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504A -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 Google Patents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504A
KR20220166504A KR1020210075332A KR20210075332A KR20220166504A KR 20220166504 A KR20220166504 A KR 20220166504A KR 1020210075332 A KR1020210075332 A KR 1020210075332A KR 20210075332 A KR20210075332 A KR 20210075332A KR 20220166504 A KR20220166504 A KR 2022016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steering handle
paint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6213B1 (en
Inventor
안송웅
안예진
안하일
Original Assignee
가나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21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ting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steering handle. The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ting apparatus comprises: a body unit having a painting body and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and movement of the body unit; a driving unit having a fixed caster and a rotating cast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inting body to drive the painting body, and having a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tating caster; a painting unit having a paint dissolution tank for storing and dissolving paint, having a paint spraying member for spraying the paint to paint a road, and having a reflector spraying member for spraying a reflector at a painted position; and a control unit having a motor driv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tor, an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painting unit. The adjustment unit comprises: a steering handle connected to the rotating caster to adjust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caster,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and a motor output lever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body unit is driven. Therefore, the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ting apparatus allows the steering handle and the motor output lev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otor output lever and the steering wheel are rotated integrally, if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reby easily and conveniently painting a lane.

Description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본 개시는 도로의 차선을 도색하는 작업에 있어,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해, 도색 몸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결합되고, 회전형 캐스터에 배터리가 연결된 모터를 결합시킴으로써, 모터에 의해 도색 몸체가 구동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tor in which a fixed caster and a rotary caster are coupled to a painting body and a battery is connected to the rotary caster in order to reduce a user's physical burden and to paint various types of lanes in an operation of painting lanes of a road. It relates to an electric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teering handle in which a paint body is driven by a motor by combining th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로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도색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As is well known, various types of painting devices may be used to perform the task of painting the lanes of the road.

예를 들면, 종래의 수동형 융착식 도색기는 사용자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사용자는 도색기의 무거운 중량(약 120kg)에 재료를 담아서(최대 120kg) 사용하는 작업 특성상 약 240kg의 도색기를 감당해야 한다. 이러한 도색기와 도료의 무게로 인해 평지에서의 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금방 지치게 하고, 경사로에선 사용자 한 명이 작업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보조로 2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여, 다수의 인력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For example, a conventional manual fusion-sealing painting machine is moved by the user's power, and the user has to handle the painting machine weighing about 240 kg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in which the material is loaded (up to 120 kg) in the heavy weight (about 120 kg) of the painting machine. Due to the weight of such a paint machine and paint, work on flat ground quickly tires the user, and it is impossible for one user to work on a slope, so two or more people are required to assist, which is difficult.

또한, 종래의 도색 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을 연료로 하는 엔진이 구비되고, 엔진에 도색 장치 앞의 두 바퀴를 연결하여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만들어졌다. 이 방식은 동력이 없는 기존 장비의 사용법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비가 직선 주행이 아닌 커브 또는 원형 주행을 하기 위해 캐스터 2개 사이에 차동 기어를 적용해야 하며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체인 또는 벨트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가솔린 엔진으로 인한 시끄러운 소음과 열기 그리고 배기가스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painting device is generally equipped with an engine fueled by gasoline or diesel, and is made so that power of the engine is transmitted by connecting two wheels in front of the painting device to the engine.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the same usage of existing equipment without power, but a differential gear must be applied between two casters in order for the equipment to drive in a curve or circle rather than straight, an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gasoline engine. A chain or belt must be used to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associated with loud noise, heat, and exhaust gas due to a gasoline engine.

상술한 형태의 도색 장치와는 달리, 기존 장비 뒤에 트레일러 형태로 동력원을 장착한 형태의 도색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색 장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를 설치하고 의자 뒤에 가솔린 엔진을 설치하여 장비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도색 장치의 장점은 사용자가 서서 걷지 않고 앉은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트레일러 형식을 사용하면서 의자와 그 몸체를 이루는 골격의 부피로 인해 원형 그리기와 같은 세밀한 작업은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type of painting device, a type of painting device in which a power source is mounted in the form of a trailer behind existing equipment is also used. In this painting device, a chair is installed for a user to sit on, and a gasoline engine is installed behind the chair to transmit power to the equipment. The advantage of this painting device is that the user can work while sitting instead of standing and walking, but the disadvantage of using a trailer type is that detailed work such as drawing a circle cannot be performed due to the volume of the skeleton that makes up the chair and its body. there is.

1. 한국등록특허 제10-1497043-0000호(2015.03.02. 등록)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97043-0000 (registered on March 2, 2015) 2. 한국등록특허 제10-1383163-0000호(2014.04.15. 등록)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83163-0000 (registered on April 15, 2014)

본 개시는 차선 도색 장치에 장착되는 구동부재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도색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 악취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를 결합시키고, 회전형 캐스터에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 모터가 결합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combines a fixed caster and a rotary caster with a lower surface of a paint body to reduce the weight of a driving member mounted on a lane painting device and reduce noise, odor, etc. generated during painting work, and a rotary cast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fusion-type lane painting device having an integral steering handle coupled to a motor that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a battery to a caster.

또한, 본 개시는 차선 도색 장치가 다양한 경사의 환경에서도 일정한 속도로 도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부의 모터 출력 레버를 통해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차선 도색 장치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integrated steering capable of adjusting the moving speed of the lane painting device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tor through the motor output lever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can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at a constant speed even in environments with various slop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otorized fusion-bonded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 handle.

또한, 본 개시는 링 형태, 점 형태 등과 같이 급격한 회전 각도로 도색되어야 하는 차선을 도색하기 위해,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수평면 상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회전형 캐스터를 포함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including a rotatable caster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on a horizontal surface on a lower surface of a painting body in order to paint a lane to be painted at a sharp rotational angle, such as a ring shape or a dot shap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차선 도색 장치의 이동 방향, 도료의 분사 등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 조향 핸들 또는 조향축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과 일체로 회동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integrated steering wheel provided with a motor output lever coupled to a steering wheel or a steering shaft and integrally rotated with the steering wheel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ne painting device, spraying of paint, etc.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색 몸체가 구비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도색 몸체를 구동하도록, 상기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도료를 저장하여 용해시키는 도료 용해 탱크가 구비되고,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도료 살포부재가 형성되며,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반사체 분사부재가 형성되는 도색부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 상기 구동부, 상기 도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캐스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핸들과,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 출력 레버와 상기 조향 핸들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결합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ody portion including a paint body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and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and a paint body for driving the paint body. A fixed caster and a rotary caster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 driving unit equipped with a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tary caster, and a paint dissolution tank for storing and dissolving paint are provided, and spray paint to paint the road A paint spraying member is formed, a painting unit in which a reflector spraying member for spraying a reflector is formed at a painted position, and a motor driv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tor, which controls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painting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table caster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able caster to adjus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djusting the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driven An electric fusion-type lane equipped with a motor output lever and an integrated steering handle in which the steering handle and the motor output lever are coupled so that the motor output lever and the steering handle are integrally rotated when the steering handle rotates A painting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캐스터는, 상기 모터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터와 일체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otary caster is coupl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motor, and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switched by the control unit, the moving direction is integrally with the motor. can be convert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조절 박스와,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고정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justing unit may include an adjusting box and a fixing handle for adjus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출력 레버는, 사용자가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를 한 손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 핸들이 형성되는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tor output lever may b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handl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steering handle and the motor output lever with one hand. .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및 상기 고정형 캐스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속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peed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by detecting speeds of the rotary caster and the fixed caster, and the speed setting unit sets the moving speed. The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body unit is driven at a spe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을 결정하는 방향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irection change switch for determining forward driving and backward driving of the body unit, and a motor output lever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motor is driven. It can b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을 결정하여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tor output lever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main body is driven by determining forward driving or backward driving of the main body.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body unit may include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stacle existing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가 일시에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emergency switch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to be temporarily stopped.

본 개시에서는,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를 결합시키고, 회전형 캐스터에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 모터가 결합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의 본체 자체의 무게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고, 도색 작업 시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소음, 악취 등을 현격하게 감소시킴으로써 도색 작업의 편의성,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fixed caster and a rotary caster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a painting body, and a motor that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a battery is coupled to the rotary caster,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main body of the lane painting devic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painting work can be increased by remarkably reducing noise, odor, etc. inevitably generated during the painting work.

또한, 본 개시에서는, 구동부의 모터 출력 레버로 모터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오르막 도로 또는 내리막 도로와 같이, 다양한 경사가 있는 도로에서도 기 설정된 일정한 속도로 차선 도색 장치가 이동하면서 도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tor with the motor output lever of the drive unit, the lane painting device can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while moving at a predetermined constant speed even on roads with various slopes, such as uphill roads or downhill roads. there is.

또한, 본 개시에서는, 조절부, 특히 조향 핸들이 회전형 캐스터에 직접 연결되고, 회전형 캐스터가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수평면 상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완만한 곡선의 차선뿐만 아니라, 링 형태, 점 형태 등과 같이 급격한 회전 각도로 회전하며 도색되어야 하는 차선에 대해서, 차선 도색 장치를 용이하게 방향 전환할 수 있어, 정확한 형태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particularly the steering hand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ry caster, and the rotary cast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inted body by 360 degrees on a horizontal plane, so that not only the lane of gentle curves, For lanes to be painted while rotating at a sharp rotational angle, such as in a ring shape or a dot shape, the lane painting device can be easily changed, so that the lanes can be painted in an accurate shape.

또한, 본 개시에서는, 조향 핸들이나 조향축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과 일체로 회동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차선 도색 장치의 이동 방향, 모터의 출력 등을 제어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도료의 분사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a motor output lever coupled to a steering wheel or a steering shaft and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steering wheel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ontrol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ane painting device, the output of the motor, and the like with one hand while using the other hand. You can easily control the spraying of paint by han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1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2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체에 트레일러가 결합된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의 도색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도색 경로를 따라 도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속도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usion-bonding type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method between a steering handle and a rotary c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B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method between a steering handle and a rotary ca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djustment method of a motor output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adjustment method of a motor output l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 lane pa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inting path of a conventional lane painting device in which a trailer is coupled to a main body.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lane 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aints along various types of painting paths.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at driving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of an electric fusion-bonded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peed control by a control unit of an electric fusion-bonded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the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1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2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체에 트레일러가 결합된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의 도색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도색 경로를 따라 도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속도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lectric fusion-bonded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ering handle and a rotary c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b is a view explaining a coupling method of a steering handle and a rotary ca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4a is a view of a motor output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adjustment method, FIG. 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control method for a motor output l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5 is a diagram of a lane pa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inting path of a conventional lane painting device in which a trailer is coupled to a main body, and FIG. 6B is a drawing path of various types of a lane pa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explaining that the driving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of an electric fusion-bonded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peed control by a control unit of an electric fusion-bonding type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100)는 본체부(110),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8 , the electric fusion-bonded lane painting device 100 equipped with an integral steer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110, a control unit 120, a driving unit 130, It may include a painting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the like.

본체부(110)는 차선 도색 장치(100)의 본체로서, 도색 몸체(111), 배터리(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a main body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painting body 111, a battery 112, and the like.

도색 몸체(111)는 본체부(110)의 몸체로서,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131), 회전형 캐스터(132)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 painted body 111 is a body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support the control unit 120, the driving unit 130, the pain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like, and has casters 131 fixed to the lower surface. ), rotary casters 132, etc. may be combin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 몸체(111)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선 도색 장치에 약 120kg의 도료가 적재될 수 있는 바, 적재되는 도료와 다른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무게를 충분하게 지탱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aint body 1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generally about 120 kg of paint may be loaded in a lane painting device, and include components other than the loaded paint. It can be formed with a thickness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weight to be applied.

배터리(112)는 모터(133)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attery 112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133 and the like.

가솔린, 디젤 등을 연료로 구동되는 엔진이 구비되는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는 별도의 연료 저장통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차선 도색 장치 전체의 무게가 증가될 수밖에 없다.Since a conventional lane pain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engine driven by gasoline, diesel, or the like requires a separate fuel reservoir, the weight of the entire lane painting apparatus inevitably increases.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12)는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가솔린, 디젤 등의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 저장통에 비해, 배터리의 자체의 부피가 가솔린, 디젤 등의 연료 저장통에 비해 작게 구비될 수 있어, 차선 도색 장치 전체의 크기나 무게가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보다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소를 찾아 갈 필요없이 가정이나 외부에서도 손쉽게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차선 도색 장치에 비해 간편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그 편의성이 뛰어나다.However, the battery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figured to charge and use electricity, and the volume of the battery itself is higher than that of a fuel storage tank containing fuel such as gasoline or diesel. It can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reservoir, so the size or weight of the entire lane painting device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ane painting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can be easily charged at home or outside without the need to go to a separate charging station to charge the battery, it is convenient to charge the battery more easily than conventional lane painting devices.

조절부(120)는 본체부(110)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조절 박스(121), 고정 핸들(122), 조향 핸들(123), 모터 출력 레버(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driving and movement of the body unit 110, and may include a control box 121, a fixed handle 122, a steering handle 123, a motor output lever 124, and the like. .

조절 박스(121)는,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121a), 비상 스위치(121b), 전압계(121c), 퓨즈(121d), 방향 전환 스위치(121e) 등을 구비하는 몸체로서, 조절 박스(121)에 구비된 구성들을 조정함으로써, 본체부(110),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각 구성부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box 121 is a body including a power switch 121a, an emergency switch 121b, a voltmeter 121c, a fuse 121d, a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and the like. By adjusting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121, it is possible to apply power to the main body 110, the control unit 120, the driving unit 130, the pain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50, etc. or operate each component. there is.

전원 스위치(121a)는 본체부(110),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에 대해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전원 스위치(121a)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차선 도색 장치(100)는 지면과의 마찰 등에 의해 감속되면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도색 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돌발 상황에서, 차선 도색 장치(100)를 일시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 스위치(121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상 스위치(121b)가 작동되는 경우,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해 모터(133)의 출력이 일시에 0%가 되도록 모터(133) 등이 제어되거나, 감속기(133b)에 의해 모터(133)의 회전축(133a)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일시에 정지될 수 있다.The power switch 121a is configured to apply or cut off power to the main body 110, the control unit 120, the driving unit 130, the pain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like, and the power switch 121a When power is cut off by ,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ay stop while decelerating due to friction with the ground. In addition, an emergency switch 121b may be provided to temporarily stop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in an unexpected situ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painting process, and when the emergency switch 121b is operated, the motor driver The motor 133 or the like is controlled by 151 so that the output of the motor 133 becomes 0% at once, or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shaft 133a of the motor 133 is controlled by the reduction gear 133b to stop,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ay be temporarily stopped.

또한, 전압계(121c)는 배터리(112)의 현재 전압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표시된 전압을 기준으로 배터리의 충전 여부, 교체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퓨즈(121d)는 구동부(130) 등에 규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구동부(13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tmeter 121c displays the current voltage of the battery 112, and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charge or replace the battery based on the displayed voltage, and the fuse 121d is By blocking the current when a current greater than a prescribed value flow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ow of overcurrent to the driving unit 130 .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1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2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djustment method of a motor output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adjustment method of a motor output l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 lane pa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a, 도 4b, 도 5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 스위치(121e)는 차선 도색 장치(100)의 이동 방향(즉,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모터 출력 레버(124)가 모터(133)의 출력만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제2 조절 방식), 방향 전환 스위치(121e)가 모터 출력 레버(124)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반면에, 모터 출력 레버(124)가 제1 조절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에 의해 차선 도색 장치(100)의 이동 방향(즉, 전진 또는 후진)과 모터(133)의 출력이 조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스위치(121e)는 생략될 수 있다. 4A, 4B, and 5, the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ie, forward or backward)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When provided to control only the output of the motor 133 (second adjustment method), the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motor output lever 124.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operated in the first regulating manner, the moving direction (ie, forward or backward)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the output of the motor 133 by the motor output lever 124 Since this can be adjusted, the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can be omitted.

고정 핸들(122)은 도색 몸체(111)를 직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색 몸체(1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The fixing handle 122 is a member coupled to the painting body 111 so as to move the painting body 111 forward or backward, or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는 모터(133)에 의해 구동되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의 힘에 의해, 즉, 수동으로 구동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색 몸체(111)가 수동으로 구동될 경우, 사용자는 도색 몸체(111)에 구비된 고정 핸들(122)을 밀어서 도색 몸체(111)를 전진시킬 수 있고, 고정 핸들(122)을 당김으로써 도색 몸체(111)를 후진시킬 수 있다.The lane pai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by being driven by the motor 133, or may move by being manually driven by a user's power. In this way, when the paint body 111 is manually driven, the user may push the fixing handle 122 provided on the paint body 111 to move the paint body 111 forward, and pull the fixing handle 122. As a result, the painted body 111 can be moved backward.

또한, 사용자가 고정 핸들(122)을 좌, 우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진행 방향을 좌, 우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 핸들(122)은 도색 몸체(111)의 일측 모서리에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진행 방향을 좌, 우로 전환되는 경우, 사용자가 도색 몸체(111)에 가하는 힘이 고정 핸들(122)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도색 몸체(111)가 좌, 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방향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by pushing or pulling the fixing handle 122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111 can be changed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 particular, the fixing handle 122 is formed in a 'B' shape at one corner of the painting body 111, so that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ing body 111 is switched to the left or right, the user is attached to the painting body 111. The applied force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fixing handle 122, so that the painted body 111 can be easily ch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조향 핸들(123)은 회전형 캐스터(132)에 연결되며,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이 좌, 우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이동 방향을 조정한다.The steering handle 123 is connected to the rotatable caster 132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able caster 132 to adjust the movement direction so tha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is switch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123)은 바 형상으로 구비되며, 타단부가 조향축(123a)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123)이 조향축(123a)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회전형 캐스터(132)도 좌, 우 방향 등으로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The steering handle 1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 a bar shape, and as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teering shaft 123a and the steering handle 123 rotates around the steering shaft 123a, the rota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ypical caster 132 may also be switched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도 3a를 참조하면, 조향축(123a)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조향축(123a)의 하단부는 역 'T'자 형으로 형성되어 캐스터 지지대(122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지지대(132a)에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축(133a)이 결합됨에 따라, 조향 핸들(123)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축(133a)의 법선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즉,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 방향도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캐스터 지지대(132a)와 본체부(110)의 하부면 사이에 베어링(132b)이 구비됨으로써, 캐스터 지지대(132a)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3A, the steering shaft 123a extends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123a is formed in an inverted 'T' shape to be coupled to the caster support 122a. can In addition, as the rotational shaft 133a of the rotational caster 132 is coupled to the caster support 132a, when the steering handle 123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tional caster 132 ( The normal direction of 133a) can be switched to the left or right (i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wivel type caster 132 can also be switched). In addition, since the bearing 132b is provided between the caster support 132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caster support 132a can rotate smoothly.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조향축(123a)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조향축(123a)의 하단부와 캐스터 지지대(132a)의 상단부에 각각 기어(도면번호 생략)가 구비되고, 각 기어들이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조향 핸들(123)의 회동이 캐스터 지지대(132a)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축(133a)의 회전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즉,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 방향도 전환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3B, the steering shaft 123a extends downward, and gears (reference numbers omitted)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123a and the upper end of the caster support 132a, respectively. And, as the respective gears engage and rotat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123 can be transmitted to the caster support 132a. Accordingl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3a of the rotational caster 132 may be switched to the left or right (i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caster 132 may also be switch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작업에 있어, 사용자가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면서, 모터(133)의 출력을 제어하고, 도료의 살포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사용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조향 핸들(123)에 모터 출력 레버(124)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sk of painting a lane using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tor 133 while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However, there may be cases in which the spraying of paint mus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motor output lever 124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123 so that the user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se various tasks.

즉, 차선 도색 장치(100)의 후방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사용자의 좌측 방향으로 조향 핸들(123)이 형성될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도 사용자의 좌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모터 출력 레버(124)가 조향 핸들(123)의 일측부 또는 조향축(123a)에 결합됨으로써, 모터 출력 레버(124)가 조향 핸들(123)과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the steering handle 123 is formed to the user's left side,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also formed to face the user's left side, and the motor output lever ( 12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eering handle 123 or the steering shaft 123a, so that the motor output lever 124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steering handle 123.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 조정(즉, 조향 핸들(123)의 조정)과 모터(133)의 출력 조절(즉, 모터 출력 레버(124)를 조절)을 할 수 있고, 다른 한 손으로 도료를 살포(즉, 도료 살포부재(142)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모터 출력 레버(124)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모터(133)의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ie, steering wheel 123) and the output of the motor 133 (ie, adjust the motor output lever 124) with one hand. The paint may be sprayed with the other hand (ie, the paint spraying member 142 is controlled). In particular, the motor output lever 124 may have a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output of the motor 133 using a fing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123)의 타측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향 핸들(123)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조향 핸들(123)의 타측부가 사용자 측으로 절곡되면서 타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 측에 인접하여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 중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110)를 우회전시키는 경우, 조향 핸들(123)의 일단부가 조향축(123a)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재차 본체부(110)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키려는 경우, 조향 핸들(123)의 조정이 불편하거나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핸들(123)에 절곡부(123b)가 형성되어 사용자와 조향 핸들(123) 간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사용자는 조향 핸들(123)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ther side of the steering handle 1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med in a bent shap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teering handle 123. That is, as the other side of the steering handle 123 is bent toward the user and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an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user's sid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teering handle 123 during work. For example, when turning the body portion 110 right, as one end of the steering handle 123 rotates around the steering shaft 123a, it moves away from the user, and the user turns the body portion 110 right again. Alternatively, when attempting to turn left, steering wheel 123 may be inconvenient or difficult to adjust.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teering wheel 123 is reduced by forming the bent portion 123b in the steering wheel 123,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teering wheel 123.

또한, 조향 핸들(123)을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향 핸들(123)의 절곡부(123b)를 밀고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본체부(110)를 조향할 수 있다. 즉, 조향 핸들(123)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조향 핸들(123)이 회동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조향 핸들(123)을 조정할 수밖에 없지만, 조향 핸들(123)에 절곡부(123b)가 형성될 경우, 조향 핸들(123)의 절곡된 부분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직선 방향(즉, 본체부(110)의 전진, 후진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조향 핸들(123)을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can be easily steered by not only controlling the steering handle 123 by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but also pushing and pulling the bent portion 123b of the steering handle 123. That is, when the steering wheel 123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adjust the steering wheel 123 by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wheel 123 rotates, but the steering wheel 123 has a bent portion 123b. ) is formed,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bent part or the upwardly protruding part of the steering handle 123 in a straight direction (ie,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steering wheel 123 can be easily adjusted.

사용자는 고정 핸들(122)을 이용하여 도색 몸체(111)를 좌, 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일 경우, 작업장의 힘이 회전형 캐스터(132)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고정 핸들(122)에 힘을 가하여 도색 몸체(111)가 움직임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에 결합된 회전형 캐스터(132)의 바퀴가 회전하게 되어 도색 몸체(111)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The user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1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sing the fixed handle 122. In this way, the force of the workshop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otary caster 132,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fixing handle 122 and the painting body 111 moves, the wheel of the rotary caster 132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inting body 111 rotates and the direction of the painting body 111 this can be converted.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123)은 회전형 캐스터(132)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조향 핸들(123)을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형 캐스터(132)도 바로 화, 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도색 몸체(111)의 이동 방향이 용이하고 즉각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teering handle 1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able caster 132, when the steering handle 123 is rota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otatable caster 132 also Since it can be rotated in right and left direction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111 can be easily and immediately changed.

특히, 도색하려는 차선의 모양이 다양한 형태의 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링 형태 등과 같이 곡률이 작은 곡선이 포함되어 있어, 도색 몸체(111)를 급격한 각도로 방황 전환시켜야 될 경우, 고정 핸들(122)을 이용하는 것보다도, 조향 핸들(123)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회전형 캐스터(132)를 좌, 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shape of the lane to be painted includes curves of various shapes, for example, curves with small curvature such as a ring shape, and the painting body 111 needs to be wandered at an abrupt angle, Rather than using the fixing handle 122, by using the steering handle 123 to direct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tary caster 132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ane can be painted more accurately.

모터 출력 레버(124)는 본체부(110)가 구동되도록 모터(133)의 출력을 조절한다.The motor output lever 124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tor 133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drive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본체부(110)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진행 방향 제어와,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출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이하, '제1 조절 방식'이라 함).The motor output lever 1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reby controll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10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output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output of the motor 133. Control may be per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djustment method').

예를 들면, 도 4a를 참조하면, 레버가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 모터(133)가 정지되어 차선 도색 장치(100)가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133)에 의한 구동은 실행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수동으로 도색 몸체(111)를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A , when the lever is in a neutral position, the motor 133 is stopped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ay be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In this case, since driving by the motor 133 is not executed, the user can manually move the painted body 111.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도색 몸체(111)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133)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타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도색 몸체(111)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133)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moved to one side, the output of the motor 133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painted body 111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when moved to the other side, the painted body 111 The output of the motor 133 may be increased so that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이와 같이, 모터 출력 레버(124)는 모터(133)의 출력 제어와, 방향 전환 제어를 레버의 방향 전환을 통해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tor output lever 124 may be provided to control both the output control of the motor 133 and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through the direction change of the lever.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모터 출력 레버(124)가 일측에 위치되어 모터(133)의 출력이 0%일 경우, 모터(133)가 정지 상태로서, 차선 도색 장치(100)도 정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모터(133)의 출력이 증가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고, 모터 출력 레버(124)가 완전히 타측에 위치되어 모터(133)의 출력이 100%가 될 경우, 모터(133)가 최대 출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이하, '제2 조절 방식'이라 함).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utput of the motor 133 is 0%, the motor 133 is in a stopped state, and the lane is painted. The device 100 is also in a stopped state. In addition, as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moved to the other side, the output of the motor 133 increases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can be moved, and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completel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motor 133 When the output of ) becomes 100%, the motor 133 may be driven with maximum out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ntrol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가 형성될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의 위치 변화에 따라 모터(133)의 출력량만 제어될 수 있어, 차선 도색 장치(10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기 위해서, 모터(133)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스위치(121e)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only the output amount of the motor 133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motor output lever 124,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oves forward or In order to reverse, a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for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133 may be provided separately.

예를 들면, 정지 상태의 차선 도색 장치(100)에서, 방향 전환 스위치(121e)를 전진 위치로 설정하여 도색 몸체(111)의 이동 방향이 본체부(110)의 전방이 되도록 설정한 후, 모터 출력 레버(124)를 타측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타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터(133)의 출력에 따라 모터(133)가 구동되어, 차선 도색 장치(100)가 전진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in a stopped state, after setting the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to the forward position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ing body 111 is forward of the main body 110, the motor By moving the output lever 124 to the other position, the motor 133 is driv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motor 133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oved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ay move forward.

차선 도색 장치(100)를 전진 구동 중,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33)의 구동을 정지하고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를 후진시킬 수 있다. 즉, 모터 출력 레버(124)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모터(133)의 출력을 0%로 설정하여 도색 몸체(111)를 정지시키고, 모터(133)가 정지된 후, 방향 전환 스위치(121e)를 후진 위치로 설정하고, 모터 출력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모터(133)를 재구동시킴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가 후진될 수 있다.In order to move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backward during forward driving, the driving of the motor 133 is stopped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changed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oves backward. That is,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moved to one side to set the output of the motor 133 to 0% to stop the painted body 111, and after the motor 133 is stopped, the direction change switch 121e is turned on. By setting it to the reverse position and moving the motor output in the other direction to drive the motor 133 again,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ay move backward.

상술한 방식("제2 조절 방식")은 모터(133)의 출력 제어와, 방향 전환 제어를 각각 다른 구성들로 제어하는 방식이다.The above-described method ("second adjustment method")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utput control of the motor 133 and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using different components.

즉, 제2 조절 방식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레버의 위치가 조절될 수 범위 내에서 모터(133)의 출력만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 조절 방식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레버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모터(133)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도색 몸체(111)의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 즉,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motor output lever 124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method is provided so that only the output of the motor 133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ever can be adjusted, and the motor output lever 124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method ) is provided not only to adjust the output of the motor 133 within an adjustable range of the position of the lever, but also to adjust the forward or backward drive of the painted body 111,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제1 조절 방식으로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일단의 변환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조절 방식은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바꿔가면서 가변저항의 전압을 0V에서 5V로 바꾸고 이를 모터(133)의 출력량과 비례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다르게, 제1 조절 방식은 중립의 위치에 모터 출력 레버(124)가 위치될 경우, 제2 조절 방식에서 가변저항의 전압이 2.5V를 의미한다. 따라서 아래 표 1과 같은 전압의 변환이 필요할 수 있다.A conversion process may be required to adjust the output in the first regulation manner.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voltag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from 0V to 5V while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and this is proportional to the output amount of the motor 133 . Unlike this, in the first control method, 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located in the neutral position, the voltage of the variable resistor in the second control method means 2.5V. Therefore, conversion of voltage as shown in Table 1 below may be required.

기존existing 변경change 2.5V ~ 5V2.5V to 5V 0V ~ 5V0V to 5V 0V ~ 2.5V0V to 2.5V 5V ~ 0V5V to 0V

중립 위치에서 전진 100% 위치까지 기존 가변저항은 2.5V에서 5V로 증가할 수 있고, 이를 전진 출력 0%에서 100%로 변경하기 위해 0V에서 5V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중립 위치에서 후진 100% 위치까지 기존 가변저항은 2.5V에서 0V로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후진 출력 0%에서 100%로 변환하기 위해 2.5V일 때 0V, 0V일 때 5V가 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forward 100% position, the conventional variable resistor can be increased from 2.5V to 5V, which can be converted from 0V to 5V to change the forward output from 0% to 100%. In addition, the existing variable resistor can be reduced from 2.5V to 0V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reverse 100% position, and to convert it from 0% to 100% of the reverse output, it must be converted to 0V at 2.5V and 5V at 0V. can

이러한 변환이 구현되기 위해 제어부(150)에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A microcont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50 to implement this conversion.

간단한 변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변저항의 0V에서 5V 전압 값을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입력하면 표 1과 같이 변환하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2.5V에서 5V 전압 값에 대해서 0V부터 5V가 출력되도록 하고 0V에서 2.5V 전압 값에 대해서 5V부터 0V가 출력되며 방향은 역방향(후진)이라는 신호도 함께 출력한다.The simple conversion process is as follows. When the 0V to 5V voltag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it is programmed to convert as shown in Table 1, so that 0V to 5V is output for a voltage value of 2.5V to 5V, and 5V to 0V is output for a voltage value of 0V to 2.5V. It also outputs a signal that the direction is reverse (reverse).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에 결합된 기어의 기어비를 제2 조절 방식과 상이하게 구비하고, 가변저항을 결합시킴으로써, 제1 조절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모터 출력 레버(124)의 변환에 따라, 설정된 크기의 모터 출력, 도색 몸체(111)의 진행 방향 등에 관한 신호가 제어부(150)의 모터 드라이버(151)에 전달됨으로써, 모터(133)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having a gear ratio of a gear coupled to the motor output lever 124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control method and coupling a variabl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the motor output lever 124, signals related to the motor output of the set siz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111 are transmitted to the motor driver 151 of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output of the motor 133 can be regulat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사용자가 한쪽 손을 이용하여 모터(133)의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말단부가 반원통 형상, 고리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output lever 1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a distal end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r a ring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output of the motor 133 using one hand. can

예를 들어,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모터 출력 레버(124)의 말단부가 반원통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모터 출력 레버(124)의 말단부에 한쪽 손의 손가락을 넣거나 끼우는 방식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파지함으로써, 손가락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전방을 밀거나 사용자 측으로 당겨서 모터(133)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4A and 4B , when the distal end of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he user inserts or inserts the finger of one hand into the distal end of the motor output lever 124. By gripping the motor output lever 124, the output of the motor 133 can be adjusted by pushing the motor output lever 124 forward or pulling it towards the user with a finger.

모터 출력 레버(124)가 전술한 제1 조절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전방으로 밀어, 모터(133)의 출력 증가시키며 차선 도색 장치(100)를 전진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측으로 당기면서 차선 도색 장치(10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가 전술한 제2 조절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전방으로 밀거나 사용자 측으로 당기면서,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formed in the first adjustment method described above, the user pushes the motor output lever 124 forward with a finger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motor 133 and move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forward. The output of the motor 133 may be incre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oves backward while pulling toward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motor output lever 124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trol method, the user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of the motor 133 while pushing the motor output lever 124 forward or pulling it toward the user. can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일부 손가락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제어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조향 핸들(123)을 파지하여 조향 핸들(123)을 조정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의 이동과 그 모터(133)의 출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ontrols the motor output lever 124 with some fingers and grips the steering wheel 123 with other fingers to adjust the steering wheel 123, there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the motor 133. ) can be controlled at the same tim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조향 핸들(123)에 결합되거나 조향축(123a)에 결합될 수 있어, 조향 핸들(123)이 회동할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도 일체로서 회동됨에 따라, 조향 핸들(123)과 모터 출력 레버(124)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는 바, 조향 핸들(123)이 회동되더라도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조향 핸들(123)과 모터 출력 레버(124)를 동시에 제어하는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motor output lever 1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123 or the steering shaft 123a, so that when the steering wheel 123 rotates, the motor output lever ( 124) is also rotated integr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steering wheel 123 and the motor output lever 124 can be maintained, and even if the steering wheel 123 is rotated, the user can operate the steering wheel 123 and the motor with one hand. Difficulty, such as a user feeling uncomfortable, does not occur in controlling the output lever 124 at the same time.

구동부(130)는 도색 몸체(111)를 구동하는 것으로, 고정형 캐스터(131), 회전형 캐스터(132), 모터(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 drives the painted body 111 and may include a fixed caster 131, a rotary caster 132, a motor 133, and the like.

고정형 캐스터(131)는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면을 기준으로 수평면 상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결합됨에 따라, 도색 몸체(111)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방향으로 고정형 캐스터(131)의 바퀴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색 몸체(1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고정형 캐스터(131)가 대칭적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caster 13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inted body 111, and is fixedly coupled so as not to rotate on a horizontal surface bas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painted body 111 moves forward or backward. 131) can be rotated. In addition,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painted body 111, a plurality of fixed casters 131 may be coupled in symmetrical positions.

회전형 캐스터(132)는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색 몸체(111)가 좌, 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수평면 상에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The rotary caster 13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inted body 111, and 360 degrees on a horizontal surface ba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inted body 111 so that the painted body 111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rotate

도 6a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색 장치로서, 도료가 수용되어 있는 본체에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트레일러가 결합되고, 본체와 트레일러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으로 트레일러가 회전함에 따라, 도색 경로가 바뀌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as a conventional painting device, a trailer for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is coupled to a body in which paint is accommodated, and as the trailer rotates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a connecting shaft between the body and the trailer, the painting path may be changed

도 6a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색 장치는, 본체와 트레일러가 따로 구성되어 연결된 형태로서, 본체가 좌, 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트레일러가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가 급격한 각도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도색해야 하는 문자의 형태 등은 종래의 도색 장치에 의해서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Referring to FIG. 6A, in the conventional painting apparatus, a main body and a trailer are separately configured and connected, and the range in which the trailer can rotate is limited so that the main body changes direction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shape of characters to be painted while the main body changes direction at a sharp angle is a very difficult task using a conventional painting device.

그러나, 도 6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캐스터(132)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도로가 도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6B , it can be seen that the road can be pai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able caster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는 360도 회전 가능한 회전형 캐스터(132)가 도색 몸체(111) 자체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형 캐스터(132)가 다른 구성에 의한 제한없이 회전 가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로로 도색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lane pai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otatable caster 132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is coupled to the painting body 111 itself, so that the rotatable caster 132 is configured by a different configuration. Since it can be rotated without restriction, painting work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도 6b를 참조하면, 차선 도색 장치(100)가 회전 반경이 큰 완만한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로를 도색할 수 있고, 링 형태의 원 문자뿐만 아니라 점 형태의 원 문자까지 도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can paint the road while moving along a gently curved path with a large turning radius, and can paint not only ring-shaped circular characters but also dot-shaped circular characters. You can check.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는 회전형 캐스터(132)와 모터(133)가 동일한 회전축(133a)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차선 도색 장치(100)가 곡선 경로를 따라 도색 작업을 수행할 경우, 회전축(133a)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곡선 경로의 회전 중심이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곡선 경로를 따라 도색 몸체(111)가 이동될 수 있다. 모터(133)는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형 캐스터(132)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모터(133)에 의해 도색 몸체(111)가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ane pai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otary caster 132 and the motor 133 are coupled to the same rotational shaft 133a, so that the lane painting apparatus 100 travels along a curved path. When a pa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along , since the center of rotation of a curved path may be located on a virtual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the rotation axis 133a, the painting body 111 may be moved along an accurate curved path. The motor 133 generates power and transmits power to the rotary caster 132, and the painted body 111 can be driven by the motor 133.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33)는 회전형 캐스터(132)와 일체의 회전축(133a)에 결합됨으로써, 모터(133)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회전형 캐스터(132)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모터(133)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감속기(133b)가 모터(133)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motor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upled to the rotary caster 132 and the integral rotary shaft 133a, so that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133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rotary caster 132. can In addition, a reducer 133b capable of reducing the speed of the motor 133 may be coupled to the motor 133,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33)는 BLDC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가솔린 엔진 등을 장착한 도색 장비의 경우, 가솔린 저장통, 차동기어, 동력 전달을 위한 벨트 등의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되며, 작업 과정에서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소음, 배기가스, 고온의 열기 등이 방출될 수 있어, 작업 과정에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다.The motor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as a BLDC motor. In the case of painting equipment equipped with a gasoline engine, additional configurations such as a gasoline reservoir, a differential gear, and a belt for power transmission are required, and noise, exhaust gas, and high-temperature heat may be emitted from the gasoline engine during the work process. ,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of difficulties in the working process.

그러나, BLDC 모터는 일반 모터에 비해서 모터 자체의 크기가 소형이며, 차선 도색 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오랜 시간 사용되더라도 그 소음이 크게 커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회전형 캐스터(132)가 회전할 경우, 회전형 캐스터(132)에 결합된 모터(133)로 인해 회전형 캐스터(132)의 방향 전환이 즉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지만, 모터(133)가 BLDC 모터로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색 작업 특성 상, 도색 작업으로 인한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으나, 엔진을 이용하는 종래의 도색 장치에 비해, BLDC 모터를 이용한 차선 도색 장치(100)의 경우,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However, compared to general motors, the BLDC motor has a smaller size, can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its nois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when the rotary caster 132 rotates, difficulties such as not immediate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tary caster 132 due to the motor 133 coupled to the rotary caster 132 may occur. However, since the motor 133 is provided as a BLDC motor,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work, the noise caused by the painting work may be greatly generated, bu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ainting device using an engine, in the case of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using a BLDC motor,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work is greatly reduced can make it

도색부(140)는 도로를 도색하기 위해 도료를 분사하는 것으로, 도료 용해 탱크(141), 도료 살포부재(142), 반사체 분사부재(1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inting unit 140 sprays paint to paint the road, and may include a paint dissolving tank 141, a paint spraying member 142, a reflector spraying member 143, and the lik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용해 탱크(141)는 도로를 도색하기 위한 도료가 저장되는 것이다.The paint dissolution tank 1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tores paint for painting a road.

도료는 액상으로 살포되었다가 상온에서 응고되는 가열성 페인트가 주로 사용되며, 용해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도료는 약 180도 내지 200도 온도로 보존되어야 하는 바, 가스 공급부재(141a)로부터 열을 공급받음으로써, 도료 용해 탱크(141) 내에서 도료가 보존 적정 온도인 약 180도 내지 200도의 온도 상태를 유지하며 저장될 수 있다.Heatable paint that is sprayed in liquid form and solidified at room temperature is mainly used as the paint, and in order to remain dissolved, the paint must be preserv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80 to 200 degrees, and heat i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member 141a. By receiving, the paint can be stored while maintaining a temperature state of about 180 to 200 degrees, which is an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 in the paint dissolution tank 141.

도료 살포부재(142)는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것으로, 흰색, 노란색 등의 도료가 이용될 수 있다.The paint spreading member 142 paints the road by spraying paint, and paints such as white and yellow may be us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살포부재(142)는 도색 몸체(111)의 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도로 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료가 살포될 수 있도록 살포 가이드(142a)가 형성되고, 도료가 살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살포 제어봉(142b)이 구비될 수 있다. The paint spreading member 1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aint body 111, and a spreading guide 142a is formed so that the paint can be sprayed at an accurate position on the road, A spray control rod 142b capable of controlling spraying of the paint may be provided.

상술하면, 차선 도색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료가 살포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이동하면서 도색하는 경로와 도색되는 차선의 위치가 일치되는 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로 상에 도료가 살포될 위치나 그 경로를 안내하는 살포 가이드(142a)가 도료 살포부재(142)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살포 가이드(142a)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도료가 도색될 차선의 위치에 정확하게 살포될 수 있다.In detail, it is difficult to easily grasp that the paint is sprayed at the location of the user using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path to be painted and the position of the lane to be painted match while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moves. There is something difficult to do. In order to overcome this point, the spraying guide 142a guiding the position or the path where the paint is to be sprayed on the road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paint spreading member 142,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praying guide 142a. While checking, the paint can be accurately sprayed on the position of the lane to be painted.

또한, 도료가 도료 살포부재(142)에서 유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살포 제어봉(142b)은 도료 살포부재(142)에 결합될 수 있다. 살포 제어봉(142b)은 도료 살포부재(142)로부터 사용자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색 작업 중에 다른 손으로 용이하게 살포 제어봉(142b)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향 핸들(123)과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ay control rod 142b may be coupled to the paint spraying member 142 so as to control the outflow of the paint from the paint spreading member 142 . The spray control rod 142b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paint spreading member 142 to a position clos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spray control rod 142b with the other hand during painting.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ontrol the steering wheel 123 and the motor output lever 124 with one hand.

반사체 분사부재(143)는 도료가 분사된 위치, 즉,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것으로, 반사체 저장통(143a)에 저장된 반사체를 도로의 차선 상에 분사할 수 있다.The reflector spraying member 143 injects the reflector at the location where the paint is sprayed, that is, the painted location, and can spray the reflector stored in the reflector reservoir 143a onto the lane of the roa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 분사부재(143)는 도색된 차선 위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 등으로 형성된 반사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선을 도색한 후, 도료가 건조되기 전에 반사체가 분사될 수 있으며, 반사체를 분사함으로써, 야간이나 우천 시,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차선이 인식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교통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flector spraying member 1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pray a reflector formed of glass beads or the like onto the painted lanes. In general, after painting the lane, before the paint dries, a reflector may be sprayed, and by spraying the reflector, the visibility of the lane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may be improved, which may occur due to the lane not being recognized. Traffic accidents can be prevented.

제어부(150)는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드라이버(1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adjusting unit 120, the driving unit 130, the painting unit 140,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motor driver 151 and the lik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모터(133)를 제어함으로써, 모터(133)가 발생시키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색 몸체(111)가 이동하는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motor driver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djust the output generated by the motor 133 by controlling the motor 133, and the painted body 111 may You can control the movement speed, etc.

사용자가 인력을 통해 종래의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 작업을 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오르막 도로에서 힘을 가하거나, 내리막 도로에서 도색 장치를 잡아당김으로써, 도색 장치의 속도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을 제어할 수밖에 없었다.In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paints a lane using a conventional painting device by hand, the user applies force on an uphill road or pulls the painting device on a downhill road to prevent the speed of the painting device from decreasing or increasing. I had no choice but to control it.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33)가 특정한 출력을 일정하게 발생시키더라도, 오르막 도로에서는 본체부(110), 도색부(140) 등의 무게로 인해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반대로 내리막 도로에서는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motor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stantly generates a specific output, the painted body 111 moves on an uphill road due to the weight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painting part 140. The speed may be slow, and on the contrary, the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111 inevitably increases on a downhill road.

이와 같은 작업 환경에서 작업할 경우, 모터 드라이버(151)는 모터 출력 레버(124)으로부터 모터(133)의 출력량 정보를 전달받아 모터(133)를 제어할 수 있다.When working in such a working environment, the motor driver 151 may control the motor 133 by receiving output information of the motor 133 from the motor output lever 124 .

또한, 속도 설정부(도시 생략)는 도색 몸체(111)가 이동하는 속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모터 드라이버(151)를 통해 속도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컴퓨터 등을 모터 드라이버(151)에 연결하여 작업 환경에 관계없이 도색 몸체(111)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setting unit (not shown) sets the speed at which the painted body 111 moves, and the speed can be set through the motor driver 151. By connecting, the painting body 111 can be set to mov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regardless of the working environment.

예를 들면, 내리막 도로에서 작업할 경우, 차선 도색 장치(100)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133)가 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working on a downhill road, the motor 133 may be controlled to preven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from speeding up or slipping.

즉, 내리막 도로에서 사용자가 모터 출력 레버(124)의 출력을 0%로 설정할 경우, 고정형 캐스터(131) 및 회전형 캐스터(132)의 바퀴의 속도도 0m/s 가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바퀴의 속도가 0m/s 가 아닐 경우, 바퀴의 속도가 0m/s 이 되도록, 모터 출력 레버(124)에서 설정된 모터(133)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output of the motor output lever 124 to 0% on a downhill road,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speed of the wheels of the fixed caster 131 and the rotary caster 132 also becomes 0 m/s. When the speed of the wheel is not 0 m/s, the output of the motor 133 set in the motor output lever 124 may be continuously checked and controlled so that the speed of the wheel becomes 0 m/s.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도색 몸체(111)가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driver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ntrol the speed at which the painted body 111 moves.

예를 들면, 오르막 도로나 내리막 도로에서, 도로의 경사에 의해 도색 몸체(111)의 속도가 느려 지거나 빨라질 수 있는데, 사용자의 보행 속도와 유사하게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이동되도록 이동 속도가 약 3~5km/h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기 설정된 속도를 유지하면서 차선 도색 장치(100)가 작업할 수 있게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한 속도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on an uphill road or a downhill road, the speed of the painting body 111 may be slowed down or increased due to the slope of the road, and the moving speed is about approx. When it is set to 3 to 5 km/h, speed control by the motor driver 151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lane painting device 100 can work while maintaining the preset speed.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설정된 이동 속도보다 느려 지거나 빨라지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해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됨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해 모터(133)의 출력이 감소되거나 감속기(133b)를 제어하여 회전 속도 자체를 감속시킴으로써, 현재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이동 속도로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111 is continuously checked, and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change the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111, the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111 is higher than the set moving speed. When a slowdown or speedy situation occurs, the output of the motor 133 is increased by the motor driver 151,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111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motor 133 is reduced by the motor driver 151 or the rotation speed itself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reduction gear 133b, so that the current moving speed can be controlled to return to the preset moving spe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도색을 하기 위해 도로 상에 표시되어 있는 가이드선을 센서로 인식함으로써, 도색 몸체(111)가 가이드선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색 몸체(111)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도색 몸체(111)가 가이드선을 따라 자율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차선을 도색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driver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trols the painting body 111 to automatically move along the guide line by recognizing the guide line displayed on the road for painting with a sensor. can do. That is, even if the user does not control the painting body 111, the painting body 111 autonomously travels along the guide line and automatically paints the lanes.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도색 몸체(111)의 전방부에 구비된 장애물 감지 센서(도시 생략)을 통해 도색 작업 중 인지되는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driver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void obstacles recognized during the painting process through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ainting body 111 .

즉, 도색 작업 중, 사용자가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판단을 하지 못하더라도,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 장애물이 인지되면 즉각적으로 모터 드라이버(151)가 모터(133)의 출력을 0%로 제어하여 도색 몸체(111)의 속도값을 0으로 조절함으로써, 도색 몸체(111)를 정지시킬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obstacle or does not make a decision to avoid the obstacle during the painting process, the motor driver 151 immediately outputs the output of the motor 133 when the obstacle is recogniz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By controlling the speed value of the painted body 111 to 0 by controlling to 0%, the painted body 111 can be stopp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100 : 차선 도색 장치 110 : 본체부
111 : 도색 몸체 112 : 배터리
120 : 조절부 121 : 조절 박스
122 : 고정 핸들 123 : 조향 핸들
124 : 모터 출력 레버 130 : 구동부
131 : 고정형 캐스터 132 : 회전형 캐스터
133 : 모터 140 : 도색부
141 : 도료 용해 탱크 142 : 도료 살포부재
143 : 반사체 분사부재 150 : 제어부
151 : 모터 드라이버
100: lane painting device 110: main body
111: painted body 112: battery
120: control unit 121: control box
122: fixed handle 123: steering handle
124: motor output lever 130: driving unit
131: fixed caster 132: rotary caster
133: motor 140: painting unit
141: paint melting tank 142: paint spreading member
143: reflector spraying member 150: control unit
151: motor driver

Claims (9)

도색 몸체가 구비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도색 몸체를 구동하도록, 상기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도료를 저장하여 용해시키는 도료 용해 탱크가 구비되고,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도료 살포부재가 형성되며,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반사체 분사부재가 형성되는 도색부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 상기 구동부, 상기 도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캐스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핸들과,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 출력 레버와 상기 조향 핸들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결합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 painted body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and movement of the main body;
A driving unit having a fixed caster and a rotational cast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ainting body to drive the painting body and a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tational caster;
A paint unit having a paint dissolution tank for storing and dissolving paint, a paint spraying member for spraying paint to paint a road, and a reflector spraying member for spraying a reflector at a painted position;
A motor driv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tor is provided,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justing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painting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teering handle connected to the rotary caster and controlling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caster to adjust a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a motor output lever configured to control an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main body unit is driven. And, when the steering handle rotates, the steering handle and the motor output lever are coupled so that the motor output lever and the steering handle are integrally rotated.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캐스터는,
상기 모터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터와 일체로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caster,
An electric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having an integral steering handle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motor and integrally switched with the motor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is changed by the control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조절 박스와,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고정 핸들
을 포함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ler,
control box,
Fixed handle for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An electric fusion type lane pain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teering wheel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출력 레버는,
사용자가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를 한 손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 핸들이 형성되는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motor output lever,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tor output lever with one hand.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및 상기 고정형 캐스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속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A speed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moving speed of the painted body by sensing speeds of the rotary caster and the fixed caste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main body unit is driven at a speed set by the speed setting unit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을 결정하여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ler,
A motor output lever is provided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main body is driven by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body is driven forward or backward.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을 결정하는 방향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ler,
A direction change switch for determining forward driving and backward driving of the main body unit, and a motor output lever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motor so that the motor is driven is provided.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body part,
Including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obstacles presen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inted body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가 일시에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ler,
Including an emergency switch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to stop temporarily
Motorized fusion-bonding lane painting device with integral steering handle.

KR1020210075332A 2021-06-10 2021-06-10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KR102516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32A KR102516213B1 (en) 2021-06-10 2021-06-10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32A KR102516213B1 (en) 2021-06-10 2021-06-10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04A true KR20220166504A (en) 2022-12-19
KR102516213B1 KR102516213B1 (en) 2023-04-03

Family

ID=8453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32A KR102516213B1 (en) 2021-06-10 2021-06-10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21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501A (en) * 2009-10-27 2011-05-04 윤정근 automatic road printer
KR101383163B1 (en)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lane painting method
KR101497043B1 (en) 2014-03-24 2015-03-02 주식회사이화정공 Painting method of road rane for beads mixing and non-slip, and apparatus thereof
KR101515706B1 (en) * 2013-08-20 2015-05-04 (유) 이성알엠에스 Thermoplastics paint electromotion cart device equipped with automatic temperature and air regulator
KR20160057113A (en)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Appratus for removing lane paint of road
KR20190007592A (en) * 2017-07-13 2019-01-23 근우테크 주식회사 Auto marking apparatus of lanes
KR102071866B1 (en) * 2018-07-30 2020-01-31 근우테크 주식회사 Auto marking lanes apparatus using dual driving controlling and 3 axial controll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501A (en) * 2009-10-27 2011-05-04 윤정근 automatic road printer
KR101383163B1 (en)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lane painting method
KR101515706B1 (en) * 2013-08-20 2015-05-04 (유) 이성알엠에스 Thermoplastics paint electromotion cart device equipped with automatic temperature and air regulator
KR101497043B1 (en) 2014-03-24 2015-03-02 주식회사이화정공 Painting method of road rane for beads mixing and non-slip,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057113A (en)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Appratus for removing lane paint of road
KR20190007592A (en) * 2017-07-13 2019-01-23 근우테크 주식회사 Auto marking apparatus of lanes
KR102071866B1 (en) * 2018-07-30 2020-01-31 근우테크 주식회사 Auto marking lanes apparatus using dual driving controlling and 3 axial contro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213B1 (en)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534A (en) Rear drive ride-on tractor unit for propelling steerable utility vehicles such as walk-behind paint stripers
JP2818590B2 (en) Drive system for vertical mast worker lift
CN106672140A (en) Scooter and driving control system
CN101780816A (en) Non-coaxial left-right wheeled driving vehicle structure
CN102951201A (en) Motor vehicle
KR102516213B1 (en)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EP3660216B1 (en) Electric driver for wheeled ground surface modifying machine
CN204452708U (en) A kind of foot control recreation and body-building battery-driven car
KR100407581B1 (en) Unmanned Electric Bicycle using a Gyro
KR102441438B1 (en) 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KR101515086B1 (en) Walking supporter using electric power
JP2000051278A (en) Electric wheel chair
JP2003000006A (en) Steering device of mobile agricultural machine
JP6793276B1 (en) Bicycle type line pulling device
JP3032407B2 (en) Self-driving vehicles
ITMI951938A1 (en) LIFTING AND MANEUVERING EQUIPMENT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THIS EQUIPMENT
CN205737040U (en) A kind of front-row seats of vehicle elevating mechanism
CN216526887U (en) Control system of double-handle differential driving electric truck and electric truck
JP6892546B1 (en) Bicycle type line pulling device
JPH0810596Y2 (en) Hand guide roller safety device
CN108945233B (en) Two-wheeled motorcycle adopting spherical wheels and driving fro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583760B (en) Multipoint stress balance vehicle
CN106828722A (en) A kind of deformable bicycle
JP2023168647A (en) Driver-riding-type drive assist electric device
JP2516493Y2 (en) Rotating mechanism of self-propelled spr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