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880A - 다용도 베개 - Google Patents

다용도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880A
KR20220164880A KR1020210073195A KR20210073195A KR20220164880A KR 20220164880 A KR20220164880 A KR 20220164880A KR 1020210073195 A KR1020210073195 A KR 1020210073195A KR 20210073195 A KR20210073195 A KR 20210073195A KR 20220164880 A KR20220164880 A KR 20220164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user
stretchable part
parts
multipurpos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원석
Original Assignee
도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원석 filed Critical 도원석
Priority to KR102021007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880A/ko
Publication of KR2022016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1Foot or l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부들이 원통 형상의 연결부들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들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유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편안함 및 피로회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연결부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었을 때, 신축부들이 서로 밀착 접촉되어 신축부들 내부의 충진물이 연결부들로 집중되어 신축부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연결부들 사이에 사용자가 다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들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리 베개로 변형시킬 수 있는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베개{Multi-purpose pillow}
본 발명은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이 유동되어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편안함 및 피로회복 효과가 극대화되며, 결합수단에 의해 반으로 접힌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 다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들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리 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바닥에 눕거나 기댈 때, 베개가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베개는 전문화되어 목베개, 허리전용베개, 다리베개 등 다양한 종류의 베개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문화된 베개들은 이용 목적에 따라서 형태가 한정되어 복수개의 베개들을 구매해야 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베개들의 개수가 증가되어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480045호(발명의 명칭 :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변형 가능한 쿠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원단을 사용한 변형쿠션이며, 크게 상단부와 중단부, 하단부로 나누었을 때, 상단부에는 가운데가 갈라진 크랙부(101)가 있고, 중단부엔 원형 공간부(102)가 있다. 또한 상단부와 하단부 좌우엔 암수 스냅단추(103), (104)들이 달려있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중단부가 상단부와 하단부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100)는 크랙부(101)를 중심으로 접은 상태에서 좌우에 배치된 암수 스냅단추(103), (104)들을 체결시킴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형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중단부를 중심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암수 스냅단추(103), (104)들을 체결시킴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형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암수 스냅단추(103), (104)들을 통해 고정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서 형태를 적절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베개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크랙부(101)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 또는 중단부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로 반으로 접혔을 때,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이 가압되어 접힌 부분으로부터 먼곳으로 이동된다.
이때 종래기술(100)은 ‘∩’ 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진물이 이동 가능한 경로가 제한됨에 따라 양단부 또는 크랙부(101)로 충진물이 집중되어 두께가 불균일해짐으로써 쿠션감이 불균일해져 사용자가 기대거나 깔고 앉았을 때 불쾌감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부들이 원통 형상의 연결부들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들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유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편안함 및 피로회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었을 때, 신축부들이 서로 밀착 접촉되어 신축부들 내부의 충진물이 연결부들로 집중되어 신축부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연결부들 사이에 사용자가 다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들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리 베개로 변형시킬 수 있는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연결부들 사이에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좌석에 착석 중인 사용자의 경우, 머리가 신축부에 의해 지지되며, 좌석의 후방에 착석 중인 사용자의 경우, 신축부가 전방에 배치되어 에어백 역할을 함으로써 교통사고 또는 급제동 시, 좌석의 후방에 착석 중인 사용자가 좌석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제1 신축부와, 제2 신축부, 상기 제1 신축부와 제2 신축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내부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다용도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는 결합수단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베개는 상기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들이 체결되었을 때, 접혀진 상태로 형태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 각각은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이 연결되는 평면부와, 상기 결합수단이 연결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 신축부의 평면부와 상기 제2 신축부의 평면부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사이에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용도 베개는 상기 결합수단들에 의해 상기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가 밀착되어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들이 상기 연결부들로 유입되어 상기 연결부들이 돌출되되, 상기 연결부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 오목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부들이 원통 형상의 연결부들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들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유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편안함 및 피로회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었을 때, 신축부들이 서로 밀착 접촉되어 신축부들 내부의 충진물이 연결부들로 집중되어 신축부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연결부들 사이에 사용자가 다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들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리 베개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다용도 베개가 자동차 좌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다용도 베개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다용도 베개(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를 연결하는 좌측 연결부(13), 우측 연결부(14), 중앙 연결부(15)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용도 베개(1)의 내부에는 충진물인 플라스틱 재질의 비즈(Beads)가 충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용도 베개(1)의 내부에는 비즈가 충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용도 베개(1)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충진물들이 충진될 수 있다.
제1 신축부(11)는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평면부(111)와, 곡면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신축부(11)는 평면부(111)에 연결부(13), (14), (15)들이 연결되어, 연결부(13), (14), (15)들에 의해 제2 신축부(12)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신축부(11)는 곡면부(112)에 제1 결합수단(1121)이 연결된다.
이때 제1 결합수단(1121)은 후술되는 제2 신축부(12)의 제2 결합수단(1221)과 대응되는 형상 또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 결합수단(1221)과 결합되며, 벨크로, 스냅단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신축부(12)는 제1 신축부(11)와 동일한 형상인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부(121)와 곡면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신축부(12)의 곡면부(122)에는 제1 결합수단(1121)과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1221)이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신축부(12)는 평면부(121)에 연결부(13), (14), (15)들이 연결되어 제1 신축부(11)와 연결부(13), (14), (15)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는 연결부(13), (14), (15)들이 평면부(111), (121)들에 연결됨으로써 평면부(111), (121)들이 서로 바라보도록 연결된다.
좌측 연결부(13)와 우측 연결부(14), 중앙 연결부(1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제1 신축부(11)의 평면부(111)와 제2 신축부(12)의 평면부(121)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13), (14), (15)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의 직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연결부(13)는 제1 신축부(11)의 평면부(111)와 제2 신축부(12)의 평면부(121)의 좌측에 연결되고, 우측 연결부(14)는 제1 신축부(11)의 평면부(111)와 제2 신축부(12)의 평면부(121)의 우측에 연결되고, 중앙 연결부(15)는 제1 신축부(11)의 평면부(111)와 제2 신축부(12)의 평면부(121)의 중앙에 연결된다.
또한 좌측 연결부(13)와 우측 연결부(14), 중앙 연결부(15)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 연결부(13)와 중앙 연결부(15) 사이에 제1 관통공(16)이 형성되며, 우측 연결부(14)와 중앙 연결부(15) 사이에 제2 관통공(17)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7)은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3), (14), (15)들은 제1 신축부(11) 및 제2 신축부(12)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베개(1)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연결부(13), (14), (15)들이 연결된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13), (14), (15)들은 제1 신축부(11) 및 제2 신축부(1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접혀진다.
또한 연결부(13), (14), (15)들은 평시에는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되, 제1 신축부(11) 또는 제2 신축부(12)가 가압되었을 때, 가압된 신축부의 내부에 충진된 비즈가 유입되어 두께가 증가되고, 이를 통해 다용도 베개(1)는 사용자의 몸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쿠션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 베개(1)는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머리를 기대었을 때, 사용자의 뒤통수가 연결부(13)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의 목 부분이 제1 신축부(11) 또는 제2 신축부(1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다용도 베개(1)는 사용자가 깔고 앉았을 때, 엉덩이가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7)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제1 신축부(11) 또는 제2 신축부(12)가 가압되었을 때, 신축부 내부의 비즈가 연결부(13), (14), (15)들로 유입되어 연결부(13), (14), (15)의 두께가 증가됨으로써 사용자의 엉덩이가 연결부(13), (14), (15)들과 신축부(11), (12)들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다용도 베개(1)는 의자의 등받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충진물인 비즈가 유동되어 사용자의 등과 유사한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편안함 및 피로회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베개(1)는 ‘ㄴ’자 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신축부가 사용자의 엉덩이 및 등과 접촉되어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교정 및 골반교정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을 때 허리 및 엉덩이에서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베개(1)는 책상 또는 탁자에 엎드린 상태로 잘 때, 양손을 관통공(16), (17)들에 각각 넣은 상태에서 신축부에 얼굴을 받친 상태로 자게 되면, 신축부가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해줌으로써 목 결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다용도 베개(1)는 가압되었을 때, 내부 충진물이 유동되어 형태가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다용도 베개가 자동차 좌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다용도 베개(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좌석(5)의 등받이(51)와 헤드레스트(52) 사이에 설치되었을 때, 헤드레스트(5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봉(521)들이 관통공(16), (17)들에 관통된다.
이때 다용도 베개(1)는 제1 신축부(11)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좌석(5)에 착석 중인 착석자 또는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해줌으로써 다용도 베개(1)보다 비교적 단단한 헤드레스트(52)에 장시간동안 머리를 기대어 피로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베개(1)는 좌석(5)에 설치되었을 때, 제2 신축부(12)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좌석(5)의 후방에 착석 중인 착석자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다용도 베개(1)는 제2 신축부(12)가 좌석(5)의 후방에 앉은 착석자의 에어백 역할을 함으로써 교통 사고 또는 급제동 시, 좌석(5)의 후방에 앉은 착석자가 좌석(5)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2의 다용도 베개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다용도 베개(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 (14), (15)들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혀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결합수단(1121)과 제2 결합수단(1221)이 결합될 경우, 결합수단(1121), (1221)들에 의해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13), (14), (15)들이 배치된 방향을 상부, 결합수단(1121), (1221)들이 배치된 방향을 하부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용도 베개(1)는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결합수단(1121), (1221)들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경우,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서로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된다.
또한 다용도 베개(1)는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서로 가압됨에 따라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 내부에 충진된 비즈들이 연결부(13), (14), (15)들로 유입되어 연결부(13), (14), (15)들의 부피 및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다용도 베개(1)는 연결부(13), (14), (15)들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신축부(11), (12)들로부터 연결부(13), (14), (15)들이 돌출되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관통공(16), (17)들이 형성된 위치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연결부(13), (14), (15)들 사이에 안착홈(18), (19)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다용도 베개(1)는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결합수단(1121), (1221)들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 사용자가 안착홈(18), (19)들에 다리를 안착시키게 되면 제1 신축부(11)와 제2 신축부(12)가 사용자의 다리의 하부를 지지하며, 연결부(13), (14), (15)들에 의해 다리의 측부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용도 베개(1)를 접은 상태에서 안착홈(18), (19)들에 다리를 각각 안착시켰을 때, 최외측에 배치된 좌측 연결부(13)와 우측 연결부(15)에 의해 다리가 다용도 베개(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부(11), (12)들과 연결부(13), (14), (15)들에 의해 다리의 하부와 측부를 지지해주도록 구성됨으로써 다리 베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1 : 다용도 베개 11 : 제1 신축부
12 : 제2 신축부 13 : 좌측 연결부
14 : 우측 연결부 15 : 중앙 연결부
16 : 제1 관통공 17 : 제2 관통공
18 : 제1 안착홈 19 : 제2 안착홈
5 : 좌석 51 : 등받이
52 : 헤드레스트

Claims (4)

  1. 제1 신축부와, 제2 신축부, 상기 제1 신축부와 제2 신축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내부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다용도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는
    결합수단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베개는
    상기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들이 체결되었을 때, 접혀진 상태로 형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 각각은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이 연결되는 평면부와, 상기 결합수단이 연결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 신축부의 평면부와 상기 제2 신축부의 평면부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사이에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베개는
    상기 결합수단들에 의해 상기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1 신축부와 상기 제2 신축부가 밀착되어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들이 상기 연결부들로 유입되어 상기 연결부들이 돌출되되, 상기 연결부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 오목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베개.
KR1020210073195A 2021-06-07 2021-06-07 다용도 베개 KR20220164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195A KR20220164880A (ko) 2021-06-07 2021-06-07 다용도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195A KR20220164880A (ko) 2021-06-07 2021-06-07 다용도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880A true KR20220164880A (ko) 2022-12-14

Family

ID=8443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195A KR20220164880A (ko) 2021-06-07 2021-06-07 다용도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8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KR930010033B1 (ko) 의자 등받이
US3463547A (en) Flexible chair seat
US11882940B2 (en) Cushion body for sitting
JP6320690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及び椅子
US9795218B2 (en) Cushion for chair and chair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JP605969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220164880A (ko) 다용도 베개
JP4173675B2 (ja) クッション材
JP7051217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0445660Y1 (ko) 의자
JP2001037594A (ja) 座面クッション
KR102574753B1 (ko) 플렉서블 좌석시트 에어쿠션
CN110077300B (zh) 椅垫和椅子
KR200431249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0222749Y1 (ko) 방석
JP2012143634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JP2023055604A (ja) クッション
KR200423242Y1 (ko) 의자 등받이의 구조
JP2010004967A (ja) 骨盤クッション
JP3097837U (ja) 座椅子用クッション材と座椅子
JPS6122510Y2 (ko)
JPS62123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