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105A - 전자 가격 표시기 - Google Patents

전자 가격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105A
KR20210155105A KR1020200072163A KR20200072163A KR20210155105A KR 20210155105 A KR20210155105 A KR 20210155105A KR 1020200072163 A KR1020200072163 A KR 1020200072163A KR 20200072163 A KR20200072163 A KR 20200072163A KR 20210155105 A KR20210155105 A KR 2021015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ell
virtual
input
cells
electronic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종우
김현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어스
Priority to KR102020007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105A/ko
Priority to US17/796,355 priority patent/US20230106402A1/en
Priority to PCT/KR2020/013048 priority patent/WO2021256616A1/ko
Publication of KR2021015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분할 입력,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기는 분할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가상 셀 각각에 고유 코드를 할당하고,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 또는 고유 코드를 조절한다.

Description

전자 가격 표시기{ELECTRONIC SHELF LABEL}
본 발명은 전자 가격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자 가격 표시기에 표시되는 가상 셀 및 고유 코드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대형 마트와 같은 매장에서는 판매중인 다수의 상품이 진열대에 진열된다. 이때 진열대에는 상품의 명칭, 가격, 유통기간 등과 같은 상품의 정보를 기록한 라벨이 부착되고, 손님들은 이를 통해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의 유통이 빠른 매장에서는 진열된 상품들이 빠른 시간 안에 판매되기 때문에, 라벨에 표시된 상품의 정보는 자주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쉽게 라벨에 표시된 상품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전자 가격 표시기(Electronic Shelf Label; ESL)가 매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전자 가격 표시기는 가격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전자 가격 표시기는 기존의 종이라벨을 대체하여 상품 정보 표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기존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열대에 진열된 복수 개의 상품 각각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전자 가격 표시기(10)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통해 상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매장의 관리자는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에 맞게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위치시키고, PDA와 같은 단말 장치(20)를 이용해서 개별 전자 가격 표시기(10)와 진열된 상품 간의 매핑을 진행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고유번호와 매핑될 상품의 식별 코드를 바코드 또는 NFC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20)로 읽음으로써 매핑 정보를 관리 서버(30)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매핑된 상품의 정보를 관리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은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단말 장치(20)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개별 전자 가격 표시기(10)와 상품 간의 매핑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단말 장치(2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통해 표시될 상품 정보를 설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관리자는 하나의 진열대에 진열되는 상품 종류의 수에 따라 다른 개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배치해야 한다. 즉, 진열대에 진열되는 상품 종류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관리자는 진열대에 배치되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개수를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관리자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셀 및 고유 코드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원하는 대로 가상 셀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분할 입력,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분할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각각에 고유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또는 상기 고유 코드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은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2 가상 셀을 병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상기 제1 가상 셀의 고유 코드 및 상기 제2 가상 셀의 고유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간의 경계선 중 어느 하나의 경계선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가상 셀을 상기 터치 입력이 끝나는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일단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가상 셀의 타단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가상 셀을 분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가상 셀을 분할하여 생성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상기 제1 가상 셀의 고유 코드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다른 가상 셀들의 고유 코드와 겹치지 않게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가상 셀 또는 상기 제2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따라 상기 경계선을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가상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병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상기 제2 가상 셀의 고유 코드로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로부터 잠금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및 상기 고유 코드를 조절하지 않는 잠금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잠금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때 사용자로부터 잠금 해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또는 상기 고유 코드를 조절하는 일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면, 관리자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셀 및 고유 코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면, 관리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원하는 대로 가상 셀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기존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분할 입력을 수신한 경우,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고, 고유 코드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잠금 입력 및 잠금 해제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사용자는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사용자 중에서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관리하기 위해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소비자는 사용자 중에서 매장에서 상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제어기(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100)는 진열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가 세로보다 긴 바형태일 수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100)가 이와 같은 바형태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하나의 전자 가격 표시기(100)를 통해 복수 개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제어기(120)로 전달하고, 제어기(120)로부터 전달받은 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10)는 하나 이상의 가상 셀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제어기(12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한다. 제어기(12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 후술되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20)는 소비자 모드 또는 관리자 모드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소비자 모드는 소비자에게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전자 가격 표시기(100)가 소비자 모드로 동작할 때, 제어기(12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110)가 다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가격 표시기(100)가 소비자 모드로 동작할 때, 제어기(12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에 따라 후술되는 관리 서버(2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드는 사용자가 소비자 모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드이다. 관리자 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가상 셀로 분할하고, 분할된 가상 셀을 상품과 매칭시킬 수 있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는 하나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관리자 모드에서 관리자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셀을 분할 및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가격 표시기(100)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도 3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디스플레이(110)가 사용자로부터 분할 입력을 수신한다(S310). 분할 입력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을 어떻게 분할할 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으로, 분할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가상 셀의 개수 또는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입력은 디스플레이(110)의 2회 이상의 연속 터치 입력, 가상 키패드를 통한 숫자 입력, 템플릿 선택 입력 등 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120)는 분할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고(S320), 복수 개의 가상 셀 각각에 고유 코드를 할당한다(S330). 이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분할 입력을 수신한 경우,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고, 고유 코드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에는 분할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분할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이 생성된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분할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만일 분할 입력이 2회 이상의 연속 터치 입력이면, 제어기(120)는 연속 터치 입력의 횟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가상 셀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분할 입력이 가상 키패드를 통한 숫자 입력이면, 제어기(120)는 숫자 입력에 대응되는 개수의 가상 셀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분할 입력이 템플릿 선택 입력이면, 제어기(120)는 템플릿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셀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분할 입력이 4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을 포함하면, 제어기(120)는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을 4개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을 생성하고 나서, 제어기(120)는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각각에 고유 코드를 할당한다(S330).
고유 코드는 생성된 가상 셀 각각을 다른 가상 셀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코드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유 코드는 다른 가상 셀에 할당된 고유 코드와 겹치지 않도록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유 코드는 해당 전자 가격 표시기가 설치된 진열대가 매장 내에서 위치한 구역, 전자 가격 표시기의 진열대 상의 위치, 가상 셀의 순서 등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가격 표시기(100)가 설치된 진열대가 매장 내에서 C 구역에 위치하고, 전자 가격 표시기(100)가 진열대 상에서 위에서 3번째 층에 위치하고, 가상 셀이 전자 가격 표시기(100)에서 제일 왼쪽에 있으면, 고유 코드는 C3-1로 설정될 수 있다.
관리자는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각각에 할당된 고유 코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10)는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각각에 할당된 고유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에 고유 코드를 할당하고 나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40).
가상 셀 선택 입력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기(120)는 가상 셀 선택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선택된 가상 셀의 밝기가 선택되지 않은 가상 셀의 밝기 보다 밝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가상 셀을 다른 가상 셀로부터 구별할 수 있다.
가상 셀 조절 입력은 가상 셀을 병합, 분할, 크기 조절 또는 삭제하기 위한 입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상 셀 조절 입력은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 제1 가상 셀의 일단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타단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 제1 가상 셀과, 제1 가상 셀과 제2 가상 셀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가상 셀 또는 제2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 또는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어기(120)는 수신한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셀을 조절하고,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각각에 할당된 고유 코드를 조절한다(S350).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셀을 조절하고,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각각에 할당된 고유 코드를 조절하는 보다 상세한 방법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병합된 가상 셀이 표시된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제1 가상 셀과 제2 가상 셀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이라 판단되면, 제1 가상 셀과 제2 가상 셀을 병합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120)는 제1 가상 셀과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제1 가상 셀의 고유 코드 및 제2 가상 셀의 고유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도 5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두 번째 가상 셀(112)과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세 번째 가상 셀(113)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도 5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셀인 두 번째 가상 셀(112)과 제2 가상 셀인 세 번째 가상 셀(113)을 병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는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병합 전 제1 가상 셀(112)의 고유 코드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병합된 가상 셀이 표시된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간의 경계선 중 어느 하나의 경계선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제1 가상 셀과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간의 경계선 중 어느 하나의 경계선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이라 판단되면, 제1 가상 셀을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간의 경계선 중 어느 하나의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6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두 번째 가상 셀(112)과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세 번째 가상 셀(113)과 네 번째 가상 셀(114) 간의 경계선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도 6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셀인 두 번째 가상 셀(112)을 세 번째 가상 셀(113)과 네 번째 가상 셀(114) 간의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기(120)는 제1 가상 셀(112)을 세 번째 가상 셀(113)과 네 번째 가상 셀(114) 사이로 이동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분할된 가상 셀이 표시된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일단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타단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상 셀의 일단은 도면 상 제1 가상 셀의 상단부고, 제1 가상 셀의 타단은 도면 상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제1 가상 셀의 상단부 중 임의의 영역에서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하단부 중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가상 셀의 일단은 도면 상 제1 가상 셀의 하단부고, 제1 가상 셀의 타단은 도면 상 제1 가상 셀의 상단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제1 가상 셀의 하단부 중 임의의 영역에서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상단부 중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제1 가상 셀의 일단의 임의의 영역과 제1 가상 셀의 타단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이라 판단되면,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경계로 하여 제1 가상 셀을 분할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120)는 제1 가상 셀을 분할하여 생성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제1 가상 셀의 고유 코드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다른 가상 셀들의 고유 코드와 겹치지 않게 설정한다.
도 7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세 번째 가상 셀(113)의 상단부의 임의의 영역과 하단부의 세 번째 가상 셀(113)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셀인 세 번째 가상 셀(113)을 분할하여 두 개의 가상 셀(113, 115)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는 세 번째 가상 셀(113)을 분할하여 생성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셀(113)의 고유 코드를 세 번째 가상 셀(113)의 고유 코드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가상 셀(115)의 고유 코드를 다른 가상 셀들(111, 112, 113, 114)의 고유 코드와 겹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 가상 셀이 표시된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가상 셀 또는 제2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제1 가상 셀과 제2 가상 셀 사이의 경계선과 제1 가상 셀 또는 제2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이라 판단되면,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따라 경계선을 이동시킨다.
도 8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두 번째 가상 셀(112)과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세 번째 가상 셀(113)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세 번째 가상 셀(113)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셀인 두 번째 가상 셀(112)과 제2 가상 셀인 세 번째 가상 셀(113) 사이의 경계선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번째 가상 셀(112)의 크기는 확대되고, 세 번재 가상 셀(113)의 크기는 축소되도록 가상 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가상 셀을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따라 병합된 가상 셀이 표시된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상 셀의 일단은 도면 상 제1 가상 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제1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에서 시작하여 제1 가상 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제1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과 제1 가상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이라 판단되면, 제1 가상 셀과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제1 가상 셀을 삭제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120)는 제1 가상 셀과,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제2 가상 셀의 고유 코드로 설정한다.
도 9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셀 조절 입력으로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중 네 번째 가상 셀(114)의 임의의 영역과 네 번째 가상 셀(114)의 일단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도 9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셀인 네 번째 가상 셀(114)과 제2 가상 셀인 세 번째 가상 셀(113)을 병합하여 네 번째 가상 셀(114)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기는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제2 가상 셀인 세 번째 가상 셀(113)의 고유 코드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도 5 내지 도 9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하면, 관리자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 및 고유 코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셀을 조절할 때, 사용자는 잠금 입력을 통해 가상 셀이 잘못된 입력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잠금 입력 및 잠금 해제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잠금 입력을 수신하기 전 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해제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디스플레이(110)가, 하단에는 잠금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디스플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 입력은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및 고유 코드를 조절하지 않는 잠금 모드로 제어기(120)가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이다. 잠금 해제 입력은 제어기(120)가 잠금 모드로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때,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111, 112, 113, 114) 또는 고유 코드를 조절하는 일반 모드로 제어기(120)가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이다.
도 10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20)가 디스플레이(110)를 일반 모드로 제어할 때 사용자는 잠금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잠금 모드로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20)는 도 10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잠금 표시(111a, 112a, 113a, 114a)를 출력하여 잠금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10의 하단과 같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기(12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잠금 표시(111a, 112a, 113a, 114a)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일반 모드로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20)는 잠금 입력 또는 잠금 해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를 잠금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잘못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전자 가격 표시기 110: 디스플레이
120: 제어기 200: 관리 서버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분할 입력,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분할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가상 셀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각각에 고유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또는 상기 고유 코드를 조절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은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인
    전자 가격 표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2 가상 셀을 병합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상기 제1 가상 셀의 고유 코드 및 상기 제2 가상 셀의 고유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간의 경계선 중 어느 하나의 경계선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가상 셀을 상기 터치 입력이 끝나는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가격 표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일단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가상 셀의 타단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가상 셀을 분할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가상 셀을 분할하여 생성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상기 제1 가상 셀의 고유 코드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다른 가상 셀들의 고유 코드와 겹치지 않게 설정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가상 셀 또는 상기 제2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따라 상기 경계선을 이동시키는
    전자 가격 표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이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상 셀의 임의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가상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1 가상 셀과 이웃한 가상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 가상 셀을 병합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가상 셀과 상기 제2 가상 셀을 병합하여 생성된 가상 셀의 고유 코드를 상기 제2 가상 셀의 고유 코드로 설정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로부터 잠금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및 상기 고유 코드를 조절하지 않는 잠금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잠금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때 사용자로부터 잠금 해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가상 셀 선택 입력 또는 상기 가상 셀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셀 또는 상기 고유 코드를 조절하는 일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KR1020200072163A 2020-06-15 2020-06-15 전자 가격 표시기 KR20210155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63A KR20210155105A (ko) 2020-06-15 2020-06-15 전자 가격 표시기
US17/796,355 US20230106402A1 (en) 2020-06-15 2020-09-25 Electronic shelf label
PCT/KR2020/013048 WO2021256616A1 (ko) 2020-06-15 2020-09-25 전자 가격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63A KR20210155105A (ko) 2020-06-15 2020-06-15 전자 가격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05A true KR20210155105A (ko) 2021-12-22

Family

ID=7916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63A KR20210155105A (ko) 2020-06-15 2020-06-15 전자 가격 표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06402A1 (ko)
KR (1) KR20210155105A (ko)
WO (1) WO2021256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4723A (zh) * 2019-06-14 2022-01-28 赛斯-伊玛格标签有限责任公司 具有货架轨道子系统的电子货架标签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696A (en) * 1998-04-14 1999-10-12 Infovation System for tracking consumer exposure and for exposing consumers to different advertisements
US6232932B1 (en) * 1998-07-16 2001-05-15 Craig A. Thorn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odular reconfigurable multi-function displays for computer simulations
TWI394999B (zh) * 2009-01-09 2013-05-01 Prime View Int Co Ltd 多螢幕電子裝置
JP2011096039A (ja) * 2009-10-30 2011-05-12 Seiko Instruments Inc 情報表示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電子棚札システム
US20150095189A1 (en) * 2012-03-16 2015-04-02 In Situ Me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tracking and collating customer shopping selections
TWI478070B (zh) * 2012-08-29 2015-03-21 E Ink Holdings Inc 射頻識別與顯示功能並存的控制方法
US10129507B2 (en) * 2014-07-15 2018-11-13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f-checkout using product images
US11109692B2 (en) * 2014-11-12 2021-09-07 Rtc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rchandizing electronic displays
US20160189277A1 (en) * 2014-12-24 2016-06-30 Digimarc Corporation Self-checkout arrangements
KR20160106970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페타프레임 디지털 사이니지의 최적 템플릿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768933B1 (ko) * 2015-12-30 2017-08-17 주식회사 찬율 전자가격표시 시스템
KR20170081916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GB2562095B (en) * 2017-05-05 2020-07-15 Arm Kk An electronic label and methods and system therefor
US11019959B2 (en) * 2018-11-09 2021-06-01 Cleveland Range, Llc Tim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food holding devices
KR20210144155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라인어스 터치 입력이 가능한 바형태 전자 가격 표시기
KR20210144156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라인어스 전자 가격 표시기 제어 방법
KR20220004367A (ko) *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라인어스 전자 가격 표시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6402A1 (en) 2023-04-06
WO2021256616A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914B2 (en) Continuous display shelf edge label device
US8982155B2 (e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BR112015023437B1 (pt) Dispositivo de etiquetagem de borda de prateleira de mostrador contínuo
US20110102144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CN101261628A (zh) 利用角度图显示层级结构数据的方法、交互方法及其装置
KR20210144156A (ko) 전자 가격 표시기 제어 방법
US20140207606A1 (en) Product design system
CN106779576A (zh) 一种业务字段的配置方法
KR20210155105A (ko) 전자 가격 표시기
JP6669194B2 (ja) 電子棚札、表示システム、商品陳列棚及び表示方法
US20220398529A1 (en) Bar type electronic shelf label capable of touch input
KR20210144157A (ko) 전자 가격 표시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33268A (ko) 정보 표시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표시 방법
CN110322537B (zh) 一种幻灯片过渡动画编辑方法和相关装置
CN106558154B (zh) 选择显示装置和选择显示方法以及存储介质
KR101768933B1 (ko) 전자가격표시 시스템
JP2007115034A (ja) レジスタ装置
CN107147930B (zh) Pos终端、pos系统及其视频数据传输方法
US11908050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20277264A1 (en) Merchandise management system, merchandise management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220168477A (ko) 표시 장치
JP2007115035A (ja) レジスタ装置
JP6092757B2 (ja) 棚割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220168478A (ko) 표시 장치
JP2019075158A (ja) スライド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スライド情報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