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356A -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356A
KR20220168356A KR1020210077981A KR20210077981A KR20220168356A KR 20220168356 A KR20220168356 A KR 20220168356A KR 1020210077981 A KR1020210077981 A KR 1020210077981A KR 20210077981 A KR20210077981 A KR 20210077981A KR 20220168356 A KR20220168356 A KR 2022016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ll
cylindrical case
inclined surface
cc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981B1 (ko
Inventor
신경익
Original Assignee
(주)윈투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투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윈투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7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2
    • H04N5/22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CCTV의 촬영 각도를 지형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에 관한 것으로, 후단이 밀폐되고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로 눈 또는 비가 직접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상부 덮개;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볼 지지대에 의해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볼 바디; 상기 볼 바디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볼 체결부; 및 상측에 상기 볼 체결부가 설치되며,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볼헤드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CCTV WITH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CCTV의 촬영 각도를 지형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일부 장소에서는 특정 구역 내의 상황을 감시 또는 관찰하기 위하여 CCTV 시스템이 설치되는 바, 상기 CCTV 시스템은 상기 특정 구역 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함과 동시에 녹화해줌으로 써 일정 시간 동안 특정 구역 내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CCTV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
CCTV 시스템 중 아날로그 CCTV 시스템은 아날로그 감시카메라 및 이에 장착된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감지센서에 의해 감시물이 나타난 것을 감지하고, VTR(Video Tape Recorder)에 연결된 모니터를 관리자가 항상 보고 있다가 감시물이 나타난 경우 비디오 테이프에 아날로그영상을 녹화하거나 관리자의 감시없이 예약된 시간 동안 녹화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디지털 CCTV 시스템은 아날로그 감시카메라를 디지털 감시카메라로 교체하고 기존 네트워크 케이블 환경을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여 DVR(Digital Video Recorder)에 녹화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6018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068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CCTV의 촬영 각도를 지형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는, 후단이 밀폐되고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로 눈 또는 비가 직접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상부 덮개;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볼 지지대에 의해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볼 바디; 상기 볼 바디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볼 체결부; 및 상측에 상기 볼 체결부가 설치되며,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볼헤드 받침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 체결부는, 상기 볼 바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볼 바디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볼 바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환형 턱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 바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볼 지지대가 이동하기 위한 절개부가 일측을 따라 형성하는 볼 컵; 및 상기 볼 컵의 하부 외측을 덮고 설치되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볼 컵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볼 바디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볼 체결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는, 상기 볼헤드 받침대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케이스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지지부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상기 볼헤드 받침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회동 하우징; 상기 회동 하우징에서 후단 일측 및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과 대향하는 전단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단 체결홈이 형성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하단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회동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턱; 및 상단이 상기 거치턱에 형성되는 상단 체결홈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하단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볼헤드 받침대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회동 하우징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기어는,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휠;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CCTV의 촬영 각도를 지형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촬영하여 획득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보다 고화질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영상의 획득으로 인한 정보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10)는, 원통형 케이스(100), 상부 덮개(200), LED 모듈(300), 카메라(400), 볼 바디(500), 볼 체결부(600) 및 볼헤드 받침대(700)를 포함한다.
원통형 케이스(100)는, 후단이 밀폐되고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 LED 모듈(300)과 카메라(400) 등의 촬영을 위한 각종 촬영 장치들이 설치되고, 상측에 상부 덮개(200)가 설치되고, 후단에 설치되는 볼 바디(50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
상부 덮개(200)는, 원통형 케이스(100)로 눈 또는 비가 직접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원통형 케이스(100)의 상측을 덮고 설치된다.
LED 모듈(300)은, 원통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원통형 케이스(100)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전면을 따라 설치되는 LED 소자(310)들이 발광하여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카메라(400)는, LED 모듈(30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 또는 영상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한다.
볼 바디(500)는, 볼 체결부(600)의 내측에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볼 지지대(510)에 의해 원통형 케이스(1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볼 체결부(600)는, 볼 바디(500)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볼 체결부(600)는, 볼 컵(610) 및 볼 체결링(620)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컵(610)은, 볼 바디(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볼 바디(500)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볼헤드 받침대(700)의 상측에 설치되되, 볼 바디(5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 바디(500)의 직경보다 작은 환형 턱(611)이 상부에 형성되며, 볼 바디(500)가 회전함에 따라 볼 지지대(510)가 이동하기 위한 절개부(612)가 일측을 따라 형성한다.
볼 체결링(620)은, 볼 컵(610)의 하부 외측을 덮고 설치되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 컵(610)에 안착되어 있는 볼 바디(5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여기서, 볼 체결링(620)은, 일반적인 볼 헤드를 체결하기 위한 링 형태의 체결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체결 방법의 생략은 생략하기로 한다.
볼헤드 받침대(700)는, 상측에 볼 체결부(600)가 설치되며,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볼트홈(710)을 따라 볼트 등의 체결 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벽체 또는 전봇대 등의 설치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10)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CCTV의 촬영 각도를 지형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촬영하여 획득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보다 고화질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영상의 획득으로 인한 정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20)는, 원통형 케이스(100), 상부 덮개(200), LED 모듈(300), 카메라(400), 볼 바디(500), 볼 체결부(600), 볼헤드 받침대(700) 및 케이스 지지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통형 케이스(100), 상부 덮개(200), LED 모듈(300), 카메라(400), 볼 바디(500), 볼 체결부(600) 및 볼헤드 받침대(7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 지지부(800)는, 볼헤드 받침대(700)와 원통형 케이스(100)의 전단 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원통형 케이스(1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지지부(800)는, 회동 하우징(810), 지지 블록(820), 블록 지지부(830), 거치턱(840) 및 케이스 지지대(8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하우징(810)은, 절개부(612)가 형성되는 볼헤드 받침대(700)의 일측 상부에 지지 블록(8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블록(8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다.
지지 블록(820)은, 블록 지지부(83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회동 하우징(810)에서 후단 일측 및 타측(823)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원통형 케이스(100)의 전단 하측과 대향하는 전단 상측을 따라 케이스 지지대(850)의 하단이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단 체결홈(822)이 형성된다.
블록 지지부(830)는, 지지 블록(820)의 하단(821)과 이에 대향하는 회동 하우징(810)의 바닥면(811)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블록(820)을 지지함으로써,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블록(820)을 상승시켜 주는 동시에 케이스 지지대(850)를 통해 원통형 케이스(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지지 블록(820)의 하단(821)과 이에 대향하는 회동 하우징(810)의 바닥면(811)은, 케이스 지지대(85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수직 방향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 지지대(850)의 지지 각도와 직각이 되도록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거치턱(840)은, 원통형 케이스(100)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지지 블록(820)과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후단에 케이스 지지대(850)의 상단이 삽입되어 설치되기 위한 상단 체결홈(841)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 체결홈(822)과 상단 체결홈(841)은, 지지대(850)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 지지대(850)는, 상단이 거치턱(840)에 형성되는 상단 체결홈(841)에 삽입되고, 하단이 하단 체결홈(822)에 삽입되어 볼헤드 받침대(700)와 원통형 케이스(100)의 전단 하측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지지대(850)는, 원통형 케이스(100)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결정되는 볼헤드 받침대(700)와 원통형 케이스(100)의 전단 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준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20)는, 촬영 각도가 조절된 원통형 케이스(100)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결정된 볼헤드 받침대(700)를 체결하여 원통형 케이스(100)를 지지함으로써, 볼 바디(500)와 볼 체결부(600) 간의 체결이 느슨해 짐에 따라 원통형 케이스(100)가 기울어져 촬영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9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9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9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블록(820)의 하단(821)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이 형성되며, 1 측면 지지 프레임(9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9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920a)을 형성하며, 제1 상부 경사면(920a)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의 제1 하부 경사면(95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의 절곡 프레임 바디(921), 수직 지지 바아(9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9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은, 절곡 프레임 바디(921), 수직 지지 바아(9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923)을 포함한다.
절곡 프레임 바디(921)는,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제1 렉기어(956)가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920a)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 바아(922)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수직 지지 바아(92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절곡 프레임 바디(9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921a)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923)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완충 스프링(923)은,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 바아(922)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절곡 프레임 바디(921)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은,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930a)을 형성하며, 제2 상부 경사면(930a)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의 제2 하부 경사면(96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제2 지지 플레이트(94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회동 하우징(810)의 바닥면(811)을 지지하며, 상측에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은,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1 상부 경사면(920a)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95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1 하부 경사면(950a)이 제1 상부 경사면(920a)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 바디(951), 바디 상부 지지대(952), 제1 스프링(953), 제2 스프링(954), 제3 스프링(955), 제1 렉기어(956), 제2 렉기어(9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958)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은, 지지 프레임 바디(951), 바디 상부 지지대(952), 제1 스프링(953), 제2 스프링(954), 제3 스프링(955), 제1 렉기어(956), 제2 렉기어(9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9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바디(951)는,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941)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하부 경사면(950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951)는, 상부 슬라이딩홈(94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부 슬라이딩홈(94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상부 지지대(952)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91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 프레임 바디(9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9511)에 삽입 설치되어 제1 스프링(953)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상부 지지대(952)는, 하부 슬라이딩홈(91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하부 슬라이딩홈(9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프링(953)은, 상부 지지홈(951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952)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바디 상부 지지대(952)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스프링(954)은, 상부 슬라이딩홈(94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 바디(951)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제3 스프링(955)은, 하부 슬라이딩홈(91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952)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즉, 제2 스프링(954)과 제3 스프링(955)은, 지지 프레임 바디(951)과 바디 상부 지지대(95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측 방향, 즉 제2 상부 경사면(930a)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이 상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을 극복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을 통해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제1 렉기어(956)는, 간격 지지 기어(958)를 사이에 두고 제2 렉기어(957)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상부 경사면(92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9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렉기어(957)는, 간격 지지 기어(958)를 사이에 두고 제1 렉기어(956)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하부 경사면(95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9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 기어(958)는, 제1 렉기어(956)와 제2 렉기어(9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렉기어(956) 및 제2 렉기어(957)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9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어(958)는, 기어 본체(9581), 제1 가이드 휠(9582) 및 제2 가이드 휠(958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본체(9581)는, 제1 렉기어(956)와 제2 렉기어(9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1 가이드 휠(9582)이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가이드 휠(9583)이 연결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휠(958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958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9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렉기어(9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9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L1)에 안착된다.
제2 가이드 휠(958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958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9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제1 렉기어(9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L3) 제3 슬라이딩 유도홈(L3)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9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L4)에 안착된다.
즉, 간격 지지 기어(958)는, 절곡 프레임 바디(9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렉기어(956)와 제2 렉기어(957)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951)를 이동시키거나, 지지 프레임 바디(951)가 각 스프링(954, 955)들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절곡 프레임 바디(9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2 상부 경사면(930a)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96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2 하부 경사면(960a)이 제2 상부 경사면(93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900)는, 케이스 지지대(850)를 통해 원통형 케이스(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촬영이 흔들림 없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케이스 지지대(85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100: 원통형 케이스
200: 상부 덮개
300: LED 모듈
400; 카메라
500: 볼 바디
600: 볼 체결부
700: 볼헤드 받침대
800: 케이스 지지부

Claims (6)

  1. 후단이 밀폐되고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로 눈 또는 비가 직접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상부 덮개;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볼 지지대에 의해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볼 바디;
    상기 볼 바디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볼 체결부; 및
    상측에 상기 볼 체결부가 설치되며,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볼헤드 받침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체결부는,
    상기 볼 바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볼 바디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볼 바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환형 턱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 바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볼 지지대가 이동하기 위한 절개부가 일측을 따라 형성하는 볼 컵; 및
    상기 볼 컵의 하부 외측을 덮고 설치되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볼 컵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볼 바디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볼 체결링;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헤드 받침대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케이스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지지부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상기 볼헤드 받침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회동 하우징;
    상기 회동 하우징에서 후단 일측 및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과 대향하는 전단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단 체결홈이 형성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하단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회동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턱; 및
    상단이 상기 거치턱에 형성되는 상단 체결홈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하단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볼헤드 받침대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전단 하측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회동 하우징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KR1020210077981A 2021-06-16 2021-06-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KR10249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81A KR102494981B1 (ko) 2021-06-16 2021-06-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81A KR102494981B1 (ko) 2021-06-16 2021-06-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56A true KR20220168356A (ko) 2022-12-23
KR102494981B1 KR102494981B1 (ko) 2023-02-06

Family

ID=8453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81A KR102494981B1 (ko) 2021-06-16 2021-06-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9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89Y1 (ko) 2003-07-23 2003-10-17 성훈전자(주) 감시카메라용 렌즈커버
KR200416965Y1 (ko) * 2006-03-08 2006-05-22 김민수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419680Y1 (ko) * 2006-03-31 2006-06-23 손영호 Cctv용 카메라의 각도 및 길이조절장치
KR20080102713A (ko) * 2007-05-22 2008-11-26 한덕희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2260186B1 (ko) 2020-12-24 2021-06-04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촬영이 가능한 cctv용 ptz 카메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89Y1 (ko) 2003-07-23 2003-10-17 성훈전자(주) 감시카메라용 렌즈커버
KR200416965Y1 (ko) * 2006-03-08 2006-05-22 김민수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419680Y1 (ko) * 2006-03-31 2006-06-23 손영호 Cctv용 카메라의 각도 및 길이조절장치
KR20080102713A (ko) * 2007-05-22 2008-11-26 한덕희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2260186B1 (ko) 2020-12-24 2021-06-04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촬영이 가능한 cctv용 ptz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981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49113B (zh) 一种物体位置捕捉系统及物体运动轨迹捕捉方法
US20140347440A1 (en) Omnidirectional Vehicle Camera System
US10166949B1 (en) Vehicle safety and security system
CN206878992U (zh) 一种联动的车载全景摄像机
EP1765014A3 (en)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CN204859328U (zh) 双目教育跟踪摄像机
JP2008538474A (ja) 自動化監視システム
KR101864388B1 (ko) Cctv 카메라 시스템에서 어레이 마이크를 사용한 소음의 노이즈가 상쇄된 이상 음원 탐지 시스템 및 방법
JP6528771B2 (ja) 撮影装置
JP2008541530A (ja) カメラマウントにおけるまたはこれに関する改良
KR10249498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KR100991104B1 (ko) 투광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전방위 방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방위 방범 방법
KR101574667B1 (ko) 음향센서를 이용한 녹음기능이 구비된 cctv용 음원추적장치
KR101839307B1 (ko) 어안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506350B1 (ko) Cctv 설치 구조
KR101494869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KR100709783B1 (ko)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CN112243110B (zh) 全景目标轨迹记录方法
KR200449977Y1 (ko) 실린더를 이용한 카메라 높이 조절 장치
WO2017166741A1 (zh) 一种云台摄像机和具有该云台摄像机的联动相机
KR20140146871A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WO20110873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camera mirrored panoramic imaging
KR101440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373456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모션 검출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