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935A -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 Google Patents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935A
KR20220167935A KR1020210077280A KR20210077280A KR20220167935A KR 20220167935 A KR20220167935 A KR 20220167935A KR 1020210077280 A KR1020210077280 A KR 1020210077280A KR 20210077280 A KR20210077280 A KR 20210077280A KR 20220167935 A KR20220167935 A KR 20220167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ensor
lens
led
led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233B1 (ko
Inventor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주)보승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승전기 filed Critical (주)보승전기
Priority to KR102021007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발명으로, 이 발명의 기본이 되는 일체형 조명보드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판 형상의 보드(100); 상기 보드(100)의 일면에 결합되는 LED소자(200); 상기 LED소자의 외곽을 감싸는 렌즈(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All-in-one lighting board with detachable sensor}
본 발명은 LED소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LED소자가 배치되는 회로기판의 가용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도트현상을 최소화시켜 이용자의 피로함을 감소시키는 일체형 조명보드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1은 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점등되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소켓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감지 센서와 광원이 일체화된 자동 조명 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센서와 광원이 일체화된 자동 조명 전구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개방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전구 소켓에 착탈 가능한 나선형 전극부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 홈부를 커버하며, 하면에 다수의 엘이디 및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 상기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엘이디들의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나선형 전극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각 구성 요소로 변환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 판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 판의 하면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마이콤이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가 일정 이하이며, 상기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엘이디들이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도록 제어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센서 일체형 형광등 타입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하부 커버가 상하로 결합된 장 방형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엘이디가 실장된 기판이 조립된 엘이디 조명부 및, 상기 관체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는 소켓부에 의해 형광등 타입의 엘이디 조명등을 구성하되; 상기 관체의 일측에 사람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엘이디 조명부의 점,소등이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센서부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므로 전력 소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범용 형광등 등기구에 별도의 센서 장착을 위한 수고나 등기구 재설치 없이도 종래 형광등과 같이 간단히 설치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3은 벽면에 설치된 조도센서를 이용한 LED 조명등 조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면 에 LED 조명등이 설치된 실내 벽면에 조도센서를 설치한 후, 상기 조도센서가 실내 벽면에서 실내 조도를 감지하여 현장에서 요구되는 조명 밝기로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LED 조명등에 설치된 제1 유무선송수신기와 벽면에 설치된 제2 유무선송수신기를 통하여 LED 조명등에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벽면에 설치된 조도센서를 이용한 LED 조명등 조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에 형성된 제2 유무선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2 유무선송수신기측에 조도센서 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조도센서는 실내 벽면에서 실내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는 제2 유무선송수신 기가 제1 유무선송수신기에 무선 송신하여 LED 조명등의 조도를 실내 조도에 따라 미리 셋팅 된 조명밝기로 조절 되게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4는 감지 센서를 장착한 등기구용 LED 모듈은 복수의 LED가 행렬 구조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LED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로 상기 LED를 점멸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LED 및 감지 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렌즈를 구비한 커버; 상기 기판의 저면 측에 위치한 방열판; 상기 기판과 방열판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기판의 열을 상기 방열판으로 전달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0682591 (등록일자:2007년 02월 07일) KR 20-0472325 (등록일자:2014년 04월 10일) KR 10-2015-0016672 (공개일자:2015년 02월 13일) KR 10-2154747 (등록일자:2020년 09월 04일)
본 발명은 센서와 보드를 일체화시키고, 도트현상을 최소화하여 이용자의 조명이용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조명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며, 조명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판 형상의 보드; 상기 보드의 일면에 결합되는 LED소자; 상기 LED소자(200)의 외곽을 감싸는 렌즈;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는 복수로 구비되며, 이웃한 상기 LED소자간 간격은 제1 설정값 이상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각각의 상기 LED소자를 독립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의 상기 LED소자를 둘러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드와 결합되고, 상기 LED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보드와 결합되고,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사람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 및 모션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LED소자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센서와 회로기판은 보드판을 일체화시킨 일체형 조명보드에 대한 것으로, 일체형 조명보드를 통해 LED조명의 크기,부피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LED소자의 도트현상을 최소화시켜서 이용자의 피로감을 감소 시킬 수 있는 LED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이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필요한 곳에만 조명을 비출 수 있어 전력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용자의 조명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LED조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명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명보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가 포함된 일체형 조명보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렌즈가 포함된 일체형 조명보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명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명보드가 설치된 실내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10)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판 형상의 보드(100); 상기 보드의 일면에 결합되는 LED소자(200); 상기 LED소자(200)의 외곽을 감싸는 렌즈(30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LED 조명보드가 도시되어 있는데, LED소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보드(1)에 LED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회로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구조체(2)가 별개로 구비된 후,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드(100)에 센서(400)만을 탈착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110)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일체형 조명보드는 보드(100), LED소자(200), 렌즈(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100)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판 형상의 보드판일 수 있다. LED소자(200)는 LED 빛을 발산하는 소자로서, LED소자(200)의 기본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LED소자(200)는 보드(100)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렌즈(300)는 LED소자(200)의 외곽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는 PCB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는 센서(400)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10)를 포함한다.
상기 보드(100)는 PCB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400)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PCB 회로기판의 기본구조 및 원리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400)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10)는 보드(100)에 직접 구비되어 있어, 센서를 포함하는 회로구조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종래에는 센서를 포함하는 회로구조체가 따로 형성되어 있어, LED를 제어하는 회로구조체와 세트로 구비되어야 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두 회로구조체를 하나의 일체형 조명보드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0)에 연결되는 센서(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센서(400)는 CDS센서(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센서(400)는 PIL센서(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센서(400)는 도플러 센서(430)를 포함한다.
CDS센서(410)는 빛을 감지하는 조도센서로 알려져 있다. 이는 감지되는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이다. 예를들어 빛을 받으면 저항 값이 내려가서 전류신호를 생성하고, 빛을 받지 않으면 저항값이 올라가서 전류신호를 차단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PIL센서(420)는 동작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적외선, 초음파 등을 통해 움직임을 감지한다. 따라서 사람이 감지거리 내에서 움직이게 되면, 전류신호를 생성한다.
도플러 센서(430)는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플러 센서로부터 발신되는 마이크로파와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의 주파수 차이를 측정하여 물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기본적인 원리이다. 따라서 발신되는 파동과 수신되는 파동의 시간간격,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물체와의 거리, 물체의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CDS센서(410)와 PIL센서(420)는 필요에 따라 조도 감지의 민감도 및 동작 감지의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과 밤의 인지, 동작의 정도에 따른 측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플러 센서($30)는 발신 및 수신하는 전자기파를 측정의 민감도 설정을 위하여 마이크로파 뿐 아니라, 초음파나 그 외의 다양한 진동수의 파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드(100)와 연결되는 센서(400)는 CDS센서(410), PIL센서(420), 도플러 센서(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레이저 센서, 인지 센서 등 같은 기능을 하는 다양한 센서로 치환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200)는 복수로 구비되며, 이웃한 상기 LED소자(200) 간 간격은 제1 설정값(D1) 이상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LED소자(200)는 보드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LED소자(200)는 여러 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웃한 LED소자(200)간 간격이 과도하게 좁지 않도록, 설계자가 설정한 값 이상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LED소자(200)간 간격이 넓어지면, 한정된 보드(100)의 크기에 따라 배치될 수 있는 LED소자(200)의 개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충분한 발광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LED소자(200)는 기존의 LED소자(200)와 비교하여 발광효율이 높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LED소자(200)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보드(100)에서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기존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었던 회로를 보드(10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LED소자(200) 간 간격이 넓어지면 도트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트현상은 조명의 커버가 있음에도 각각의 LED소자(200)의 발광부가 점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도트 현상은 눈의 피로도를 유발하며, 특정한 색온도와 조합되면, 피로도를 더욱 증폭시켜 이용자가 피곤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LED소자(200)는 렌즈(300)에 통해서 빛의 확산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LED소자(200)에서 발산되는 빛이 렌즈(300)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사방으로 빛이 퍼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각각의 상기 LED소자(200)를 독립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된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상기 LED소자(200)와의 간격이 제2 설정값(D2) 이상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LED소자(200)의 개수와 같은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LED소자(200) 1개당 1개의 렌즈(300)를 이용하여 LED소자(20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LED소자(200)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렌즈(300)와 LED소자(200)와의 간격이 너무 가까울 경우, 도트현상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LED소자(200)에서 발산되는 빛이 렌즈(300)에서 충분히 굴절되어 퍼져야 하는데, 렌즈(300)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작아지게 되어, 빛의 굴절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LED소자(200)와 렌즈(300)와의 간격은 제2 설정값(D2)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3-3)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반구 모양으로,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 형상이다.
(실시예 3-4)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대칭 형상이다.
도4(a)을 참조하면, 렌즈(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트현상을 방지하고, 빛의 확산을 보조하는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렌즈(300)는 LED소자(200)를 등방형으로 둘러싸기 위해 반구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4(b)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LED소자(200)에서 발산되는 빛을 필요한 곳으로 더 많이 조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렌즈(300)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300)의 형상이 대칭적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도4(b)를 참조하면, 보드(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은 렌즈(300)의 일부분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구의 일부와 같은 형상일 수 있고, 반대방향은 빗면으로 되어 있어, 선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렌즈(300)의 형상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더 많이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빛의 굴절을 조절하기 위하여 렌즈(300)의 내부반경과 외부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300)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존재하여 렌즈(300)의 내부반경과 외부반경에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내부반경과 외부반경의 특정 및 렌즈(300) 자체의 구성물질에 따라 렌즈(300)의 굴절율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 3-5)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아크릴 수지(ABS)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열성, 내유성이 갖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렌즈(300)를 기능을 갖는 여러 물질들로 치환될 수 있다.
(실시예 4-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복수의 상기 LED소자(200)를 둘러싸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실시예 3-1>과는 달리 각각의 LED소자(200)마다 독립적인 렌즈(300)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일체형 렌즈(300)가 도시되어 있는데, LED소자(2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일체형 렌즈(3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3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LED소자(20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렌즈(300)의 모양이 대칭적인 반구 형태를 띄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집중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선형과 곡면형을 조합하여 그 형상이 결정되어 질 수 있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상기 LED소자(200)와의 간격이 설정값(D2) 이상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실시예 4-3)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LED소자(200)와의 간격을 설정된 값보다 크게 유지하여 도트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300)는 아크릴 수지(ABS)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열성, 내유성이 갖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렌즈(300)를 기능을 갖는 여러 물질들로 치환될 수 있다.
(실시예 5-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와 결합되고, 상기 LED소자(200)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보드(100)와 결합되고,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11); 및 사람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421);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411) 및 모션센서(421)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LED소자(200)를 제어한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411)의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을 제어한다.
(실시예 5-3)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421)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LED소자(200)의 발광을 제어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명보드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제어부(500), 조도센서(411), 모션센서(4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조명보드가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조도센서(411)가 주변의 빛의 세기를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낮과 같이 밝을 때에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전원을 off시킬 수 있다. 또한, 모션센서(421)는 사람의 존재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에서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거나, 동작이 오랫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전원을 off시킬 수 있다.
(실시에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모션센서(421)에서 감지한 사람의 위치 또는 움직임 신호를 받아, 상기 LED소자(200) 중 상기 사람과 근접한 상기 LED소자(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전력낭비를 차단하고 보다 효율적인 전력소비를 위하여 사람이 존재하거나 운동하고 있는 위치 데이터 신호를 상기 모션센서(421)로부터 수신받은 후, 사람이 존재하는 위치와 근접한 LED소자(200)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LED소자(20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모션센서(421)에서 인식한 곳과 근접한 LED소자(200)만을 발광시켜서 전력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함이다.
(실시예 5-5)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와 결합되고, 상기 조도센서(411) 및 모션센서(421)의 측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600); 상기 보드(100)와 결합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저장된 상기 측정값을 시간별, 계절별로 분류하는 데이터분석부(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부(700)는 상기 측정값의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신회로(710)를 포함한다.
통신회로(710)는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단말(P)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조도센서(411), 모션센서(421), 데이터분석부(700) 등을 통해 수집, 분석된 데이터들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회로(710)는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P)과의 통신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단거리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회로(710)는 RF(Radio-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IR(Infrared Ray)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와 연동될 수 있으나, 안테나를 통한 통신 방법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방식은 단일 칩과 같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되거나 별도의 복수 칩들과 같이 복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보드 110 : 커넥터
200 : LED소자 300 : 렌즈
400 : 센서 411 : 조도센서
412 : 모션센서 500 : 제어부
600 : 데이터베이스부 700 : 데이터분석부
710 : 통신회로 D1 : 제1 설정값
D2 : 제2 설정값

Claims (5)

  1.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에 있어서,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판 형상의 보드(100);
    상기 보드(100)의 일면에 결합되는 LED소자(200);
    상기 LED소자(200)의 외곽을 감싸는 렌즈(300);를 포함하는 일체형 조명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200)는 복수로 구비되며, 이웃한 상기 LED소자(200)간 간격은 제1 설정값(D1) 이상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일체형 조명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각각의 상기 LED소자(200)를 독립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되는 일체형 조명보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300)는 복수의 상기 LED소자(200)를 둘러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조명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와 결합되고, 상기 LED소자(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상기 보드(100)와 결합되고,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11); 및
    사람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421);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411) 및 모션센서(421)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LED소자(200)를 제어하는 일체형 조명보드.
KR1020210077280A 2021-06-15 2021-06-15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KR10261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80A KR102617233B1 (ko) 2021-06-15 2021-06-15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80A KR102617233B1 (ko) 2021-06-15 2021-06-15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35A true KR20220167935A (ko) 2022-12-22
KR102617233B1 KR102617233B1 (ko) 2023-12-27

Family

ID=8457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280A KR102617233B1 (ko) 2021-06-15 2021-06-15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23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77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래도 Led 백색광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100682591B1 (ko) 2005-10-28 2007-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감지 센서와 광원이 일체화된 자동 조명 전구
KR20120138946A (ko) * 2011-06-16 2012-12-27 보령쏠라엘이디 주식회사 엘이디 센서등
KR200472325Y1 (ko) 2012-09-21 2014-04-29 김현수 센서 일체형 형광등 타입 엘이디 조명등
KR20150016672A (ko) 2013-08-05 2015-02-13 신정훈 벽면에 설치된 조도센서를 이용한 led 조명등 조도 제어장치
KR101608418B1 (ko) * 2015-06-17 2016-04-11 레이져라이팅(주) 기능 확장식 엘이디 조명용 제어 기판 및 제어 기판 조립체
KR20160064575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90120121A (ko) * 2019-10-15 2019-10-23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
KR102154747B1 (ko) 2020-04-17 2020-09-10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감지 센서를 장착한 등기구용 led 모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77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래도 Led 백색광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100682591B1 (ko) 2005-10-28 2007-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감지 센서와 광원이 일체화된 자동 조명 전구
KR20120138946A (ko) * 2011-06-16 2012-12-27 보령쏠라엘이디 주식회사 엘이디 센서등
KR200472325Y1 (ko) 2012-09-21 2014-04-29 김현수 센서 일체형 형광등 타입 엘이디 조명등
KR20150016672A (ko) 2013-08-05 2015-02-13 신정훈 벽면에 설치된 조도센서를 이용한 led 조명등 조도 제어장치
KR20160064575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608418B1 (ko) * 2015-06-17 2016-04-11 레이져라이팅(주) 기능 확장식 엘이디 조명용 제어 기판 및 제어 기판 조립체
KR20190120121A (ko) * 2019-10-15 2019-10-23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
KR102154747B1 (ko) 2020-04-17 2020-09-10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감지 센서를 장착한 등기구용 led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33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121B2 (en) Flow-through LED lighting system
EP3375324B1 (en) Vanity mirror
US20170086280A1 (en) Lighting device with bi-directional lighting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TWI535970B (zh) 發光二極體檯燈
JP2009266424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10070501B2 (en) Lighting system and support apparatus
US9433065B2 (en) Lighting system including time of flight ranging system
JP2000036203A (ja) 信号灯
JP5498007B2 (ja) 照明装置
CN108180411B (zh) 一种台灯的亮度调整方法
JP5918835B2 (ja) 照明装置
KR102617233B1 (ko) 센서 탈착이 가능한 일체형 조명보드
KR20090001671U (ko) 집중 조명용 엘이디램프
US8624746B2 (en) Wait staff signaling apparatus with high visibility indicators
US20120230057A1 (en) Led reading light
JP5559649B2 (ja) 照明装置
JP2014222579A (ja) 照明装置
JP5836470B2 (ja) 光源モジュール
JP5404886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11796780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utilizing natural light in an interior of a moving space
JP5657080B2 (ja) 照明器具
CN217004198U (zh) 照明模块和包含该照明模块的灯具
JP5404885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20090314945A1 (en) Lighting device having detection function
US20200166201A1 (en) Edge-Lit Lighting Fixture Sensor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