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140A -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140A
KR20220165140A KR1020210073762A KR20210073762A KR20220165140A KR 20220165140 A KR20220165140 A KR 20220165140A KR 1020210073762 A KR1020210073762 A KR 1020210073762A KR 20210073762 A KR20210073762 A KR 20210073762A KR 20220165140 A KR20220165140 A KR 2022016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rotection film
eye protection
sides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375B1 (ko
Inventor
김회철
Original Assignee
더조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조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조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로서,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로 구성되어 상기 중단부 양측 상부에 소정길이의 끼움홈을 구성한 마스크 본체; 및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 하단에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출부를 구성한 안구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의료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비말, 감염(혈액) 및 분진 등의 이물질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 및 안구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ask with eye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 양측에 형성된 홈에 탈부착 가능한 투명 필름을 구성함으로써, 마스크를 통해 호흡기를 보호함은 물론, 의료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착용자의 눈 주위의 비말, 감염(혈액)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착용자의 안구를 보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황사와 도시 매연으로 인한 미세먼지 및 분진이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면서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정체불명의 유해 바이러스로 인한 사스, 메르스, 독감, 신종플루, 변종플루 등과 같은 세균 감염에 의한 전염병이 확산되고 있는 현실에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지닌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부분 및 턱을 포함한 안면부분을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귀 후면의 연골부에 걸치게 할 수 있는 고정끈으로 구성되어 일상생활 또는 산업 현장에서 개인의 위생, 보건 또는 오염물 흡입 방지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면 비말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으나, 바이러스는 점막을 통해 인체로 침투하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만으로는 안구의 점막으로 침투하는 바이러스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 외에 감염병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기관의 특수병동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사용자(작업자를 말함)의 눈 부위를 덮어 비말, 혈액, 분진 등의 이물질이 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유해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고글(gogles)을 착용하고 있다.
즉, 작업자들은 작업중 비산되는 유독가스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 계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및 고글을 동시에 착용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작업 전에 귀끈을 귀에 걸어 마스크를 착용한 이후, 고글을 귀에 걸거나 고글에 연결된 밴드를 머리 뒤로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마스크를 통해 호흡기를 보호함은 물론, 의료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착용자의 눈 주위의 비말, 감염(혈액)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착용자의 안구를 보호하는 투명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4727호(2020.11.03. 공개)
본 발명은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로서, 마스크 본체 양측부 상측에 구비된 홈에 투명 필름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끼움/결합하여 마스크 및 투명 필름을 단일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비말, 감염(혈액) 및 분진 등의 이물질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 및 안구를 보호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로서,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로 구성되어 상기 중단부 양측 상부에 소정길이의 끼움홈을 구성한 마스크 본체; 및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 하단에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출부를 구성한 안구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본체는, 착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안감; 안감 외측에 적층되어 미세먼지 또는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재; 필터부재 외측에 적층되어 외기와 맞닿는 겉감; 및 안감 또는 겉감의 양 측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끼움홈은 상단부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 양측 상부에 안구 보호 필름의 돌출부가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끼움홈은 상단부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 양측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면으로 형성되되, 절개된 면의 길이는 40mm 내지 6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구 보호 필름은 마스크 본체와 대향되는 폭과 마스크 착용자의 이마와 대향되는 소정길이의 높이를 갖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되, 그 두께는 4mm 내지 1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 양측부 상측에 구비된 홈에 투명 필름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끼움/결합하여 마스크 및 투명 필름을 단일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비말, 감염(혈액) 및 분진 등의 이물질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 및 안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의 안구 보호 필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의 본체와 안구 보호 필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는, 상단부(110), 중단부(120) 및 하단부(130)로 구성되어 중단부(120) 양측 상부에 소정길이의 끼움홈(140)을 구성한 마스크 본체(100), 및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 하단에 상기 끼움홈(14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출부(210)를 구성한 안구 보호 필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의 마스크 본체(100)는 PE (Poly Ethylene), PP (Poly Propylene), PET (Poly Ethylene Terephthlate), 펄프, 실크, 부직포, 면 또는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구 보호 필름(200)은 triacetate, PP (Poly Propylene), OPP (Oriented Poly Propylene), BOPP (Biaxially Oriented Poly Propylene), CPP (Casting Poly Propylene), IPP (Inflate Poly Propylene), Ny (Nylon), PO (Propylene Oxide) 또는 Cellulose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100)의 상단부(110), 중단부(120) 및 하단부(130) 각각은, 착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안감(102), 안감(102) 외측에 적층되어 미세먼지 또는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04), 필터부재(104) 외측에 적층되어 외기와 맞닿는 겉감(106), 및 안감(102) 또는 겉감(106)의 양 측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끈(10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끼움홈(140)은 상단부(110)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120) 양측 상부에 안구 보호 필름(200)의 돌출부(210)가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절개되어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구 보호 필름(200)은 마스크 본체(100)와 대향되는 폭과 마스크 착용자의 이마와 대향되는 소정길이의 높이를 갖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두께는 4mm 내지 10mm로 형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안구 보호 필름(200)의 돌출부(210)는 직방형상 이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 양측이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 그 하단부 좌측 또는 우측이 측면으로 돌출된 장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돌출부(210)가 해당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안구 보호 필름(200)은 필름(202) 표면에 친수성 수지 또는 계면 활성제로 구성된 코팅층(204)으로 이루어진 2겹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코팅층(204)에 의해 그 표면에 물기가 맺히지 않는 방담처리(放曇處理)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에 적용된 방담처리는 트리아세테이트(triacetate) 필름을 가성알카리제로 처리하여 아세틸기(acetyl group) 일부가 가수분해하여 수산기로 치환됨에 따라 셀룰로오스(cellulose)화된 필름의 흡습성이 향상되고, 습도가 높은 환경하에서 방담성 기능을 갖게된다.
또한, 흡습이 포화에 달하면 김이 서리지만, 흡습된 수분이 방출되면 원래의 상태로 회기하게 되며, 이러한 작용은 가역적으로 반복 시행됨에 따라 지속적인 방담처리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100)와 안구 보호 필름(2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마스크 본체(100)의 끼움홈(140)은 상단부(110)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120) 양측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끼움홈(140)의 절개된 면 길이는 40mm 내지 60mm로 형성될 수 있고, 끼움홈(140)의 위치는 중단부(120) 양측 상부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안구 보호 필름(200)의 돌출부(210) 형상에 따라 그 위치 및 절개되는 면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끼움홈(140)은 면 형상으로 절개되는 단일개의 구성 이외에 절개된 면 아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돌출부(210)가 바느질과 동일한 형태로 끼움홈(1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안구 보호 필름(200)의 하단에 구비된 돌출부(210)는 마스크 본체(100)의 끼움홈(140)과 대향되는 위치에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끼움홈(140)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돌출부(210)의 돌출길이는 40mm 내지 80mm로 구성되고, 돌출폭은 끼움홈(140)의 면 길이와 대응하도록 40mm 내지 60mm로 형성되며, 돌출부(210)의 형상은 끼움홈(14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그 위치 및 돌출되는 폭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는 편의상 끼움홈(140) 및 돌출부(210)가 각각 2개로 형성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끼움홈(140) 및 돌출부(210)가 해당 개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홈(140)은 상단부(110)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120)의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210)와 대향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3개 내지 n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는, 마스크 본체(100)에 구비된 중단부(120)의 필터부재(104)와 겉감(106) 사이에 적층 봉제되어 착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의해 마스크의 중단부(120)가 그 내측 또는 외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0)는 중단부(120)의 필터부재(104)와 겉감(106) 사이가 아닌 필터부재(104)와 안감(106)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재(10)는 상단부(110) 및 하단부(130)의 구성없이, 중단부(120)에만 형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착용자의 입과 안감(102)이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해 통기된 공기가 소정시간 머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고정하여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해 통기된 공기가 필터부재(104)를 거치지 않고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는, 지지부재(10) 구성을 통해 마스크 본체(100)의 중단부(120)가 무너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은 물론, 끼움홈(140)에 인입된 돌출부(210)를 고정시켜 안구 보호 필름(200)이 중단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M) 제조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원단 공급수단이 안감(102), 필터부재(104), 지지부재(10) 및 겉감(106) 각각의 원단 공급을 동기화하여 성형틀로 공급한다(S602).
이어서, 성형 틀이 인입된 안감(102), 필터부재(104), 지지부재(10) 및 겉감(106) 각각의 원단을 적층 융착시켜 마스크 본체(100)를 생산한다(S604).
뒤이어, 끈 이송수단이 끈(108)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을 고정하면서 마스크 본체(100) 중단부(120)의 양 측부에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한다(S606).
이어서, 초음파 융착수단이 끈(108) 각각의 일단 및 타단과 중단부(120) 양 측부를 융착시켜 마스크 본체에 끈(108)을 부착한다(S608).
그리고, 결착수단이 안구 보호 필름(200)을 고정하면서 돌출부(210)를 마스크 본체(100)의 끼움홈(140)에 끼움결합 시킨다(S610).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 양측부 상측에 구비된 홈에 투명 필름의 돌출부를 끼움결합하여 마스크 및 투명 필름을 단일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비말, 감염(혈액) 및 분진 등의 이물질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 및 안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M: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10: 지지부재
100: 마스크 본체
102: 안감
104: 필터부재
106: 겉감
108: 끈
110: 상단부
120: 중단부
130: 하단부
140: 끼움홈
200: 안구 보호 필름
202: 필름
204: 코팅층
210: 돌출부

Claims (4)

  1.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로 구성되어 상기 중단부 양측 상부에 소정길이의 끼움홈을 구성한 마스크 본체; 및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 하단에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출부를 구성한 안구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착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안감;
    상기 안감 외측에 적층되어 미세먼지 또는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 외측에 적층되어 외기와 맞닿는 겉감; 및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양 측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끼움홈은 상기 상단부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 양측 상부에 상기 안구 보호 필름의 돌출부가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상단부와 융착되지 않은 중단부 양측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된 면의 길이는 40mm 내지 6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구 보호 필름은,
    상기 마스크 본체와 대향되는 폭과 마스크 착용자의 이마와 대향되는 소정길이의 높이를 갖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되,
    그 두께는 4mm 내지 1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0210073762A 2021-06-07 2021-06-07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62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762A KR102620375B1 (ko) 2021-06-07 2021-06-07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762A KR102620375B1 (ko) 2021-06-07 2021-06-07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140A true KR20220165140A (ko) 2022-12-14
KR102620375B1 KR102620375B1 (ko) 2024-01-02

Family

ID=8443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62A KR102620375B1 (ko) 2021-06-07 2021-06-07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467A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20200124727A (ko) 2018-10-23 2020-11-03 타이커만 일렉트로닉스 고글과 안면 마스크의 조합
KR102232852B1 (ko) * 2020-05-29 2021-03-25 홍동균 안구 보호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102256725B1 (ko) * 2020-11-04 2021-05-26 이정안 멸균이 가능한 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467A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20200124727A (ko) 2018-10-23 2020-11-03 타이커만 일렉트로닉스 고글과 안면 마스크의 조합
KR102232852B1 (ko) * 2020-05-29 2021-03-25 홍동균 안구 보호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102256725B1 (ko) * 2020-11-04 2021-05-26 이정안 멸균이 가능한 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375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2261B (zh) 具有透明塑料片的面罩
KR102026798B1 (ko)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JP2009189676A (ja) 呼吸用透明マスク
KR20160001206U (ko) 황사 마스크
KR20190140876A (ko)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220165140A (ko)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US20220117331A1 (en) Augmented face mask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KR102486150B1 (ko) 헬멧형 방호 마스크
KR102206754B1 (ko) 일회용 안면 보호 마스크
JP2021172905A (ja) 医療用マスク
KR102528269B1 (ko) 휴대용 공기 살균 마스크
KR102328660B1 (ko) 밀착형 마스크용 필터
KR102565804B1 (ko)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CN212414817U (zh) 一种带有眼罩的可拆卸口罩
KR200496668Y1 (ko) 통기성 마스크
EP3900559A1 (en) Mask
IT202000032237A1 (it) Mascherina igienica
KR20220081792A (ko) 김서림 방지패드가 구비된 마스크
KR20210123743A (ko) 보건용 마스크
KR20220000810U (ko) 필터 교체형 형상 유지 마스크
KR20230001447U (ko) 에어페이스 쉴드
KR20220030557A (ko) 보건용 마스크
WO2021164096A1 (zh) 面部保护装置及其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