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689A -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 Google Patents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689A
KR20220163689A KR1020210072143A KR20210072143A KR20220163689A KR 20220163689 A KR20220163689 A KR 20220163689A KR 1020210072143 A KR1020210072143 A KR 1020210072143A KR 20210072143 A KR20210072143 A KR 20210072143A KR 20220163689 A KR20220163689 A KR 20220163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r
concrete panel
prestressed concrete
coupled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5893B1 (en
Inventor
심영표
한형관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주식회사 장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주식회사 장헌산업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102021007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89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that eliminates the burden of using large equipment, improves work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s prestress effici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using an unbonded steel bar comprises a concrete panel and at least one steel bar penetrating the concrete panel. The steel bar may include: a main body coated with a lubricant; a protective film which surrounds the main body and prevents the lubricant from contacting the concrete panel;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 tensioning device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Description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 방법 및 이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본 발명은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작 방법 및 이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콜타르를 도포하고 보호막으로 감싼 강봉을 이용하여 포스트텐션 방법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콘크리트 패널에 도입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ncret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and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hereto, and more specifically,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panel by a post-tension method using a steel rod coated with coal tar and wrapped in a protective film.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the technology of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는 철근 콘크리트 제품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현저하게 작으므로, 인장 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의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켜 제작한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Prestressed concrete is a type of reinforced concrete product. In general, since the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is remarkably low, concrete manufactured by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by applying prestress of compression to the part where tensile stress occurs in advance. it mean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방법은 크게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과 포스트텐션(post tension) 방식이 존재한다. Methods for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to prestressed concrete are largely divided into a pretension method and a post tension method.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재를 인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긴장재의 인장력을 해제하여 긴장재와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중간에 개재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긴장재를 삽입하고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써 대부분 매입용 시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긴장 후에는 그 속에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The pre-tension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concrete is poured while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an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member is released to introduce prestress by interposing the attachment between the tension member and the concrete in the middle. As a method of introducing prestress by inserting and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after the concrete has hardened, most of the embedding sheaths are used, and after tension, grouting is performed therein to prevent corrosion of the tension member.

프리텐션 방법은 정착구의 비용 감소 및 그라우팅 등의 후속 공정이 생략 가능한 장점이 존재 하나, 프리스트레스 방법으로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반력대, 대형 jack 등의 대형 장비가 필요하고, 긴장 작업 중 강선이 파단 또는 고정재의 훼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존재한다.The pre-tens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of anchorages and omitting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grouting.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damage to the fixing material.

포스트텐션 공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반대력 등이 필요 없는 소량 생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포스트텐션 공법은 쉬스관을 철근과 함께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긴장재를 삽입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그러나, 포스트텐션 공법은 쉬스관 내부에 그라우팅 밀크를 채워 긴장재가 부식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강선 삽입과 그라우팅 등의 추가 공정은 공사기간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The post-tension method is generally applied to small-volume production that does not require counterforce in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by inserting a tension member to introduce tension. However, since the post-tension method requires filling the inside of the sheath pipe with grouting milk to prevent the tension member from corroding,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steel wire insertion and grouting increas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ase the cost of concrete produ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2066호(2015.09.03.) - 정착 강봉 및 정착 너트를 이용한 외부 긴장 정착구 및 이를 활용한 수평패널의 긴장재 정착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52066 (2015.09.03.) - External tension anchorage using anchorage steel bar and anchorage nut and anchorage method of horizontal panel tension member us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제작 방법은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으로서, 프리스트레스를 콘크리트에 도입함에 있어서, 대형장비 사용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시공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프리스트레스 효율을 높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invention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n introducing prestress to concrete, eliminates the burden of using large equipment and improves workabil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with improved prestress efficiency while doing so.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에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쉬스관이 필요하지 않으며, 동시에 그라우팅 등의 후속 공정이 필요 없는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panel that does not require a sheath pipe and does not require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grouting by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to the concrete panel using a non-attached steel rod.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강봉은,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감싸면서, 상기 윤활제를 상기 콘크리트 패널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강봉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인장 장치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using a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crete panel and at least one steel bar penetrating the concrete panel, and the steel bar comprises a main body coated with a lubricant and the main body. While wrapping, it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lubricant from the concrete panel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 tensioning device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상기 윤활제는 콜타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비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윤활제는 그리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열수축 튜부로 형성이 가능하다.The lubricant may include coal tar,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of vinyl, the lubricant may include grease, and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of a heat-shrinkable tube.

상기 강봉의 양단에는, 각각 구근이 형성, 상기 결합부는, 심플레이트(Shim Plate) 및 상기 인장 장치의 센터홀잭과 결합되는 제1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봉의 양단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선을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Bulb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bar, and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er coupled to a shim plate and a center hole jack of the tensioning device, and threa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bar, respectively, ,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first nut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crew thread.

상기 제1너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본체의 일부는, 상기 나사선을 통해 상기 인장 장치의 커플러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강봉의 양단에는 각각 구근이 형성, 상기 결합부는, 제2결합구 및 결합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구는, 제1영역의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선을 통해 상기 인장 장치의 센터홀잭과 결합될 수 있다. A part of the main body protruding outwardly through the first nut may be coupled to the coupler of the tensioning device through the screw thread, and bulb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bar, and the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unit. It includes a sphere and a coupling nut, and the second coupler has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and can be coupled to the center hole jack of the tensioning device through the thread.

상기 제2결합구의 제2영역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구의 제3영역은,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을 통해 상기 결합 너트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upler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upler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nut through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 방법은, 강봉의 본체에 윤활제를 도포한 후, 상기 본체를 감싸면서, 상기 윤활제를 상기 콘크리트 패널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봉을 콘크리트 패널에 관통시켜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강봉의 일단에 상기 강봉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인장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강봉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non-attached steel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a lubricant to the main body of the steel rod and then forming a protective film to protect the lubricant from the concrete panel while wrapping the main body. Penetrating a steel bar through a concrete panel and combining it with the concrete panel, combining one end of the steel bar with a coupling part that can be combined with a tensioning device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and using the tensioning device to apply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It may include the step of applying.

상기 윤활제는 콜타르 또는 그리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비닐 또는 열수축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lubricant may include coal tar or grease, and the protective film may include vinyl or a heat shrinkable tube.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에 인장력을 도입하므로, 쉬스관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그라우팅 등의 후속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하면서 보다 경제적으로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The prestressed concrete panel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troduces tensile force into the concrete panel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so a separate sheath pipe and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grouting are not required, so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re is an effect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anel more economically.

또한, 긴장재의 길이를 종래 기술에 따른 경우보다 짧게 제작할 수 있는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인장 시점을 시공자가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인장시 필요한 콘크리트 패널의 초기 강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by mak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shorter tha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nd since the constructor can freely adjust the tension point, the advantage of easily securing the initial strength of the concrete panel required for tension is exist.

또한, 윤활제를 강봉의 표면에 도포한 후, 보호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강봉과 콘크리트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므로 프리스트레스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강봉의 단부에 형성된 구근과 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정착구를 형성함으로써, 정착구 규모를 최소화하고 시공과정 단순화를 달성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시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restress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eel bar and concrete by forming a protective film after applying the lubricant to the surface of the steel bar, and using the bulbs and simplates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bar to secure the anchorage. By forming,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size of the anchorage and achieving simplifica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비부착 강봉에 윤활제 및 보호막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작 방법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인장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인장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인장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인장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 및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ttached steel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lubricant and a protective film on a non-adhesive steel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using a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quence of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to the prestressed concrete panel.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nd a tensioning devic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to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tensioning device.
Figure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Figure 6 (b) is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nsion device are coupled It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ttached steel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8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nd a tensioning device are coupled and a coupled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meanings of related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combination of A, B, and C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coupl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and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not only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명칭은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기재하였지만, 이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콘크리트 패널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but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tressed concrete panel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will be abbreviated as a concrete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비부착 강봉에 윤활제 및 보호막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ttached steel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lubricant and a protective film on a non-attached steel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1)은 본체(10) 및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 단에는 각각 구근(11a, 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0)는 심플레이트(41,Shim Plate) 및 제1결합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긴장재로 강연선이 아닌 강봉(1)을 사용하므로, 강연선에 비해 양 단에 구근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나사선 또한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a non-attached steel ba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10 and a coupling part 30, and bulbs 11a and 11b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10,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the coupling portion 30 may include a shim plate (41, Shim Plate) and the first coupler (42).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el bar 1 is used as the tension member rather than the strand, the bulb can be easily formed at both ends compared to the strand, and the screw can also be easily proces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봉(1)은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 이형 강봉보다는 표면이 거칠지 않은 원형 강봉이 사용될 수 있다. 원형 강봉이 사용되는 경우 강봉 인장시 콘크리트 패널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teel ro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ircular steel rod having a non-rough surface rather than a spiral deformed steel rod having a spiral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When a circular steel bar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crete panel when the steel bar is tensioned.

강봉(1)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구근(11a)은 강봉(1)이 결합부(30)와 결합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도면을 기준으로 강봉(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구근(11b)는 지압판(43)과 결합하여 콘크리트 패널 내부에서 고정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rst bulb (11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teel bar (1) may serve to combine the steel bar (1) with the coupling part 30, and the second bulb (11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eel bar (1) based on the drawing. The bulb (11b) may serve as a fixed end inside the concrete panel in combination with the pressure plate (43).

본 발명에 따른 강봉(1)의 구근(11)은 강봉(1)의 단부를 가열하여 무르게 만든 후, 무른 부분을 가압하는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강봉(1)의 단부에 형성된 구근은 그 구조의 특성상 정착 장치 내에 안착하는 구조로 정착 장치와 결합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bulb 11 of the steel ba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heating the end of the steel bar 1 to make it soft, and then pressing the soft part. The bulb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bar 1 can be combined with the fixing device in a structure that is seated in the fixing device due to the nature of its structure, so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일 예로, 구근(11)은 인장시에는 커플러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인장 후에는 지압면적을 넓혀주는 정착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근(11)을 스터드 볼트를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패널과의 연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ulb 11 can be used as a coupler during tension, and after tension can be used as a fixing device that expands the pressure area.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configuration that can secure connectivity with an adjacent concrete panel by connecting the bulb 11 with a stud bolt.

도 1에서는 강봉(1)은 일단은 결합부(30)가 있고 타단은 지압판(43)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봉(1)의 타단에도 도면에 도시된 강봉(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In Figure 1, one end of the steel bar 1 is shown as having a coupling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pressure plate 43,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1 is also shown in the drawing. A coupling part 30 coupled to one end of the shown steel bar 1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강봉(1)의 본체(20)에는 윤활제(21) 및 보호막(22)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에 윤활제(21)가 도포된 후, 윤활제(21)가 콘크리트 패널(100)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보호막(22)이 형성될 수 있다.A lubricant 21 and a protective film 22 may be applied to the main body 20 of the steel ba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lubricant 21 is applied to the main body 20. After that, a protective film 22 may be formed so that the lubricant 21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crete panel 100.

구체적으로, 윤활제(21)는 강봉(1)의 본체에 일부 또는 전부 도포되도록 하여 피복층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윤활제(21)가 강봉(1)의 본체(10) 표면에 도포되어 내식성이 증가하기 되면 강봉(1)이 콘크리트 패널(100) 내부에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콘크리트 패널(10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경우 경화된 콘크리트 패널(100) 내부에서 강봉의 움직임(슬립)이 콘크리트 패널(100)과의 마찰에 의해 저항 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강봉(1)과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partially or entirely applying the lubricant 21 to the main body of the steel bar 1. When the lubricant 21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10 of the steel bar 1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the steel bar 1 can be prevented from corroding inside the concrete panel 100, and furthermore, the concrete panel 100 Between the steel bar 1 and the concrete panel 100 so that the movement (slip) of the steel bar inside the hardened concrete panel 100 can move freely without being resisted by friction with the concrete panel 100 when a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It can play a role in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of

윤활제(21)로는 비부착 강봉(1)의 부식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패널(10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공지된 어는 것이든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콜타르(21a) 또는 그리스(21b)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lubricant 21, any known material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prevent corrosion of the non-attached steel bar 1 and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crete panel 100, and typically coal tar 21a or grease 21b ) can be used.

콜타르(21a)가 윤활제로 사용되는 경우, 도 2의 (a)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모든 외주면에 콜타르(21a)가 도포될 수 있으며, 콜타르는 도포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연성을 유지하므로 인장시 강봉(1)을 감싸고 있는 콘크리트 패널(100)로부터 슬립(Slip)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강봉(1)과 콘크리트 패널(100)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When the coal tar 21a is used as a lubricant, the coal tar 21a may be applied to al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However, since the ductility is main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slip may easily occur from the concrete panel 100 surrounding the steel bar 1 during tens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eel bar 1 and the concrete panel 100.

콜타르(21a)를 본체(10)에 도포시킨 후, 무기질 파우더를 도포하여 제조 과정에서 인접하는 강재들이 상호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기질 파우더는 미립자 형태의 시멘트를 사용하여 콜타르 피복층이 이질의 콘크리트와 친화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석회가 사용될 수 있다After the coal tar 21a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inorganic powder is applied to prevent adjacent steel materials from sticking to each oth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inorganic powder can make the coal tar coating layer have compatibility with heterogeneous concrete by using cement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Lime can be used as an example

콜타르(21a)가 본체(10)에 완전히 도포된 후에는, 도 2의 (a)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시 강봉(1)과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의 마찰력 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비닐로 강봉(1)을 랩핑하는 방식으로 보호막(22a)을 형성할 수 있다. After the coal tar 21a is completely applied to the body 10,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2 (a),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teel bar 1 and the concrete panel 100 during tension The protective film 22a may be formed by wrapping the steel bar 1 with vinyl.

콜타르(21a)를 사용하여 강봉(1)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수 피복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a protective film on the steel bar 1 using coal tar 21a does not require special coating equipment and can use materials that are easily available in the surroundings,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oductivity is goo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윤활제로 그리스(21b)가 사용되는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모든 외주면에 그리스(21b)를 도포한 후, 열수축 튜브를 삽입하고, 토치나 헤어드라이기와 같이 열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강봉(1)에 열을 가하여 튜브를 수축시켜 피복하는 방법으로 보호막(22b)을 형성할 수 있다.When grease 21b is used as a lubricant, after applying grease 21b to al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b) of FIG. 2, a heat shrink tube is inserted, and a torch or hair dryer Likewise, the protective film 22b may be formed by applying heat to the steel bar 1 using a heat generating device to shrink and cover the tube.

이러한 경우 그리스(21b)는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진 보호막(22b) 내에 잔존하면서 강봉(1)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보호막(22b)은 그리스(21b)를 보호하면서 강봉(1)이 콘크리트 패널(100)와 부착되지 않도록 분리하면서 동시에 인장시 콘크리트 패널(10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grease 21b may serv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teel bar 1 while remaining in the protective film 22b made of a heat shrink tube, and the protective film 22b may protect the grease 21b while the steel bar 1 It serves to separate so as not to be attached to the concrete panel 100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crete panel 100 during tens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제를 도포하고 보호막을 형성하는 경우, 긴장재의 피복 방법이 종래 기술에 비해 단순하고,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고비용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규모 생산시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존재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a lubricant is applied and a protective film is formed, the method of coating the tendon material is simpler than the prior art, and there is no need for expensive equipment for introducing tension, so production costs are reduced in small-scale production. this exis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작 방법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인장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인장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using a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quence of introducing tensile force into the prestressed concrete panel, Figure 4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nd a tensioning devic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shows a process of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to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tensioning device. it is a drawing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콘크리트 패널에 결합할 강봉(1)의 본체(10) 전면에 걸쳐 윤활제를 도포한 후, 윤활제 위에 보호막을 형성한다.(S10)Referring to FIG. 3, first, a lubricant is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10 of the steel bar 1 to be coupled to the concrete panel, and then a protective film is formed on the lubricant. (S10)

S10 과정에 따른 윤활제 및 보호막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lubricant and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step S1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n FIG. 2, they will be omitted.

S10 과정에 의해 강봉(1)에 보호막이 형성되면, 압축력을 도입할 콘크리트 패널(100)에 강봉(1)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킨다. (S20)When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on the steel bar 1 by the process S10, the steel bar 1 is coupled to the concrete panel 100 to introduce compressive force as shown in FIG. (S20)

도 3에서는 콘크리트 패널(100)의 좌측으로 돌출된 강봉(1)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100)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봉(1)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오른쪽 또는 양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100)에 압축력을 도입할 수 도 있다. 3 shows that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panel 100 using the steel bar 1 protruding to the left of the concrete panel 100,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eel bar 1 is Since it protrudes to the right or both sides of the concrete panel 100, compressive force may be introduced to the concrete panel 100 using the protruding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른 강봉(1)은 결합부(30)를 구비하고 있고, 결합부(30)는 인장 장치(200)의 센터 홀잭(210)과 결합하는 제1결합구(42)와 강봉(1)의 인장 응력을 유지하기 위한 심플레이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구(42)는 강봉(1)과 인장 장치(200)를 연결시켜주는 특징에 비추어 커플러(coupler)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eel ro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upling portion 30, and the coupling portion 30 includes a first coupler 42 coupled to the center hole jack 210 of the tensioning device 200 and a steel bar ( 1) may include a simplate 41 for maintaining the tensile stress. The first coupler 42 may be implemented as a coupler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ng the steel bar 1 and the tension device 200 .

구체적으로 강봉(1)의 단부에는 구근(11a)이 형성되어 있어, 구근(11a)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42)의 오른쪽 내주면에 안착하는 방법으로 구근(11a)과 제1결합구(4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결합구(42)의 왼쪽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제1결합구(42)는 인장 장치(200)의 센터 홀잭(210)과 나사선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구(42)는 인장시 인장 장치(200)와 연결하는 커플러로 사용되고, 인장 후에는 강봉(1)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정착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bulb 11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bar 1, and the bulb 11a is seated on the righ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42 as shown in FIG. 4, and the bulb 11a and the first Coupler 42 may be coupl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upler 42, so the first coupler 42 can be coupled to the center hole jack 210 of the tensioning device 200 through a thread. can Therefore, the first coupler 42 can be used as a coupler connected to the tension device 200 during tension, and can be used as a fixing device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steel bar 1 after tension.

도 5를 통해 인장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100)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0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30)에 인장 장치(200)의 센터 홀잭(230)의 하단(210)과 결합시킨 후, 인장 장치(2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100)에 압축력을 도입한다. (S30, S40) Referring to the process of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to the concrete panel 100 using the tension device through FIG. 5, as shown in (a) and (b) of FIG. 5, the coupling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anel 100 After coupling the unit 30 to the lower end 210 of the center hole jack 230 of the tensioning device 200,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panel 100 using the tensioning device 200. (S30, S40)

인장 장치(200)를 이용하여 강봉(1)을 인장하면 강봉에는 신율이 발생하고 신율에 의한 인장력이 도입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플레이트(42)를 결합부(30)와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에 삽입한 후 인장 장치(200)를 강봉(1)에서 해제하면 인장력이 부여된 강봉의 신율은 줄어들지 않고, 신율이 유지되므로 이로 인해, 강봉의 인장 응력이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패널에 압축력이 도입될 수 있다. (S50, S60)When the steel bar 1 is tensioned using the tension device 200, elongation is generated in the steel bar, and tensile force is introduced by the elongation. As shown in (c) of FIG. 5, when the tension device 200 is released from the steel bar 1 after inserting the simplate 42 between the coupling part 30 and the concrete panel 100, tension is applied. Since the elongation of the steel bar is not reduced and the elongation is maintained, the tensile stress of the steel bar is maintained constant and compressive force can be introduced to the concrete panel. (S50, S60)

본 발명과 같이 심플레이트(42)를 이용하여 강봉(1)의 인장 응력을 유지시키는 경우, 강봉 인장 후 릴리즈(release) 때 발생하는 응력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긴장재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어 재료의 손실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패널 제작의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존재한다.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tensile stress of the steel bar 1 by using the simplate 42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ss of stress generated during release after tensioning the steel bar is min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compared to the prior art.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loss of material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manufacturing concrete panels.

또한, 강봉에 인장력을 도입함에 있어서, 인력이 휴대할 수 있는 인장잭을 포함하고 있는 인장 장치를 사용하여 강봉에 인장력을 도입할 수 있어 비교적 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그라우팅 등의 후속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도 존재한다.In addition, in introducing the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the work process is relatively simple becaus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using a tension device including a tension jack that can be carried by manpower, and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grouting are not required. There are also advantages that are not.

강봉(1)의 타단은 구근(11b)과 지압판(43)이 강봉(1)의 본체(10)에 결합되어 있어, 콘크리트 패널(100) 내부에서 고정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강봉(1)의 타단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작 목적에 따라 긴장단과 동일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1 is a bulb 11b and a pressure plate 43 coupl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steel bar 1, so it can serve as a fixed end inside the concrete panel 100, and the steel bar ( The other end of 1)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tension e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 panel 100.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인장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Figure 6 (b) is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nsion device are coupled It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봉(1)은 본체(10) 및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 단에는 각각 나사선(12a, 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부(30)의 너트는 제1너트(52)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6, a steel ro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10 and a coupling part 30, and threads 12a and 12b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10, respectively. And, the coupling part 3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nuts.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nut of the coupling part 30 is described based on one first nut 52,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의 (a) 따른 강봉(1)의 본체(10)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윤활제가 도포된 후에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강봉(1)은 콘크리트 패널(100)에 압축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00)을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of the steel bar 1 according to (a) of FIG. 5 may have a protective film formed after the lubricant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n FIG. 2, and the steel bar 1 thus formed has a compressive force on the concrete panel 100. It can be combined into a structure penetrating the concrete panel 100 as shown in (b) of FIG. 5 so as to introduce.

강봉(1)의 일단에는 제1나사선(1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너트(51)는 제1나사선을 통해 강봉(1)을 정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너트(51)는 인장력이 도입된 후의 강봉의 신률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어, 강봉의 응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Since the first screw 1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teel bar 1, the first nut 51 can serve to fix the steel bar 1 through the first screw, and the first nut 51 can continue to maintain the elongation of the steel bar after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and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stress loss of the steel bar.

강봉(1)의 타단에는 제2나사선(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나사선(12b)에는 제3너트(52)가 제2나사선(12b)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3너트(52)는 콘크리트 패널(100) 내부에서 고정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강봉(1)의 타단을 고정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작 목적에 따라 도 6에 따른 강봉(1)의 타단 또한 긴장단과 동일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A second screw wire 12b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1, and a third nut 5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crew wire 12b through the second screw wire 12b, and the third nut ( 52) may serve as a fixed end inside the concrete panel 100. In FIG. 6,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1 is shown and described as serving as a fixed end, but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1 according to FIG. 6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tension e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 panel 100. ca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인장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 및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ttached steel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restressed concrete panel and 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upled and a coupling part. it is a drawing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봉(1)은 본체(10) 및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 단에는 각각 구근(11a, 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0)는 제2결합구(61) 및 결합 너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steel ba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10 and a coupling part 30, and bulbs 11a and 11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10, respectively. It may be, and the coupling part 30 may include a second coupler 61 and a coupling nut 62.

도 7 및 도 8에 따른 강봉(1)의 본체(10)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윤활제가 도포된 후에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강봉(1)은 콘크리트 패널(100)에 압축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00)을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A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on the body 10 of the steel bar 1 according to FIGS. 7 and 8 after the lubricant is applied as described in FIG. 2, and the steel bar 1 thus formed exerts a compressive force on the concrete panel 100. It can be combined into a structure penetrating the concrete panel 100 as shown in (a) of FIG. 8 so as to introduce.

강봉(1)의 일단에는 제1구근(11a) 형성되어 있어, 제2결합구(61)의 제1 영역(61a)의 오른쪽 내주면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teel bar 1 is formed with a first bulb 11a, so it can be coupled to the righ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61a of the second coupler 61 as shown in FIG.

제2결합구(61)는 2개의 영역(61a, 61b)으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1a)에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인장 장치(200)의 센터 홀잭(2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영역(61b)에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은 결합 너트(62)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er 61 can be divided into two areas 61a and 61b. As shown in FIG. 8,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rea 61a to form a center hole jack of the tensioning device 200. 210,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61b, so that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nut 62.

결합 너트(62)는 인장력이 도입된 강봉(1)의 신률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인장시 강봉(1)의 신률이 발생하면 제2결합구(61)의 제2영역(61b)의 외주면에 있는 결합 너트(62)를 돌려서 고정한다. The coupling nut 62 may play a role of constantly maintaining the elongation of the steel bar 1 into which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hat is, when elongation of the steel bar 1 occurs during tension, the coupling nut 6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61b of the second coupler 61 is fixed by turning.

도 7과 도 8에 따른 강봉(1)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도입하면, 강봉(1)에 나사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단면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강봉(1)의 신률을 끝까지 유지할 수 있어, 초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 효율성이 높은 콘크리트 패널(100)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When tensile force is introduced using the steel bar 1 according to FIGS. 7 and 8, there is no need to form a thread in the steel bar 1, so cross-sectional loss does not occur, and the elongation of the steel bar 1 can be maintained to the e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a concrete panel 100 having high structural efficiency in which initial loss does not occur.

강봉(1)의 타단은 구근(11b)과 지압판(43)이 강봉(1)의 본체(10)에 결합되어 있어, 콘크리트 패널(100) 내부에서 고정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강봉(1)의 타단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작 목적에 따라 긴장단과 동일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1 is a bulb 11b and a pressure plate 43 coupl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steel bar 1, so it can serve as a fixed end inside the concrete panel 100, and the steel bar ( The other end of 1)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tension e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 panel 100.

본 발명에 따라 강봉(1) 및 제2결합구(61)의 표면에서 나사선을 형성하는 방법은 절삭 가공법 또는 전조 가공법을 통해 나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forming the threa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rod 1 and the second coupler 61 can form the thread through a cutting method or a rolling method.

절삭 가공법은 탭과 다이스로 재료를 절삭하여 나사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칩(쇠밥)이 깍여 나가기 때문에 원래 환봉의 지름보다 작은 나사선이 만들어질 수 있다. Since the cutting method forms a thread by cutting the material with a tap and a die, a threa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riginal round bar can be made because the chip (iron rice) is cut out.

전조 가공법은 소재를 회전시켜 표면 형상을 새기는 특수 압연법으로써, 소성 변형때문에 나사가 들어간 홈만큼 지름이 더 커지는 나사선이 만들어질 수 있다.The rolling method is a special rolling method that engraves the surface shape by rotating the material. Due to plastic deformation, a thread with a larger diameter can be created as much as the groove into which the thread is inserted.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제작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So far, the prestressed concrete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non-attached stee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e been studied in detail through drawings.

일 실시예에 따른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에 압축력을 도입하므로, 쉬스관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그라우팅 등의 후속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하면서 보다 경제적으로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The prestressed concrete panel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troduces compressive force into the concrete panel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so a separate sheath pipe and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grouting are not required, so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re is an effect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anel more economically.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긴장재의 길이보다 단축된 긴장재의 길이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인장 시점을 시공자가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인장시 필요한 콘크리트 패널의 초기 강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concrete panel by applying a shorter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than the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since the tensioning point can be freely adjusted by the constructor, the initial strength of the concrete panel required for tension is easily secured.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so.

또한, 윤활제를 강봉의 표면에 도포한 후, 보호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강봉과 콘크리트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프리스트레스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강봉의 단부에 형성된 구근과 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릴리즈(Realease)시 발생 할 수 있는 응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prestress can be maximized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eel bar and concrete by forming a protective film after applying the lubricant to the surface of the steel bar, and the release (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stress loss that can occur during releas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인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비부착 강봉 11: 구근
12: 나사선 21: 윤활제
22: 보호막 30: 결합부
41: 심플레이트 42: 제1결합구
51: 제1너트 52: 제2너트
61: 제2결합구 62: 결합 너트
100: 콘크리트 패널 200: 인장 장치
210: 센터 홀잭
10: non-attached steel bar 11: bulb
12: thread 21: lubricant
22: protective film 30: joint
41: simple plate 42: first coupler
51: first nut 52: second nut
61: second coupler 62: coupling nut
100: concrete panel 200: tension device
210: center hole jack

Claims (10)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강봉은,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감싸면서, 상기 윤활제가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막;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강봉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인장 장치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concrete panels; and
Including; at least one steel rod penetrating the concrete panel,
The steel bar,
A body to which a lubricant is applied;
A protective film that surrounds the main body and prevents the lubricant from contacting the concrete panel;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 tensioning device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콜타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비닐로 형성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lubricant includes coal tar, and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of vinyl.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그리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열수축 튜부로 형성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lubricant includes grease, and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of a heat-shrinkable tube.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의 양단에는, 각각 구근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심플레이트(Shim Plate) 및 상기 인장 장치의 센터 홀잭과 결합되는 제1결합구;를 포함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steel bar, bulbs are formed, respectively,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er coupled to a shim plate and a center hole jack of the tension device;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의 양단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선을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너트를 포함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1,
Screw threa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rod,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nut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crew thread,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본체의 일부는, 상기 나사선을 통해 상기 인장 장치의 커플러와 결합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5,
A part of the main body protruding outwardly through the first nut is coupled to the coupler of the tensioning device through the screw thread.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의 양단에는, 각각 구근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제2결합구 및 결합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구는,
제1영역의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선을 통해 상기 인장 장치의 센터 홀잭과 결합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steel bar, bulbs are formed, respectively,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second coupler and a coupling nut,
The second coupler,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and coupled to the center hole jack of the tensioning device through the thread.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구의 제2영역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구의 제3영역은,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을 통해 상기 결합 너트와 결합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upl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upl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nut through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Prestressed concrete panels made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강봉의 본체에 윤활제를 도포한 후, 상기 본체를 감싸면서, 상기 윤활제가 콘크리트 패널과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봉을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관통시켜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강봉의 일단에 상기 강봉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인장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장 장치를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강봉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 방법.
After applying a lubricant to the main body of the steel bar, forming a protective film while cover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lubrican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crete panel;
Penetrating the steel bar through the concrete panel to couple with the concrete panel;
coupling a coupling part to one end of the steel bar that can be coupled with a tensioning device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bar; and
After coupling the tension device to the coupling part, applying a tension force to the steel rod; includ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ncrete panels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콜타르 또는 그리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비닐 또는 열수축 튜브를 포함하는,
비부착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lubricant includes coal tar or grease,
The protective film includes a vinyl or heat shrink tube,
A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ncrete panels using non-attached steel rods.
KR1020210072143A 2021-06-03 2021-06-03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KR102545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43A KR102545893B1 (en) 2021-06-03 2021-06-03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43A KR102545893B1 (en) 2021-06-03 2021-06-03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89A true KR20220163689A (en) 2022-12-12
KR102545893B1 KR102545893B1 (en) 2023-06-22

Family

ID=8439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143A KR102545893B1 (en) 2021-06-03 2021-06-03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8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816U (en) * 1993-05-14 1994-12-02 グラウ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C steel wire sheath material
JPH0742765B2 (en) * 1986-03-20 1995-05-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Steel material for prestressed concre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063840A (en) * 2005-08-31 2007-03-15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Simple prestress introducing construction method by torque
KR20150002998U (en) * 2014-01-27 2015-08-05 박영성 Mending nut for tensioning the pc steel wire
KR101552066B1 (en) 2014-09-30 2015-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Nut type external post-tensioning anchorage with circular steel bar and strengthen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765B2 (en) * 1986-03-20 1995-05-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Steel material for prestressed concre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683816U (en) * 1993-05-14 1994-12-02 グラウ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C steel wire sheath material
JP2007063840A (en) * 2005-08-31 2007-03-15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Simple prestress introducing construction method by torque
KR20150002998U (en) * 2014-01-27 2015-08-05 박영성 Mending nut for tensioning the pc steel wire
KR101552066B1 (en) 2014-09-30 2015-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Nut type external post-tensioning anchorage with circular steel bar and strengthe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893B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196B1 (en) Sealing trumpet for a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CN105874120B (en) The end fixing means of rope and the rope of end of tape fixture, for rope end fixing means end fitting
CA1250758A (en) Wedge anchoring system for the tensioning end of an individual prestressing element for a prestressed concrete component
JPH01295958A (en) Mechanical joining method of round steel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said round steel and mechanical joint using round steel for reinforcing
EP3808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stressing stay cables by incorporation of, or substitution by, improved filler material
JP2011184894A (en) Anchorage device for prestressing tendon, and method for repairing exist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US11268280B2 (en) Anchorage of continuous fiber-reinforced polymer strands
EP3744921B1 (en) Intermediate anchor for a post-tensioning tendon
JPH07189427A (en) Anchorage construction of end of frp reinforcing material
JP2007211449A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joining steel-frame beam and concrete body together
KR102545893B1 (en) Prestress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non-attached steel bar and prestress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KR101166567B1 (en) Strand compactor having rotation bar, and method for forming strand using the same
JP2011032725A (en) Column leg structure
JP2005048586A (en) Metho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related fixing unit
JP5571613B2 (en)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members
JP3768074B2 (en) Tension fixing device
JP2009299277A (en) Concrete member joining method
JP2015010354A (en) Water cutoff member for ground anchor
JP25403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reinforced synthetic resin prestressed concrete tension material with fixing device
JP3827609B2 (en) PC steel wire fixing tool grout cover
KR101628632B1 (en) Dead Anchoring Method of Prestressing Strand
JPH1082178A (en) Cable end fixing method and cable end fixing structure
JP2001107507A (en) Fixing part structure of pc steel product and buffer material injection method in fixing part of pc steel product
JP6022997B2 (en) Tensile anchor and tension member
JP5908787B2 (en)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