이상 진단에서는, 예를 들어, 수전 종료 정보에 포함되는 수전 전력과, 송전 종료 정보에 포함되는 송전 전력 사이에 큰 차가 있는 경우에는, 송전 장치 (4) 또는 수전 장치 (5) 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또한, 급전 종료 처리는, 하나의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종료될 때마다, 따라서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가 하나의 송전 장치 (4) 위를 통과할 때마다 실시된다. 이 때문에, 급전 종료 처리에서는, 하나의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의 차량 (3) 에 대한 급전에 대해 급전 전력량 등의 산출이 실시된다. 그러나, 급전 종료 처리는, 복수의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종료될 때마다, 따라서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가 복수의 송전 장치 (4) 위를 통과할 때마다 실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급전 종료 처리에서는, 복수의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 차량 (3) 에 급전된 총 급전 전력량 등이 산출된다.
급전 종료 처리와는 관계 없이, 도 7 의 스텝 S11 과 동일하게 차량 (3) 으로부터 서버 (91) 에 차량 정보가 송신되고 (스텝 S26), 도 7 의 스텝 S12 와 동일하게 서버 (91) 는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스텝 S27). 그리고,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 어느 차량 (3) 에 대한 급전 종료 처리가 이미 실시되어 있으면, 서버 (91) 는 스텝 S27 에 있어서 특정된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의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로부터, 이미 급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삭제한다 (스텝 S28).
그 후, 서버 (91) 는,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특정된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 중 스텝 S28 에 있어서 삭제되어 있지 않은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각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한다 (스텝 S29). 차량 정보가 각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는, 도 7 의 스텝 S14 와 동일하게 식별 정보 리스트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의 등록·소거를 실시한다 (스텝 S30). 그 후, 도 7 의 스텝 S15 와 동일하게,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정보의 송신이 실시되고 (스텝 S31), 도 7 의 스텝 S16 과 동일하게, 리스트 등록 통지가 송신된다 (스텝 S32).
또, 서버 (91) 가, 차량 (3) 으로부터, 특정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요구 (예를 들어, 도 14 를 참조하여 후술하는「식별 정보 소거 요구」등) 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28 과 동일하게,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의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로부터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삭제되어도 된다.
이 결과, 도 8 에 나타내는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는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고 또한 그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급전이 종료되어 있지 않고 또한 식별 정보 소거 요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 (3) 은,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리스트 등록 통지를 수신한다.
도 9 는, 서버 (91) 에 있어서의,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처리는,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에 있어서, 일정 시간 간격마다 실행된다.
먼저,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는,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41). 각종 정보는, 각 차량 (3) 으로부터 수신하여 서버 (91) 의 기억 장치 (912) 에 격납되어 있던, 차량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수전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또, 각종 정보는, 각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수신하여 서버 (91) 의 기억 장치 (912) 에 격납되어 있던,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송전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는, 동일한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수전 종료 정보와 송전 종료 정보를, 각각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2). 스텝 S42 에 있어서 대응하는 수전 종료 정보와 송전 종료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는 상기 서술한 급전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3). 한편, 스텝 S42 에 있어서 대응하는 수전 종료 정보와 송전 종료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3 이 스킵된다.
이어서,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는, 스텝 S41 에 있어서 취득된 차량 (3) 의 차량 정보 (특히, 현재 위치 정보) 및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스텝 S44).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은, 예를 들어, 미리 서버 (91) 의 기억 장치 (912) 에 기억되어 있다.
이어서,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는,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 어느 차량 (3) 에 대한 급전 종료 처리가 이미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 스텝 S44 에 있어서 특정된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로부터, 이미 급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삭제한다 (스텝 S45). 그 후, 서버 (91) 의 프로세서 (913) 는,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특정된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 중 스텝 S45 에 있어서 삭제되어 있지 않은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각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한다 (스텝 S46).
도 10 은, 지상 급전 장치 (2) 에 있어서의,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처리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의 프로세서 (223) 에 있어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서버 (91) 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실행된다.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51), 프로세서 (223) 는, 수신한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정보와, 메모리 (342) 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리스트 내의 차량 식별 정보를 대조한다 (스텝 S52).
그 후, 프로세서 (223) 는, 스텝 S52 에 있어서 차량 식별 정보를 대조한 결과, 수신한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정보 중, 식별 정보 리스트에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았던 차량 식별 정보를 새롭게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한다 (스텝 S53). 게다가, 프로세서 (223) 는, 이미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던 차량 식별 정보 중, 서버 (91) 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차량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소거한다 (스텝 S54). 이 결과, 식별 정보 리스트에는, 항상 각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게 된다. 그 후, 프로세서 (223) 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정보를,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에게 통신 네트워크 (92) 를 통하여 서버 (91) 로 송신하게 한다 (스텝 S55).
<급전에 관한 차량 및 지상 급전 장치의 상태 및 동작>
다음으로, 도 11 ∼ 도 15 를 참조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에 관한,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 을 참조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실시될 때의,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의 동작 및 상태의 대략적인 추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은,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하여 급전이 실시될 때의 차량 (3) 및 지상 급전 장치 (2) 의 동작 및 상태의 추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차량 (3) 은 1 대밖에 없고, 지상 급전 장치 (2) 도 1 개밖에 없는 경우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 에 있어서 장방형은 차량 (3) 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를, 모서리가 둥근 사각은 차량 (3) 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최초의 상태에서는, 차량 (3) 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꽤 멀어져 있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외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차량 (3) 에도, 리스트 등록 통지는 송신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은, 당분간 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 (3) 의 상태는, 수전에 관한 기기에는 대기 전력만이 공급되고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슬리프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61). 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도 대기 전력만이 공급되고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슬리프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81).
그 후,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침입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된다 (스텝 S82). 또, 이에 수반하여, 차량 (3) 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통지하는 리스트 등록 통지를 수신한다 (스텝 S62).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전력이 공급되는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83). 수신 대기 상태에서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신호가 발신되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차량 (3) 이 리스트 등록 통지를 수신하면, 차량 (3) 의 상태는, 차량 (3) 의 수전에 관한 기기에 작동용의 전력이 공급됨과 함께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에 전력이 공급되어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발신되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63).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에서는,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위치하면,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수전할 수 있다.
그 후,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하여,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면 (스텝 S64),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송신되고,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송신된 이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84).
협역 무선 통신에서는 통신 범위가 좁기 때문에,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수신한 차량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처까지 도달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85). 송전 액티브 상태에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미약 전력이 공급된다.
그 후,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로 설정되고 또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접근하여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위치하면 (스텝 S65),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자계 공진 결합이 발생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된다. 이와 같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큰 전력이 공급되는 본송전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86). 이 때,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는 강력한 자계 공진 결합이 발생하고, 따라서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수전측 공진 회로 (51) 에 전력이 공급되고,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급전된다.
그 후, 차량 (3) 이 이동하여,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멀어지면 (스텝 S66),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발생하고 있던 자계 공진 결합이 약해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저하되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되는 전력이 저하되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로 되돌아온다 (스텝 S87).
그 후,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더욱 멀어져,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의 자계 공진 결합이 없어지면, 차량 (3) 에서는 수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스텝 S67). 수전 종료 처리에서는, 수전 종료 정보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값이 산출됨과 함께, 산출된 수전 종료 정보가 차량 (3) 으로부터 서버 (91) 에 송신된다. 또, 이 때 지상 급전 장치 (2) 에서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스텝 S88). 송전 종료 처리에서는, 송전 종료 정보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값이 산출됨과 함께, 산출된 송전 종료 정보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서버 (91) 에 송신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에서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되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대한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다시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89).
그 후,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으로부터 퇴출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소거된다 (스텝 S90). 또, 이에 수반하여, 차량 (3) 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통지하는 리스트 등록 통지를 수신하지 않게 된다 (스텝 S68).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소거되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에 급전이 필요한 차량 (3) 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점에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슬리프 상태로 되돌아온다 (스텝 S91). 또, 차량 (3) 이 리스트 등록 통지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차량 (3) 의 근처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는 없는 점에서, 차량 (3) 의 상태도 슬리프 상태로 되돌아온다 (스텝 S69).
<지상 급전 장치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 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12 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처에 위치하지 않을 때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 구체적으로는 슬리프 상태와 수신 대기 상태 사이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3 은,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처에 위치할 때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 구체적으로는, 수신 대기 상태와 송전 액티브 상태와 본송전 상태와 스탠바이 상태 사이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 에 있어서도, 장방형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를, 모서리가 둥근 사각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도 12 에 나타내는 슬리프 상태 (A11. 도 11 의 스텝 S81 및 스텝 S91 에 있어서의 상태) 에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에는 대기 전력만이 공급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컨트롤러 (22) 에만 필요 최저한의 대기 전력이 공급되고, 차량 (3) 에 대한 송전에 관한 다른 기기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지상측 센서 (23) 및 자계 검출기 (66) 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또, 컨트롤러 (22) 에도 작은 전력밖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슬리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에 관한 기기에 의한 소비 전력은 작다. 단,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슬리프 상태에 있을 때라도,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에는 전력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서버 (91) 로부터,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슬리프 상태 (A11) 에 있을 때에,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가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경우 (C11)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에 관한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되어, 이들 기기가 가동됨과 함께 이들 기기의 자기 진단이 실시된다 (B12).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 (22) 에는 컨트롤러 (22) 가 완전히 작동하는 데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됨과 함께,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지상측 센서 (23), 자계 검출기 (66) 등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 컨트롤러 (22) 에서는 자기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컨트롤러 (22),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및 지상측 센서 (23) 등의 자기 진단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기기의 가동 및 자기 진단이 완료되면 (C12),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는 수신 대기 상태 (A13. 도 11 의 스텝 S83 및 S89 에 있어서의 상태) 가 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 (A13) 에 있을 때에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전력이 공급되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컨트롤러 (22), 지상측 센서 (23) 및 자계 검출기 (66) 등에도 충분한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신호가 발신되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 (A13) 에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는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령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접근해도,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은 실시되지 않는다. 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는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 점에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소비 전력은 그렇게 크지 않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 (A13) 에 있을 때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하나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 경우 (C13), 차량 (3) 이 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에 오는 경우는 당분간 없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슬리프 상태 (A11) 로 되돌아온다.
한편,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 (A13) 에 있을 때에,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가까워지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발신된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C14).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에 포함된 차량 식별 정보가,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로서 컨트롤러 (22) 의 메모리 (222) 에 기억된다. 게다가,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차량 식별 정보와, 메모리 (222) 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가 대조된다 (B14).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는 사전에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및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를 통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되어 있는 점에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발신된 신호에 포함된 차량 식별 정보는 기본적으로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가 고장나는 것 등에 의해, 이러한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19)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실시되지 않고, 송전을 종료하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B19). 또,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차량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의 대조 중에, 후술하는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 (C19) 에도, 송전을 종료하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B19). 송전 종료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대조의 결과,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었을 경우 (C15) 에는, 다음으로,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한,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의 가로 어긋남의 유무가 검출된다 (B15).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면 이들 사이에서 급전 효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 (C20)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실시되지 않고, 송전을 종료하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B19). 또,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한 가로 어긋남의 유무의 검출 중에, 후술하는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 (C20) 에도, 송전을 종료하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B19).
한편,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가로 어긋남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 (C16) 에는, 후술하는 중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중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C18)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수신 대기 상태 (A13) 로부터 송전 액티브 상태 (A16. 도 11 의 스텝 S85 및 S87 에 있어서의 상태) 로 전환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A16) 에 있을 때에는, 수신 대기 상태 (A13) 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컨트롤러 (22), 지상측 센서 (23) 및 자계 검출기 (66) 등에 전력이 공급된다. 게다가, 이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미약 전력이 공급된다.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미약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접근하여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위치하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자계 공진 결합이 발생하여,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된다.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A16) 에 있을 때에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된 경우 (C21),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이동해 온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본송전 상태 (A17. 도 11 의 스텝 S86 에 있어서의 상태) 로 전환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본송전 상태 (A17) 에 있을 때에는, 수신 대기 상태 (A13) 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컨트롤러 (22), 지상측 센서 (23) 및 자계 검출기 (66) 등에 전력이 공급된다. 게다가, 이 때에는, 차량 (3) 에 대한 송전을 위해, 송전 액티브 상태 (A16) 에 비해 큰 전력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된다. 이 결과,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는 강력한 자계 공진 결합이 발생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로부터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에 큰 전력이 공급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때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량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요구 급전 전력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요구 급전 전력이 클수록,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되는 전력이 커진다. 요구 급전 전력은, 예를 들어 차량 (3) 의 속도가 느려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이 긴 경우,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 장치 (5) 에 대한 급전 중에 변화한다. 이 경우에는, 요구 급전 전력의 변화에 따라,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되는 전력도 변화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본송전 상태 (A17) 에 있을 때에,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흐르는 전류가 저하된 경우 (C22)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본송전 상태 (A17) 로부터 송전 액티브 상태 (A16) 로 전환된다. 게다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본송전 상태에 있을 때에, 후술하는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나 후술하는 중단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도,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A16) 로 전환된다. 이 결과,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 송전을 종료하는 경우나, 중단 조건이 성립되어 송전을 중단하는 경우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일시적으로 송전 액티브 상태 (A16) 가 되고, 따라서,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대한 공급 전력이 급격히 제로로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대한 공급 전력이 급격히 제로로 저하되는 것에 의한 송전측 공진 회로 (43) 등의 기기에 대한 부하가 저감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A16) 에 있을 때에 중단 조건이 성립된 경우 (C23), 또는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됐을 때에 중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C17)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 (A18) 로 전환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스탠바이 상태는, 기본적으로 수신 대기 상태와 동일한 상태이다.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 (A18) 에 있을 때에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컨트롤러 (22), 지상측 센서 (23) 및 자계 검출기 (66) 등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는 한편,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는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 (A18) 에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은 실시되지 않고, 또, 수신 대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소비 전력은 그렇게 크지 않다.
여기서, 중단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송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조건이다. 이하에, 중단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열거한 중단 조건 전부가 사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중단 조건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중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 (A18) 로 전환된다.
첫번째 중단 조건은,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급전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급전이 중지된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했을 때에도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한 가로 어긋남 검출이 실시된다 (B15). 이 경우,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크게 어긋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했을 때에 일단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 (C16) 에는, 그 후에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에 가로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해도 큰 가로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수전측 공진 회로 (51) 와 송전측 공진 회로 (43) 사이에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어 있는 것은, 송전을 종료하는 종료 조건이 아니라, 중단 조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단,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어 있는 것은, 송전을 종료하는 종료 조건으로 여겨져도 된다.
두번째 중단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와 서버 (91) 의 통신이 두절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는, 정기적으로 서버 (91) 와 통신하고, 예를 들어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정보 (특히, 요구 급전 전력 등) 를 수신한다. 그리고, 지상 급전 장치 (2) 는, 수신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3) 에 대한 송전을 실시한다. 따라서, 차량 (3) 의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되면, 지상 급전 장치 (2) 는 적절히 급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통신이 두절되어 있을 때에는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세번째 중단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의 온도, 특히 송전측 정류 회로 (41), 인버터 (42) 또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의 온도가 소정의 중단 기준 온도 이상인 것이다. 송전 장치 (4) 의 온도가 과잉으로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이러한 중단 조건이 성립되면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송전 장치 (4) 의 온도는, 지상측 센서 (23) (송전 장치 온도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네번째 중단 조건은, 송전 장치 (4) 위를 주행하는 차량 (3) 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중단 기준 속도 이상인 것이다. 차량 (3) 의 속도가 중단 기준 속도 이상이면 급전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중단 조건이 성립되면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차량 (3) 의 속도는, 예를 들어,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 장치 (5) 에 대한 급전 전력의 추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다섯번째 중단 조건은, 송전 장치 (4) 가 매립된 도로 상에, 이물질 또는 생체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것이다. 송전 장치 (4) 상에 이물질이나 생체가 존재하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자계가 변화하고, 이에 수반하여 급전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단 조건이 성립되면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송전 장치 (4) 가 매립된 도로 상의 이물질 또는 생체는 지상측 센서 (23) (이물질 센서, 생체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여섯번째 중단 조건은, 송전 장치 (4)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류, 전압) 이 미리 정해진 중단 기준값 이상인 것이다.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대한 공급 전력이 과잉으로 커지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단 조건이 성립되면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대한 공급 전력은, 지상측 센서 (23) (송전 장치 전류 센서, 송전 장치 전압 센서) 의 출력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 (A18) 에 있을 때에 상기 서술한 중단 조건이 어느 것도 성립되지 않게 된 경우 (C24) 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A16) 로 전환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A16) 에 있을 때에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 (C25),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 (A18) 에 있을 때에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 (C26) 등,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는,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B19. 도 11 의 스텝 S88 에 있어서의 동작).
송전 종료 처리에서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로부터 서버 (91) 에 송전 종료 정보가 송신된다. 송전 종료 정보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 (3) 에 대한 송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송전 종료 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값은 지상측 센서 (23) 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게다가, 송전 종료 처리에서는, B14 에서 나타내는 동작에 의해 지상 급전 장치 (2) 의 메모리 (222) 에 기억되어 있던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메모리 (222) 에서 소거한다. 송전 종료 처리가 완료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는, 수신 대기 상태 (A13) 로 전환된다.
여기서, 종료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송전을 종료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조건이다. 이하에, 종료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열거한 종료 조건 전부가 사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종료 조건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종료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송전 종료 처리가 실시된다.
첫번째 종료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에 가까워지고 있던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멀어진 것이 검출되는 것이다.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를 통과하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그 차량 (3) 에 더 이상 송전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이러한 종료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는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종료된다.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멀어진 것은, 임의의 수법으로 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가 발신한 신호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의해 수신되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멀어진 것이 검출된다. 또, 예를 들어,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자계 검출기를 차량 (3) 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송전 장치 (4) 의 후방에 배치하고, 이 자계 검출기에 의해 차량 (3) 의 교류 자계 발생 회로 (61) 로부터 발생된 교류 자계를 검출함으로써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멀어진 것이 검출되어도 된다.
두번째 종료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B14 에서 나타내는 동작에 있어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메모리 (222) 에 기억되어 있던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와는 상이한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것이다. 환언하면, 두번째 종료 조건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송전하고 있는 차량 (3) 또는 직전에 송전이 완료된 차량 (3) 과는 상이한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가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정도로 후속 차량이 다가오고 있는 경우에는, 송전 중인 차량과 후속 차량의 송전 정보의 혼동을 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종료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료 조건의 성립에 의해, 송전 종료 처리를 조기에 실시하면, 지상 급전 장치 (2) 의 메모리 (222) 에 기억되어 있던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메모리 (222) 에서 조기에 삭제할 수 있고, 따라서 후속 차량에 대한 송전이 개시되기 전에는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세번째 종료 조건은,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메모리 (222) 에 등록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종료 기준 시간 이상인 것이다. 경과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면, 차량 (3) 이 멀어진 것을 지상 급전 장치 (2) 가 검출할 수 없는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료 조건이 성립되면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종료된다. 또한, 세번째 종료 조건은, 차량 (3) 이 장기간에 걸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위를 점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조건이면, 다른 조건이어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세번째 종료 조건은,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메모리 (222) 에 등록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중,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송전 액티브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였던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것이어도 된다.
네번째 종료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차량 (3) 에 대한 송전에 관한 기기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지상 급전 장치 (2) 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적절히 급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종료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고장은,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차량 (3) 에 대한 송전에 관한 기기의 자기 진단 (B12 에서 나타내는 동작에 있어서도 실시되고 있다) 에 의해 검출된다.
다섯번째 종료 조건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의 외부로부터 종료 요구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에서 도로 공사가 개시된 경우나,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의 외부로부터 종료 요구가 지상 급전 장치 (2) 에 송신된다. 이러한 종료 요구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 외의 시스템으로부터 서버 (91) 에 송신되고, 서버 (91) 로부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1) 에 송신된다.
여섯번째 종료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결합 계수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것, 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송전 전력이 소정의 종료 기준값 이상인 것이다. 여기서, 결합 계수가 매우 큰 경우나 송전 전력이 매우 큰 경우에는, 송전 장치 (4) 나 수전 장치 (5) 에 과잉의 전류가 흘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결합 계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나, 송전 전력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송전을 종료함으로써, 송전 장치 (4) 나 수전 장치 (5) 에 과잉의 전류가 흐르는 것이 억제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송전 전력은, 예를 들어, 지상측 센서 (23) (송전 장치 전류 센서 및 송전 장치 전압 센서) 의 출력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일곱번째 종료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송전 전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 (3) 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액이 소정의 상한 과금액 이상이 된 것이다. 사용자에 대한 과금액은, 차량 (3) 에 대한 송전 중에 있어서의 송전 전력의 추이와 그 때의 단위 전력당 요금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산출된다. 또, 상한 과금액은, 미리 정해진 일정값이어도 되고, 차량 (3) 의 사용자에게 설정된 값이어도 된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인 경우에는, 상한 과금액은 차량 (3) 으로부터 송신되는 차량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여덟번째 종료 조건은, 차량 (3) 으로부터 후술하는 송전 정지 요구를 수신하고 있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3) 에 있어서 수전 장치 (5) 에 의한 수전을 중지 또는 차단시키는 중지 조건 또는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으면, 차량 (3) 의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로부터 송전 정지 요구가 송신된다. 이러한 중지 조건 또는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으면, 차량 (3) 에서는 더 이상 수전하지 않고,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를 차량 (3) 에 송전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 (3) 에 대한 송전이 종료된다.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 및 동작의 제어는, 컨트롤러 (22) 에 의해 실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에는, 컨트롤러 (22) 는, 지상측 센서 (23) 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중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러 (22) 는, 중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미약 전류가 공급되도록 인버터 (42) 를 제어한다.
<차량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차량 (3) 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는, 차량 (3) 의 상태 및 동작의 천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에 있어서도, 장방형은 차량 (3) 의 상태를, 모서리가 둥근 사각은 차량 (3) 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3) 의 상태는, 제 1 슬리프 상태 (A31) 와 제 2 슬리프 상태 (A35) 의 2 개의 슬리프 상태 (도 11 의 스텝 S61 및 S69 에 있어서의 상태) 를 취할 수 있다. 차량 (3) 의 상태가 이 중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 있을 때에는, 차량 (3) 의 수전에 관한 기기에는 대기 전력만이 공급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차량 (3) 의 ECU (34) 에만 필요 최저한의 대기 전력이 공급되고,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에 관한 다른 기기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및 차량측 센서 (37) 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또, ECU (34) 에도 작은 전력밖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 있을 때에는, 차량 (3) 의 수전에 관한 기기에 의한 소비 전력은 작다. 단,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 있을 때라도,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는 전력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는,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된 것을 통지하는 리스트 등록 통지를 서버 (91) 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서는,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사이의 릴레이 (38) 가 접속된다. 따라서,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가 접속되어, 수전 장치 (5) 가 수전하면 전력이 배터리 (32) 에 공급된다.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 있을 때에,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된 것을 통지하는 리스트 등록 통지를,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가 수신하고 또한 후술하는 중지 조건 및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C31) 에는, 차량 (3) 의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에 관한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되어, 이들 기기가 가동됨과 함께 이들 기기의 자기 진단이 실시된다 (B32). 구체적으로는, ECU (34) 에는 ECU (34) 가 완전히 작동하는 데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됨과 함께,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및 차량측 센서 (37) 등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 ECU (34) 에서는 자기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ECU (34),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및 차량측 센서 (37) 등의 자기 진단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기기의 가동 및 자기 진단이 완료되면, 차량 (3) 의 상태는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또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도 11 의 스텝 S63 에 있어서의 상태) 가 된다.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또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는, ECU (34) 및 차량측 센서 (37) 등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또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 차량 (3) 의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측 공진 회로 (43) 에 접근하여 송전측 공진 회로 (43) 상에 위치하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강력한 자계 공진 결합이 발생하여,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큰 전력을 수전한다. 한편,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또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강력한 자계 공진 결합이 발생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차량 (3) 이 이동하여 수전측 공진 회로 (51) 가 송전측 공진 회로 (43) 로부터 멀어지면, 자계 공진 결합이 해제되어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급전이 종료된다.
또,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에 있을 때에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및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에는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할 수 없다. 또,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가로 어긋남 검지용의 교류 자계를 발생시킬 수 없다. 한편,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및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에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는,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신하고,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는 가로 어긋남 검지용의 교류 자계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때에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근처를 주행하면,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에 있을 때에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및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점에서, 차량 (3) 의 소비 전력은 그렇게 크지 않다. 한편으로,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및 교류 전력 발생 회로 (64) 에 전력이 공급되는 점에서, 수전 액티브 상태 (A33) 에 비해 소비 전력이 크다.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에 있을 때에, 발신 정지 조건이 전부 성립되지 않게 된 경우 (C33) 에는, 차량 (3) 의 상태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로 전환된다. 한편,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 발신 정지 조건이 성립된 경우 (C34) 에는, 차량 (3) 의 상태는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로 전환된다.
여기서, 발신 정지 조건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의 신호의 발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조건이다.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72) 로부터의 신호의 발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함으로써,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82) 에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이 실시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 발신 정지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열거한 발신 정지 조건 전부가 사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발신 정지 조건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발신 정지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로 설정되고, 어느 것도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로 설정된다.
첫번째 발신 정지 조건은, 배터리 (32) 에 큰 전력을 유입시키는 다른 처리가 차량 (3) 에서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비접촉 전력 전송 이외의 방법으로 배터리 (32) 의 급속한 충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전력을 배터리 (32) 에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해 신호 발신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상기 다른 처리로는, 예를 들어, 차량 (3) 이 내연 기관에 의해서도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인 경우에는, 내연 기관의 시동 또는 정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처리는, 예를 들어, 차량 (3) 에 형성된 차량측 센서 (37) 의 출력 또는 ECU (34) 로부터 내연 기관 등에 대한 제어 지령 등으로부터 검출된다.
두번째 발신 정지 조건은, 차량 (3) 이 급제동 중인 것이다. 차량 (3) 이 급제동 중인 경우에는, 회생 전력에 의해 배터리 (32) 의 충전이 실시되므로,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전력을 배터리 (32) 에 동시에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해 신호 발신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차량 (3) 이 급제동 중인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차량 (3) 의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량 등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세번째 발신 정지 조건은, 차량 (3) 이 차선 변경 중인 것이다. 차량 (3) 이 차선 변경 중인 경우에는,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을 주행하고 있어도,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가로 어긋남이 크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해 신호 발신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차량 (3) 이 차선 변경 중인 것은, 예를 들어, 차량 (3) 에 형성된 전방 카메라 등 (도시 생략) 에 의해 촬영된 화상 등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네번째 발신 정지 조건은, 차량 (3) 이 좌우의 구획선에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좌우의 구획선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부근을 주행하고 있어도,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의 가로 어긋남이 크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해 신호 발신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차량 (3) 이 좌우의 구획선에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구획선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차량 (3) 에 형성된 전방 카메라 등 (도시 생략) 에 의해 촬영된 화상 등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다섯번째 발신 정지 조건은, 차량 (3) 에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의 자계 검출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이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에 의해 송전측 공진 회로 (43) 와 수전측 공진 회로 (51) 사이에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로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급전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로 어긋남이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해 신호 발신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여섯번째 발신 정지 조건은, 차량 (3) 의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서버 (91) 의 통신이 일정 시간 미만 두절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는 정기적으로 서버 (91) 와 통신하고, 예를 들어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정보 (특히, 요구 급전 전력 등) 를 송신한다. 그리고, 차량 (3) 의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없게 되면, 적절히 급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통신이 두절되어 있을 때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송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해 신호 발신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차량 (3) 에 가로 어긋남 검출 장치의 자계 검출기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차량 (3) 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보다 어느 정도 앞쪽에 자계 발생 회로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자계 검출기를 사용하여,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자계 검출기에 의해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에 접근한 것이 검지되어 있지 않은 것을 발신 정지 조건으로 해도 된다 (일곱번째 발신 정지 조건). 이로써, 차량 (3) 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접근했을 때에만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에 신호를 발신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또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 차량 (3) 의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가 리스트 등록 통지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즉 어느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도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게 되면 (C35),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로 되돌아온다.
한편, 차량 (3) 의 상태가 수전 액티브 상태 (A33) 또는 수전 액티브·신호 발신 상태 (A34) 에 있을 때에, 후술하는 중지 조건이 성립되어 있고 또한 수전 장치 (5) 가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 중이 아닌 경우, 또는 후술하는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C36) 에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로부터 서버 (91) 에, 나아가서는 대응하는 지상 급전 장치 (2) 에 식별 정보 소거 요구 및 송전 정지 요구가 송신된다.
식별 정보 소거 요구는, 대응하는 지상 급전 장치 (2) 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의, 당해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의 소거의 요구이다. 소거 요구의 대상이 되는 지상 급전 장치 (2) 는, 당해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지상 급전 장치 (2) 여도 되고, 당해 차량 (3) 의 현재 위치 부근에 위치하는 지상 급전 장치 (2) 만이어도 된다. 식별 정보 소거 요구를 수신한 지상 급전 장치 (2) 는, 그 지상 급전 장치 (2) 의 메모리 (222) 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리스트에서 그 차량 (3) 의 차량 식별 정보를 소거한다.
송전 정지 요구는, 대응하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차량 (3) 에 대한 급전을 정지하는 요구이다. 정지 요구의 대상이 되는 지상 급전 장치 (2) 는, 당해 차량 (3) 의 현재 위치 부근에 위치하는 지상 급전 장치 (2) 이다. 송전 정지 요구를 수신한 지상 급전 장치 (2) 는, 당해 차량 (3) 에 대한 송전을 실시하고 있을 때에는, 송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지상 급전 장치 (2) 에 대해 식별 정보 소거 요구 및 송전 정지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지상 급전 장치 (2) 의 상태를 불필요하게 슬리프 상태 (A11) 로부터 수신 대기 상태 (A13) 나 송전 액티브 상태 (A16) 로 전환할 필요가 없어져, 지상 급전 장치 (2) 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로부터 식별 정보 소거 요구 및 송전 정지 요구가 송신되면 (B13),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C37) 에는,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로 전환된다. 또, 차량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 있을 때에,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C38) 에도,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로 전환된다.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에 있을 때에는, 제 1 슬리프 상태 (A31) 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차량 (3) 에는 대기 전력만이 공급된다. 그러나,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에 있을 때에는, 릴레이 (38) 가 차단된다. 따라서,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의 접속이 차단되어, 수전 장치 (5) 는 실질적으로 수전할 수 없다.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에 있을 때에 차단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된 경우 (C39) 에는,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로 전환된다.
여기서, 차단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을 중지하는 것에 더하여,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가 차단이 필요하게 되는 조건이다. 이하에, 차단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열거한 차단 조건 전부가 사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차단 조건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차단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로 설정된다.
첫번째 차단 조건은,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가 충전율 한계값 이상인 것이다. 충전율 한계값은, 배터리 (32) 의 구조상 그 이상 배터리 (32) 에 충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미리 정해진 값이고, 예를 들어, 95 % 이상이다.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가 충전율 한계값 이상이 되면, 당분간은 배터리 (32) 에 대한 충전을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의 접속이 차단된다.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는, 차량측 센서 (37) (전류 센서) 에 의해 검출된 배터리 (32) 의 충전 전류값 및 방전 전류값에 기초하여, ECU (34) 에 있어서 산출된다.
두번째 차단 조건은, 배터리 (32) 의 온도가 배터리 한계 온도 이상인 것이다. 한계 온도는, 배터리 (32) 의 온도가 배터리 한계 온도 이상이 되면, 배터리 (32) 의 열화가 진행되는 온도이다. 배터리 (32) 의 온도가 배터리 한계 온도 이상이 되면, 배터리 (32) 의 온도의 상승을 초래하는 배터리 (32) 에 대한 충전을 당분간은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의 접속이 차단된다. 배터리 (32) 의 온도는, 차량측 센서 (37) (배터리 온도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세번째 차단 조건은,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의 온도, 특히 수전측 공진 회로 (51), 수전측 정류 회로 (54) 의 온도가 소정의 수전 장치 한계 온도 이상인 것이다. 수전 장치 한계 온도는, 수전 장치 (5) 의 온도가 그 이상 높아지면 수전 장치 (5) 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온도이다. 수전 장치 (5) 의 온도가 수전 장치 한계 온도 이상이 되면, 수전 장치 (5) 의 온도의 상승을 초래하는 수전 장치 (5) 의 사용을 당분간은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의 접속이 차단된다. 수전 장치 (5) 의 온도는, 차량측 센서 (37) (수전 장치 온도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네번째 차단 조건은, 수전 장치 (5) 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한계값 이상인 것 또는 수전 장치 (5) 에 가해지는 전압이 전압 한계값 이상인 것이다. 수전 장치 (5) 에 흐르는 전류 또는 수전 장치 (5) 에 가해지는 전압이 과잉으로 커지면, 수전 장치 (5) 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의 접속이 차단된다. 수전 장치 (5) 에 흐르는 전류 및 수전 장치 (5) 에 가해지는 전압은, 차량측 센서 (37) (전류 센서, 전압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다섯번째 차단 조건은, 차량 (3) 의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와 서버 (91) 의 통신이 일정 시간 이상 두절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는 정기적으로 서버 (91) 와 통신하고, 예를 들어 급전 중인 차량 (3) 의 차량 정보 (특히, 요구 급전 전력 등) 를 송신한다. 그리고, 차량 (3) 의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없게 되면, 적절히 급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이러한 통신이 일정 시간 이상 두절되어 있을 때에는, 일시적인 통신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의 접속이 차단된다.
또한, 차단 조건은, 후술하는 중지 조건에 비해 성립 빈도가 낮은 조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높은 전압이 가해지는 릴레이 (38) 의 접속 및 차단이 빈번하게 반복되면, 릴레이 (38) 에 있어서의 이상 발생의 요인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릴레이 (38) 의 차단이 실시되는 차단 조건을 성립 빈도가 낮은 조건으로 함으로써, 릴레이 (38) 에 있어서의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로부터 식별 정보 소거 요구 및 송전 정지 요구가 송신되면 (B13), 중지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C40) 에는,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로 전환된다.
여기서, 중지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을 중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조건이다. 이하에, 중지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열거한 중지 조건 전부가 사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중지 조건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중지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차량 (3) 의 상태가 제 1 슬리프 상태 (A31) 로 설정된다.
첫번째 중지 조건은,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가 충전율 기준값 이상 또한 충전율 한계값 미만인 것이다. 충전율 기준값은, 상기 서술한 충전율 한계값 미만의 미리 정해진 값이고, 예를 들어, 80 % 이상이다. 배터리 (32) 의 충전율 SOC 가 충전율 기준값 이상이 되면, 기본적으로 배터리 (32) 에 대한 충전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이 중지된다.
두번째 중지 조건은, 배터리 (32) 의 온도가 배터리 기준 온도 이상 또한 배터리 한계 온도 미만인 것이다. 배터리 기준 온도는, 상기 서술한 배터리 한계 온도 미만의 미리 정해진 온도이다. 배터리 (32) 의 온도가 배터리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배터리 (32) 의 온도가 배터리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배터리 (32) 에 대한 충전을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이 중지된다.
세번째 중지 조건은, 차량 (3) 의 수전 장치 (5) 의 온도, 특히 수전측 공진 회로 (51) 또는 수전측 정류 회로 (54) 의 온도가 소정의 수전 장치 기준 온도 이상 또한 수전 장치 한계 온도 미만인 것이다. 수전 장치 기준 온도는, 상기 서술한 수전 장치 한계 미만의 미리 정해진 온도이다. 수전 장치 (5) 의 온도가 수전 장치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수전 장치 (5) 의 온도가 수전 장치 기준 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수전 장치 (5) 의 사용을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이 중지된다.
네번째 중지 조건은, 배터리 (32) 의 허용 충전 전력이, 소정의 충전 전력 기준값 이상인 것이다. 배터리 (32) 의 허용 충전 전력이 작은 경우에는, 수전 장치 (5) 가 송전 장치 (4) 로부터 수전해도, 그 전력을 적절히 배터리에 공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이 중지된다. 배터리 (32) 의 허용 충전 전력은, 차량측 센서 (37) (배터리 온도 센서, 배터리 전류 센서 등) 의 출력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다섯번째 중지 조건은, 차량 (3) 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중지 기준 속도 이상인 것이다. 차량 (3) 의 속도가, 중지 기준 속도 이상이면 급전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 차량 (3) 에 대한 수전이 중지된다. 중지 기준 속도는, 상기 서술한 다섯번째 중단 조건에 있어서의 중단 기준 속도와 동일해도 된다. 차량 (3) 의 속도는, 차량측 센서 (37) (속도 센서) 에 의해 검출된다.
여섯번째 중지 조건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차량 (3) 의 수전 전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 (3) 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액이 소정의 상한 과금액 이상이 된 것이다. 사용자에 대한 과금액은,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 중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의 추이와 그 때의 단위 전력당 요금에 기초하여, ECU (34) 에 의해 산출된다. 또, 상한 과금액은, 미리 정해진 일정값이어도 되고, 차량 (3) 의 사용자에게 설정된 값이어도 된다.
일곱번째 중지 조건은, 사용자로부터의 중지 요구가 있는 경우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중지 요구는, 예를 들어, 차량 (3) 에 형성된 주행 중 급전의 필요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로부터 출력된다.
차량 (3) 의 상태 및 동작의 제어는, ECU (34) 에 의해 실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 (3) 의 상태가 제 2 슬리프 상태 (A35) 에 있을 때에는, ECU (34) 는, 차량측 센서 (37) 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ECU (34) 는, 차단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수전 장치 (5) 와 배터리 (32) 가 접속되도록 릴레이 (38) 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15 를 참조하여 수전 종료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는, 수전 종료 처리의 실행에 관한 작업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시된 처리는,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실시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ECU (34) 는, 현재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01). ECU (34) 는, GNSS 수신기 (35) 로부터 차량 (3) 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게다가, ECU (34) 는, 스토리지 장치 (36) 로부터 지도 정보를 취득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ECU (34) 는, 차량 (3) 의 현재 위치의 주위의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취득한다.
이어서, ECU (34) 는, 스텝 S101 에 있어서 취득한 현재 위치 정보 및 지상 급전 장치 (2) 의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3) 이 임의의 지상 급전 장치 (2) 위를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2).
스텝 S102 에 있어서 차량 (3) 이 임의의 지상 급전 장치 (2) 위를 통과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ECU (34) 는 수전 종료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103). 수전 종료 처리에서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1) 로부터 서버 (91) 에 수전 종료 정보가 송신된다. 수전 종료 정보는, 지상 급전 장치 (2) 로부터의 수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수전 종료 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값은 차량측 센서 (37) 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한편, 스텝 S102 에 있어서 차량 (3) 이 임의의 지상 급전 장치 (2) 위를 통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3 이 스킵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1 : 비접촉 급전 시스템
2 : 지상 급전 장치
3 : 차량
4 : 송전 장치
5 : 수전 장치
22 : 컨트롤러
34 : ECU
71 :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72 :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
81 :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
82 :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

Claims (18)

  1.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차량으로서,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 급전 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 급전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와,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때에,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 송신하게 하고, 또한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한 후에,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 무선 통신은, 통신 거리가 10 미터 이상인 통신이고, 상기 협역 무선 통신은, 통신 거리가 10 미터 미만인 통신인,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가, 배터리의 충전율, 배터리의 온도, 허용 충전 전력 및 차량 요구 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이용 요금을 청구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정보가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될 때의,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차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수신했을 때에는, 당해 차량이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가까워졌을 때에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를 기동시키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가 수신했을 때에는, 당해 차량이 상기 지상 급전 장치 위를 주행했을 때에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전 장치를 기동시키는, 차량.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 급전 장치가 작동되는 것 또는 작동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 그 지상 급전 장치에서 급전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의 리스트에, 당해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인, 차량.
  10. 차량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지상 급전 장치로서,
    차량 식별 정보를 협역 무선 통신으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와,
    상기 송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서 급전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차량 식별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이 당해 지상 급전 장치 위를 주행했을 때에 그 차량에 송전할 수 있도록 상기 송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지상 급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광역 무선 통신으로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차량 정보에 관련지어진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리스트에 등록하는, 지상 급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스트에 차량 식별 정보가 하나라도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를 작동시키는, 지상 급전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스트에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됐을 때에는,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그 차량 식별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등록됐다는 취지의 통지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게 하는, 지상 급전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주위의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지상 급전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주위의 상기 영역으로부터 나온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는 상기 리스트에서 소거되는, 지상 급전 장치.
  16. 차량과, 그 차량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실시하는 지상 급전 장치를 갖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은,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와,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와, 이들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 및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지상 급전 장치는,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와,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를 갖고,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는, 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고,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는, 협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와 직접 통신하고,
    상기 차량측 제어 장치는, 상기 지상 급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때에,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진 차량 정보를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로 송신하게 한 후에, 상기 차량측 제 2 통신 장치에게,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지상측 제 2 통신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급전 장치는, 상기 차량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와, 그 송전 장치를 제어하는 지상측 제어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 요구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지상측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요구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전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에 대한 비접촉 급전을 제어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당해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과 광역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을 실시함과 함께 상기 지상 급전 장치와 통신을 실시하는 서버를 추가로 갖고,
    상기 차량측 제 1 통신 장치는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지상측 제 1 통신 장치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량 정보가 상기 지상 급전 장치에 송신될 때의,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지상 급전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1020220069602A 2021-06-17 2022-06-08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20220169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1172A JP2023000393A (ja) 2021-06-17 2021-06-17 車両、地上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JP-P-2021-101172 2021-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406A true KR20220169406A (ko) 2022-12-27

Family

ID=8211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602A KR20220169406A (ko) 2021-06-17 2022-06-08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2389A1 (ko)
EP (1) EP4112363A1 (ko)
JP (1) JP2023000393A (ko)
KR (1) KR20220169406A (ko)
CN (1) CN115489348A (ko)
BR (1) BR102022010389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7686A (ja) 2017-03-17 2018-10-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307A (ko) * 2009-10-15 2011-04-21 한국과학기술원 세그먼트화된 전기자동차용 급전제어 방법 및 장치
JP5641027B2 (ja) * 2012-09-07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電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319667B2 (ja) * 2014-05-09 2018-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提供方法、課金処理方法、給電システム、給電コントローラ、給電装置、給電制御方法、管理サーバ、電気自動車および課金サーバ
JP2019037031A (ja) * 2017-08-10 2019-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及び該電動車両へ電力を送電する電力送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7686A (ja) 2017-03-17 2018-10-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2363A1 (en) 2023-01-04
BR102022010389A2 (pt) 2023-01-17
US20220402389A1 (en) 2022-12-22
CN115489348A (zh) 2022-12-20
JP2023000393A (ja)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05060A1 (en) Power supply management device and abnormality judgment method
KR20220169406A (ko) 차량, 지상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JP2023016542A (ja) 地上給電装置
KR20220168987A (ko)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EP4106146A1 (en) Ground power supply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ground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cording medium
EP4105062A1 (en) Vehicle, power supply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EP4106136A1 (en) Vehicle, method of control of power reception of vehicl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cording medium
EP4105061A1 (en) Ground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JP2023001045A (ja) 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23020384A (ja) 地上給電装置の制御装置
EP4105067A1 (en) Noncontact power supplying system
JP7435550B2 (ja) 車両
JP7355076B2 (ja) 信号発信機器及び信号送受信システム
US20230001805A1 (en) Server
JP2022190551A (ja) 移動体及び移動体の制御方法
JP2023006765A (ja) 異常検出装置
CN116890671A (zh) 非接触馈电系统、地面馈电设备和非接触馈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