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680A -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680A
KR20220168680A KR1020210078467A KR20210078467A KR20220168680A KR 20220168680 A KR20220168680 A KR 20220168680A KR 1020210078467 A KR1020210078467 A KR 1020210078467A KR 20210078467 A KR20210078467 A KR 20210078467A KR 20220168680 A KR20220168680 A KR 2022016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electrocardiogram
attached
refere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095B1 (ko
Inventor
김일환
강명주
임성남
김예진
이성숙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7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308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 적절한 수신기로 변환되게 하여 의사 혹은 심전도 기사가 착오로 잘못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더라도 전극의 위치와 상관없이 전극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고 신호를 전달 및 해석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는 6개의 흉부 전극(v1~v6)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aVR, aVL, aVF(right), aVF(lef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무선 블루투스의 전극부, 상기 전극부와 인접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및 상기 레퍼런스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Wireless ECG that does not cause errors as a result of abnormal electrode position}
본 발명은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는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의 표면에서 측정한 것으로, 피검사자에게 통증이나 부작용이 없는 비침습적인 검사를 통해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상에서 자주 사용된다.
또한, 상기 심전도는 심장의 이상 유무 확인, 협심증, 심근 경색, 부정맥 등 심장계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술한 다양한 심장계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12채널 심전도를 측정한다. 일례로, 종래에는 10개의 전극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12채널 심전도를 측정한다.
상기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신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들은 서로 유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복잡한 전선으로 인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는 동안에는 피검사자의 활동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밀 심전도 파형을 얻기 위해서는 V1~V6, 좌우/상하지, 총 10개의 전극을 신체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해야 하는 바, 신체의 양측 상하지의 경우 주로 색으로 구분하지만 시행하는 사람의 착각으로 종종 좌우/상하지가 헷갈려서 잘못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심전도 전극 V1~V6는 흉부 전극으로 우측흉부~좌측흉부까지 지정되어 있는 전극을 순서대로 오류없이 가슴에 부착해야 정확한 심전도 결과가 나오지만, 이 또한 전극의 위치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종종 잘못된 전극위치(V1~V6 위치 오류, 특히 좌우/상하지 전극 위치가 바뀌어서 엉터리 EKG 검사가 자주 발생)로 잘못된 심전도 결과가 나오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1537호(발명의 명칭: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2016. 08. 2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5780호(발명의 명칭: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2020. 06. 2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 적절한 수신기로 변환되게 하여 의사 혹은 심전도 기사가 착오로 잘못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더라도 전극의 위치와 상관없이 전극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고 신호를 전달 및 해석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는 6개의 흉부 전극(v1~v6)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aVR, aVL, aVF(right), aVF(lef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무선 블루투스의 전극부, 상기 전극부와 인접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및 상기 레퍼런스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는 상기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는 제1 레퍼런스와 제2 레퍼런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또는 상기 제2 레퍼런스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및 상기 제1 레퍼런스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레퍼런스가 이루는 각도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전극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퍼런스와 상기 제2 레퍼런스의 신호를 통해 흉부 전극 6개를 어떤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순서대로 V1~V6로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4개의 전극을 어느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곳으로 해석 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는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무선 블루투스의 전극부,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센서, 및 상기 레퍼런스 센서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센서는 버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퍼런스 센서의 온 동작으로 상기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센서는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제2 레퍼런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또는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및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가 이루는 각도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전극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의 신호를 통해 흉부 전극 6개를 어떤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순서대로 V1~V6로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4개의 전극을 어느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곳으로 해석 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에 따르면, 전극 간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고 신호의 전달 및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사 혹은 심전도 기사의 착오로 잘못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는 경우 심전도 결과가 잘못된 결과지로 출력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선이 없는 심전도 전극을 이용하여 장치를 단순화하고, 레퍼런스를 통해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적절한 수신기로 변환됨으로써 심전도 검사를 수행하는 의사 및 심전도 기사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의 전극 위치를 파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의 전극 위치를 파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의 전극 위치를 파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전극부(10), 레퍼런스(20), 및 심전도 측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10)에서 무선 블루투스로 전달되는 심전도 신호를 상기 심전도 측정부(30)를 통해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20)를 통해 각 전극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의 전극부(10)는 6개의 흉부 전극(V1~V6)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aVR, aVL, aVF(right), aVF(lef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11)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각 전극은 무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선은 없는 구조이다.
상기 각 전극은 전극 충전용 배터리와 배터리 충전용 전극, 및 블루투스 수신기를 포함하고, 충전된 각각의 전극이 심전도의 측정을 위해 피검사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20)는 전극부(10)와 인접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레퍼런스(20)는 피검사자가 위치하는 침상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전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부(30)는 레퍼런스(20)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피검사자가 위치하는 침상의 인접된 곳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30)를 배치하여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을 정해진 위치에 상관없이 피검사자의 신체에 부착하면, 상기 레퍼런스(20)에 의해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각 전극간의 위치를 상기 레퍼런스(20)로 인지하여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적절한 수신기로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각 전극에 적용하여 전극간의 상대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신호를 해석하고, 자체적으로 위치에 적합한 전극으로 생체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퍼런스(20)는 제1 레퍼런스(21)와 제2 레퍼런스(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또는 상기 제2 레퍼런스(22)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및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레퍼런스(22)가 이루는 각도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전극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퍼런스(21)는 피검사자의 머리와 인접한 침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퍼런스(22)는 피검사자의 발과 인접한 침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전극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상기 제2 레퍼런스(22)의 신호를 통해 흉부 전극 6개를 어떤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순서대로 V1~V6로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4개의 전극을 어느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곳으로 해석 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의 전극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피검사자의 우상지(오른쪽 팔)에 부착된 전극(aVR)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우상지 전극(aVR)간의 거리(r1)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레퍼런스(22)와 우상지 전극(aVR)간의 거리(r2)를 측정하며, 상기 우상지 전극(aVR)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제2 레퍼런스(22)가 이루는 각도(θ1)를 측정함으로써 우상지 전극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흉부 전극 중 6번째 전극(V6)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흉부 전극(V6)간의 거리(r1)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레퍼런스(22)와 흉부 전극(V6)간의 거리(r2)를 측정하며, 상기 흉부 전극(V6)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레퍼런스(21)와 제2 레퍼런스(22)가 이루는 각도(θ2)를 측정함으로써 흉부 전극(V6)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각 전극간의 상호간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흉부 전극 6개를 순서와 관계없이 부착하여도 순서대로 흉부 전극의 위치를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전극 4개를 순서와 관계없이 부착하여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위치로 해석한 다음,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심전도 결과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의 전극 위치를 파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전극부(10), 레퍼런스 센서(40), 및 심전도 측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10)에서 무선 블루투스로 전달되는 심전도 신호를 상기 심전도 측정부(30)를 통해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센서(40)를 통해 각 전극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의 전극부(10)는 6개의 흉부 전극(v1~v6)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aVR, aVL, aVF(right), aVF(lef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11)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각 전극은 무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선은 없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센서(40)는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레퍼런스 센서(40)는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 중 2개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전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부(30)는 레퍼런스 센서(40)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피검사자가 위치하는 침상의 인접된 곳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30)를 배치하여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을 정해진 위치에 상관없이 피검사자의 신체에 부착하면, 상기 레퍼런스 센서(40)에 의해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퍼런스 센서(40)는 버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퍼런스 센서(40)의 온 동작으로 상기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센서(40)는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제2 레퍼런스 센서(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또는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42)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및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42)가 이루는 각도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전극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제2 레퍼런스 센서(42)는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 중 2개의 전극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상기 레퍼런스 센서(40)가 모두 설치된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 중 2개의 전극에 설치된 레퍼런스 센서(40)를 온시켜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제2 레퍼런스 센서(42)로 특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42)의 신호를 통해 흉부 전극 6개를 어떤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순서대로 V1~V6로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4개의 전극을 어느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곳으로 해석 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의 전극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피검사자의 흉부 전극 중 1번째 전극(V1)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흉부 전극(V1)간의 거리(r1)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42)와 흉부 전극(V1)간의 거리(r2)를 측정하며, 상기 흉부 전극(V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제2 레퍼런스 센서(42)가 이루는 각도(θ1)를 측정함으로써 흉부 전극(V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흉부 전극 중 5번째 전극(V5)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흉부 전극(V5)간의 거리(r1)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42)와 흉부 전극(V5)간의 거리(r2)를 측정하며, 상기 흉부 전극(V5)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41)와 제2 레퍼런스 센서(42)가 이루는 각도(θ2)를 측정함으로써 흉부 전극(V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1)는 전극 간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고 신호의 전달 및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사 혹은 심전도 기사의 착오로 잘못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는 경우 심전도 결과가 잘못된 결과지로 출력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선이 없는 심전도 전극을 이용하여 장치를 단순화하고, 레퍼런스(20)를 통해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적절한 수신기로 변환됨으로써 심전도 검사를 수행하는 의사 및 심전도 기사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10: 전극부
11: 송신기 20: 레퍼런스
21: 제1 레퍼런스 22: 제2 레퍼런스
30: 심전도 측정부 40: 레퍼런스 센서
41: 제1 레퍼런스 센서 42: 제2 레퍼런스 센서
V1~V2: 흉부 전극
aVR, aVL, aVF(right), aVF(left): 좌우/상하지 전극
r1, r2: 거리
θ1, θ2: 각도

Claims (8)

  1. 6개의 흉부 전극(v1~v6)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aVR, aVL, aVF(right), aVF(lef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무선 블루투스의 전극부;
    상기 전극부와 인접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및
    상기 레퍼런스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는 상기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는 제1 레퍼런스와 제2 레퍼런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또는 상기 제2 레퍼런스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및 상기 제1 레퍼런스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레퍼런스가 이루는 각도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전극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퍼런스와 상기 제2 레퍼런스의 신호를 통해 흉부 전극 6개를 어떤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순서대로 V1~V6로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4개의 전극을 어느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곳으로 해석 후,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5.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송신기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무선 블루투스의 전극부;
    6개의 흉부 전극과 4개의 좌우/상하지 전극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각 위치를 파악하여 해석한 후, 상기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인지하고 해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센서; 및
    상기 레퍼런스 센서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각각의 상기 전극의 신호를 기초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센서는 버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퍼런스 센서의 온 동작으로 상기 각 전극간의 위치를 인지해서 각 전극이 스스로 부착된 위치에서 그 위치에 적합한 수신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센서는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제2 레퍼런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또는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전극이 이루는 거리, 및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가 이루는 각도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전극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퍼런스 센서와 상기 제2 레퍼런스 센서의 신호를 통해 흉부 전극 6개를 어떤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순서대로 V1~V6로 인지하고, 좌우/상하지 4개의 전극을 어느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전극들이 자체적으로 전극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곳으로 해석 후,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KR1020210078467A 2021-06-17 2021-06-17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KR10258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467A KR102581095B1 (ko) 2021-06-17 2021-06-17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467A KR102581095B1 (ko) 2021-06-17 2021-06-17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80A true KR20220168680A (ko) 2022-12-26
KR102581095B1 KR102581095B1 (ko) 2023-09-20

Family

ID=8454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467A KR102581095B1 (ko) 2021-06-17 2021-06-17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0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266A (ja) * 2000-04-18 2004-02-05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隔計測モニタリング用の無線システムプロトコル
KR101651537B1 (ko) 2015-08-24 2016-08-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75780A (ko) 2018-12-18 2020-06-26 김연선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266A (ja) * 2000-04-18 2004-02-05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隔計測モニタリング用の無線システムプロトコル
KR101651537B1 (ko) 2015-08-24 2016-08-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75780A (ko) 2018-12-18 2020-06-26 김연선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095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094B2 (en) Method for deriving standard 12-lead electrocardiogram, and electrocardiograph using the same
US66546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and-held computer EKG device
JP2008543453A (ja) 生体電位を決定するための電極及び方法
US9420973B1 (e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validating electrocardiogram
US20230337957A1 (en) Multi-sensor patch
US9107597B2 (e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electrocardiogram
JPH08206088A (ja) 解析装置
US6735464B2 (en) Electrocardiograph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device
US20220133213A1 (en) Multi-Sensor Patch
US85212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electrocardiogram
CN104720790B (zh) 多通道同步心电图机检定仪
KR20220168680A (ko) 전극 위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한 전극 구분없이 측정 가능한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US10433745B1 (en) Handheld ECG monitoring system with fault detection
EP0275811A1 (en) EKG sensor sheet
CN103705231B (zh) 动态心电信号捕获方法
CN215584196U (zh) 一种手套-袖套式心音-心电图综合评估装置
KR101891742B1 (ko)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3282939B1 (en) Alignment of a detachable monitoring device
CN110495873B (zh) 心电检测装置
CN219166389U (zh) 一种心率变异性检测仪
US20230255505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onitoring maternal and fetal heart rate
US20240099633A1 (e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pparatus
US20240065606A1 (e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pparatus
KR20230025371A (ko) 복수의 심전도 리드 신호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15590546A (zh) 一种手套-袖套式心音-心电图综合评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