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218A -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218A
KR20220167218A KR1020220064199A KR20220064199A KR20220167218A KR 20220167218 A KR20220167218 A KR 20220167218A KR 1020220064199 A KR1020220064199 A KR 1020220064199A KR 20220064199 A KR20220064199 A KR 20220064199A KR 20220167218 A KR20220167218 A KR 2022016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ells
growth plate
composition
tissue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홍
김병주
백인호
최혜종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6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 세포 부산물 및 세포외기질을 Fibroblast에 처리한 경우 Fibroblast가 연골내 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 과정을 거치며 골분화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고, 생체내 골형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골다공증 모델의 장골내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와 세포 부산물을 부형제(hyaluronic acid)와 각각 혼합하여 주입하였을 경우 이식부위에서 4주 경과 후 정상 골조직과 유사한 골재건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성장판 유래 세포, 세포 부산물 및 세포외기질을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bone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cell derived growth plate tissue, products thereof, and extracellular matrix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대체물을 이용한 이식술은 전 세계적으로 혈액에 이어 두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이식물로 한 해에 200만 건 이상 골이식이 정형외과, 신경외과, 치과 분야에서 사용된다고 추산되고 있다. 골이식은 골재건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질환들 즉, 척추 유합술, 외상, 골다공증, 골종양, 선천성 기형 등과 같은 골결손으로 인한 골치유를 목적으로 하며 이때 골결손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지연유합, 불유합, 골수염)의 치료 등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된다.
골결손을 치유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이식 방법들이 적용되어 왔으며, 대표적으로 자가골 이식, 동종골 이식, 합성골 이식재 또는 세라믹, 성체줄기세포, 골형성단백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골이식의 가장 최우선은 자가골 이식방법이 있으나, 자가골은 채취할 수 있는 양의 제한이 있으며 공여부의 합병증, 추가적인 수술의 필요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동종골 이식이 사용되나 동종골은 골전도능은 있으나, 자가골 이식에 비하여 골유도능이 부족하며, 감염의 위험, 면역반응 등의 문제가 있고 가격이 높고, 수급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 대안으로 합성 골대체제가 만들어졌고 주로 세라믹 기반의 골대체제(황산칼슘, 인산칼슘, 삼인산칼슘, 수산화인회석 등)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 기반의 골대체제는 골전도능은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고 생분해성의 문제가 있으며, 골유도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 골유도 기능을 얻기 위해 골형성 단백질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원치 않는 주위 조직에도 골이 형성되며, 고용량 사용시 골육종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한편, 성장판은 장골(long bone)의 양 끝에 위치해 있는 연골세포집단으로서 골간단(metaphysis)과 골단(epiphysis)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성장판내 연골세포의 증식, 비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분비, 혈관과 골 전구세포의 이입과 이에 따른 골화(ossification) 과정을 지나 연골이 골로 변화하게 되는 연골내 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판의 골간단 부위에 새로운 골이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장골의 길이가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장판내 최종 성장이 이루어지는 기전을 활용하여 성장판 유래 세포 및 세포외기질을 이용한 골 대체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자가골 이식방법은 다른 골형성 대체물에 비해 최우선 고려 대상으로 다른 골이식제에 비해 골전도, 골유도, 골생성에서 가장 우월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자가골 이식 후 일어나는 일련의 동화 과정은 골절 치유 과정 또는 골생성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가골의 골생성 과정과 유사한 기전으로 골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과 공여자의 문제점이 없고 면역거부 반응이 상대적으로 적은 동물 성장판 유래 세포 및 세포외기질을 이용한 골 대체물을 개발이 주목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066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발생학적으로 장골내 골생성을 통한 골형성 기전에 따라 성장판내 구성요소들로 인해 골형성 및 골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성장판 유래 세포, 상기 세포의 부산물 또는 상기 세포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 세포 부산물 및 세포외기질을 Fibroblast에 처리한 경우 Fibroblast가 연골내 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 과정을 거치며 골분화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고, 생체내 골형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골다공증 모델의 장골내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와 세포 부산물을 부형제(hyaluronic acid)와 각각 혼합하여 주입하였을 경우 이식부위에서 4주 경과 후 정상 골조직과 유사한 골재건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성장판 유래 세포, 세포 부산물 및 세포외기질을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CD200+ 세포(GPC)를 포함하는 렛트 성장판 세포의 연골/골 분화 관련 마커의 mRNA와 단백질 발현량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렛트 연령별(4주령, 6주령, 8주령) 성장판 CD200+ 세포(GPC)의 연골/골 분화 관련 마커 발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골다공증 렛트 모델에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와 CD200+ 세포(GPC)를 포함하는 성장판 세포에 의한 골형성능 조직학적 분석한 결과이다.
도4는 골다공증 유도 동물(렛트)의 장골내 각 그룹별 재료를 주입 후 골재생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에 의한 BM-MSC의 연골(SOX9, ACAN, ColII)/골(RUNX2, OCN,ColI) 분화 및 골조직 형성(MMP2, MMP13)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6는 IHC 염색법을 통해 성장판 내 PTHrP 결합 자리 검증 및 성장판에서 수득한 CD200+ 세포(GPC)의 PTHrP와 CD200의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7는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GPC)의 표면 마커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GPC)의 부산물의 이미지, 사이즈, 농도, 단백질 표면 마커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성장판 유래 세포, 세포 부산물 및 세포외기질 통해 자연발생학적으로 장골내 골생성을 통한 골형성 기전에 따라 성장판내 구성요소들로 인해 골형성 및 골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착상에서 발명을 완성하였다.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 세포 부산물 및 세포외기질을 Fibroblast에 처리한 경우 Fibroblast가 연골내 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 과정을 거치며 골분화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체내 골형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골다공증 모델의 장골내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와 세포 부산물을 부형제(hyaluronic acid)와 각각 혼합하여 주입하였을 경우 이식부위에서 4주 경과 후 정상 골조직과 유사한 골재건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성장판 유래 세포, 상기 세포의 부산물 또는 상기 세포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성장판 유래 세포는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이다. 상기 부산물은 상기 성장판 유래 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 골연화증, 구루병,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대사성 골질환, 골용해, 백혈구 감소증, 뼈의 기형, 고칼슘혈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변성 관절증 또는 신경압박 증후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정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및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일 경우, 정제, 트로키제 (troches), 로젠지 (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일 경우,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 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내,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질환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연골화 및 골화 관련 마커의 변화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의 연골화 관련 마커와 골화 관련 마커의 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마커의 mRNA수준은 qRT-PCR로 분석하고, protein 수준은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는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에 비해 연골화 관련 마커의 발현이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며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골세포와 유사한 발현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되었다. 또한,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는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에 비해 골분화 관련 마커의 발현도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며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는 연골분화와 골분화 관련 마커의 발현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발현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장골내 성장판에서 골생성을 통한 성장을 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연골이 골로 변화하게 되는 연골내 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 과정을 위한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의 가장 큰 특징임을 입증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렛트 연령별(4주령, 6주령, 8주령)의 성장판내 CD200+ 세포(GPC)의 비중은 SD 렛트 동물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지만, 연골화 및 골분화 관련 마커의 발현량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골다공증 모델에서의 골형성능 분석
골다공증 랫트 모델내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의 골형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골다공증 모델 (osteoporosis animmal model)의 장골(long bone)내 지름 0.2 mm 홀(hole, 구멍)을 내어 성장판내 CD200+ 세포(GPC)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를 각각 1 x 106 세포의 농도로 부형제(hyaluronic acid)와 혼합하여 결손 부위를 통해 장골내 20 ul 혼합체를 주입하였다. 골다공증 모델의 장골내 주입 4 주 경과 후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이식 부위의 골형성의 주요성분인 콜라겐을 염색을 위해 Masson’s tri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장판내 CD200+ 세포(GPC)를 이식한 그룹이 정상골과 유사한 해면골 조직의 재생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골다공증 유도 동물(렛트)의 장골내 각 그룹별 재료를 주입 후 골재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골형성 정도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한 후 ROI (Region of Interest)를 설정하여 다양한 parameters (percent bone volume (BV/TV, %), trabecular thickness (Tb.Th, mm), trabecular number (Tb.N, 1/mm), trabecular separation (Tb.Sp, mm)에 대한 정량적 분석 시행하였다. 차원 이미지 분석 결과, 비교군인 BM-MSC 처리군에 비해 골조직 형성이 증진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에 의한 BM-MSC의 연골(SOX9, ACAN, ColII)/골(RUNX2, OCN,ColI) 분화 및 골조직 형성(MMP2, MMP13)의 변화를 공배양을 통해 관찰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은 BM-MSC를 공배양한 군으로 설정하였음. 공배양 14일 경과 후 CD200+ 세포를 포함한 성장판 세포(GPC)에 의해 BM-MSC의 연골(SOX9, ACAN, ColII)/골(RUNX2, OCN,ColI) 분화 및 골조직 형성(MMP2, MMP13)의 mRNA 발현(Group 3)이 대조군인 BM-MSC/BM-MSC(Group 2)에 비해 설정한 모든 인자에서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성장판 CD200 + 세포(GPC)의 FACS와 IHC 염색법 (PTHrP) 분석
성장판 세포 내 CD200+ 세포(GPC)의 차별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성장판 CD200+ 세포(GPC)만의 발현 특성을 세포 수준과 조직면역염색 수준에서 FACS 분석 방법과 IHC 염색법 (PTHrP)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성장판 CD200+ 세포(GPC)는 PTHrP 수용체가 존재하여, PTHrP의 영향으로 골성장에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퇴골과 정강뼈의 성장판 부위에 PTHrP와 결합하는 세포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성장판 부위의 세포를 수득하였을 때, PTHrP 수용체가 포함된 세포가 수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장판 CD200+ 세포(GPC)는 표면 마커인 CD90이 발현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D90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필수적인 표면 마커로 이는 CD200+ 세포(GPC)가 성장판 유래 CD200+ 세포(GPC)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D200+ 세포(GPC)는 성장판 유래 세포라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CD200 + 세포(GPC) 부산물의 분석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인 성장판 세포 내 CD200+ 세포(GPC) 부산물의 단백질 표면 마커 발현, 사이즈, 농도, 이미지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NTA(Nano particle tracking analysis),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B(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장판 세포 내 CD200+ 세포(GPC) 부산물은 50~ 200 nm 정도의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충분한 개수가 수득하는 한 것으로 확인됨. 또한 엑소좀의 특징인 CD63, HSP70과 같은 표면 단백질 마커의 발현이 정상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6)

  1. 성장판 유래 세포, 상기 세포의 부산물 또는 상기 세포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판 유래 세포는 CD200+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상기 성장판 유래 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 골연화증, 구루병,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대사성 골질환, 골용해, 백혈구 감소증, 뼈의 기형, 고칼슘혈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변성 관절증 또는 신경압박 증후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KR1020220064199A 2021-06-10 2022-05-25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220167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5497 2021-06-10
KR1020210075497 2021-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218A true KR20220167218A (ko) 2022-12-20

Family

ID=8453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199A KR20220167218A (ko) 2021-06-10 2022-05-25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2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42B1 (ko) 2015-02-04 2017-02-17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연골세포로 분화되고 있는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연골세포 분화 유도 또는 연골조직 재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42B1 (ko) 2015-02-04 2017-02-17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연골세포로 분화되고 있는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연골세포 분화 유도 또는 연골조직 재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5799B1 (de) Hohlendoprothesen mit knochenwachstumsfördernder Füllung
EP2211878B1 (en) Calcium-mediated effects of coral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0520237A2 (de) Knochenersatzmaterial mit Fibroblasten-Wachstums-Faktoren
US8409622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biocompatible material
KR20050010778A (ko) 결합조직 자극 펩티드
CN108276487B (zh) 一种可促进成骨并抑制破骨的活性多肽及其应用
JP7078712B2 (ja) Hapln1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軟骨再生用組成物
Arora et al. Pea protein-derived tripeptide LRW shows osteoblastic activity on MC3T3-E1 cells via the activation of the Akt/Runx2 pathway
FI91877B (fi) Menetelmä osseiini-hydroksiapatiittiyhdisteen valmistamiseksi
KR20220167218A (ko) 성장판 조직 유래 세포,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Toni et al. Bone demineralization induced by cementless alumina-coated femoral stems
KR101950115B1 (ko) 재조합 인간 뼈 형성 단백질-2 및 비스포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564255A1 (en) Dual functional novel peptide having cell permeability and bone tissue regeneration ability, and use thereof
JP5885206B2 (ja) グリコーゲンを含有する骨形成促進剤
KR20160124806A (ko) Fgf-18을 포함하는 삽입물
EP2502632B1 (en) Preventative agent and/or therapeutic agent and/or exacerbation-suppressing agent for human knee osteoarthritis
CN109863163B (zh) 促进骨再生或骨形成的多肽及其用途
JP2007512320A (ja) 槐角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更年期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20120045122A (ko) 관절염을 포함한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Mitlak et al. Pamidronate reduces PTH‐mediated bone loss in a gene transfer model of hyperparathyroidism in rats
KR20200043783A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hi et al. Effect of alendronate sodium on chondrocytes in joint inflammation through down-regulation of microRNA-184 (miR-184)
KR20200043784A (ko)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4336A (ko) 글라이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재생 또는 골 형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101156156B1 (ko) 골형성촉진용 합성펩타이드 bfp3, 상기 합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골형성촉진기능성 약학조성물 및 배지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