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932A -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 Google Patents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932A
KR20220164932A KR1020210073278A KR20210073278A KR20220164932A KR 20220164932 A KR20220164932 A KR 20220164932A KR 1020210073278 A KR1020210073278 A KR 1020210073278A KR 20210073278 A KR20210073278 A KR 20210073278A KR 20220164932 A KR20220164932 A KR 20220164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lyketone
toothbrush
handle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라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라즈
Priority to KR102021007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932A/ko
Publication of KR2022016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헤드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우수한 제조하여 공간이 좁은 구강의 구석까지도 헤드가 무리없이 도달할 수 있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이물감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건강에도 매우 유익하고,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강도는 유지되면서 헤드부의 양측부가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양치 시 헤드부가 치아 및 잇몸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인 움직임이 발생되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폴리케톤(Polyketone) 또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며, 헤드부의 배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V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A toothbrush made of polyketone}
본 발명은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 특성, 즉 고강성, 고탄력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성형 후 1급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대기오염 물질인 일산화탄소(CO)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고분자 소재인 폴리케톤(Polyketone)을 사용하여 헤드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우수한 칫솔대를 제조함으로써, 공간이 좁은 구강의 구석까지도 헤드가 무리없이 도달할 수 있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이물감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건강에도 매우 유익한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칫솔(toothbrush)은 남녀노소 구강의 위생과 잇몸질환발생을 억제시키는 용도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생활필수품 중 하나이다.
대략적인 칫솔대의 형태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며, 칫솔대의 손잡이는 성형이 용이하고 텐션이 좋은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또는 투명성과 강성이 뛰어난 PET(페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소재로 제작되며, 헤드부에 다수개 마련된 식모공에는 설정된 개수의 칫솔모가 식재된다.
한편, 상기 칫솔대에 있어, PP소재의 칫솔대는 최근 그 디자인과 칫솔대를 쥐는 파지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탄력이 있는 무독성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를 합체하여 제작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무독성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는 PP소재로 된 칫솔대에 부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칫솔대의 제작이 뛰어나나 투명도가 낮기 때문에 고급스러움은 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독성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가 합체된 칫솔대의 경우 칫솔의 전반적인 무게를 가중시키고, 칫솔대의 손잡이부 두께가 비교적 굵게 제작되어 파지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은 프로필렌의 중합체.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도 우수하며, 천연가스로부터 풍부하게 얻어지는, 에틸렌과 비슷하고 탄소 원자가 하나 많은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면 폴리에틸렌보다 투명하고 굴절에 강하여 다양한 성형용품의 소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칫솔대와 관련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2455호(2017. 11. 06.,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각종 합성수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는 칫솔대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대는 원료는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물리적 특성, 즉 고강성, 고탄력 및 내마모성이 저조하여 헤드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우수한 칫솔대를 제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 1급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가 발생됨으로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헤드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우수한 제조하여 공간이 좁은 구강의 구석까지도 헤드가 무리없이 도달할 수 있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이물감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건강에도 매우 유익한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강도는 유지되면서 헤드부의 양측부가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양치 시 헤드부가 치아 및 잇몸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인 움직임이 발생되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실시할 수 있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로 구성된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는 폴리케톤(Polyketone)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로 구성된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로 구성되며, 폴리케톤(Polyketone)을 성형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배면 상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V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은, 물리적 특성, 즉 고강성, 고탄력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성형 후 1급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대기오염 물질인 일산화탄소(CO)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고분자 소재인 폴리케톤(Polyketone)을 사용하여 헤드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우수한 칫솔대를 제조함으로써, 공간이 좁은 구강의 구석까지도 헤드가 무리없이 도달할 수 있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이물감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건강에도 매우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인 칫솔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 중 헤드부와 목부만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 중 헤드부와 목부만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10)의 일 실시 예는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11a)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11)와, 헤드부(11)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13)와, 헤드부(11)와 손잡이부(13)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12)로 구성된 통상의 칫솔대로서, 폴리케톤(Polyketone)을 성형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10)의 다른 실시 예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폴리케톤(Polyketone) 또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10)는 헤드부(11)에 V홈부(11b)를 갖는다.
상기 V홈부(11b)는 헤드부(11)의 배면 상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3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V홈부(11b)는 중간부가 평행하고, 상하단부측이 수직 중심선의 반대방향으로 커브를 그리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 폭이 0.5mm의 외측 폭과, 1.2mm ~ 1.5의 깊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10)는 헤드부(11)의 상단에서 손잡이부(13)의 하단까지의 총 길이가 185mm이다.
상기 헤드부(11)는 2.5 ~ 2.9mm의 두께, 1.5mm의 식모공(11a)의 직경 및 2.0 ~ 2.2mm의 식모공(11a)의 깊이를 갖는다.
상기 목부(12)는 5.0mm 이하의 길이, 이고, 헤드부(11)와 인접한 부위의 두께가 3.9mm이다.
상기 손잡이부(13)는110m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는 폴리케톤 또는 폴리케톤과 탈크의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작하는 동시에 헤드부의 배면에 V홈부를 구비하고 있어 헤드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우수한 제조하여 공간이 좁은 구강의 구석까지도 헤드가 무리없이 도달할 수 있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이물감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건강에도 매우 유익할 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강도는 유지되면서 헤드부의 양측부가 전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양치 시 헤드부가 치아 및 잇몸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인 움직임이 발생되어 보다 양호한 양치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칫솔대 11: 헤드부
11a: 식모공 11b: V홈부
12: 목부 13: 손잡이부

Claims (8)

  1.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로 구성된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는,
    폴리케톤(Polyketone)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2.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로 구성된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3.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모공에 칫솔모가 각각 식재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로 구성되며, 폴리케톤(Polyketone)을 성형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폴리케톤(Polyketone) 85 ~ 95%와; 탈크(TALC) 5 ~ 15%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는,
    배면 상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V홈부(11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V홈부(11b)는,
    외측 폭이 0.5mm 이고, 깊이가 1.2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는,
    두께가 2.5 ~ 2.9mm 이고, 식모공(11a)의 직경이 1.5mm 이고. 식모공(11a)의 깊이가 2.0 ~ 2.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12)는,
    길이가 5.0mm 이하이고, 헤드부(11)와 인접한 부위의 두께가 3.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3)는,
    길이가 110m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10)는,
    헤드부(11)의 상단에서 손잡이부(13)의 하단까지의 총 길이가 18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KR1020210073278A 2021-06-07 2021-06-07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KR20220164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78A KR20220164932A (ko) 2021-06-07 2021-06-07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78A KR20220164932A (ko) 2021-06-07 2021-06-07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32A true KR20220164932A (ko) 2022-12-14

Family

ID=8443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278A KR20220164932A (ko) 2021-06-07 2021-06-07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9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591B2 (en) Oral care implement
JP5269351B2 (ja) 歯ブラシ
AU2013311463B2 (en) A hair brushing device
EP1864590B1 (en) Toothbrush with gum cushions on the sides of the head
AU2009356710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a body disposed within the handle
TW202031171A (zh) 牙刷
KR20220164932A (ko) 폴리케톤 소재 칫솔대
CN206213523U (zh) 一种牙刷
JP6239795B2 (ja) 歯ブラシ
KR10218358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친환경 칫솔
CN205338063U (zh) 一种流线型成人牙刷
JP3201692U (ja) 長さの異なる毛束を有する歯ブラシ
KR200242571Y1 (ko) 칫솔대의 구조
JP2017070740A (ja) 毛束群を有する歯ブラ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