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728A -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 Google Patents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728A
KR20220163728A KR1020210072239A KR20210072239A KR20220163728A KR 20220163728 A KR20220163728 A KR 20220163728A KR 1020210072239 A KR1020210072239 A KR 1020210072239A KR 20210072239 A KR20210072239 A KR 20210072239A KR 20220163728 A KR20220163728 A KR 2022016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crew member
fixing
jig too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035B1 (ko
Inventor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부재를 작업대에 직립하도록 고정하는 치공구, 상기 치공구는, 상기 나사부재를 수용하도록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나사고정부,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부 및 상기 나사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 상기 나사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상기 작업대에 고정시켜 상기 나사부재를 가공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A JIG TOOL FOR FORMING A THREAD ON THE SCREW}
본 발명은 나사부재를 작업대에 직립하도록 고정하는 치공구, 상기 치공구는, 상기 나사부재를 수용하도록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나사고정부,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부 및 상기 나사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 상기 나사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상기 작업대에 고정시켜 상기 나사부재를 가공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치공구란, 각종 제품을 가공하여 생산할 때, 사용되는 공구류 및 제품의 치수를 통일시키는 기준 치공구와 제품을 작업대에 고정시키고 주 절삭 공구의 작업을 용이하게 해 주는 생산 치공구가 있다. 이는 주로 제품을 공작하여 대량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과 같은 구면을 지니는 원기둥 형태에 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또는 드릴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부재의 위치가 작업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며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공정하여야 한다.
또한, 가공하는 과정에서 가공기계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된 위치가 유격에 의해 떨림으로 흔들리거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및 구면을 지니는 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균일한 나사산이 형성되지 못해 생산성이 극히 낮아지게 된다.
전술한 작업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정확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없으며, 많은 양의 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 다양한 사이즈를 지니는 나사 또는 드릴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사이즈를 구비한 치공구가 다수 구비되어야 하며 공정의 변화에 따른 잦은 치공구의 교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나사의 다양한 사이즈 형상에 대응하여 가공시 떨림 및 진동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되어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증대된 치공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6-0003044호
본 발명은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재가 작업대의 중심에 직립하도록 고정하며, 가공 시 떨림 및 진동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나사부재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사용할 수 있는 치공구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는 나사부재를 작업대에 직립하도록 고정하는 치공구; 상기 치공구는, 상기 나사부재를 수용하도록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나사고정부;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 및 상기 나사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상기 작업대에 고정하고, 상기 나사부재를 직립한 상태로 나사산을 가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사고정부는 탄성을 지니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나사부재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절개홈은 벌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 시, 억지 끼워맞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나사고정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은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절개홈을 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작업고정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작업대와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사고정부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출홀은 상기 나사부재를 가공 시 발생되는 칩 및 절삭유를 배출한다.
본 발명은 나사부재를 치공구에 정확하게 직립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공정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생산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나사부재를 가공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치공구가 작업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공구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나사부재의 삽입에 따른 삽입부 및 절개홈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절개홈을 죄어 나사부재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작업대와 치공구를 결합하여 나사부재를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길이방향이란 도 3을 기준으로 'X 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Y 축 방향' 수직방향이랑 'Z 축 방향'을 의미하며 상측 또는 상단이란 Z 축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을 의미하며 하측 또는 하단이란 상측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나사부재(P)에 나사산(S)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100)는 나사의 다양한 사이즈 형상에 대응하여 가공시 떨림 및 진동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되어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증대되는 발명으로 이를 통해 작업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대하고자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나사부재(P)에 나사산(S)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100)는 밀링, cnc, MCT와 같은 가공 장치의 선반과 같은 작업대(D)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100)는 나사고정부(110), 작업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나사고정부(110)는 치공구(100)의 중심에서 가공 대상인 나사부재(P)를 치공구(100)에 고정하는 단부이며 삽입부(111), 절개홈(112), 고정홀(113) 및 배출홀(114)을 포함한다.
또한 나사고정부(110)는 탄성과 연성을 지니며, 일 예로 고무, 테프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로 다른 구성 및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고정부(110)의 탄성 및 연성의 특징으로 인해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의 불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접지력이 향상되어 공정의 정확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삽입부(111)는 나사고정부(110)의 중심에서 원형의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삽입부(111)는 나사부재(P)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구면의 나사부재(P)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111)의 양단에는 나사고정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홈(112)이 형성된다.
절개홈(112)은 나사고정부(110)의 탄성을 지니는 특징에 따라 벌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삽입부(111)에 삽입되는 나사부재(P)의 상이한 직경에 대응되어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홀(113)은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고정부(110)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며 절개홈(112)을 일부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고정홀(113)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나사고정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고정홀(113)은 나사산(S)이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10,12)가 삽입되어 나사결합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홀(114)은 삽입부(111)가 형성되는 나사고정부(1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어 형성되며, 절개홈(112)을 통해 유입되는 가공 부산물인 칩(CHIP) 및 절삭유가 배출된다.
작업고정부(120)는 나사고정부(110)의 폭방향의 단부에 맞닿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작업고정부(120)는 강자성체인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작업고정부(120)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산(S)을 형성한 관통홀을 각각 구비하여 작업대(D)와 고정부재(10,12)를 통해 나사결합되어 치공구(100)를 작업대(D)에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작업고정부(120)는 제1 작업고정부(121) 및 제2 작업고정부(122)로 지칭하며, 관통홀은 제1 작업고정부(121) 및 제2 작업고정부(122)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제1 관통홀(1211) 및 제2 관통홀(1221)로 지칭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나사부재(P)를 치공구(100)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나사부재(P)를 삽입부(111)에 삽입하면, 탄성을 지닌 특징으로 인해 절개홈(112)이 벌어지게 되며 이에, 삽입부(111)에 나사부재(P)가 끼워지게 된다.
도 5(b)의 도시처럼 절개홈(112)이 벌어짐에 따라 삽입부(111)의 직경 또한 나사부재(P)의 직경에 대응되어 커지게 된다.
이를 통해, 삽입부(111)의 직경은 삽입되는 나사부재(P)의 직경에 대응되어 조절될 수 있으며, 삽입부(111)의 본래 직경은 가공되는 나사부재(P)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111)는 다양한 나사부재(P)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도록 억지끼움 공차를 지녀 나사부재(P)가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살펴보면, 삽입부(111)에 일정 직경을 지닌 나사부재(P)가 삽입되면, 나사부재(P)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절개홈(112)이 벌어져 삽입부(111)에 삽입되는 나사부재(P)의 직경 즉, 사이즈에 대응되어 삽입부(111)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삽입부(111) 및 절개홈(112)이 형성되는 나사고정부(110)는 탄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되어 나사부재(P)가 삽입부(111)에 삽입되는 경우 절개홈(112) 및 삽입부(111)는 탄력으로 나사부재(P)의 외주면에 맞닿아 고정하게 된다.
이는 다양한 사이즈의 나사부재(P)를 가공하기 위해 상이한 사이즈를 지니는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치공구(100)를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상이한 직경을 지니는 나사부재(P)에 대응되어 가공할 수 있어 작업의 생산성이 증대하고, 나사부재(P)가 고정되어야만 하는 위치에 나사부재(P)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이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나사부재(P)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경우 가공 장치의 회전력 및 외력에 의해 나사부재(P)가 흔들리거나 회전되어 가공의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방지하여 절개홈(112)을 조이는 이중 고정 구조를 나사고정부(110)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력을 증대할 수 있다.
상세히, 도 6을 참고하면, 나사부재(P)를 삽입부(111)에 삽입하여 삽입부(111)의 직경과 절개홈(112)이 벌어진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홀(113)을 통해 나사산(S)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0,12)를 삽입한다.
고정홀(113)에 고정부재(10,12)가 삽입된 형태에서 고정부재(10,12)의 양단에 너트(11)를 결합시켜 나사고정부(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너트(11)를 전진하도록 조인다.
너트(11)의 조임 정도에 따라 절개홈(112)은 죄어 지며 벌어졌던 단부가 좁아지며 동시에 삽입부(111)의 직경도 좁아지게 되어 나사부재(P)를 견고하게 삽입부(11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나사부재(P)를 치공구(100)에 직립하도록 고정함에 있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부재(P)에 나사산(S)을 가공 시, 중심축이 틀어져 균일하지 못한 나사산(S)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부재(P)를 고정하기 위해 간단히 너트(11)만 조절하면 사용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닌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치공구(100)를 작업대(D)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의 도시처럼 작업대(D)에 치공구(100)를 위치한 상태에서 도 7의 도시처럼 치공구(100)를 작업대(D)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제1 작업고정부(121)와 제2 작업고정부(122)에 형성된 제1 관통홀(1211) 및 제2 관통홀(1221)을 통해 나사산(S)이 형성된 나사부재(P)를 통해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타공된 작업대(D)에 결합할 수 있다.
먼저, 제1 관통홀(1211) 및 제2 관통홀(1221)의 위치와 작업대(D)에 타공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위치시켜 고정부재(10,12)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1 관통홀(1211) 및 제2 관통홀(1221)로 헤드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고정부재(10,12) 또는 전술한 너트(11) 결합될 수 있는 부재를 통해 작업대(D)와 제1 관통홀(1211) 및 제2 관통홀(1221)을 나사결합하여 작업대(D)에 치공구(1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는 외력에 의해 치공구(100)가 작업대(D)에서 흔들려 가공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공구(100)를 사용자가 가공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어 가공의 일관성이 유지되어 가공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특징으로 인해 나사부재(P)를 치공구(100)에 정확하게 직립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공정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생산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작업고정부(120)는 외부에 노출되는 특징으로 인해 부식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작업고정부(120)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작업고정부(12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작업고정부(1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작업고정부(12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작업고정부(1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업고정부(12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작업고정부(12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작업고정부(12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작업고정부(12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고정부(120)의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작업고정부(120)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고정부(12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P : 나사부재,
S : 나사산,
D : 작업대,
10, 12 : 고정부재,
11 : 너트
100 : 치공구,
110 : 나사고정부,
111 : 삽입부,
112 : 절개홈,
113 : 고정홀,
114 : 배출홀,
120 : 작업고정부,
121: 제1 작업고정부,
1211 : 제1 관통홀,
122 : 제2 작업고정부,
1221 : 제2 관통홀.

Claims (7)

  1. 나사부재를 작업대에 직립하도록 고정하는 치공구;
    상기 치공구는,
    상기 나사부재를 수용하도록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나사고정부;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 및
    상기 나사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작업고정부를 상기 작업대에 고정하고, 상기 나사부재를 직립한 상태로 나사산을 가공하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고정부는 탄성을 지니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나사부재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절개홈은 벌어지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 시,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나사고정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은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절개홈을 죄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업고정부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작업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고정부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나사부재를 가공 시 발생되는 칩 및 절삭유를 배출하는 것인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KR1020210072239A 2021-06-03 2021-06-03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KR10251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39A KR102513035B1 (ko) 2021-06-03 2021-06-03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39A KR102513035B1 (ko) 2021-06-03 2021-06-03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728A true KR20220163728A (ko) 2022-12-12
KR102513035B1 KR102513035B1 (ko) 2023-03-21

Family

ID=8439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239A KR102513035B1 (ko) 2021-06-03 2021-06-03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44A (ko) 1994-06-30 1996-01-26 이형도 브레시레스 직류모터
CN208067821U (zh) * 2018-04-16 2018-11-09 山西平阳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圆柱体类工件批量铣削加工的装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44A (ko) 1994-06-30 1996-01-26 이형도 브레시레스 직류모터
CN208067821U (zh) * 2018-04-16 2018-11-09 山西平阳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圆柱体类工件批量铣削加工的装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035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035B1 (ko) 나사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
KR102517016B1 (ko) 고정력이 향상된 나사가공 치공구
CN111618627A (zh) 一种用于高温喷嘴的打孔夹具
CN102294611A (zh) 加工连杆小头斜面的夹具
CN101417395A (zh) 底套钻孔工装
Zheng et al. Research on fixture hole drilling qu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2390213B1 (ko) 방전가공 금형장치
KR102525330B1 (ko) 홀 가공 치공구
CN113373420B (zh) 定位块、镀膜夹具、使用方法及定位块的加工方法
KR102507917B1 (ko) 용접 구조물 고정용 치공구
KR10251526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용 치공구
CN113399947B (zh) 一种滑轮支架加工夹具及加工方法
CN215393889U (zh) 一种cnc数控加工中心用异型件装夹工装
CN108188776A (zh) 一种台阶加工夹具及使用该夹具的铣床
CN104289779A (zh) 线切割夹紧装置
CN107081454A (zh) 基于虎钳的六角螺母保险丝孔简易钻模及加工方法
KR102506689B1 (ko) 가스켓 가공 장치
KR102559816B1 (ko) 원통부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면취장치
CN113245648A (zh) 一种斜齿轮装夹夹具
CN111687651A (zh) 一种应用于长轴类非回转件铣削加工装置及方法
CN216881822U (zh) 一种钻斜孔夹具
CN104476286A (zh) 一种机床及其复合刀柄
CN215092197U (zh) 一种连杆加工夹具
JP2020203353A (ja) 回転切削工具
CN219169679U (zh) 一种加工会议桌桌腿的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