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501A -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501A
KR20220167501A KR1020210076539A KR20210076539A KR20220167501A KR 20220167501 A KR20220167501 A KR 20220167501A KR 1020210076539 A KR1020210076539 A KR 1020210076539A KR 20210076539 A KR20210076539 A KR 20210076539A KR 20220167501 A KR20220167501 A KR 2022016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heat source
wat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519B1 (ko
Inventor
나원기
김원규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귀뚜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귀뚜라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귀뚜라미
Priority to KR102021007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51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6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40/00Characterizing positions, e.g. of sensors, inlets, outlets
    • F24D2240/10Placed within or inside 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열원이 공급되는 열원공급배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다른 한 측에 연결되며, 난방 모드 시 상기 열원이 난방수로 사용되면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공급배관 및 상기 난방환수배관과 연결되며, 온수 모드 시 상기 열원이 순환되는 순환 열원 또는 난방 모드 시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한 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는 환수배관; 상기 환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환수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 및 상기 환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환수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환수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INTEGRATED PIPING SYSTEM FOR HEATING AND HOT WATER}
본 발명은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이나 난방수로 사용된 유체가 환수되어 배출될 때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게 배출될 수 있도록 환수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거용 건물의 전통적인 난방방식은 바닥 복사난방방식의 온돌이다. 온돌은 현대에 들어 파이프를 매설하는 온수난방시스템(floor heating system)으로 변화하였다.
온수난방시스템은 복사난방방식이기 때문에 체감온도가 높고, 연료가 어떠한 난방방식보다 절약되고 실내공기가 청정하며, 함습율이 높아 인체에 적절한 습도가 유지되므로 주택 난방으로서 가장 이상적인 난방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난방시스템은 온수를 순환시키는 파이프를 바닥에 매설하고 열원기에서 온수를 바닥에 매설한 파이프에 공급하여 실내를 난방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 방식의 온수난방시스템은 각 세대에 연결되는 통합배관을 설치해야 한다. 기존 통합배관의 배관구조는 4관식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열원으로부터 난방을 위한 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 상기 난방수가 개별세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냉각된 난방환수가 배출되는 난방 환수관, 열원으로부터 급탕을 위한 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용 난방수 공급관, 상기 급탕용 난방수 공급관을 통해 난방수와 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냉각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급탕용 난방 환수관으로 구성되어, 각 세대에 난방 및 온수 공급을 위한 난방수의 공급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4관식의 통합배관은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한 반면, 유지 보수 및 신규 설치 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열원으로부터 난방수의 공급 및 환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난방수 공급관과 난방 환수관으로 이루어지는 2관식 통합배관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7024호
본 발명은 열원이나 난방수로 사용된 유체가 환수되어 배출될 때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게 배출될 수 있도록 환수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열원이 공급되는 열원공급배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다른 한 측에 연결되며, 난방 모드 시 상기 열원이 난방수로 사용되면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공급배관 및 상기 난방환수배관과 연결되며, 온수 모드 시 상기 열원이 순환되는 순환 열원 또는 난방 모드 시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한 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는 환수배관; 상기 환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환수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 및 상기 환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환수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환수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 측정값은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수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이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게 배출되도록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어느 한 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과 연결되고, 다른 한 측은 상기 난방환수배관과 연결되는 제1 공통유동배관;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환수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난방수조절밸브; 및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환수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온수조절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방 모드 시 상기 난방수조절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온수조절밸브는 폐쇄된다.
또한, 상기 온수 모드 시, 상기 온수조절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난방수조절밸브는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흐름을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도록 일측은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제2 공통유동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난방 모드 시 상기 열원공급배관으로 공급된 상기 열원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과 연결되는 난방분기배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온수 모드 시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급수공급배관; 및
상기 급수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하여 생성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공급배관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온수공급배관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량측정센서를 통해 환수배관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에 따라 환수유량조절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수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에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유량밸브와 같은 고가의 밸브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를 통해 난방 모드 시 열원과 난방수의 흐름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를 통해 온수 모드 시 열원과 온수의 흐름이 도시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는 하우징(10), 열원공급배관(20), 난방환수배관(30), 열교환기(40), 환수배관(50), 유량측정센서(60) 및 환수유량조절밸브(7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공간(미표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열원공급배관(20), 상기 난방환수배관(30), 상기 열교환기(40), 상기 환수배관(50)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급배관(20)은 외부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열원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의 어느 한 측에 연결된다.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원은 보일러(미도시)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40)를 향해 유동되거나 건물의 바닥의 난방을 하거나 라디에이터와 같은 난방기기를 가열하는 난방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난방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원을 난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는 난방분기배관(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난방분기배관(22)은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20)과 연결된다. 상기 난방분기배관(22)의 타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20)의 길이방향 중앙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난방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원은 상기 열원공급배관(20)의 끝까지 유동되기 전에 상기 난방분기배관(22)으로 분기되어 건물의 바닥 또는 난방기기를 가열한다.
상기 난방환수배관(30)은 상기 열원이 난방수로 사용되면,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난방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유입된 상기 열원은 건물의 바닥 또는 난방기구를 유동하며 가열하는 난방수로 사용된다.
건물의 바닥 또는 난방기구를 가열하도록 사용된 난방수는 상기 난방환수배관(3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난방환수배관(30)은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한 측에 연결되는데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유입되어 순환된 열원이나 건물의 바닥 또는 난방기구를 가열하는데 사용된 난방수와 열교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순환 열원이나 사용된 난방수가 상기 열교환기(40)를 유동하는 동안 열교환하여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열을 저장한다.
상기 열교환기(40)에 저장된 열은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온수 모드로 설정될 때 공급되는 급수가 상기 열교환기(40)를 유동하는 동안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교환기(4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 열원, 상기 사용된 난방수, 상기 급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0) 내부의 유로는 상기 순환 열원, 상기 사용된 난방수, 상기 급수가 유동되는 시간이 증가하도록 다수의 굴곡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상기 열교환기(40)로 유동되기 위해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는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 및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을 더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열원공급배관(2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난방환수배관(30)이 연결된다.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은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의 일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20)과 상기 난방환수배관(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공급된 상기 열원이 순환되도록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으로 유동되면, 상기 난방환수배관(30) 측으로 유동되기 전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환수배관(30)으로 유입된 상기 사용된 난방수는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으로 유동되면, 상기 열원공급배관(20) 측으로 유동되기 전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으로 분기된다.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으로 분기된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는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40)로 유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의 일측에는 난방수조절밸브(9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온수조절밸브(100)가 구비된다.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난방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에 유동될 때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가 개방되고 상기 온수조절밸브(100)는 폐쇄된다. 즉,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가 상기 난방환수배관(30)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온수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순환 열원이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100)에 유동될 때 상기 온수조절밸브(100)가 개방되고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는 폐쇄된다. 즉, 상기 온수조절밸브(100)가 상기 열원공급배관(20)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40)를 유동하면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는 다시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환수된다. 상기 환수배관(50)은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되어 환수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환수배관(50)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의 또 다른 한 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된다.
상기 유량측정센서(60)는 상기 환수배관(50) 상에 설치된다. 상기 유량측정센서(60)는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되어 상기 환수배관(50)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상기 환수배관(50)을 통해 배출될 때에는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유량측정센서(60)와 함께 상기 환수배관(5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이다.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는 상기 환수배관(50) 상에 설치된다.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는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 및 상기 온수유량조절밸브(100)와 같이 개폐 조작되는 것이 아닌 개도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도량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상기 유량측정센서(60)가 상기 환수배관(50)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면 측정된 유량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된 상기 유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상기 환수배관(5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이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와 상기 온수조절밸브(100)는 각각 난방 모드 시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온수 모드 시 상기 순환 열원이 유동할 수 있도록 개폐 작동을 할 뿐이다. 즉, 난방 모드 및 온수 모드 중 어느 모드가 되더라도 상기 환수배관(50)을 통해서 배출되는 유체(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 조절은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는 급수유동배관(110) 및 온수유동배관(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급수유동배관(110)은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온수 모드로 설정될 때 급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의 또 다른 어느 한 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유동배관(110)으로 공급된 급수는 상기 급수유동배관(110)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40)로 공급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급수유동배관(110)에는 급수 유량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의 설정이 온수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순환 열원의 유동과 상기 급수의 유동은 동시에 일어난다. 상기 급수 유량센서(미도시)는 상기 급수유동배관(110)으로 공급되는 상기 급수의 유동을 감지하여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를 폐쇄시키고 상기 온수조절밸브(100)를 개방시킨다.
상기 온수유동배관(120)은 상기 급수가 상기 열교환기(40)를 유동하면서 가열되어 온수로 생성되면, 상기 온수가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온수유동배관(120)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의 또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유동배관(110)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를 이용하는 보일러에서 난방 모드일 때와 온수 모드 일 때의 유체 흐름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보일러(미도시)가 난방 모드일 때 유체의 흐름이 도시된 것이다.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난방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상기 열원이 공급된다. 난방 모드일 때에는 상기 온수조절밸브(100)가 폐쇄되기 때문에 상기 열원은 상기 열원공급배관(20)과 연결된 상기 난방분기배관(22)으로 분기되어 난방수로 사용된다. 난방수는 건물의 바닥을 유동하여 건물의 바닥을 가열하거나 난방기기로 공급되어 난방기기를 가열한다.
건물의 바닥 또는 난방기기를 가열하도록 사용된 난방수는 상기 난방환수배관(3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사용된 난방수는 상기 난방환수배관(30),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40)에 유입된다.
난방수가 건물의 바닥 또는 난방기기를 가열하더라도 사용된 난방수는 약 30℃ 내지 40℃의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상기 열교환기(40)로 유입되면, 상기 열교환기(40)가 상기 사용된 난방수와 열교환을 하며 상기 사용된 난방수에 남아있던 열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열은 상기 열교환기(40)가 저장하고 있으면서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의 설정이 난방 모드에서 온수 모드로 변경될 때 급수를 데우는데 사용되므로 상기 사용된 나방수의 열에 의해 급수가 더 빨리 가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0)와 열교환을 마친 후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되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는 상기 환수배관(50)을 따라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환수배관(50) 상에 설치된 상기 유량측정센서(60)가 상기 환수배관(50)을 유동하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유량측정센서(60)는 측정된 유량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된 유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상기 환수배관(50)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보일러(미도시)가 온수 모드 일 때 유체의 흐름이 도시된 것이다.
상기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가 온수 모드로 설정된 상기 열원공급배관(20)으로 상기 열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급수공급배관(110)으로는 급수가 공급된다. 온수 모드일 때에는 상기 급수유량센서가 상기 급수를 감지하면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어 상기 난방수조절밸브(90)를 폐쇄시키고 상기 온수조절밸브(100)를 개방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열원은 순환되며,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80), 상기 제2 공통유동배관(82)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40)에 유입된다.
상기 열교환기(40)로 유동된 상기 순환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40) 내부를 유동하면 상기 순환 열원이 갖고 있는 열을 상기 열교환기(40)가 저장하게 된다. 열교환이 완료된 상기 순환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되면 상기 환수배관(50)을 따라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환수배관(50) 상에 설치된 상기 유량측정센서(60)가 상기 환수배관(50)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의 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유량측정센서(60)는 측정된 유량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된 유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70)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상기 환수배관(50)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급된 상기 급수는 상기 급수유동배관(110)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열교환기(40)에 유입된다. 상기 급수는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되어 상기 온수유동배관(120)을 따라 유동되고 온수로 배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열원공급배관
22: 난방분기배관 30: 난방환수배관
40: 열교환기 50: 환수배관
60: 유량측정센서 70: 환수유량조절밸브
80: 제1 공통유동배관 82: 제2 공통유동배관
90: 난방수조절밸브 100: 온수조절밸브
110: 급수유동배관 120: 온수유동배관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열원이 공급되는 열원공급배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다른 한 측에 연결되며, 난방 모드 시 상기 열원이 난방수로 사용되면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공급배관 및 상기 난방환수배관과 연결되며, 온수 모드 시 상기 열원이 순환되는 순환 열원 또는 난방 모드 시 상기 사용된 난방수가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한 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를 환수하는 환수배관;
    상기 환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환수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 및
    상기 환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환수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환수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 측정값은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수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유량이 설정 최대 유량을 초과하지 않게 배출되도록 상기 환수유량조절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어느 한 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과 연결되고, 다른 한 측은 상기 난방환수배관과 연결되는 제1 공통유동배관;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환수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난방수조절밸브; 및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공급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온수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모드 시 상기 난방수조절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온수조절밸브는 폐쇄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모드 시, 상기 온수조절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난방수조절밸브는 폐쇄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순환 열원 또는 상기 사용된 난방수의 흐름을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도록 일측은 상기 제1 공통유동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제2 공통유동배관을 더 포함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모드 시 상기 열원공급배관으로 공급된 상기 열원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원공급배관과 연결되는 난방분기배관을 더 포함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온수 모드 시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급수공급배관; 및
    상기 급수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하여 생성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공급배관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온수공급배관을 더 포함하는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KR1020210076539A 2021-06-14 2021-06-14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KR102483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539A KR102483519B1 (ko) 2021-06-14 2021-06-14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539A KR102483519B1 (ko) 2021-06-14 2021-06-14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01A true KR20220167501A (ko) 2022-12-21
KR102483519B1 KR102483519B1 (ko) 2023-01-04

Family

ID=8453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539A KR102483519B1 (ko) 2021-06-14 2021-06-14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5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24A (ko)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에너지 절약형 온수분배장치
KR101497457B1 (ko) * 2013-12-23 2015-03-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878247B1 (ko) * 2016-08-30 2018-07-13 케이티씨 주식회사 세대형 열교환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964398B1 (ko) * 2018-06-01 2019-04-01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통합 배관 시스템
KR20200031952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24A (ko)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에너지 절약형 온수분배장치
KR101497457B1 (ko) * 2013-12-23 2015-03-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878247B1 (ko) * 2016-08-30 2018-07-13 케이티씨 주식회사 세대형 열교환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964398B1 (ko) * 2018-06-01 2019-04-01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통합 배관 시스템
KR20200031952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519B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119B1 (ko) 직렬식 난방 및 급탕시스템
KR102506006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105890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냉, 난방 시스템
KR101031701B1 (ko) 복사 및 대류를 이용한 주택용 냉난방시스템
CN104180425A (zh) 一种家用双能源大功率中央热暖炉
KR102483519B1 (ko)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KR102549342B1 (ko) 난방온수 통합 배관장치
KR20140088348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101794002B1 (ko) 외부 냉각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102624261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CN106152521B (zh) 一种可自循环的循环装置及具有该循环装置的热水器
KR200405165Y1 (ko) 환수온도제어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CN102384584B (zh) 集中供热储热式燃气热水炉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KR101298900B1 (ko) 고효율 열교환기
CN214275888U (zh) 一种循环供热系统
KR102009297B1 (ko) 인공지능형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CN205316552U (zh) 一种户用型气体涡流制冷供热系统
CN204006282U (zh) 一种家用双能源大功率中央热暖炉
KR20140067412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101464690B1 (ko) 소형 인버터 전기보일러
JP2006234343A (ja) 床暖房システムのための暖房制御ユニット
KR100458529B1 (ko) 실내용 냉·난방장치
PL128122U1 (pl) Kompaktowy moduł hydrauliczny węzła wodno-grzewczego
KR101436875B1 (ko) 온수 난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