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686A - Mobile type lifter - Google Patents

Mobile type lif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686A
KR20220166686A KR1020210075755A KR20210075755A KR20220166686A KR 20220166686 A KR20220166686 A KR 20220166686A KR 1020210075755 A KR1020210075755 A KR 1020210075755A KR 20210075755 A KR20210075755 A KR 20210075755A KR 20220166686 A KR20220166686 A KR 2022016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boom
wire rope
electric winch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락
Original Assignee
한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락 filed Critical 한상락
Priority to KR102021007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686A/en
Publication of KR2022016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6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8Manually-movable jib cranes for use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lifter comprising: a moving vehicle having wheels to freely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 hollow mast erect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enter line of the moving vehicle; a hollow boom having one end horizontally fixed to the top of the mast; a brace obliquely fixed to corner portions in which the mast and the boom meet each other at a right ang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oom; an electric winch mounted on the mast to wind a wire rope around a cylindrical drum; a number of rope pulleys mounted by being combined with each other inside the mast and the boom to adjust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rope wound around the drum through the hollows of the mast and the boom is hung and pulled and the magnitude of force applied to the wire rope; a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winch; a spool for winding or unwinding a plug cable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external power is input and supplied to the electric winch; and a carabiner attached to an end of the wire rope. Therefore, the mobile lifter can increase workability.

Description

모바일 리프터{MOBILE TYPE LIFTER}Mobile lifter {MOBILE TYPE LIFTER}

본 발명은 풀리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린룸 등의 실내에서 무거운 물건을 교체 또는 점검 및 정비 시 간편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모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er that uses a pulley to lift a heavy object to a high p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er that can easily and safely lift or lower a heavy object when replacing, inspecting, or servicing a heavy object indoors such as a clean room. It relates to a mobile lifter that can be easily moved.

일반적으로 리프트는 적재물 또는 중량물을 특정한 위치로 옮기거나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lift is a device for moving or lifting a loaded object or a heavy object to a specific location, and is widely used today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 타이어(바퀴)의 정비 및 교체를 위한 탈부착 시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는 높이로 타이어를 들어올리거나 자동차 리프트로 들어올린 자동차에서 분리된 타이어를 아래로 내릴 수 있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가 제안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fo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automobile tires (wheels), a tire can be lifted to a height at which a worker can stand and work, or a car that can lower a tire separated from a car lifted by a car lift. Cost Tire lifts have been proposed.

그런데 이는 사용 시 작업자가 타이어를 직접 들어서 안착수단에 올려놓거나 안착수단에 올려놓인 타이어를 들어서 내려야 하는 구조여서 작업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다 타이어용으로 그 용도가 매우 한정되어 있어 범용성과 사용성이 낮은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or has to directly lift the tire and place it on the mounting means or lift and lower the tire placed on the mounting means during use, so workability is inevitably reduced, and its use for tires is very limited, so its versatility and usability are low There are limits.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background art or prior art described above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should be noted that it does not mean widely known technologies in the field.

KRKR 10-122665710-1226657 B1(2013.01.21)B1(2013.01.21) KRKR 10-189814310-1898143 B1(2018.09.06)B1(2018.09.06) KRKR 10-134527310-1345273 B1(2013.12.19)B1(2013.12.19) KRKR 10-043624710-0436247 B1(2004.06.04)B1(2004.06.0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모바일 리프터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클린룸 등의 실내에서 무거운 물건을 교체 또는 점검 및 정비 시 간편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모바일 리프터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mobile lifter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or can easily and safely lift heavy objects indoors such as a clean room when replacing or inspecting and servicing. In order to develop a mobile lifter that can be lifted or lowered as well as moved quickly and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great effort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중량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lifter that can easily and safely lift or lower a heavy object.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ar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ose who have it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전후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바퀴가 달린 이동차, 상기 이동차의 중심선 상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운 중공형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 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은 받쳐지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중공형 붐, 상기 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트와 상기 붐이 직각으로 만나는 구석 부분에 빗대어 고정된 브레이스, 상기 마스트에 장치되고 원통형 드럼에 와이어로프를 감는 전동 윈치, 상기 마스트와 상기 붐의 중공을 통해 상기 드럼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걸어 끌어당기는 방향과 걸리는 힘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트와 상기 붐의 내부에 여러 개를 조합해서 장착된 로프 풀리, 상기 전동 윈치의 작동을 조종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 스위치 및 상기 전동 윈치에 외부 전원을 입력 및 공급 시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플러그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스풀,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에 연결된 카라비너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리프터를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goal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wheel to freely move left and right in front and rear. A moving vehicle, a hollow mast erect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enter line of the moving vehicle, a hollow boo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top of the mast and the other end unsupporte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boom A brace fixed at the corner where the mast and the boom meet at right angles, an electric winch installed on the mast and winding a wire rope around a cylindrical drum, and the wire wound around the drum through the hollow of the mast and the boom A rope pulley mounted by combining several inside the mast and the boom to adjust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rope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force, a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above When inputting and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electric winch, a spool for winding or unwinding a plug cabl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a carabin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are provided.

이로써 본 발명은 클린룸 등의 실내에서 무거운 물건을 교체 또는 점검 및 정비 시 간편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safely lift or lower a heavy object in an indoor environment such as a clean room or the like, or to quickly and easily move it when replacing, inspecting, or servicing.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이동차는 한쪽에 손으로 잡고 끌거나 밀기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트에 이동 시 상기 카라비너를 걸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이동 시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car has a handle on one side to hold and pull or push, and when moving to the mast, the carabiner is hung to fix the free end of the wire rope. By forming a ring, convenience and safety can be improved during moveme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상기 컨트롤 스위치와 상기 스풀을 넣어서 보관하는 보관함이 구비되고, 상기 보관함에 전후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보조 바퀴가 장착됨으로써 사용 및 이동 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ontrol switch and the spool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st, and an auxiliary wheel is mounted in the storage box to freely move left and right, so that use and Increased stability when moving.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클린룸 등의 실내에서 필터 하우징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교체 또는 점검 및 정비 시 장치로부터 간편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아울러 다른 장소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어 중량물 취급에 따른 위험요소를 최소화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a unique solution is ba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hen replacing or inspecting and servicing a heavy object such as a filter housing indoors such as a clean room, it is removed from the device. It can be lifted or lowered simply and safely, and can be moved quickly and easily to another location, minimizing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andling heavy objects and improving workability.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리프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리프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리프터를 나타낸 부분 횡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mobile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pecifies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artially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 / 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described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described,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is particularly the opposite description. As long as there is no ,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more than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number,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exis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operating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bottom,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an upper part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n upper part, a lower part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lower part, a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front-back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ly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리프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이동차(10), 마스트(20), 붐(30), 브레이스(40), 전동 윈치(50), 로프 풀리(60), 컨트롤 스위치(70), 스풀(80) 및 카라비너(9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bile lif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moving vehicle 10, a mast 20, a boom 30, a brace 40, and an electric winch ( 50), a rope pulley 60, a control switch 70, a spool 80 and a carabiner 90.

이동차(10)는 마스트(20) 등을 탑재 및 지지하며,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바퀴(11)가 달려 있다.The moving vehicle 10 mounts and supports a mast 20 and the like, and has wheels 11 to move quickly, easily, and free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리고 바퀴(11)는 앞뒤 양쪽에 한 쌍의 전륜과 후륜으로 나누어져 장착되어 있고, 그 중 어느 하나는 이동방향을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And the wheel 11 is divided into a pair of front and rear wheels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any one of them is provided to freely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또한, 바퀴(11)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그 회전이 구속됨으로써 자유로운 이동을 방지 및 정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12)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brake 12 is installed on the wheel 11 to prevent free movement and stably maintain a stopped state by restricting its rotation according to an operator's operation.

즉, 바퀴(11)의 일측에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사용자가 발 등으로 간편하게 조작하여 바퀴(11)의 표면과 브레이크 장치의 패드를 상호 밀착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공지된 형상과 구조이므로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a brake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heel 11, and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with a foot or the like to apply braking force by bringing the surface of the wheel 11 and the pad of the brake device into close contact. Since this is a known shape and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will be omitted.

여기서 바퀴(11)의 테두리는 그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이동 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rim of the wheel 11 may be made of an inflatable tire capable of absorbing and alleviating shock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movement by compressed air injected therein.

한편, 이동차(10)의 한쪽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끌거나 밀기 위하여 손잡이(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handle 13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vehicle 10 so that the operator can hold it by hand and drag or push it.

마스트(20)는 붐(30)과 전동 윈치(50) 등을 지지 및 설치하고 붐(30)의 높이를 확보하도록 이동차(10)의 중심선 상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와이어로프(52)가 통과하도록 하고 로프 풀리(60)를 내장하기 위하여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mast 20 is erect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enter line of the moving vehicle 10 to support and install the boom 30 and the electric winch 50 and secure the height of the boom 30, and the wire rope 52 I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pass through and to embed the rope pulley 60.

그리고 마스트(20)의 한쪽에는 카라비너(90)를 걸어서 와이어로프(52)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21)가 부착되어 있다.And on one side of the mast 20, a fixing ring 21 for fixing the free end of the wire rope 52 by hanging a carabiner 90 is attached.

또한, 마스트(20)의 하부에는 컨트롤 스위치(70)와 스풀(80)을 넣어서 보호하는 보관함(22)이 구비되어 있고, 이 보관함(22)의 하부에는 붐(30)의 선단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한 전도(넘어짐)의 위험을 방지하고 전후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보조 바퀴(23)가 달려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mast 20 is provided with a storage box 22 that protects the control switch 70 and the spool 80 by inserting it, and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box 22 is provided with a load applied to the tip of the boom 30 Auxiliary wheels 23 are attached to prevent the risk of overturning (falling) and to freely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아울러 이동차(10)와 직각으로 만나는 마스트(20)의 하부에는 압축, 힘, 좌굴의 내력 및 강도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티프너(25)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number of stiffeners 25 ar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st 20 that meets the moving vehicle 10 at right angles to increase compression, force, buckling resistance, strength, and rigidity.

붐(30)은 한쪽 끝이 받쳐지지 않은 상태로 마스트(20)의 상단에 다른 쪽 끝이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로프(52)를 풀어서 펼치도록 하고 로프 풀리(60)를 내장하기 위하여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oom 30 has one end unsupported and the other end is horizontally fixed to the top of the mast 20, and the wire rope 52 is released and spread, and the rope pulley 60 is hollow to embed the rope. formed in the form of

브레이스(40)는 붐(30)의 변형을 방지 및 지지하기 위하여 마스트(20)와 붐(30)이 직각으로 만나는 구석 부분에 빗대어 고정되어 있다.The brace 40 is fixed against a corner portion where the mast 20 and the boom 30 meet at a right angle in order to prevent and support deformation of the boom 30 .

전동 윈치(50)는 원통형 드럼(51)에 마스트(20)와 붐(30)의 중공을 통해 로프 풀리(60)에 걸쳐서 오르내리는 와이어로프(52)를 감기 위하여 마스트(20)에 장치되어 있다.The electric winch 50 is installed on the mast 20 to wind the wire rope 52 that goes up and down the rope pulley 60 through the hollow of the mast 20 and the boom 30 on the cylindrical drum 51. .

그리고 전동 윈치(50)는 케이스(23)에 내장되어 있고, 와이어로프(52)의 자유단에는 붐(30)과의 접촉 간섭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3)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winch 50 is built into the case 23, and a stopper 53 is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wire rope 52 to limit movement by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boom 30.

여기서 전동 윈치(50)는 드럼(5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와, 이 감속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져 컨트롤 스위치(7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Here, the electric winch 5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witch 70 composed of a reducer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51 and an electric moto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reducer.

예를 들어, 전동 윈치(50)의 감속기에 잠금 기능을 부여하여 전동기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 와이어로프(52)가 이동되지 않고 멈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by giving a locking function to the reducer of the electric winch 50, when the electric motor is not driven, the wire rope 52 can maintain a stopped state without moving.

또한, 와이어로프(52)는 중량물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및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 rope 52 preferably has a rigidity and diameter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weight of a heavy object.

아울러 전동 윈치(50)는 별도의 센서 신호에 따라 와이어로프(52)의 특정 위치를 감지하여 최대 이동 및 최소 이동 점에서 전동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안전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winch 50 may be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that detects a specific position of the wire rope 52 according to a separate sensor signal and automatical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at the maximum and minimum movement points.

로프 풀리(60)는 전동 윈치(50)가 와이어로프(52)를 걸어 끌어당기는 방향을 바꾸면서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와이어로프(52)에 매달아 올리기 위하여 마스트(20)와 붐(30)의 내부에 여러 개를 조합해서 장착되어 있다.The rope pulley 60 is the inside of the mast 20 and the boom 30 in order to hang a heavy object on the wire rope 52 with little force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winch 50 hooks the wire rope 52 and pulls it. It is installed in combination of several.

즉, 로프 풀리(60)는 마스트(20)와 붐(30)의 중공을 통해 로프 풀리(60)에 걸쳐서 오르내리면서 드럼(51)에 감기는 와이어로프(52)를 걸어 끌어당기는 방향과 걸리는 힘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rope pulley 60 walks the wire rope 52 wound around the drum 51 while going up and down over the rope pulley 60 through the hollow of the mast 20 and the boom 30, and the pulling direction and the caught Equipped to adjust the size of the force.

컨트롤 스위치(70)는 전동 윈치(50)의 작동을 조종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보관함(22)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The control switch 70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box 22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winch 50.

그리고 컨트롤 스위치(70)는 필요 시 보관함(22)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전동 윈치(50)의 제어부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nd the control switch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winch 50 through a cable so that it can be taken out of the storage box 22 and used when necessary.

스풀(80)은 전동 윈치(50)에 외부 전원을 입력 및 공급 시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플러그 케이블(8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보관함(22)에 내장되어 있다.The spool 80 is built into the storage box 22 to wind or unwind the plug cable 81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when inputting and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electric winch 50.

즉, 스풀(80)은 플러그 케이블(81)을 감기 위하여 일정 지름을 갖는 원통 모양의 실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회전축의 길이 방향 한쪽 끝에는 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래칫 휠(미도시)이 고정되어 있고, 이 래칫 휠의 회전 시 선택적으로 물리면서 스풀(80)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간섭을 일으키는 멈춤쇠가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spool 80 is made of a cylindrical failure shape having a certain diameter to wind the plug cable 81, and a ratchet wheel (not shown) that rotates at the same time is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ratchet wheel is rotated, a detent is provided that causes interference so that the spool 80 is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while being selectively engaged.

또한, 스풀(80)의 내부에는 그 회전축이 플러그 케이블(81)을 푸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서히 감겨 압축되면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다가, 그 감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 작용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풀리면서 플러그 케이블(81)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복원력, 즉 반항 토크 작용으로 풀림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shaf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plug cable 81 inside the spool 80, it is gradually wound and compressed to accumulate elastic energy. A spiral spring (not shown) is built-in to rotate the plug cable 81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is, an unwinding force by counter-torque action.

카라비너(90)는 중량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걸기 위하여 와이어로프(52)의 끝에 연결되어 있다.The carabiner 9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52 to conveniently and safely hang heavy objects.

여기서 카라비너(90)에는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걸거나 연결하기 위한 인양 지그(91)가 매달릴 수 있다.Here, a lifting jig 91 for stably hanging or connecting a heavy object may be suspended from the carabiner 90.

인양지그(91)은 중심 위치, 양쪽 위치, 가장자리 위치에 체인 또는 로프 연결된 인장고리가 더 설치되어 인장고리를 통해 물품을 걸어서 인양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lifting jig 91, tension rings connected with chains or ropes are further installed at the center, both sides, and edge locations so that items can be hung and lifted through the tension rings.

인장고리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양지그(91)의 상측에 제공되는 모터구동부의 구동측 풀리 회전을 통해 인양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tension ring may be lifted through rotation of the drive-side pulley of the motor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jig 9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리프터는 클린룸 등의 실내에서 각종 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하우징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교체 또는 점검 및 정비 시 장치로부터 간편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The mobile lif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and safely lift or lower heavy objects such as filter housings constituting various devices in a clean room or the like when replacing, inspecting, or servicing the device.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붐(30)의 선단과 상기 인양지그(91) 사이에 상기 와이어로프(52)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설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xample,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wire rope 52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tip of the boom 30 and the lifting jig 91.

상기 안내관은, 금속 및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상기 인양지그(91)의 상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만 신축 되어 상기 인양지그(91)의 흔들림 등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tube can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can be expanded only vertical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ifting jig 91 to prevent movement such as shaking of the lifting jig 91.

상기 안내관은, 벨로우즈형 신축소재가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안테나와 같이 전개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guide tube may be a bellows-type stretchable material and may also have a deployable structure such as an antenna.

즉, 내외경이 다른 복수개의 중공관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양지그(91)의 하향시 전개되고 상향시 수축되면서 상기 인양지그(91)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a plurality of hollow tubes having different inner and outer diameters are sequentially coupled to prevent shaking of the lifting jig 91 as it expands when the lifting jig 91 moves downward and contracts when moving upwar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components can be widely applied by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changes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동차 11: 바퀴
12: 브레이크 13: 손잡이
20: 마스트 21: 고정고리
22: 보관함 23: 보조 바퀴
24: 케이스 25: 스티프너
30: 붐 40: 브레이스
50: 전동 윈치 51: 드럼
52: 와이어로프 53: 스토퍼
60: 로프 풀리 70: 컨트롤 스위치
80: 스풀 81: 플러그 케이블
90: 카라비너 91: 인양 지그
10: moving vehicle 11: wheel
12: brake 13: handle
20: mast 21: fixing ring
22: storage box 23: auxiliary wheel
24: case 25: stiffener
30: boom 40: brace
50: electric winch 51: drum
52: wire rope 53: stopper
60: rope pulley 70: control switch
80: spool 81: plug cable
90: carabiner 91: lifting jig

Claims (5)

전후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바퀴(11)가 달린 이동차(10);
상기 이동차(10)의 중심선 상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운 중공형 마스트(20);
상기 마스트(20)의 상단에 수평으로 한쪽 끝이 고정된 중공형 붐(30);
상기 붐(3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트(20)와 상기 붐(30)이 직각으로 만나는 구석 부분에 빗대어 고정된 브레이스(40);
상기 마스트(20)에 장치되고 원통형 드럼(51)에 와이어로프(52)를 감는 전동 윈치(50);
상기 마스트(20)와 상기 붐(30)의 중공을 통해 상기 드럼(51)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로프(52)를 걸어 끌어당기는 방향과 걸리는 힘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트(20)와 상기 붐(30)의 내부에 여러 개를 조합해서 장착된 로프 풀리(60);
상기 전동 윈치(50)의 작동을 조종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 스위치(70);
상기 전동 윈치(50)에 외부 전원을 입력 및 공급 시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플러그 케이블(81)을 감거나 푸는 스풀(80); 및
상기 와이어로프(52)의 끝에 연결된 카라비너(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리프터.
A moving vehicle 10 with wheels 11 to fre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 hollow mast 20 erect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enter line of the moving vehicle 10;
A hollow boom 30 having one end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st 20;
A brace 40 fixed against a corner portion where the mast 20 and the boom 30 meet at a right ang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oom 30;
An electric winch 50 installed on the mast 20 and winding the wire rope 52 around the cylindrical drum 51;
Through the hollow of the mast 20 and the boom 30, the wire rope 52 wound on the drum 51 is hooked to adjust the pulling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force. A rope pulley 60 mounted in combination with several on the inside of the boom 30;
Control switch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winch 50;
A spool 80 for winding or unwinding a plug cable 81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external power is input and supplied to the electric winch 50; and
A carabiner 9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52;
A mobile lift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10)는 한쪽에 손으로 잡고 끌거나 밀기 위하여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트(20)의 한쪽에 상기 카라비너(90)를 걸어서 상기 와이어로프(52)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21)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vehicle 10 has a handle 13 on one side to hold and pull or push, and the free end of the wire rope 52 is fixed by hanging the carabiner 90 on one side of the mast 20. A mobile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ring 21 for doing is atta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20)의 하부에 상기 컨트롤 스위치(70)와 상기 스풀(80)을 넣어서 보호하는 보관함(22)이 구비되고, 상기 보관함(22)에 전후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보조 바퀴(24)가 달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box 2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st 20 to protect the control switch 70 and the spool 80 by inserting it, and auxiliary wheels 24 are provided to freely move the storage box 22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Mobile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with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30)의 선단과 상기 인양지그(91) 사이에, 상기 와이어로프(52)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설치하되, 상기 안내관이 상기 인양지그(91)의 상하 위치에 대응하여 신축 되어 상기 인양지그(91)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tip of the boom 30 and the lifting jig 91,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wire rope 52 is further installed, but the guide tube expands and contracts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ifting jig 91 A mobile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lifting jig (9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지그(91)에 물품을 걸림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인양고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4,
A mobile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a lifting ring is further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 is caught on the lifting jig (91).
KR1020210075755A 2021-06-10 2021-06-10 Mobile type lifter KR202201666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55A KR20220166686A (en) 2021-06-10 2021-06-10 Mobile type l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55A KR20220166686A (en) 2021-06-10 2021-06-10 Mobile type lif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686A true KR20220166686A (en) 2022-12-19

Family

ID=8453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55A KR20220166686A (en) 2021-06-10 2021-06-10 Mobile type lif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668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9337A (en) * 2022-12-26 2023-03-14 安徽工业大学 Modularized pipeline installation and butt joint auxiliary device and method
KR102530964B1 (en) * 2023-01-02 2023-05-11 김윤장 fishing boat sai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47B1 (en) 2003-10-21 2004-06-12 박동규 Lift apparatus combined movable high position work plate for indoor work capable of operating electric power
KR101226657B1 (en) 2010-03-17 2013-02-05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Automobile maintenance tire lift
KR101345273B1 (en) 2012-04-30 2013-12-26 노태진 Movable patient lifting apparatus
KR101898143B1 (en) 2017-11-21 2018-09-12 조대복 lift device for target ch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47B1 (en) 2003-10-21 2004-06-12 박동규 Lift apparatus combined movable high position work plate for indoor work capable of operating electric power
KR101226657B1 (en) 2010-03-17 2013-02-05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Automobile maintenance tire lift
KR101345273B1 (en) 2012-04-30 2013-12-26 노태진 Movable patient lifting apparatus
KR101898143B1 (en) 2017-11-21 2018-09-12 조대복 lift device for target chan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9337A (en) * 2022-12-26 2023-03-14 安徽工业大学 Modularized pipeline installation and butt joint auxiliary device and method
KR102530964B1 (en) * 2023-01-02 2023-05-11 김윤장 fishing boat sai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66686A (en) Mobile type lifter
EP3527527A1 (en) Work vehicle provided with gondola device
CN101913548B (en) Movable manned elevator and elevator working mechanism thereof
CN1039984C (en) Hose reeling device
EP3911592B1 (en) Overhead travelling crane assembly
JP5466783B1 (en) Support member for safety belt
CN116513994B (en) Bridge crane electric hoist
CN115744577B (en) Automatic simple and easy hoist of balanced remote control container
CN211686958U (en) Heavy hammer counterweight device for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KR100823680B1 (en) Air winch for removal ship construction block support pipe
JP6166940B2 (en) Lifting method and lifting assist device using crane
CN111620256A (en) Hoisting device and hoisting system
CN217417973U (en) Hoisting device for assembling hydraulic station
JP7097331B2 (en) crane
CN211998559U (en) Movable rope winding crane
CN216549360U (en) Super-lift assembly and crane
JP3228811U (en) Cableway carrier and cableway equipment
KR20160113870A (en) Apparatus for working on heights and mounted on a crane
JP3936381B1 (en) Passive engagement hook
CN212245989U (en) Vehicle is with portable goods handling device
JP7286284B2 (en) guide unit
JP6568000B2 (en) Work machine with crane function
KR20170097978A (en) Level luffing crane with horizontal trolley jib
KR20160136908A (en) Crane apparatus
KR101661905B1 (en) Cran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