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900A -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900A
KR20220163900A KR1020220158131A KR20220158131A KR20220163900A KR 20220163900 A KR20220163900 A KR 20220163900A KR 1020220158131 A KR1020220158131 A KR 1020220158131A KR 20220158131 A KR20220158131 A KR 20220158131A KR 20220163900 A KR20220163900 A KR 2022016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rol system
information
pow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깡후이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402508.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937985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2905582.6U external-priority patent/CN216252522U/zh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02J1/082Plural DC voltage, e.g. DC supply voltage with at least two different DC voltage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기술 분야에 관련된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한다. 전원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 전압 변환 모듈, 정보 수집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원의 출력단과 각 전기 공급 브랜치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고; 정보 수집 모듈은,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제어 모듈은, 정보 수집 모듈과 통신하고, 제어 모듈은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에 대한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멀티 전압 레벨의 저전압 직류 전류의 출력을 구현하여, 서로 다른 전기 사용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킨다.

Description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POWER CONTROL SYSTEM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차량 탑재 전원 시스템은 간단한 릴레이, 가이드 플레이트, 퓨즈 등 전기 부품으로만 전원의 출력 제어를 구현하고, 전압 플랫폼은 단일한 전압 레벨의 전원 출력만 구현하여, 차량의 각종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
저전압 직류 전원의 출력단과 각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전압 변환 모듈;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정보 수집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에 대한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미리 설정된 전압은 여러 유형이고, 일종의 미리 설정된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급 브랜치에 대응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전기 공급 브랜치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설치되어 있고, 온-오프 제어 신호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부하 정보는 전압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 수집 모듈은 복수의 전압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의 전압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부하 정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 수집 모듈은 복수의 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의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당해 전원 제어 시스템은 전기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량 센서는, 저전압 직류 전원에 설치되고, 저전압 직류 전원의 하전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제어 모듈은 또한, 하전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전원 상태 신호는 저전압 직류 전원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당해 전원 제어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제어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통신 모듈은 완성차 컨트롤러와 통신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제어 모듈은 또한, 통신 모듈을 통해 완성차 컨트롤러로부터 완성차 신호를 수신하고, 완성차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제어 모듈은 또한, 통신 모듈을 통해 완성차 컨트롤러에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통신 모듈은 CA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LI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및 이더넷 통신 프로토콜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을 더 제공하고,
저전압 직류 전원; 및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전원 제어 시스템은 저전압 직류 전원의 출력단에 전기적 연결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 및 전압 변환 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저전압 직류 전원이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고,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멀티 전압 레벨의 저전압 직류 전류의 출력을 구현하고, 서로 다른 전기 사용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모듈과 제어 모듈을 설치하여, 제어 모듈은 정보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및 부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를 구현하고,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및 부하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응하는 전기 공급 브랜치의 전원 출력을 차단하여,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전기 공급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내용 부분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관건 또는 중요한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은 이하의 명세서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면을 결합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술한 것과 기타 특징, 장점 및 측면은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같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같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 설명:
전원 제어 시스템(100);
제어 모듈(10); 정보 수집 모듈(20); 전기 공급 브랜치(30); 통신 모듈(40);
저전압 직류 전원(200).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때문에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에 여러가지 변경과 보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동시에 정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하기의 설명에서 공지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30), 전압 변환 모듈, 정보 수집 모듈(20) 및 제어 모듈(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출력단과 각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원(200)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정보 수집 모듈(20)은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모듈(10)은 정보 수집 모듈(20)과 통신하고, 제어 모듈(10)은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대한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에 사용되고, 특히 자율 주행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전기 박스에 통합할 수 있고, 전기 박스는 차량에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차량의 저전압 직류 전원(200)에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박스에는 복수의 전기 공급 직류 전류에 연결된 전원 출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에서의 전기 사용 기기와 전기적 연결하여, 전기 사용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전압 변환 모듈은 직류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직류 -직류 변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전압은 실제 상황에 따라 임의로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전압은 3V, 5V, 24V 또는 36V 등일 수 있다. 또한,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전압을 여러 유형으로 전환하고, 각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각각 수송하여, 멀티 전압 레벨의 전원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각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출력단에는 전원 출력 인터페이스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 모듈(1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Single Chip Microcomputer) 또는 단일 칩이라고도 부를 수 있고,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 Unit, CPU)의 주파수와 규격을 적당히 줄이고, 메모리(Memory), 타이머(Timer) 등 주변 인터페이스, 심지어 LCD 구동 회로를 모두 단일 칩에 통합하여, 칩 레벨의 컴퓨터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대해 서로 다른 조합 제어를 수행한다.
정보 수집 모듈(20)은 여러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 등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전압 정보 및 전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영역은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역은 전력이 비교적 큰 영역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의 칩 영역일 수 있고, 출력 전류가 비교적 큰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도 있다.
제어 모듈(10)은 정보 수집 모듈(20)에 의해 송신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한다. 온-오프 제어 신호는 온 제어 신호 및 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온 제어 신호는 전기 공급 브랜치(30)가 전도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오프 제어 신호는 전기 공급 브랜치(30)가 차단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예를 들어 어떤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대응되는 영역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모듈(10)은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여, 당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30)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30) 및 전압 변환 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저전압 직류 전원(200)에 의해 출력되는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고,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해 출력하여, 멀티 전압 레벨의 저전압 직류 전류의 출력을 구현하고, 서로 다른 전기 사용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모듈(20) 및 제어 모듈(10)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어 모듈(10)은 정보 수집 모듈(20)에 의해 수집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및 부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를 구현하고,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및 부하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응하는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원 출력을 차단하여,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전기 공급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미리 설정된 전압은 여러 유형이고, 일종의 미리 설정된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대응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의미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키고, 즉 미리 설정된 전압은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저전압 변환 모듈은 DC-DC직류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DC-DC직류 컨버터는 입력된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을 복수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응하는 전기 공급 브랜치(30)로 수송할 수 있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차량에서의 직류 저전압 전원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12V의 저전압 직류 전류이고,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출력단과 전기 공급 브랜치(30) 사이에 전압 변환 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을 12V로부터 복수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차량에서의 여러 유형의 전기 사용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압 또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고,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로 각각 수송한다. 예를 들어, 전기 공급 브랜치(30)는 6개일 수 있고, 전압 변환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을 3V, 5V, 24V 및 36V으로 변환하고, 하나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과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은 3V이고, 2개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과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은 5V이고, 2개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과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은 24V이고, 하나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과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은 36V이다.
상술한 실시 방식을 통해, 저전압 직류 전원(200)에 의해 출력되는 저전압 직류 전류를 복수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전환하고, 상응하는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해 출력하여,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다단계 전압 출력을 구현하여, 차량에서의 서로 다른 입력 전압 규격의 전기 사용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전기 공급 브랜치(30)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가 설치되어 있고, 온-오프 제어 신호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구체적으로 NMOS튜브 또는 PMOS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MOS튜브는 스위치 소자로서, 오프 또는 온 2가지 상태에서 작동한다. MOS튜브는 전압 제어 소자이므로, 주로 게이트-소스 전압 uGS에 의해 그의 작동 상태를 결정한다. 게이트-소스 전압 uGS이 오픈 전압 UT보다 작을 경우, MOS튜브는 차단영역에서 작동하고, 드레인-소스 전류 iDS는 기본적으로 0이고, 출력 전압 uDS
Figure pat00001
UDD, MOS튜브는 "오프” 상태에 있고, 이때 전기 공급 브랜치(30)는 차단 상태에 있다. 게이트-소스 전압 uGS이 오픈 전압 UT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MOS튜브는 전도영역에서 작동하고, 드레인-소스 전류 iDS=UDD/(RD+rDS)이고, rDS은 MOS튜브가 온일 때의 드레인-소스 저항이고, MOS튜브는 "온” 상태에 있고, 이때 전기 공급 브랜치(30)는 온 상태에 있다.
MOS튜브의 상술한 특성에 기반하여, 온-오프 제어 신호는 전기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오프 제어 신호는 온 제어 신호 및 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온 제어 신호는 MOS튜브의 그리드 전극에 수송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이 MOS튜브의 오픈 전압 UT보다 크고, 오프 제어 신호는 MOS튜브의 그리드 전극에 수송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이 MOS튜브의 오픈 전압 UT보다 작다.
나아가, 각 전기 공급 브랜치(30)에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류 운반 능력은 전기 공급 브랜치(30)가 실제로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류 수요에 따라 설치하여, 대응되는 전기 사용 기기의 전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류 운반 능력에 대해 상응하는 제한을 하는 것을 통해, 전기 공급 브랜치(30)가 밀리암페어 레벨의 작은 전류에서 백 암페어 레벨의 큰 전류로 출력하는 것을 구현하여, 전기 사용 기기의 전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방식에 따라, 제어 모듈(10)은 전기 공급 브랜치(30)에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온-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제어 모듈(10)을 사용하여 각 전기 공급 직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이 바교적 작기 때문에, 관련 기술의 전원 제어 시스템(100)이 릴레이를 사용하여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온-오프를 구현하는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안은 전기 공급 브랜치(30)가 온될 때의 열 효과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부하 정보는 전압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 수집 모듈(20)은 복수의 전압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압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제어 모듈(10)은 수집된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압 정보에 기반하여, 전압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전압 역치 범위와 비교하고, 전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전압 역치 범위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제어 모듈(10)은 당해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당해 제어 회로의 전원 출력을 차단한다. 전압 역치 범위는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방식을 통해,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수집된 전압 정보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과전압, 부족전압, 과부하 등 이상 고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압 정보에 이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원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부하 정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 수집 모듈(20)은 복수의 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제어 모듈(10)이 수집된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류 정보에 기반하여, 전압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전류 역치 범위와 비교하고, 전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전류 역치 범위와 부합되지 않을 경우, 제어 모듈(10)은 당해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당해 제어 회로의 전원 출력을 차단한다. 전류 역치 범위는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방식을 통해, 각각의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류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수집된 전류 정보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출력 전류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류 정보에 이상에 발생할 경우,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원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정보 수집 모듈(20)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온도 센서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제어 모듈(10)은 수집된 온도 정보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미리 설정된 영역은 출력 전류가 비교적 큰 특정한 전기 공급 브랜치(30)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영역은 여러개일 수 있고, 상응하게 온도 센서는 미리 설정된 영역과 대응하게 설치된 여러개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방식을 통해, 출력 전류가 비교적 큰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온도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온도 역치 범위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원 출력을 실시간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당해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전기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저전압 직류 전원(200)에 설치되고,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하전 상태 정보(State Of Charge, SOC)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제어 모듈(10)은 또한, 하전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전원 상태 신호는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제어 모듈(10)은 수집된 하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하전 상태 정보가 하전 상태 역치보다 낮을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40)을 통해 차량의 완성차 컨트롤러에 송신하여, 실시간 경보를 수행한다.
상술한 실시 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전기량 모니터링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하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역치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즉시 경보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당해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통신 모듈(40)을 더 포함하고, 제어 모듈(10)과 통신 연결되고, 통신 모듈(40)은 완성차 컨트롤러와 통신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통신 모듈(40)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차량의 기타 기기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예를 들어 차량의 완성차 컨트롤러와 통신한다. 제어 모듈(10)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기적 연결되고, 통신 모듈(40)을 통해 차량에서의 기타 기기에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차량에서의 기타 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실시 방식을 통해, 전원 제어 시스템(100)이 차량의 기타 기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통신 기능에 기반하여 완성차의 전원 제어를 더 잘 구현하도록 한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제어 모듈(10)은 또한, 통신 모듈(40)을 통해 완성차 컨트롤러로부터 완성차 신호를 수신하고, 완성차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완성차 신호는 구체적으로 차량 기타 기기에서 송신된 이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충돌 신호, 기기 고장 신호 등일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이상 신호에 기반하여, 전기 공급 브랜치(30)에 온-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한다.
이로써, 차량에서의 기타 기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전기 공급 브랜치(30)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여, 완성차 전기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제어 모듈(10)은 또한, 통신 모듈(40)을 통해 완성차 컨트롤러에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제어 모듈(10)은 통신 모듈(40)을 사용하여 차량의 완성차 컨트롤러에 정보 수집 모듈(20)에 의해 수집된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하전 상태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완성차 컨트롤러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전원 시스템이 작동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로써, 제어 모듈(10)을 사용하여 완성차 컨트롤러에 정보를 보내는 것을 통해, 완성차 컨트롤러가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작동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에서, 통신 모듈(40)은 CA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LI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및 이더넷 통신 프로토콜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예시적으로, 통신 모듈(40)은 제어 모듈(10)에 각각 전기적 연결되는 CAN인터페이스, LIN인터페이스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CAN인터페이스는 차량의 CAN버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LIN인터페이스는 차량의 LIN버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차량의 이더넷 프로토콜을 지지하는 기타 기기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제어 모듈(10)은 CAN/LIN컨트롤러가 통합되어 있고, CAN인터페이스 또는 LIN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CAN/LIN전원 모듈을 더 포함하고, CAN/LIN전원 모듈은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출력단에 전기적 연결되고, CAN/LIN전원 모듈은 CAN/LIN컨트롤러에 전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로써, 전원 제어 시스템(100)을 차량의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하여, 전원 제어 시스템(100)과 차량의 기타 기기의 실시간 통신을 구현하며, 비교적 낮은 통신 지연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을 더 제공하고, 저전압 직류 전원(200) 및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100)을 포함하고,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저전압 직류 전원(200)의 출력단에 전기적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저전압 직류 전원(200)에 의해 출력되는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은 12V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전압 변환 모듈을 통해 저전압 직류 전류의 전압을 12V로부터 3V, 5V, 24V 및 36V의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적어도 4개의 전기 공급 브랜치(30)를 통해 출력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의 기타 구성은 당업자가 현재와 미래에 알고 있는 각종 기술 방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세로방향”, "가로방향”, "길이”, "너비”, "두께”, "위”, "아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상부”, "하부”,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이 지칭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칭되는 장치 또는 부품이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거나 또는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지 않음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외에,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 또는 지시된 기술 특징의 수량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당해 특징을 명시하거나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 한 "복수”의 함의는 적어도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하여야 하는 바로는,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되고 한정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넓은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통신 일 수 있고,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 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있어서,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 "위” 또는 "아래”에 있다고 함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접촉함을 포함하거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중간 매질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상부”, "상방” 또는 "상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바로 위 및 경사진 위에 위치한 경우 또는 단순히 제1 구성요소의 수평 높이가 제2 구성요소보다 높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하부”, "하방” 또는 "하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바로 아래 및 경사진 아래에 위치한 경우 또는 단순히 제1 구성요소의 수평 높이가 제2 구성요소보다 낮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개시는 대량의 다른 실시형태 또는 예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조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공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특정한 예의 구성과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이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목적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 외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예에서 참조 번호 및 /또는 참조 문자를 반복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반복은 간소화와 명료의 목적을 위한 것이지, 그 자체는 토론하는 각 실시형태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본 발명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디자인 요구와 다른 요소에 따라 각종 보정, 조합, 서브조합 및 대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안에서 이루어진 보정, 동일 교체와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 공급 브랜치;
    저전압 직류 전원의 출력단과 각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류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전압 변환 모듈;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정보 수집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에 대한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은 여러 유형이고, 일종의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오프 제어 신호는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정보는 전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모듈은 복수의 전압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의 전압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정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모듈은 복수의 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전기 공급 브랜치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전기 공급 브랜치의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시스템은 전기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량 센서는,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에 설치되고,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의 하전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하전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원 상태 신호는 상기 저전압 직류 전원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제어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완성차 컨트롤러와 통신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완성차 컨트롤러로부터 완성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완성차 신호에 따라 상기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완성차 컨트롤러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온도 정보 및 상기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CA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LI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및 이더넷 통신 프로토콜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11. 차량에 있어서,
    저전압 직류 전원; 및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 시스템은 저전압 직류 전원의 출력단에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20158131A 2021-11-24 2022-11-23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 KR20220163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905582.6 2021-11-24
CN202111402508.0A CN113937985A (zh) 2021-11-24 2021-11-24 电源控制系统及车辆
CN202111402508.0 2021-11-24
CN202122905582.6U CN216252522U (zh) 2021-11-24 2021-11-24 电源控制系统及车辆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900A true KR20220163900A (ko) 2022-12-12

Family

ID=8436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131A KR20220163900A (ko) 2021-11-24 2022-11-23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91052A1 (ko)
EP (1) EP4156432A3 (ko)
JP (1) JP2023022844A (ko)
KR (1) KR20220163900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8024A1 (en) * 2003-10-09 2005-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gital current limiter
JP5647501B2 (ja) * 2010-12-09 2014-12-2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力分配装置
CN106773984A (zh) * 2016-12-29 2017-05-31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集成式电力电子装置
CN211405485U (zh) * 2020-04-03 2020-09-01 珞喻能源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具有多分路控制及电费计量功能的智慧电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22844A (ja) 2023-02-15
US20230091052A1 (en) 2023-03-23
EP4156432A2 (en) 2023-03-29
EP4156432A3 (en)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5978B2 (ja) 電源装置
US105415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US11173857B2 (en) Control device for on-board power supply unit, and on-board power supply device with a protective relay
US9975502B2 (en) Circuit module for isolating components of a multi-voltage vehicle electrical system
US9260021B2 (en) Signal generation circuit
EP2683071A1 (en) Electric power converter
US9977083B2 (en) Switched high-voltage sampling circuit for electric vehicles
US20150244167A1 (en) Output power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762172B2 (en) Converter
EP3744557A1 (en) Power relay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15120102U (zh) 负载过流保护电路和汽车中央电器盒
CN115552759A (zh) 用于机动车的车载电网以及用于运行车载电网的方法
KR20220163900A (ko)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차량
CN113937985A (zh) 电源控制系统及车辆
CN111095722B (zh) 电池单元及电池单元的控制方法
CN215120103U (zh) Mos管控制电路、负载过流保护电路和汽车中央电器盒
KR101796395B1 (ko) 컨버터의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CN216252522U (zh) 电源控制系统及车辆
CN209787147U (zh) 一种直流智能固态继电器
KR102321508B1 (ko)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JP2017050936A (ja) 異常検知回路及び充電装置
RU2596620C1 (ru) Твердотельный коммутатор и контроллер нагрузки
US11860211B2 (en) System for monitoring a high voltage electrical system in a vehicle
CN217467119U (zh) 故障监测装置、电池管理系统及车辆
KR102163764B1 (ko) 배터리 모듈용 과전압 검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