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911A -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911A
KR20220164911A KR1020210073247A KR20210073247A KR20220164911A KR 20220164911 A KR20220164911 A KR 20220164911A KR 1020210073247 A KR1020210073247 A KR 1020210073247A KR 20210073247 A KR20210073247 A KR 20210073247A KR 20220164911 A KR20220164911 A KR 20220164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intestine
bacteria
information necessary
ischemic tissue
ac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948B1 (ko
Inventor
신상수
문충만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9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6Chemiluminescence; Bioluminescence
    • G01N21/763Bioluminesc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6/00Hydrolases acting on acid anhydrides (3.6)
    • C12Y306/01Hydrolases acting on acid anhydrides (3.6) in phosphorus-containing anhydrides (3.6.1)
    • C12Y306/0104Guanosine-5'-triphosphate,3'-diphosphate diphosphatase (3.6.1.4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71Cerebrovascular disorders, e.g. stroke, cerebral infarct, cerebral haemorrhage, transient ischemic ev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01N2800/324Coronary artery diseases, e.g.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발광 분자영상을 통한 생체발광 정도, 분포도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수의 계수 값에 따라 소장 내 급성 경색의 유무, 범위, 및 그 중증도를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급성 소장 경색 질환의 정확한 진단, 예후,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생체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이용하면 향후 소장 경색의 치료제 또는 다양한 시약을 경색 조직에 선택적으로 운반함으로써 효율적인 약물운반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acute hypoxic ischemic tissue in small intestine using genetically modified bacteria}
본 발명은 유전자 조작된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허혈성 장질환은 전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중장염전, 위장염전, 상장간막동정맥혈전증 등의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소아에서는 대표적으로 괴사성 장염이 허혈성 장질환에 포함된다.
이 질환들은 환자의 상태가 악화할 경우 예후가 좋지 못해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많은 범위의 장관이 포함될 경우 다량의 장관을 수술적으로 절제해야 하는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치료를 하더라도 수술 후 단장증후군 (short bowel syndrome)이 합병하여 소장이식을 받아야 하거나 또는 평생 정맥 주사를 맞아야 하는 상태에 이를 수도 있다.
장은 특히 허혈-재관류 손상에 가장 취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술을 시행할 때에는 매우 신중한 절제 범위의 결정이 요구된다. 더군다나 허혈성 장질환으로 부분적으로 손상된 장은 혈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더라도 조직 표면의 색깔로 인해 회복이 충분히 되지 않은 것으로 오인할 여지가 높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술적 재관류 후 혈관내 관류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측정치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장의 말단 동맥의 맥박 및 장의 색깔에 의해 경험적으로 판단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더군다나 로봇수술 장비 또는 복강경의 시야에서 장 조직 및 혈관의 관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현재까지 장 조직의 관류상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상 및 객관적 지표를 통해 증명할 수 있는 임상진단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임상 시험 시 주로 이용되는 비침습적 영상법으로 자기공명영상법Microscop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MRI), 컴퓨터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이하, CT), 양전자 단층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이하, PET), 초음파 (Ultrasonography)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침습적 영상 기술들은 병변 부위의 해부 및 생리학적인 특성 또는 병변의 크기를 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질병의 악화 정도 또는 치료 효과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질병의 발생 및 진행과정에 있어서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해부학적 변화의 경우, 질병이 상당히 진행된 시점에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그보다 훨씬 이전 시점에 나타나는 조직내의 변화들을 정성 또는 정량적으로 영상화 할 수 있어야만, 질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 효과의 정확한 판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비침습적 영상기법이 분자영상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광학분자영상은 생체에서 발광하는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분자 영상기법보다 저렴하면서 빠르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목 받고 있는데 이 가운데 루시퍼레이즈 (luciferase)를 이용하여 생체 내에서 발광하는 빛을 관찰하고 분석이 가능한 생체발광 분자영상 (bioluminescent imaging)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전자 조작된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생체발광 분자영상기법을 이용하여 급성 소장 경색 모델을 대상으로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이용하여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영상화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허혈성 장 조직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발광 분자영상을 통한 생체발광 정도, 분포도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수의 계수 값에 따라 소장 내 급성 경색의 유무, 범위, 및 그 중증도를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급성 소장 경색 질환의 정확한 진단, 예후,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생체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시료에서 정량적 분석 지표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및
획득된 정량적 분석 지표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정량적 분석 지표는 생체발광신호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량적 분석 지표는 경색 질환의 진행 정도 및 분포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체발광신호는 생체발광신호 영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획득 단계는 생체발광 분자영상을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영상화하는 영상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화 단계는 30 내지 300 초, 30 내지 270 초, 30 내지 240 초, 30 내지 210 초, 30 내지 180 초, 30 내지 150 초, 30 내지 120 초, 30 내지 900 초, 30 내지 60 초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초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CCD (charged coupled device = 전자결합소자)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자들이 광전효과에 의해 광전자를 생성함으로써 신호를 획득하는데 CCD 카메라를 상기 시간 동안 노출하였을 때가 전자결합소자에 도달하는 광자의 수가 최적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석 단계는 생체발광신호를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생체발광신호를 정량적으로 계산함으로써 정량적 진단 생체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시료의 박테리아 수를 계수하는 재검증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수 단계의 시료는 소장 내 경색부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료는 박테리아를 주입한 후 12시간 내지 24시간 후의 시료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테리아는 절대적 혐기성 또는 조건적 혐기성 박테리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테리아는 살모넬라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테리아는 유전자 조작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전자 조작된 박테리아는 ppGpp (Guanosine 5'-diphosphate 3'-diphospate) 합성능이 결여된 박테리아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pGpp 씬세타아제를 코딩하는 불활성화된 (inactivated) relA 유전자 또는 spoT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전자 조작된 박테리아는 도 1의 계열지도를 가진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박테리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전자 조작된 박테리아는 생체발광 리포터 유전자가 도입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루시퍼라아제 유전자 (lux)가 도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발광 분자영상을 통한 생체발광 정도, 분포도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수의 계수 값에 따라 소장 내 급성 경색의 유무, 범위, 및 그 중증도를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급성 소장 경색 질환의 정확한 진단, 예후,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생체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이용하면 향후 소장 경색의 치료제 또는 다양한 시약을 경색 조직에 선택적으로 운반함으로써 효율적인 약물운반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nilla 루시퍼라아제의 특정 변이체인 Rluc8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발현 플라스미드의 구조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서의 소장 내 허혈을 2, 3 및 4시간 유도하여 관찰한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장 부위 별로 2, 3 및 4 시간 허혈을 유도한 후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주입과 동시에 12시간 재관류 후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이미징하여 생체발광 분포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장 부위 별로 2, 3 및 4 시간 허혈을 유도한 후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주입과 동시에 24시간 재관류 후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이미징하여 생체발광 분포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ham 모델 및 급성 소장경색 모델을 대상으로 생체발광신호(p/s/cm2/sr)의 세기를 허혈 유도 시간별 및 재관류 시간별로 각각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분석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ham 모델 및 급성 소장경색 모델을 대상으로 박테리아 수(CFU/g)를 허혈 유도 시간별 및 재관류 시간별로 각각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분석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1-1. 플라스미드
pBAD-pelB-RLuc8 플라스미드는 다음과 같이 제작되었다. Renilla 루시퍼라아제의 특정 변이체인 Rluc8을 8개의 선호적 변이 (favorable mutations)들의 조합으로 제조한 후, pBAD/Myc-His A 플라스미드에 삽입시켰다. pelB (pectate lyase) 리더 서열을 루시퍼라이제 유전자의 N-말단에 첨가하였다. 플라스미드 구조도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1-2. 박테리아 균주
경색 부위 타겟팅하기 위해 유전자 조작된 S. typhimurium 박테리아(△ppGpp, SHJ2037(relA::cat, spot::kn))는 ppGpp (Guanosine 5'-diphosphate 3'-diphospate) 합성능이 결여된 변이체이다. ppGpp 합성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은 ppGpp 씬세타아제 (synthetase)로서,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relA 유전자 및 spoT 유전자를 포함한다. ppGpp 합성능이 결여된 변이체는 ppGpp 합성을 위한 ppGpp 씬세타아제를 코딩하는 불활성화된 (inactivated) relA 유전자 또는 spoT 유전자를 포함한다. ppGpp 합성 결여는 본 발명의 박테리아가 경색 부위로 타겟팅 하는 데에 있어서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50 ㎍/mL 카나마이신(Sigma)이 포함된 LB배지 (Luria-Bertani broth)의 37℃에서 살모넬라를 성장시켰고, 생체발광이미징을 위하여 상기 △ppGpp 박테리아를 생체발광 리포터 유전자로 형질전환시켰다. S. typhimurimu-Xen26 (Xenogen-Caliper)의 박테리아 루시퍼라아제 유전자(lux)를 P22HT int transduction 방법에 의해 SHJ2037 균주에 도입시켰다. 상기 균주를 50 ㎍/mL 카나마이신(Sigma)이 포함된 LB배지 에서 배양하였다. pBAD-pelB-RLuc8 플라스미드를 SHJ2037 균주에 전기 충격법 (electropo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시켰다. 20 ㎍/mL 암피실린이 포함된 LB배지 상에서 성장하는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2. 동물 모델의 제조
2-1. 대조군 모델 제조
대조군 모델로서 백서 (Sprague-Dawley, 체중 331 내지 340 g)를 마취한 후 복벽에 약 2cm 정도의 incision을 통해 소장을 밖으로 노출시킨 후 상장간동맥 (superior mesenteric artery)을 혈관 겸자 (vascular clamps)로 결찰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2-2. 급성 소장 경색 모델 제조
백서 (Sprague-Dawley, 체중 331 내지 340 g)를 마취한 후 복벽에 약 2cm 정도의 절개 (incision)를 통해 소장을 밖으로 노출시킨 후, 일정 간격으로 세 부위별 서로 다른 경색의 정도를 유도하기 위해 상장간동맥 (superior mesenteric artery)을 혈관 겸자로 2, 3 및 4 시간 동안 각각 결찰하여 장간막 혈관으로부터의 혈류 공급을 차단하였다. 이후 결찰된 혈관 겸자를 제거하고 재관류 12 및 24 시간 동안 소장에 재관류를 시킨 후 허혈성-재관류 손상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시간 혈관 결찰 후 허혈성-재관류 손상 부위에서는 focal loss of surface epithelium 및 mucosal infarction이 관찰되었고, 3시간 혈관 결찰 후 조직 손상 부위에서는 submucosal infarction과 mural infarction이 주로 관찰되었다. 4시간 혈관 결찰 후에는 손상된 조직에서 transmural infarction이 주로 관찰되었으므로, 이러한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급성 소장 내 중증도별 경색 모델이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생체발광 분자영상 획득
허혈 유도 후 재관류 시작과 동시에 동물 모델의 꼬리정맥에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2 X 104 CFU)을 주입한 후 재관류 12 및 24 시간 시점에서 박테리아의 생체발광을 영상화하기 위하여 CCD (charged couple detector) 카메라가 장착된 IVIS (Berthold Technologies, Germany)의 빛 차단 챔버에 마취된 살아있는 동물을 놓았다. 루시퍼라아제-발현 박테리아로부터 방출되는 광자를 수집하고 1분에 걸쳐 통합하였다. Living Image software (XenogenCaliper, Hopkinton, MA)를 이용하여 광자 카운트를 나타내는 슈도컬러 이미지를 마우스의 사진 상에 겹치도록 하였다. 목적한 부위 (ROI)를 시그널 세기 상에서 선별하였다. ROI 부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ROI에서의 최대값(p/s/cm2/sr)으로 세기를 기록하여, 그 결과를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생체발광신호 세기가 허혈 4 시간 유도 및 재관류 24시간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양상을 보여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이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선택적으로 타겟팅하여 군집을 형성하고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급성 소장 경색의 증상이 심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소장 내 경색 부위에 대한 정량적 분석 지표
4-1. 생체발광신호 측정
소장 내 세 부위에서 2, 3 및 4 시간 동안 각각 허혈을 유도 후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주입과 동시에 12 및 24 시간 재관류 후 허혈성-재관류 손상의 정도를 진행 단계별로 생체발광 정도의 세기를 측정하고 박테리아 수를 계수함으로써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에 대한 정량적 생체지표를 제공할 수 있었다. 먼저, 2, 3 및 4 시간 동안 허혈을 유도한 후 재관류 12 및 24 시간 후에 생체발광신호(p/s/cm2/sr)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룹 재관류 12시간 재관류 24시간
허혈 2시간 8.31X105±1.21 3.81X106±2.81
허혈 3시간 1.62X106±0.65 3.76X107±1.71
허혈 4시간 3.24X106±0.63 6.10X107±1.99
도 5 및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재관류 12 시간보다 재관류 24 시간 후의 생체발광신호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허혈 유도 시간에 따라 생체발광신호가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허혈-재관류 손상에 따라 유전자 조작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에 선택적으로 군집하고 성장함으로써 생체발광신호의 세기에 따라 허혈성 장 손상의 중증도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4-2. 박테리아 수 측정
그 다음, 생체발광신호를 측정했던 소장 내 세 경색 부위를 채취하여 박테리아 수를 계수하여, 그 결과를 도 6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룹 재관류 12시간 재관류 24시간
허혈 2시간 6.75X105±1.21 1.88X106±0.55
허혈 3시간 1.70X106±0.61 2.55X107±1.07
허혈 4시간 2.83X106±0.89 4.03X107±0.84
도 6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재관류 12시간보다 재관류 24시간 후의 박테리아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또한 허혈 유도 시간에 따라 박테리아 수가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를 통해 소장 내 급성 경색 질환에 있어서 유전자 조작된 Salmonella typhimurium의 군집과 성장을 통해 경색 질환의 진행 정도 및 분포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었고, 정량적 분석에 따른 차별화된 진단 생체지표(quantitative biomarker)를 제공함으로써 급성 소장 경색 부위를 정확히 진단하고 예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소결
본 발명은 소장을 일정간격으로 거리를 두고 세 부위로 나눈 후 각각 2시간, 3시간, 4시간 동안 허혈을 유도한 후 유전자 조작된 Salmonella typhimurium을 주입과 동시에 12시간 및 24시간 재관류 후 각 경색 부위의 진행 단계별로 생체발광 정도 및 분포도를 영상화함으로써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진단 및 예후판단에 관한 생체발광영상 및 정량적 생체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소장 내 급성경색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허혈 유도 후 재관류 12시간 손상에서 생체발광신호(p/s/cm2/sr) 세기가 표준값 (2시간에서 획득한 생체발광신호) 대비 3시간 허혈 유도시 94% 정도로 증가하였고, 4시간 허혈 유도 시 289% 정도로 증가하였다. 연속적으로 재관류 24시간 손상에서 생체발광신호 세기가 표준값 대비 3시간 허혈 유도 시 886% 정도로 증가하였고, 4시간 허혈 유도 시 1,501%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재관류 24시간 손상이 재관류 12시간 손상보다 훨씬 더 심한 경색증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허혈 유발이 4시간 진행된 경우 또한 심한 경색증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박테리아 수를 측정해 보았을 때 재관류 12시간 손상에서 박테리아 수(CFU/g)가 표준값 대비 3시간 허혈 유도시 151% 정도로 증가하였고, 4시간 허혈 유도시 319% 정도로 증가하였다. 연속적으로 재관류 24시간 손상에서 박테리아 수가 표준값 대비 3시간 허혈 유도시 1,256% 정도로 증가하였고, 4시간 허혈 유도시 2,043%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재관류 24시간 손상이 재관류 12시간 손상보다 훨씬 더 심한 경색증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허혈 유발이 4시간 진행된 경우 또한 심한 경색증을 보이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통계
본 발명의 후처리 통계학적 분석에 있어서 모든 측정치는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며, 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은 클러스칼 월리스 검증(Kruskal-Wall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적용하였고 통계값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Claims (13)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시료에서 정량적 분석 지표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및
    획득된 정량적 분석 지표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적 분석 지표는 생체발광신호인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적 분석 지표는 경색 질환의 진행 정도 및 분포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는 생체발광 분자영상을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을 영상화하는 영상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 단계는 30 내지 300 초 동안 수행하는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생체발광신호를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채취된 시료의 박테리아 수를 계수하는 재검증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시료는 박테리아를 주입한 후 12시간 내지 24시간 후의 시료인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절대적 혐기성 또는 조건적 혐기성 박테리아인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살모넬라인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ppGpp (Guanosine 5'-diphosphate 3'-diphospate) 합성능이 결여된 박테리아인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pGpp (Guanosine 5'-diphosphate 3'-diphospate) 합성능이 결여된 박테리아는 ppGpp 씬세타아제를 코딩하는 불활성화된 (inactivated) relA 유전자 또는 spoT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생체발광 리포터 유전자가 도입된 것인,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10073247A 2021-06-07 2021-06-07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4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47A KR102646948B1 (ko) 2021-06-07 2021-06-07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47A KR102646948B1 (ko) 2021-06-07 2021-06-07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11A true KR20220164911A (ko) 2022-12-14
KR102646948B1 KR102646948B1 (ko) 2024-03-13

Family

ID=8443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247A KR102646948B1 (ko) 2021-06-07 2021-06-07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565B2 (en) * 2000-07-08 2004-06-15 Victor Chudner Method for blood infrared spectroscopy diagnosing of inner organs pathology
JP2008122302A (ja) * 2006-11-15 2008-05-29 Kikkoman Corp 生体分子測定法
KR20120036304A (ko) * 2009-05-05 2012-04-17 루미토 에이비 산란 매체에서의 향상된 확산 발광 이미징 또는 단층촬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발광 마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565B2 (en) * 2000-07-08 2004-06-15 Victor Chudner Method for blood infrared spectroscopy diagnosing of inner organs pathology
JP2008122302A (ja) * 2006-11-15 2008-05-29 Kikkoman Corp 生体分子測定法
KR20120036304A (ko) * 2009-05-05 2012-04-17 루미토 에이비 산란 매체에서의 향상된 확산 발광 이미징 또는 단층촬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발광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948B1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x et al. High-resolution EUS in children with eosinophilic “allergic” esophagitis
Belykh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a confocal laser endomicroscope for in vivo differentiation between normal injured and tumor tissue during fluorescein-guided glioma resection
Leighton et al. Capsule endoscopy versus push enteroscopy for evaluation of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with 1-year outcomes
Xu et al. Shortwave infrared fluorescence in vivo imaging of nerves for minimizing the risk of intraoperative nerve injury
KR102646948B1 (ko)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이용한 소장 내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조직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Hansen et al. Cell proliferation kinetics in normal human gastric mucosa: Studies on diurnal fluctuations and effect of food ingestion
Huang et al. Establishment of fluorescent lung carcinoma metastasis model and its real-time microscopic detection in SCID mice
Paulson et al. Longitudinal micro-endoscopic monitoring of high-success intramucosal xenografts for mouse models of colorectal cancer
CN103756968B (zh) 脊柱高转移人肺腺癌细胞株及其构建方法和应用
Islam et al. Diagnosis of a proximal tracheoesophageal fistula using three-dimensional CT scan: a case report
Davis et al. The evolution of endoscopy: wireless capsule cameras for the diagnosis of occult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RU274666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авности наступления смерти
Hensley et al. Endoscopic imaging and size estimation of colorectal adenomas in the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ouse
Hoffman Whole-body fluorescence imaging with green fluorescence protein
Tokuhara et al. Wireless capsule endoscopy in pediatric gastrointestinal diseases
M'Fadyean Louping-ill in sheep
JP7365674B2 (ja) アスペルギローマモデル非ヒト動物
Singh et al. Role of barium enema in the diagnosis of Hirschsprung disease
RU2776130C1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туберкулеза почки
RU2289312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топографоанатомическо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кисты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относительно желудка и 12-перстной кишки
Beyitler et al. Acute Lobar Nephronia Secondary to Obstruction Due to Urolithiasis
Moon Standard Terminology
Yuan et al. Orthotopic Mouse Models of Colorectal Cancer and Imaging Techniques
Silva et al.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in nine dogs with intra-abdominal neoplasm suspect
Helmy et al. Case Report of an Esophageal Leiomyoma: A Rare Cause of Esophageal Var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