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866A -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866A
KR20220166866A KR1020227039492A KR20227039492A KR20220166866A KR 20220166866 A KR20220166866 A KR 20220166866A KR 1020227039492 A KR1020227039492 A KR 1020227039492A KR 20227039492 A KR20227039492 A KR 20227039492A KR 20220166866 A KR20220166866 A KR 2022016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unction
feedback path
path transfer
bone conduction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휘팡 탕
보청 리
빙얀 얀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04R25/305Self-monitoring or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방법들과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는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분석유닛은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한다. 상기 신호처리유닛은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청력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력장치(예를 들면,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의 양자를 구비한다. 상기 청력장치의 상태는 상기 청력장치의 사용에 큰 작용을 줄 수 있다. 상기 청력장치의 비정상 상태는 상기 청력장치의 출력 민감도를 선명히 감소시키거나 또는 직접 상기 청력장치의 불량(예를 들면, "하울링(howlround)"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력장치의 상태의 검측은 상기 청력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고 상기 비정상 청력장치에 따른 고장을 감소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골전도 청력장치(예를 들면, 골전도 보청기)에서,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청력장치의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일부 상황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실시간 상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검측하고 평가함으로써 직감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하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피커가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는 것;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것; 상기 피드백분석유닛이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는 것; 및 상기 신호처리유닛이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및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수량이 2개 이상이면, 최소 차이를 가지는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오착용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비정상 구조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침입 상태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차단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통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비정상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에 근거하여 리마인더 정보를 사용자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하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상기 피드백분석유닛; 및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및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수량이 2개 이상이면, 최소 차이를 가지는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오착용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비정상 구조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침입 상태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차단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통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비정상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처리유닛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되게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에 근거하여 리마인더 정보를 사용자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하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소리생성모듈, 피드백신호생성모듈, 피드백분석모듈, 및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소리생성모듈은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1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모듈은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분석모듈은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하나는 컴퓨터 가독성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고, 컴퓨터가 상기 저장매체내의 컴퓨터 명령들을 읽을 때, 상기 컴퓨터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생성되는 테스트신호인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기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으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게 지시한다.
본 출원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더 설명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예시적은 실시예들이 아니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조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함수 검측시스템의 응용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전달함수 검측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전달함수 검측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도표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도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전달함수의 도표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기술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면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에서 기재하는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들이다.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임의의 창조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근거하여 본 개시를 기타 유사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문맥으로부터 명확하게 얻을 수 있거나 또는 문맥에서 다르게 해석하는 외에는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상기 "시스템", "장치", "유닛" 및/또는 "모듈"은 상이한 부재, 소자, 부품, 부분 또는 상이한 수준의 조립체를 오름 순서로 구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나 다른 단어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단어는 다른 표현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 "일" 및 "상기"는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포함", "포괄"은 명시된 절차들과 소자들을 포함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절차들과 소자들은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방법들 또는 장치들은 기타 절차들 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흐름도는 시스템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흐름도들의 전후 동작은 정확히 순서에 따라 실행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각 단계는 반대 순서거나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기타 동작들을 흐름도에 추가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동작들은 이러한 절차들에서 삭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스피커를 예로 들어 소리생성유닛의 사용 및 응용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에 의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아래에서는, 일반성을 잃지 않는 정황하에서, 본 개시에서 골전도 관련 기술을 설명할 때, "골전도 청력장치," "골전도 청력장치," "골전도 스피커," "스피커장치" 또는 "골전도 어어폰"의 묘사를 채택한다. 상기 설명은 단지 골전도 기술의 예시적인 응용이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스피커" 또는 " 어어폰"은 "플레이어," "보청기," 등과 같은 기타 유사한 단어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사실상,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행방법은 기타 비스피커 청력장치들에 쉽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기본 원칙을 이해한 후, 상기 원칙을 이탈하지 않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를 실행하는 특정된 방법과 절차들의 형식 및 세부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환경소리 픽업 및 처리기능을 상기 골전도 스피커에 추가하여 상기 스피커가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과 같은 마이크는 사용자/착용자 주위의 환경속의 소리를 픽업하고, 특정된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리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소리(또는 생성된 전기신호)를 골전도 스피커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환경소리픽업기능을 추가하도록 수정되고, 특정된 신호처리 후, 상기 소리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착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골전도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 언급한 상기 알고리즘(들)은 소음제거, 자동증익제어, 음향피드백억제, 광범위한 동적범위압축, 능동형 환경인식, 능동형 방음처리, 방향처리, 이명처리, 다중채널 광범위한 동적범위압축, 능동형 하울링(howling)억제, 음량제어, 등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청력장치(이를테면,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양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가 내는 소리의 일부분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하울링(howlround)을 초래하고, 또는 사용자(이를테면, 착용자)가 상기 청력장치의 사용과정에서 메아리를 듣게 한다. 상기 메아리 또는 하울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한 작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이를테면,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스피커가 내는 소리를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피커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한 작용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폰 사이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골전도 청력장치(이를테면, 골전도 보청기)에서, 골전도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소리는 진동전도 및 기전도를 통해 동시에 마이크로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들은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의 양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전달경로들은 상기 골전도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들로의 상이한 전달함수에 대응된다. 일부 상황에서, 상이한 전달경로들, 특히 상기 진동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한 작용을 더 잘 평가할 필요가 있다. 진동전달함수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와 같은 더 복잡한 추가 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은 골전도 스피커로부터 다른 위치들(이를테면, 하우징을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이 위치하는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검측기는 제1 위치에서 제1 소리를 수신하고 제2 위치에서 제2 소리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소리는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리는 기전도 전달경로만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전달함수는 결정되고, 상기 테스트 방법은 더 효과적이고 쉽게 작동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함수 검측시스템의 응용장면의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달함수 검측시스템(100)는 간단히 시스템(100)라고 부를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는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 청력장치(120), 테이터 베이스(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의 여러 부재들은 무선 연결, 유선 연결, 또는 임의의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연결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신 및/또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100)는 골전도 청력장치의 진동전달함수를 획득하고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선 연결은 동축케이블, 통신케이블, 가요성 케이블, 나선 케이블, 비금속 피복케이블, 금속 피복케이블, 다중코어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리본 케이블, 차폐 케이블, 원격통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평행 트위스트 페어 도체, 및 트위스트 페어와 같은 금속선, 광케이블, 또는 금속과 광케이블 혼합 케이블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유선 연결은 전기신호 또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캐리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연결은 무선 통신, 자유공간 광통신, 음향통신, 전자기 유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무선 통신은 IEEE302.11 계열표준, IEEE 302.15 계열표준 (이를테면, 블루투스 기술 및 보라색 벌 기술), 제1 세대 이동통신기술, 제2 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를테면, FDMA, TDMA, SDMA, CDMA, 및 SSMA),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 기술, 제3 세대이동통신 기술(이를테면, CDMA2000, WCDMA, TD-SCDMA, 및 WiMAX), 제4 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를테면, TD-LTE 및 FDD-LTE), 위성통신(이를테면, GPS 기술), 근거리 통신(NFC) 및 기타 ISM 주파수대역에서 (이를테면, 2.4GHz) 작동하는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자유공간 광통신은 가시광선, 적외선 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음향통신은 음파들, 초음파 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기 유도는 근거리 통신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다. 상기 무선 연결의 매체는 Z파 기술, 기타 유료 민용 무선대역 및 군용 무선대역과 같은 기타 유형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청력장치(120)는 일반적으로 기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청력장치(120)는 골전도 스피커(이를테면, 도4 및 도 5에 표시하는 골전도 스피커(122))과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와 기타 부재들(이를테면,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12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의 마이크로폰에 대한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청력장치(120)의 특정 관심위치(이를테면, 도 1 및 도 4에 표시하는 위치(123))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특정 관심위치는 상기 마이크로폰(이를테면, 상기 청력장치(120)에 실제 장착한 마이크로폰)의 설치 위치, 또는 상기 청력장치(120)(이를테면,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122)에 강성 또는 탄성 연결된 상기 청력장치(120)의 임의의 일부분)의 내부 또는 외부의 임의의 위치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내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상기 소리에 근거하여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신호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의 위치)에 대한 작용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신호는 상기 프로세서(140)에 전송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환경속의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에 근거하여 소리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환경속의 소리는 예를 들면, 사람 소리, 차 소리, 주위 환경의 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와 상기 프로세서(140)로 상기 소리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소리신호에 근거하여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상기 소리신호를 상기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소리신호를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소리신호에 근거하여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향전기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리본 마이크로폰, 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 (MEMS) 마이크로폰, 동적 마이크로폰, 압전 마이크로폰, 용량성 마이크로폰, 탄소마이크로폰,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디지털 마이크로폰,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마이크로폰은 전방향 마이크, 단방향 마이크, 양방향 마이크, 심전도 마이크,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기전도 마이크로폰과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는 마이크로폰을 검측기(110)로 설명한다.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 상기 테이터베이스(130), 또는 상기 시스템(100)의 기타 부재들로부터 얻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내는 소리를 픽업한 후 생성한 전기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140)는 단일 서버이거나 서버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서버 그룹는 중앙 집중화 또는 분산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140)는 현지 또는 원격 장치이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검측기(110),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 및/또는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프로세서(140)는 직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 및/또는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연결되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140)는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과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도4 및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은 테스트 오디오신호(이를테면,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와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소리(이를테면, 제1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내는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는 상기 소리에 근거하여 피드백신호(이를테면, 제1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신호를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가 출력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의 양자를 통해 전송되는 피드백신호 및 상기 피드백신호에 대응되는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응한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예를 들면,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전도 전달경로만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피드백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응한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예를 들면,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사전에 결정된 2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140)는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의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로의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40)는 실시간으로 결정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기타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실시간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데이터, 명령들, 및/또는 예를 들면, 상술한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임의의 기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110),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 및/또는 상기 프로세서(14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상기 프로세서(140)에 의해 사용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되어 본 개시에 기재된 상기 예시적인 방법을 실행하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대량 메모리, 이동식 메모리, 휘발성 읽기-쓰기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시스템(100)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재들(이를테면, 상기 프로세서(14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내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이를테면,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내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는 상기 프로세서(14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특히, 처리(200)는 상기 시스템(100)(이를테면, 상기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200)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의 형식으로 저장장치(이를테면,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200)는 상기 시스템(100)(이를테면, 상기 프로세서(140))이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할 때 실행될 수 있다.
절차 210에서,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차 210은 테스트 오디오 생성모듈(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은 특정된 특성들을 구비하는 전기신호들을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는 신호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백색 소음 신호, 순수한 오디오 신호, 펄스 신호, 협대역 소음, 협대역 처프(chirp), 변조된 오디오 신호, 및/또는 스위프 주파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생성장치(이를테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백색 소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리생성장치는 전체 주파수에서 동일한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소음, 즉 백색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장치가 순수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소리생성장치는 단일 오디오 소리, 즉, 순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장치가 스위프 주파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소리생성장치는 주파수대역에서 주파수를 높은 주파수로부터 낮은 주파수로(또는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로)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소리, 즉, 스위프 주파수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상이한 시각들에서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에 의해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신호들일 수 있으며, 각각 테스트하려는 장치를 테스트하는데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 테스트 조건의 일치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정확히 같을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의 유형과 주파수는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똑같은 스위프 주파수 신호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의 유형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상기 백색 소음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순수한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일부 대안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이용하는 장치의 테스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이용하는 장치의 테스트는 동시에 한번에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은 하나만의 테스트 오디오신호,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테스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 많은 설명은 절차 230의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절차 220에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소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전기신호들의 형식으로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전기신호들을 각각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진동판과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신호들을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여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판은 상기 변환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는(이를테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청력장치(120)를 착용), 상기 진동판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인체조직과 골격을 통해 상기 진동을 청각신경에 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상기 제1 소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소리를 먼저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는 동일한 청력장치(120)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동일한 골전도 스피커(1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내는 상기 소리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작용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음향경로에 대응되는 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동일한 구조 및 재료의 2개의 골전도 스피커(1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122)는 각각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절차 230에서,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한 후 제1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한 후 제2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는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소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피드백경로 테스트장치(이를테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에 전송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기전도 마이크로폰(이를테면, 도 4 및 도 5 중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제1 방법을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소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청력장치(120)(즉,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은 상기 청력장치(120)에 강성 또는 탄성 연결될 수 있다)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청력장치(120)(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4 중의 상기 하우징(121)) 부근의 다른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력장치(120)에 강성 또는 탄성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의 소리 생성원리에 의하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상기 제1 소리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청력장치(120)(상기 하우징)를 구동하여 진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청력장치(120)의 진동을 상기 청력장치(120) 부근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청력장치(120)의 상기 하우징(121)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방향이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의 진동방향에 평행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의 진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상기 제1 소리가 생성할 때 주위 공기의 진동을 구동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의 진동은 기전도의 형식으로 상기 마이크로폰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소리는 진동전도와 기전도를 통해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방법은 진동전도와 기전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2개의 전달경로들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소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에 전송 및/또는 저장장치(이를테면,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마이크로폰은 제2 방법을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2 소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청력장치(120)(상기 하우징(121))에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제1 위치 부근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력장치(120)에 상대적으로 현수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이 그의 위치에서 상기 청력장치(120)에 강성 또는 탄성 연결되지 않은 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청력장치(120)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121)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은 공기에 의해 전송된 소리만을 수신하고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소리는 기전도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폰에만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상기 제2 방법은 기전도만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기전도 전달경로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제2 소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에 전송 및/또는 저장장치(이를테면,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작을 때(이를테면, 1 mm, 5 mm, 1 cm, 5 cm보다 작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의 기전도 전달경로가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기전도 전달경로와 같다고 대체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대안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방향이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부들(이를테면, 상기 진동막)의 진동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1 위치에서 공기에 의해 전송되는 소리만을 수신할 수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상기 하우징(121)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하는 처리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진동막의 진동방향은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상기 진동막이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하우징(121)의 가까이에 있더라도, 상기 마이크로폰이 수신하는 상기 제2 소리는 기전도를 통해서만 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의 진동방향이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때 기전도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가 각각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를 생성할 때, 단지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의 진동방향을 상기 하우징(121)의 진동방향에 평행 또는 수직이 되게 설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마이크로폰은 수신한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에 근거하여 각각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이를테면, 상기 기전도 마이크로폰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는 동일한 구조들 및 재료들의 제1 검측기(이를테면, 제1 기전도 마이크로폰)와 제2 검측기(이를테면, 제2 기전도 마이크로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이를테면, 상기 기전도 마이크로폰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는 상이한 구조들 및 재료들의 상기 제1 검측기(이를테면, 실리콘 마이크로폰)와 상기 제2 검측기(이를테면, 일렉트렛 마이크로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기전도 마이크로폰 또는 골전도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기전도 마이크로폰을 본 개시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1 검측기는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검측기는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상기 제1 검측기는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검측기는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검측기와 상기 제2 검측기는 각각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검측기와 상기 제2 검측기는 동시에 동일한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는 하나만의 테스트 오디오신호(이를테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소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검측기와 상기 제2 검측기는 각각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여 동시에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검측기와 상기 제2 검측기가 동일한 소리를 수신하지만, 상기 제1 검측기에 의해 수신하는 제1 소리전달경로는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검측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소리는 기전도 전달경로만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검측기와 상기 제2 검측기에 의해 출력되는 피드백신호들은 다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검측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는 상기 제1 피드백신호라고 부를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검측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는 상기 제2 피드백신호라고 부를 수도 있다. 각각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동일한 검측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는 작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드백신호들과 제2 피드백신호들은 대체로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절차 240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1 피드백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차 240은 처리모듈(3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측정원리에 따라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1 피드백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으로부터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1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전송되는 상기 제1 소리의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변환시켜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얻고,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변환시켜 제1 변환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Z변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1 피드백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Z변환에 의해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상기 기전도 마이크로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 피드백신호는 Z변환에 의해 상기 제1 변환피드백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변환은 푸리에 변환방법, 라플라스 변환방법, 선형예측부호기 또는 기타 음성모델해결방법, 등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함수 측정방법은 교차 분석 방법, 적응 추정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달함수 측정방법은 소리신호와 전기신호를 변환시켜 변환신호를 획득하고, 그 다음 상기 변환신호에 근거하여 변환함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설명은 공식(1) 내지 (5)에 관한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1 변환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아래의 공식(1)을 통해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 (1)
여기에서,
Figure pct00002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이고,
Figure pct00003
상기 제1 변환피드백신호이고,
Figure pct00004
는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05
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기전도전송경로와 상기 진동전송경로의 작용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테스트신호생성유닛(141)으로부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전송되는 제2 소리의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각각 변환시켜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변환피드백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Z변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Z변환에 의해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2 피드백신호는 Z변환에 의해 상기 제2 변환피드백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설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변환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공식(2)를 통해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6
, (2)
여기에서,
Figure pct00007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이고,
Figure pct00008
상기 제2 변환피드백신호이며,
Figure pct00009
는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10
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와 상기 제2 위치(또는 상기 제1 위치) 사이의 기전도전송경로의 작용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공식(1)과 공식(2)를 풀므로써,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소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기전도 전달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소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그 다음,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는 후속의 분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11
와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12
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소리의 상기 제1전달경로가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2 소리의 상기 제2 전달경로가 기전도 전달경로만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전도 마이크로폰의 공기 출력신호(즉,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는 다를 수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포함하는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아래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13
, (3)
여기에서,
Figure pct00014
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기전도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고,
Figure pct00015
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이다.
도 6은 상기 공식(3)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16
의 도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사이의 짧은 거리를 고려하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기전도 전달경로는 대체로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기전도 전달경로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기전도 전달경로만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드백경로의 전달함수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17
, (4)
여기에서,
Figure pct00018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기전도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고,
Figure pct00019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기전도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0
와 같거나 대처로 같을 수 있다. 도 7은 상기 공식(2)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1
의 도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2
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와 상기 제2 위치(또는 상기 제1 위치) 사이의 기전도전송경로의 작용만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3
와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4
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5
가 상기 기전도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6
만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7
가 상기 기전도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28
와 상기 진동전달함수
Figure pct00029
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공식(3)에서 상기 공식(4)를 덜어내어 상기 진동전달함수
Figure pct00030
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31
. (5)
도 6은 기전도 전달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도표이다. 도 6중의 곡선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신하는 상기 제1 소리가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기전도경로와 진동전달경로의 양자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의 상황을 나타낸다. 약 1000 Hz (이를테면, 600 Hz 내지 1000 Hz) 범위내에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상기 제1 위치에서의 기전도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통한 작용은 다른 주파수 범위에 상대적으로 골짜기 (예를 들면, 작용이 작다)를 가지며; 300 Hz 내지 400 Hz 및 2000 Hz 내지 3000 Hz의 범위내에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동시에 기전도경로와 진동전달경로를 통한 작용은 기타 주파수 범위에 상대적으로 피크(예를 들면, 영향이 크다)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7은 기전도 전달경로만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도표이다. 도 7중의 곡선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수신하는 상기 제2 소리가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기전도경로만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의 상황을 나타낸다. 상기 주파수가 0 Hz 내지 1000 Hz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상기 기전도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위치에 대해 작은 작용을 가진다. 상기 주파수가 1000 Hz 내지 3000 Hz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상기 기전도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위치에 큰 작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에서의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부터 도 7에서의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덜어낸 경우, 도 8에 표시하는 곡선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진동전달경로는 0 Hz 내지 1000 Hz의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부분에 더 큰 작용을 가질 수 있고, 1000 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부분에 더 작은 작용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에 의하면,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상기 진동전달경로를 통한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작용은 주로 저주파수 범위(이를테면, 1000 Hz보다 작다)에 집중되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상기 기전도 전달경로를 통한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작용은 주로 고주파수 범위(이를테면, 1000 Hz보다 크다)에 집중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피드백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공식(6)을 통해 상기 진동피드백신호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32
, (6)
여기에서,
Figure pct00033
는 상기 제1 피드백신호이고,
Figure pct00034
는 상기 제2 피드백신호이고,
Figure pct00035
은 상기 진동피드백신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진동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각각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진동피드백신호를 변환시켜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및 상기 변환진동피드백신호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Figure pct00036
은 Z변환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Figure pct00037
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Figure pct00038
는 Z변환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Figure pct00039
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Figure pct00040
Z변환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Figure pct00041
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및 상기 변환진동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생성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의 평균치 또는 가중 평균치를 결정하여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다.
해석의 목적을 위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공식(7)을 통해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 평균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42
, (7)
여기에서,
Figure pct00043
상기 제1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이고,
Figure pct00044
상기 제2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이고,
Figure pct00045
는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변환진동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변환진동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공식(8)을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46
, (8)
여기에서,
Figure pct00047
는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이고,
Figure pct00048
는 상기 변환진동피드백신호이고,
Figure pct00049
는 상기 진동전달함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의 평균치와 가중 평균를 측정하여 평균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평균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진동피드백신호를 변환시켜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변환진동피드백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평균 변환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변환진동피드백신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에만 의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데 있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많은 변경과 수정은 본 개시의 내용의 제시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들, 구조들, 방법들, 및 기타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및/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경로결정유닛(142)은 제1 결정유닛과 제2 결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정유닛은 상기 제1 피드백경로의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결정유닛은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들과 수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시스템(300)은 간단히 시스템(300)라고 부를 수 있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300)은 테스트 오디오 생성모듈(310)과 처리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300)는 도 1에 표시하는 상기 시스템(100)(이를테면, 상기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오디오 생성모듈(310)은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백색 소음 신호, 순수한 오디오 신호, 펄스 신호, 협대역 소음, 협대역 처프(chirp), 변조된 오디오 신호, 및/또는 스위프 오디오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의 유형과 주파수들은 같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동일한 주파수의 순수한 오디오 신호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의 유형과 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의 유형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상기 백색 소음,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는 순수한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스트 오디오 생성모듈(310)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만과 같은 하나만의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진동전달함수를 획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세부내용에 관해서는 절차 230의 관련 설명을 참고 바란다.
상기 처리모듈(320)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1 피드백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신호는 진동전달경로와 기전도 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전송되는 신호를 반영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피드백신호는 기전도 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전송되는 신호를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신호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소리를 수신한 후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피드백신호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는 각각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를 생성하는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는, 절차 220의 상세 설명을 참고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처리모듈(320)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1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220)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전송되는 상기 제1 소리로부터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2에서의 절차 240의 상세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모듈(320)은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전송되는 상기 제2 소리의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피드백경로의 전달함수를 결정하는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2에서의 절차 240의 상세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모듈(320)은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하는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2에서의 절차 240의 상세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모듈(320)은 상기 제1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2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진동피드백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모듈(320)은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진동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진동전달함수를 결정하는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2에서의 절차 240의 상세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에만 의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데 있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많은 변경과 수정은 본 개시의 내용의 제시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기 특징들, 구조들, 방법들, 및 기타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및/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모듈(320)은 제1 처리모듈과 제2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처리모듈은 상기 제1 피드백경로의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처리모듈은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들과 수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와 적어도 하나의 테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는 컴퓨터 가독성 저장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터베이스(130)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컴퓨터 명령들을 실행하여 상기 처리(200)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골전도 마이크로폰, 기전도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본 개시에서 기재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측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도 4 및 도 5에 표시하는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전기신호들을 진동신호들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골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22)와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각각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우징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분석유닛과 상기 신호처리유닛은 2개의 독립적인 장치이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의 2개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분석유닛과 상기 신호처리유닛은 상태검측장치에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태검측장치는 상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에 조합되어 일체형 장치를 형성할 수 있거나,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로부터 독립된 장치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2개의 설치방법들을 구분하기 위해, 하기의 설명들은 2개의 응용장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태검측장치가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와 조합되어 일체형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사용전 또는 사용시 상태자체검측을 구현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측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상태검측장치가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사용전 또는 사용시 상기 상태검측장치와 통신 및/또는 연결되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측한다.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는 방법은 아래의 절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차 910에서, 상기 스피커는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테스트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오디오신호와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차 910은 소리생성모듈(10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신호(예를 들면, 소리테스트신호)는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스피커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3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절차 920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차 920은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모듈(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는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응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한 후, 상기 제3 소리에 근거하여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신호를 상기 피드백분석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술한 제1 피드백신호와 유사하거나 같은 방식으로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절차 930에서, 상기 피드백분석유닛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절차 930은 피드백분석모듈(10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2에서의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50
및/또는 상기 제2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51
를 결정하는 방법과 같을 수 있다. 해석의 목적을 위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Figure pct00052
는 공식(9)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53
, (9)
여기에서,
Figure pct00054
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제1 신호에 대해 상기 Z변환을 실행함에 따라 얻는 제1 변환신호를 표시하고,
Figure pct00055
은 상기 마이크로폰치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대해 상기 Z변환을 실행함에 따라 얻는 변환피드백신호를 표시한다.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피드백신호에 대해 상기 Z변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신호
Figure pct00056
와 상기 변환피드백신호
Figure pct00057
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공식(9)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절차 940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절차 940는 상기 피드백분석모듈(10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은 저장장치(이를테면,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사전에 설치 또는 저장된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은 상기 제1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같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이를테면, 절차 240)에 공개된 상기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는 경험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설치되는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는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또는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광범위의 사람들에게 착용된 경우의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피드백경로 특징함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또는 이는 정상적으로 착용되어 사용되는 경우 특정된 사용자의 개인화된 피드백경로 특징함수일 수 있다.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기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경로전달함수일 수 있다.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및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는 다양한 가능한 비정상 피드백상황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이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이한 상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의 상태(이 때,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우징) 및 그것이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이 때,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지 않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우징)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제1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도 알려진다)와 그것이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았을 때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제2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도 알려진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절차 950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할 수 있다. 절차 950는 상기 피드백분석모듈(10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차 930에서 결정되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되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의 표준피드백함수 사이의 차이가 기설정 역치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차이가 기설정 역치내에 있으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이라고 결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아니하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이라고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의 상기 표준피드백함수의 비율이 상기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이 상기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이라고 결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아니하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이라고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의 비정상 피드백함수 사이의 차이가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이가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그렇지 아니하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의 상기 비정상 피드백함수의 비율이 상기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이 상기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아니하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설정 역치범위는 상이한 상황에 따라 수동적으로 설치되고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적어도 2개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작은 차이가 있는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최종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제1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제2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사이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사이의 차이보다 크면, 상기 제2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최종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결정될 수 있다.
절차 960에서, 상기 신호처리유닛은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절차 960은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교결과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인 경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상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것을 의미한다. 비착용상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정상적인 구조 상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구조들 및/또는 부재들이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구조 상태는 상기 정상적인 구조 상태와 반대일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구조 및/또는 부재들이 비정상 작동 상태(이를테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부재는 오정렬, 이동, 또는 충돌로 인한 손상을 가진다)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이물침입 상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구조 및/또는 부재들이외의 물질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내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정상적인 구조 상태는 정상 상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비정상 구조 상태와 상기 이물침입 상태는 비정상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교결과는 착용상태와 비착용상태와 같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착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상 상태(이를테면, 정상적인 구조 상태)와 상기 비정상 상태의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은 도 2에서의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로써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정상 상태(이를테면, 이물침입 상태)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에 대응되는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서의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정상 상태(이를테면, 상기 정상적인 구조 상태)에서의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에 대응되는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은 상기 테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각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정상 상태, 상기 비정상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절차 950 및 절차 960에 의하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현재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현재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 가장 근사한 상기 테이터베이스(130)내의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매치될 수 있다. 그 후 매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 대응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현재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처리에 의하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교결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상이한 유형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이한 상태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은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및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 관한 차이 또는 비율이 상기 기설정 역치범위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들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결정되고, 그 다음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밀착 상태에 대응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즉,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와 밀착함),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은 밀착 상태에 대응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와 밀착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밀착이 해제된 상태라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은 밀착이 해제된 것일 수도 있다. 상응하게,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밀착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이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에 의해 착용된 머리의 상이한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머리의 특정된 부분에 대응되게 결정되는 경우(이를테면, 유양 돌기, 측두골, 또는 상기 압골),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은 상기 머리 부분에도 대응될 수도 있다. 상응하게, 이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위치(이를테면, 유양 돌기, 상기 측두골, 또는 상기 압골)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한 후,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되게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한 후,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은 상기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리마인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라는 리마인더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주는 방법들은 음성제시, 지시등제시, 진동제시, 문자제시, 원격 멧세지,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예를 들면, "이물이 상기 장치에 침입"과 같은 음성제시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에는 제시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상기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시등은 녹색등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시등은 적색등을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줄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회 진동하는 것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비정상 구조를 가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진동은 이물의 침입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문자제시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와 통신 및/또는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주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 또는 단말기에서 표시한 문자 멧세지, 예를 들어 "이물이 상기 장치에 침입" 및 "상기 장치가 비정상 구조를 가진다"를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에만 의해 설명을 제공하며, 이는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많은 변경과 수정은 본 개시의 내용의 제시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기 특징들, 구조들, 방법들, 및 기타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및/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정상 상태에 속하는 상태 및 상기 비정상 상태에 속하는 상태는 작업자가 경험에 의해, 사용자 또는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들과 수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골전도 청력장치의 검측시스템(1000)을 간단히 시스템(1000)이라고 부를 수 있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1000)은 소리생성모듈(1010), 피드백신호생성모듈(1020), 피드백분석모듈(1030), 및 신호처리모듈(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생성모듈(1010)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생성모듈(1010)은 상기 골전도 스피커 또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소리를 생성하는 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9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모듈(1020)은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모듈(1020)은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의 일부분, 또는 임의의 음향전기센서 또는 진동센서일 수 있다.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9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상기 피드백분석모듈(1030)은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분석모듈(1030)은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분석모듈(1030)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데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하며, 도 9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은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더 많은 정보에 관하여 도 9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 바라며, 여기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가독성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가 상기 저장매체내의 컴퓨터 명령들을 읽을 때, 상기 컴퓨터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신호일 수 있는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시스템 및 그 장치들/모듈들에 대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을 첨부된 실시예들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원리를 이해한 후, 그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장치들/모듈들의 조합을 만들거나, 또는 서브 시스템을 구성하여 다른 장치들/모듈들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0에 개시된 피드백분석모듈(1030)와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은 하나의 장치(이를테면, 상기 프로세서(140)) 중의 상이한 모듈들일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모듈이 상술한 2개 이상의 모듈들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분석모듈(1030)과 상기 신호처리모듈(1040)은 2개의 모듈일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신호의 분석 및 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하나의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각 모듈은 자체의 저장모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각 모듈은 하나의 저장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들은 본 개시의 보호범위내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가능한 유익 효과는 아래의 2가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전달함수는 가속도계와 같은 외부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테스트 처리가 더 간단하고 편리하게 한다. (2)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현재 상태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검측될 수 있으며, 상응한 리마인더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알거나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상이한 실시예들은 상이한 유익 효과를 생성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가능한 유익 효과는 상술한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 또는 기타 가능한 유익 효과일 수 있다.
이상에서 기본 원칙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의 상세설명은 하나의 예일 뿐이고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개량,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화, 개량, 또는 수정은 본 개시의 제시를 받았으며, 이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특정 용어를 사용한다. 이를테면, 용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이한 부분에서 기술한 2개 이상의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는 전부 동일한 실시예로 여길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인정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본 개시에서 일부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처리 요소 또는 순서, 숫자와 문자의 사용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개시의 절차 및 방법의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현재 본 개시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 반대로, 수정과 개시된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방안과 동등한 방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장착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예를 들면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에서, 개시를 간단화하고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특징들이 어떤 경우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그에 대한 기재에 함께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는 각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특징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상기 공개된 하나의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가 여기에서 주는 제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된 것이 아니다.

Claims (16)

  1.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스피커가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는 것;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것;
    상기 피드백분석유닛이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는 것; 및
    상기 신호처리유닛이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및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수량이 2개 이상이면, 최소 차이를 가지는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오착용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비정상 구조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침입 상태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차단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통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비정상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에 근거하여 리마인더 정보를 사용자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8.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피드백분석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상기 피드백분석유닛; 및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는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및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비교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에 근거하여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표준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유형이 상기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라고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설정 역치범위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의 수량이 2개 이상이면, 최소 차이를 가지는 상기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하나의 결정된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정상적인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오착용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오착용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비정상 구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비정상 구조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침입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침입 상태라고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가 이물차단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이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가 이물차단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 을 통해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비정상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유닛은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되게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에 근거하여 리마인더 정보를 사용자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오착용 상태, 비정상 구조 상태, 이물침입 상태, 및 이물차단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소리생성모듈, 피드백신호생성모듈, 피드백분석모듈, 및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리생성모듈은 신호처리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1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모듈은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분석모듈은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고,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컴퓨터 가독성 저장매체로서,
    상기 저장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고, 컴퓨터가 상기 저장매체내의 컴퓨터 명령들을 읽을 때, 상기 컴퓨터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생성되는 테스트신호인 제1 신호에 근거하여 제3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소리를 수신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 신호에 근거하여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기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의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결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얻으며;
    상기 피드백경로 전달함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 피드백경로 전달함수를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게 지시하는
    컴퓨터 가독성 저장매체.
KR1020227039492A 2020-08-29 2020-08-29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6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2328 WO2022041168A1 (zh) 2020-08-29 2020-08-29 一种检测骨导听力设备状态的方法和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866A true KR20220166866A (ko) 2022-12-19

Family

ID=8035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492A KR20220166866A (ko) 2020-08-29 2020-08-29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11909A1 (ko)
EP (1) EP4117311A4 (ko)
JP (1) JP2023524868A (ko)
KR (1) KR20220166866A (ko)
CN (1) CN115380541A (ko)
BR (1) BR112022021028A2 (ko)
WO (1) WO2022041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7304B1 (en) * 2021-12-27 2022-09-27 Bose Corporation Headphone audio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2778B2 (en) * 2003-04-08 2007-07-10 Gennum Corporation Hearing instrument with self-diagnostics
US8600067B2 (en) * 2008-09-19 2013-12-03 Personics Holdings Inc. Acoustic sealing analysis system
DE102010043413A1 (de) * 2010-11-04 2012-05-10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Verfahren und Hörgerät zur Ermittlung von Nässe
EP2523471B1 (en) * 2011-05-09 2014-06-18 Bernafon AG A test system for evaluating feedback performance of a listening device
US20150124977A1 (en) * 2013-11-07 2015-05-07 Qualcomm Incorporated Headset in-use detector
DE102017215825B3 (de) * 2017-09-07 2018-10-31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Defektes in einem Hörinstrument
EP3675524A1 (en) * 2018-12-28 2020-07-01 GN Hearing A/S A method of determining a status of an acoustic feedback path of a head wearable hearing device and a head wearable hea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4868A (ja) 2023-06-13
US20230011909A1 (en) 2023-01-12
WO2022041168A1 (zh) 2022-03-03
EP4117311A4 (en) 2023-07-05
BR112022021028A2 (pt) 2022-12-27
EP4117311A1 (en) 2023-01-11
CN115380541A (zh)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54143B (zh) 一种获取振动传递函数的方法和系统
US9596535B2 (en) Vibration pickup device,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CN110326305A (zh) 入耳式耳机的离头检测
US9872113B2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system
CN111901738A (zh) 一种检测骨导听力设备状态的方法和系统
JP2009284109A (ja) 音声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EP4218263A1 (en) Hearing augmentation and wearable system with localized feedback
KR20220166866A (ko) 골전도 청력장치의 상태를 검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7397A (ko) 진동전달함수를 얻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092223B2 (en) Measurement system
JP5086768B2 (ja) 通話装置
WO2023087572A1 (zh) 声学装置及其传递函数确定方法
RU2803713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передаточной функции вибрации
RU2803486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слух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костной проводимостью
JP5097511B2 (ja) 音声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CN114467311A (zh) 主动降噪的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