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252A -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252A
KR20220167252A KR1020220071675A KR20220071675A KR20220167252A KR 20220167252 A KR20220167252 A KR 20220167252A KR 1020220071675 A KR1020220071675 A KR 1020220071675A KR 20220071675 A KR20220071675 A KR 20220071675A KR 20220167252 A KR20220167252 A KR 20220167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coupled
exerci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돈기
Original Assignee
민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돈기 filed Critical 민돈기
Publication of KR2022016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1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a pivoting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세워져 지지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으로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그립부와,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판회동부와, 일단부는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발판회동부에 결합되어, 발판회동부의 회동에 대하여 탄성지지력과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하여 근력 및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푸쉬업, 철봉, 평행봉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Indoo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support the user's strength}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실내에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직립보행을 하기 때문에 취침시간을 제외한 일과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상체를 세운 상태로 생활하며, 개인에 따라서 척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운동이나 노동을 했을 경우, 또는 척추관절이 기울어진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등에는 척추 근골격계에 무리를 주게 되어 피로감을 느끼게 하거나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
때문에, 필요에 따라 혼자서 용이하게 척추 근골격계를 이완시켜 줄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운동기구로서 평행봉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구비된 헬스클럽을 방문하여 자신이 원하는 각종 운동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으로 치닝(턱걸이), 디핑(평행봉), 푸시업 및 싯업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헬스클럽을 방문하여 운동하는 경우에는, 헬스클럽에 방문하기 위하여 별도의 시간을 투자해야 함은 물론 다수가 사용하는 곳이니만큼 자신이 원하는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타인과 시간 조정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가정에서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가정용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동을 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력과 근력에 맞도록 조절하기가 어려워 효과적인 운동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780호 “실내용 운동기구”에서는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실내에서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으나, 상기 운동기구는 전문 지도자가 없이는 운동의 성과를 보기에 힘들고,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이 제한되어 있어 운동의 재미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6507호 “실내용 운동기구”에서는 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철봉형태의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으나, 기초체력과 근력이 부족한 일반인들은 평행봉이나 턱걸이, 철봉운동을 하기에는 상당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여, 운동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사용자의 체력과 근력에 맞는 운동 방법을 선택하지 못하여 운동을 쉽게 포기하고 운동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0001) 한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 0283780호 (2002.07.23 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6507호 (2016.09.09 공고)
본 발명은,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 체력, 근력 등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과적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근력에 알맞게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철봉부의 좌우 높이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비대칭 운동으로 인한 특정부위의 집중 운동이 가능하고, 또한 철봉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핸들그립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반영 및 다양한 운동자세의 조절이 가능한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세워져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으로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판회동부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판회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회동부의 회동에 대하여 탄성지지력과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각각은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재부재들의 상단부는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들의 하단부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들과,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을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부가 회동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립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체결홀을 따라 결합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형그립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형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회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으로 사용자가 종방향 외력을 가하면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고, 타측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발판회동부의 탄성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부들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의 결합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철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봉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세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를 중심축으로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근력을 서포트하고 근력 및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푸쉬업, 철봉, 평행봉, 필라테스, 스쿼트, 케이블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중, 체력, 근력 등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무리하지 않고 사용자의 조건에 적합한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폴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법이 쉽고 푸쉬업, 체스트딥, 풀업, 하체운동, 철봉, 평행봉, 필라테스, 스쿼트, 케이블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에 대한 관심과 재미를 늘릴 수 있으며, 철봉이나 평행봉과 같은 다양한 설치형 운동부재를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운동종류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에 대한 흥미 및 광범위한 부위의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나 체중, 근력, 운동강도에 맞게 운동부재를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형 운동부재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덤벨 없이 사용자의 근력과 탄성부재의 개수, 결합위치, 직경 등을 이용하여 근력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발판회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이동형그립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발판회동부의 회동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체결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발판회동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발판회동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철봉부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평행봉부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에서 평행봉부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이하 ‘실내용 운동기구’라 한다)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로서 몸체부(100)와, 지지부(200)와, 그립부(300)와, 발판회동부(400)와, 탄성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용 운동기구는 금속이나 합금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운동기구에는 충격이나 하중이 반복되게 가해질 수 있고, 일순간에 많은 충격량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충격을 받더라도 운동기구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야하기 때문이다. 물론, 금속재질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경도나 강도를 가지는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바닥면에 세워져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200)와, 그립부(300)와 발판회동부(4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다리역할을 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들과, 상기 지지프레임(12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복수개의 지지부재(121)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20)들과 연결되는 회동축(110)을 포함하여, 운동 시에는 지지프레임(120)을 펼쳐서 사용하고, 운동하지 않을 시에는 접어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회동축(110)은,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한 쌍의 지지부재(121)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들은,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회동축(110)의 양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120)은 한 쌍의 지지부재(121)들의 상단부는 상기 회동축(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121)들의 하단부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121)들은 상기 회동축(110)에 대하여 중첩되어 절첩이 되도록 구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을 이루며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지지부재(121)의 펼침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수단(12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수단(122)은, 일단부는 한 쌍의 지지부재(121)들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나머지 지지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홀(1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토퍼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수단(122)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 각각에 구비되는 스토퍼부재(123)들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각 스토퍼부재(123)들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축(124)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축(1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강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바닥면과 닿는 하면에 미끄럼방지패드(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실내용 운동기구가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들을 서로 연결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대면하는 지지부재(121)들의 하부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양측의 지지부재(121)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원통형의 탄성발판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연결부재(130)를 통해 윗몸일으키기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00)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20)이 회동되고 상기 지지부(200) 또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운동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운동을 하지 않고 보관 시에는 절첩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면으로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평편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하거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00)는, 후술되는 이동형그립부(320)와 평행봉부(7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체결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2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이동형그립부(320)와 평행봉부(700)의 결합위치에 따라 그 개수와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300)는, 상기 지지부(200)에 결합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그립부(300)를 통하여 푸쉬업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그립부(300)는, 고정형그립부(310)와, 이동형그립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형그립부(310)는,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넓은 각도에서 푸쉬업을 하거나 스트레칭 등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형그립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방향을 따라 ㄷ자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단부 전방과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그립부(32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형그립부(310) 보다는 보다 좁은 너비에서 푸쉬업 등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형그립부(3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지지부(200)에 결합되거나, 상기 지지부(200)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결합되어 운동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형그립부(320)는, 상기 지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형그립부(32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바(321)와, 상기 지지바(321)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322)와, 상기 체결홀(20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바(321)와 상기 지지부(2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결합시키는 체결수단(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3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그립부(300)는, 고정형그립부(310)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어깨너비 또는 어깨너비 보다 길게 파지하여 푸쉬업 등을 할 수 있으며, 이동형그립부(320)를 통해서는 어깨너비보다 좁게 파지하여 푸쉬업 등을 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푸쉬업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발판회동부(400)는,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회동부(400)는, 회동부재(410)와, 발판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410)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상기 연결부재(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상향 연장되며, 타측으로 사용자가 종방향 외력을 가하면 타측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410)는, 타측으로 상기 탄성부재(500)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회동 시 탄성지지력 및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410)는, 상기 탄성부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유닛(4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유닛(430)은, 상기 탄성부재(500, 500a)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발판회동부(400)의 탄성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부(431,432)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00, 500a)의 결합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회동부재(4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가령, 탄성부재(500, 500a)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발판회동부(400)를 상하강 시킬 때 드는 힘이 변동된다. 체결부(431)에 탄성부재(500)를 2개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 체중 의 약 50kg을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이 제공되고, 탄성부재(500)를 3개 장착하는 경우 약 65kg, 탄성부재(500)가 4개 장착되는 경우 80kg의 체중을 버틸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체중은 아령, 덤벨, 케틀벨, 웨이트 블록 등과 같은 웨이트용 기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몸무게가 100kg이면 최저 약 10kg부터 최대 약 90kg까지 사용자의 몸무게를 서포트 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431)에 스프링 2개를 장착하는 경우와 체결부(432)에 스프링을 2개 장착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체중을 버티도록 구성된다. 가령, 체결부(431)에 스프링 2개를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 체중의 약 50kg을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이 제공되고, 체결부(432)에 스프링 2개를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 체중의 약 65kg을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431,432)는, 탄성부재(500)가 끼움 결합되는 연결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체결부(431, 432)를 통하여 스프링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지만, 체결부(431, 432) 대신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손쉽게 스프링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체결부(431,432)에 장착되는 탄성부재(500, 500a)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체중을 버티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10파이의 지름을 가지는 스프링 이 체결부(431)에 장착되는 경우 25kg의 체중을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이 제공되고, 14파이의 지름을 가지는 체결부(431)에 장착되는 경우, 40kg의 체중을 버티는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00)의 직경은 3.2파이, 3.5파이, 3.7파이로서 선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스프링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개수, 스프링이 장착되는 위치, 스프링의 직경 등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으로 약 스프링 한 종류당 54개의 운동 강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유닛(430)은, 상기 회동부재(410)의 폭 방향을 따라 3개가 배열되며, 각각의 체결유닛(430)은 상기 회동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판부재(420)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체결부(431)와, 연결부재(130)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체결부(432)를 포함하여, 탄성부재(500, 500a)를 다양한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체결부(431)는, 3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재(410)를 따라 상기 발판부재(420)를 향하여 3단/2단/1단으로 분류되어, 3단 즉 상기 발판부재(420)에 가깝게 탄성부재(500)가 체결될수록 운동강도가 높아지게 되어, 사용자는 체중 및 근력에 따라 탄성부재(500)의 결합위치와 개수를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재(410)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부재(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으로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프레임(411)과, 상기 외부프레임(41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프레임(412)과, 상기 외부프레임(411)과 상기 내부프레임(412)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내부프레임(4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13)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프레임(41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13)은, 상기 외부프레임(411)과 상기 내부프레임(412)에 형성된 관통홀에 동시에 관통 삽입되어 외부프레임(411)과 내부프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재(420)는, 상기 회동부재(410)의 타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사용자가 무릎 등을 접촉시키는 부분인 만큼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 원통형의 탄성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발판회동부(400)의 회동에 대하여 탄성지지력과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500, 500a)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구비된 고리형의 결합부(210,도 2참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판회동부(400)의 체결부(431,4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 50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탄성스프링의 양측단부는 상기 결합부(210)와 체결부(431,43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상기 발판회동부(400)를 통하여 팔의 근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푸쉬업이 힘든 경우 사용자가 무릎을 대고 푸쉬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탄성부재(500)의 탄성지지력과 체중을 이용하여 팔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으며, 탄성스프링의 직경,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의 개수와, 탄성스프링의 결합위치 등을 조절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철봉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철봉부(6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에 세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610)과, 상기 수직프레임(6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620)와, 상기 수직프레임(610)을 연결하는 연결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610)은, 안정감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바(611)와, 일단부는 수직바(61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지지부(200)의 상면에 결합하는 보강바(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프레임(61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수직바(611)는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내측바(6111)와 외측바(6112)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며,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6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6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직프레임(610)를 중심축으로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620)는,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로 3시, 6시, 9시 등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켜 사용자가 운동하고자 하는 부위와 방법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다시 말해, 손잡이부(620)가 외측바(6112)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되어 다양한 자세의 철봉운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620)는, 일단부 하부에 상기 수직바(611)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부(62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620)와 수직바(611)를 동시에 관통하여 손잡이부(6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관통핀(622)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620)는 탄력밴드 등을 걸 수 있도록 고리(6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행봉부(7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평행봉부(7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에 세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평행봉부재(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행봉부(700)는, 상기 이동형그립부(320) 대신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수와 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200)의 양측 2개를 설치하거나, 지지부(200)의 일측 어느 한쪽에 하나만 설치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몸체부(100), 지지부(200), 그립부(300), 발판회동부(4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들이 금속이나 합금 재질로 제조되어, 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일순간의 많은 충격량이나 반복되는 하중에 대하여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200)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푸쉬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푸쉬업부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부(2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내측으로 상체를 이동시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면, 지지부(200)가 있을 경우에는 지지부(200)의 측면으로 상체를 위치 시켜야하기 때문에 파지한 상태에서 상체가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지만, 이렇게 지지부(200)를 개방하면 사용자의 상체를 보다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체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립부(300)를 파지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상체 및 팔앞쪽과 팔뒤쪽 근육을 다양하게 자극시킬 수 있어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지지부(200)를 개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개폐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상기 지지부(200)는 서로 평행하게 맞닿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각 지지플레이트는 외측단부는 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동에 따라 지지부(200)가 절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착탈 클립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클립이 양측 걸림돌기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발판회동부(400)에 무릎을 대고 그립부(300) 또는 철봉부(600) 또는 평행봉부(700)를 잡고 있어도 근력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탄성부재(500)가 사용자의 몸을 들어 주어 사용자의 체중 서포트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근력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탄성부재(500)와 발판회동부(400)에 의하여 상하 회동을 하여 리듬을 창조할 수 있으며 근력이 약한 사용자도 재미있게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필라테스체어, 스쿼트머신, 푸쉬업보드, 평행봉, 풀업타워, 로잉머신, 덤벨, 철봉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발판회동부(400)에 무릎을 대고 팽행봉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발판회동부(400)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평행봉 운동(Chest dips)을 함으로써 상체 근육을 풀 수 있으며, 철봉부(600)를 통해 턱걸이 운동으로 풀스트레칭 운동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대표적으로 할 수 있는 몇가지 운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푸쉬업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무릎을 발판회동부(400)에 대고 그립부(300)를 잡은 상태에서 발판회동부(400)를 회동시키면서 푸쉬업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그립은 이동그립부와 고정그립부를 이용하여 그립 간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무릎을 발판회동부(400)에 대고 평행봉부(700)를 잡은 상태에서 발판회동부(400)를 회동시키면서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풀업(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무릎을 발판회동부(400)에 대고 철봉부(600)를 잡은 상태에서 발판회동부(400)를 회동시키면서 풀업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철봉부(600)의 손잡이부(620)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노멀 또는 와이드 그립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 쌍의 수직프레임(610)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탄력밴드를 몸체부(100)나 그립부(300)에 연결하여 다양한 탄력밴드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체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운동도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스커트 운동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발판회동부(400)의 회동부재(410)의 길이를 조절한 후 무릎의 뒤쪽으로 발판회동부(400)의 발판부재(420)를 위치시킨 후 프론트 포지션(Front position)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지지부(200)에 대하여 등을 지고 발판회동부(400)에 앉은 상태에서 백 포지션(Back position)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지지부(200)나 그립부(300)를 뒤로 잡고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레그 프레스(Leg press)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지지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바닥을 발판회동부(400)의 발판부재(420)에 대고 발판회동부(400)를 상하 회동시켜 하체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이동형그립부(320)와 고정형그립부(310)를 통해 다양한 핸들그립으로 푸쉬업을 함으로써 가슴, 코어, 이두, 삼두, 승모근, 어깨, 광배근, 전완근 등 상체근력을 골고루 단련할 수 있으며, 이동그립부를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푸쉬업자세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다양한 상체 근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나 몸무게, 운동강도에 맞게 운동기구를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며, 몸체부에 설치형 운동부재를 더 설치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재미있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중은 아령, 덤벨, 케틀벨, 웨이트 블록 등과 같은 웨이트용 기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회동축
120 : 지지프레임 121 : 지지부재
1211 : 슬라이딩홀 122 : 스토퍼수단
123 : 스토퍼부재 124 : 연결축
125 : 보강부재 130 : 연결부재
200 : 지지부 210 : 결합부
201 : 체결홀 300 : 그립부
310 : 고정형그립부 320 : 이동형그립부
321 : 지지바 322 : 파지부
323 : 체결수단 400 : 발판회동부
410 : 회동부재 411 : 외부프레임
412 : 내부프레임 413 : 고정수단
420 : 발판부재 430 : 체결유닛
431,432 : 체결부 500, 500a : 탄성부재
600 : 철봉부 610 : 수직프레임
611 : 수직바 6111 : 내측바
6112 : 외측바 6113 : 고정부
612 : 보강바 620 : 손잡이부
621 : 삽입부 622 : 관통핀
630 : 연결부 700 : 평행봉부
710 : 평행봉부재

Claims (5)

  1. 바닥면에 세워져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으로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판회동부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판회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회동부의 회동에 대하여 탄성지지력과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각각은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재부재들의 상단부는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들의 하단부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들과,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을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부가 회동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립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체결홀을 따라 결합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형그립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형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회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으로 사용자가 종방향 외력을 가하면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고, 타측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발판회동부의 탄성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부들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의 결합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철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봉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세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를 중심축으로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KR1020220071675A 2021-06-11 2022-06-13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KR20220167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94 2021-06-11
KR20210076194 2021-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252A true KR20220167252A (ko) 2022-12-20

Family

ID=8453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675A KR20220167252A (ko) 2021-06-11 2022-06-13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2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80Y1 (ko) 2002-03-27 2002-07-27 박민수 무압력 터치핸즈프리
KR101656507B1 (ko) 2014-12-10 2016-09-09 김태화 실내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80Y1 (ko) 2002-03-27 2002-07-27 박민수 무압력 터치핸즈프리
KR101656507B1 (ko) 2014-12-10 2016-09-09 김태화 실내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858A (en) Weight lifting apparatus
EP1094865B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AU2005216127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11135470B2 (en) Exercise apparatus
US8118720B2 (en) Abdominal exercise and training apparatus
US8905902B2 (en) Exercise kit
US4757992A (en) Posterior shoulder exercise machine
US9283426B2 (en) Portable multi-purpose exercise unit
US20140194260A1 (en) Method of Using an Exercise Device Having an Adjustable Incline
US20100048368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20040127339A1 (en) Portable device for assisting chin-up and dip exercises
US20070259760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with lateral arcuately slidable seat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20210016130A1 (en) Foldable Bench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US11524205B2 (en) Exercise apparatus
US20070010381A1 (en) Total body conditioning system
US20170106236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US7713181B1 (en) Versatile abdominal exercise bed
US5299990A (en) Tilting universal gym apparatus
US5449335A (en) Waist-trimming exercise apparatus
US20100022367A1 (en) Abdominal exerciser
US9682270B2 (en) Apparatus for exercise
KR20220167252A (ko) 사용자의 근력 서포트가 가능한 실내용 운동기구
JPH0713736Y2 (ja) 多機能トレーニン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