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47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477A
KR20220168477A KR1020210078250A KR20210078250A KR20220168477A KR 20220168477 A KR20220168477 A KR 20220168477A KR 1020210078250 A KR1020210078250 A KR 1020210078250A KR 20210078250 A KR20210078250 A KR 20210078250A KR 20220168477 A KR20220168477 A KR 2022016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controller
screen data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학
성종우
권정운
임성근
이상호
진홍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어스
Priority to KR102021007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477A/ko
Publication of KR2022016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4Electronic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bar) 형태를 가지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1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바(bar) 형태를 가지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마트와 같은 매장에서는 판매중인 다수의 상품이 진열대에 진열된다. 이때 진열대에는 상품의 명칭, 가격, 유통기간 등과 같은 상품의 정보를 기록한 라벨이 부착되고, 손님들은 이를 통해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의 유통이 빠른 매장에서는 진열된 상품들이 빠른 시간 안에 판매되기 때문에, 라벨에 표시된 상품의 정보는 자주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쉽게 라벨에 표시된 상품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전자 가격 표시기(Electronic Shelf Label; ESL)와 같은 표시 장치가 매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매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가격 표시기는 진열대에 배치된 개별 상품의 하단에 위치하여, 대응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종류의 마케팅 기법이 개발됨에 따라, 더욱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가진 전자 가격 표시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형태를 가지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bar) 형태를 가지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바(bar) 형태를 가지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표시 장치에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관리하고, 상기 ID는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임을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초기에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될 때 상기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분할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화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위치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삭제 입력을 수신하면, 삭제 대상 가상 셀을 삭제하고,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위치하고,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위치하면,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위치한 가상 셀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 주변의 영상 및 음성을 수집하는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을 관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제1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분할 입력에 따라 화면을 복수 개의 가상 셀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매장의 진열대에 결합되어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에 관한 정보,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의 광고 영상 등을 표시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10), 제2 디스플레이(120) 및 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바(bar) 형태를 가진다. 즉, 제1 디스플레이(110)는 일방향의 길이가 타방향의 길이보다 긴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0)가 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표시 장치(100)가 진열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복수 개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110)가 표시하는 화면은 제어기(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제어기(13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제어기(130)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선로와 별도의 선로를 통해 터치 입력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바(bar) 형태를 가진다. 즉, 제2 디스플레이(120)는 일방향의 길이가 타방향의 길이보다 긴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20)가 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표시 장치(100)가 진열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복수 개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2 디스플레이(120)의 일단이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단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120)는 도 2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0)와 짧은 방향의 일단끼리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120)가 표시하는 화면은 제어기(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제어기(13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120)는 제어기(130)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선로와 별도의 선로를 통해 터치 입력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한다.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 후술되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매장에 위치한 복수 개의 표시 장치(100)들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200)는 대형 마트와 같은 물품을 대규모로 판매하는 매장의 서버일 수 있다. 즉, 대형 마트의 관리자는 관리 서버(200)를 통해 복수 개의 표시 장치(100)를 그룹핑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표시 장치(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표시 장치(100)의 제어기(130)로 화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가 표시 장치(100)의 제어기(13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면, 제어기(130)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매장에 위치한 복수 개의 표시 장치(100)들을 각각에 고유한 ID를 부여하고, 부여한 ID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표시 장치(100)들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가 부여하는 ID는 ID와 매칭된 표시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하는 장치임을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는 표시 장치(100)의 ID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하는 장치임을 식별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제어기(130)는 초기에 관리 서버(200)에 등록될 때, 관리 서버(200)로 표시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하는 장치임을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200)가 부여하는 아이디에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하는 장치임을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00)의 제어기(130)로 화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 장치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표시 장치(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표시 장치(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화면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선택된 화면을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200)는 선택된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데이터를 제어기(130)로 송신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화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그리고 나서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S320).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의 해상도가 1920*158이고, 제2 디스플레이(120)의 해상도가 1920*158일 때,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가 3840*158이면,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3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면,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로 분할 한다(S330).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의 해상도가 1920*158이고, 제2 디스플레이(120)의 해상도가 1920*158일 때,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가 3840*158이면, 제어기(130)는 3840*158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면 데이터를 1920*158의 해상도를 가지는 제1 분할 화면 데이터와 1920*158의 해상도를 가지는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130)는 제1 분할 화면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110)로 전송하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120)로 전송한다(S340).
반대로, 제어기(13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으면,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S350).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의 해상도가 1920*158이고, 제2 디스플레이(120)의 해상도가 1920*158일 때,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해상도가 1920*158인 화면 데이터 두 개이면,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3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면, 제어기(130)는 제1 분할 화면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110)로 전송하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120)로 전송한다(S340).
반대로, 제어기(13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으면, 제어기(1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잘못된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를 종료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제어기(130)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면,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제2 분할 화면 데이터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할 수 있다. 즉, 제어기(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동일한 시점에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영상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더라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복수 개의 가상 셀로 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분할 입력에 따라 화면을 복수 개의 가상 셀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에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복수 개의 가상 셀로 분할되기 이전의 모습이, 하단에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복수 개의 가상 셀로 분할된 이후의 모습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분할 입력을 수신하면, 제1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전체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할 수 있다.
분할 입력은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어떻게 분할할 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으로, 분할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가상 셀의 개수 또는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분할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분할 입력을 인가하면, 사용자 단말(300)이 관리 서버(200)를 통해 제어기(130)로 분할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분할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터치하여 분할 입력을 인가하면,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수신한 분할 입력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분할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전체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30)는 분할 입력이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총 6개의 가상 셀로 분할하는 입력이면, 제1 디스플레이(110)의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이 총 6개의 가상 셀을 가지도록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30)는 도 4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0)를 동일한 크기의 3개의 가상 셀(111, 112, 113)로 분할하고, 제2 디스플레이(120)를 동일한 크기의 3개의 가상 셀(121, 122, 123)로 분할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총 6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21, 122, 123)로 분할할 수 있다. 즉, 제어기(130)는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단에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복수 개의 가상 셀로 분할된 이후의 모습이, 하단에는 제1 디스플레이(110)의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가 삭제된 이후의 모습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 위치한 가상 셀(111, 112, 113, 121, 122, 12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삭제 입력을 수신하면, 삭제 대상 가상 셀을 삭제하고,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10)에 위치한 가상 셀(111, 112, 11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삭제 입력을 수신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제2 디스플레이(120)에 위치한 가상 셀(121, 122, 12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삭제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110)에 위치한 가상 셀(111, 112, 11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삭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삭제 입력을 인가하면, 사용자 단말(300)이 관리 서버(200)를 통해 제어기(130)로 삭제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삭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10)를 터치하여 삭제 입력을 인가하면, 제1 디스플레이(110)는 수신한 삭제 입력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삭제 입력을 수신하면, 삭제 입력의 대상인 삭제 대상 가상 셀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30)는 도 5의 상단부 도면 상의 제1 디스플레이(110)의 제일 우측에 위치한 가상 셀(113)을 삭제 대상 가상 셀(113)로 하는 삭제 입력을 수신하면, 삭제 대상 가상 셀(113)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130)는 삭제 대상 가상 셀(113)의 양 옆에 위치한 가상 셀(112, 12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기(130)는 삭제 대상 가살 셀(113)이 제1 디스플레이(110)에 위치할 때, 삭제 대상 가살 셀(113)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112, 121) 중 어느 하나가 제2 디스플레이(120)에 위치하면, 삭제 대상 가상 셀(113)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112, 121) 중 제2 디스플레이(120)에 위치한 가상 셀(121)이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30)는 도 5의 하단부 도면 상의 삭제 대상 가상 셀(113)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112, 121) 중 제2 디스플레이(120)에 위치한 가상 셀(121) 중 일부(121a)가 제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고, 나머지 일부(121b)가 제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도록,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121)이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각각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121)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를 각각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121)이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이 1:2이면,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121)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1:2로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를 각각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감지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모듈(140)은 표시 장치(100) 주변의 영상 및 음성을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 모듈(140)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표시 장치(10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 모듈(140)은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표시 장치(100)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여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모듈(140)은 수집한 영상 및 음성을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감지 모듈(140)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감지 모듈(140)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을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감지 모듈(140)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에 따라 제어기(130)로 다른 화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표시 장치 110: 제1 디스플레이
120: 제2 디스플레이 130: 제어기
140: 감지 모듈 200: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바(bar) 형태를 가지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바(bar) 형태를 가지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표시 장치에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관리하고,
    상기 ID는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임을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초기에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될 때 상기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제1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분할 화면 데이터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시키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분할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화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위치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삭제 입력을 수신하면, 삭제 대상 가상 셀을 삭제하고,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위치하고,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위치하면, 상기 삭제 대상 가상 셀의 옆에 위치한 가상 셀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위치한 가상 셀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크기를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위치하는 가상 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 주변의 영상 및 음성을 수집하는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수집한 영상 및 음성을 관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78250A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KR20220168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250A KR20220168477A (ko)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250A KR20220168477A (ko)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477A true KR20220168477A (ko) 2022-12-23

Family

ID=8453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250A KR20220168477A (ko)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0946A2 (en) User terminal, remot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9046926B2 (e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generating a frequency pattern to realize the sense of touch in a computing device
US20110128283A1 (en) Fil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JP46594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221700B (zh) 虚拟货架展示系统
US119547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JP2016218821A (ja) 販売情報利用装置、販売情報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87773B1 (ko) Ai카메라를 이용한 광고 송출 시스템
CN110895747A (zh) 商品信息识别、显示、信息关联、结算方法及系统
KR20210144156A (ko) 전자 가격 표시기 제어 방법
WO2020125598A1 (zh) 产品展示装置
CN111507741A (zh) 商品信息展示方法、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20168477A (ko) 표시 장치
WO202019576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と記録媒体
KR20220168478A (ko) 표시 장치
CN104978392A (zh) 输出内容的内容输出装置
CN111753614A (zh) 一种商品货架的监控方法和装置
US20240029596A1 (en) Electronic shelf labe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20210012686A1 (en)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Templat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Products
CN110612551A (zh) 信息显示装置、程序及信息显示方法
KR20210155105A (ko) 전자 가격 표시기
JP68293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US11756455B2 (e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with positioned virtual shelf labels and a method of positioning said virtual shelf labels
JP71906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CN112418994B (zh) 商品的导购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