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226A -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226A
KR20220163226A KR1020210072053A KR20210072053A KR20220163226A KR 20220163226 A KR20220163226 A KR 20220163226A KR 1020210072053 A KR1020210072053 A KR 1020210072053A KR 20210072053 A KR20210072053 A KR 20210072053A KR 20220163226 A KR20220163226 A KR 20220163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upport
color palette
seating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081B1 (ko
Inventor
이차용
이정숙
Original Assignee
이차용
이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차용, 이정숙 filed Critical 이차용
Priority to KR102021007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0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컬러의 색조 화장품을 콤팩트 내부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배치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후에 다시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여러 색상의 색조 화장품 중 먼저 소진된 색조 화장품을 리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COMPACT TYPE 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컬러의 색조 화장품과 화장용 보조 용구를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내에 같이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수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색조 팔레트를 원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러 색상의 색조 화장품 중 먼저 소진된 색조 화장품을 리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과 화장을 위한 화장용구는 제각기 독립적인 용기에 수용되어 판매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여행과 같이 집안이 아닌 외출하여 외부에서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또는 화장용구를 각각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휴대물의 부피가 커져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우더와 같은 화장품이 담겨지는 화장품 용기에 화장을 위한 화장용 퍼프, 분첩, 팁 또는 붓 등과 같은 화장용구가 함께 보관되는 화장품 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화장품을 내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당수가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액상 또는 에멀전 형태의 화장품을 정량씩 배출하는데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구성이며, 특히, 저장된 화장품을 소량씩 배출하여, 저장된 화장품이 공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장품 전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 한가지 제품으로 두 가지 효과를 나타내는 듀얼 방식의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들은 2가지 조성물이 하나의 용기에 구분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시에 하나로 섞여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품들은 각 조성물의 기능을 높일 뿐 만 아니라, 각 조성물들의 고유 특성을 소비자에게 부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듀얼 방식의 화장품들을 수납하고 토출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조성물을 수납하는 구조와 이를 토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필요하다.
기존 화장품 용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3-0003847호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공개일자 : 2013.06.28)에서는 2개의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하고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서로 다른 화장품을 분할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수납부의 상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에어리스 펌프를 포함한다.
2개의 에어리스 펌프 위에는 누름 버튼이 형성되며, 누름 버튼에는 2개의 배출관과 2개의 토출공이 형성된다,
누름 버튼이 눌리면 2개의 에어리스 펌프에서 배출된 각각의 조성물은 배출관과 토출공을 거쳐 각각 밖으로 토출된다.
이때, 2개의 에어리스 펌프를 기준으로 각각의 배출관과 토출공까지의 길이, 배출관의 길이 및 토출공의 위치 등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이 1회 눌리면 2개의 토출공으로부터 동일한 양의 조성물이 각각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조성물은 점성(viscosity)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1회 누름 동작에 대응하여 각 조성물의 배출량이 다를 수 있다. 특히, 각 조성물의 점성의 차이가 큰 경우, 배출량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각 조성물의 배출량의 차이가 크면 어느 하나의 조성물이 잔량으로 남게 되어 버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기능이 상이한 2개의 조성물이 조합되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고 각각의 조성물들은 상호 점성이 크게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의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기존 화장품 용기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88760호 "화장품 용기"(등록일자 : 2019.03.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의 화장품 수용실에 고체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 및 액체 화장품이 함침된 스펀지 등의 흡수부재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화장품 용기는 단순히 다른 종류의 화장품을 각각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할 수 있지만, 다양한 색상의 화장품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재배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호하는 색상의 색조 화장품만 먼저 소진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선호하는 색상의 색조 화장품만 별도로 리필할 수 없는 경제적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3-0003847호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공개일자 : 2013.06.28)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88760호 "화장품 용기"(등록일자 : 2019.03.0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여러 컬러의 색조 화장품을 콤팩트 내부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배치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후에 다시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색상의 색조 화장품 중 먼저 소진된 색조 화장품을 리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몸체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트레이 바닥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색조 팔레트가 착탈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호 이격되게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이격된 용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와 구획되며 제1화장용품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상부트레이의 하측에 마련되어 제2화장용품의 수납을 위한 수용부를 더 구비다.
상기 안착부는 복수의 구획공간을 갖는 제1,2,3,4안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3,4안착부는 복수의 색조 팔레트의 모서리 부위를 각각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는 지지돌부와, 상기 각 지지돌부의 내측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색조 팔레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끼움공과, 일단부가 안착부의 지지돌부에 대해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스프링부재의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단부가 상기 끼움공에 록킹 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지지돌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록킹지지구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공간을 갖는 제1,2,3,4안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3,4안착부는 원형 둘레를 갖는 복수의 색조 팔레트의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라운드진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뚜껑의 상측면에는 거울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색조 팔레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이 구획된 공간에 담겨지도록 구획되는 제1,2색조 팔레트인 것이다.
본 발명은 립스틱, 아이새도우, 마스카라 등의 색조 화장품과 화장용 보조 용구를 같이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수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색조 팔레트를 구입하여 원하는 배열 위치에 각각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소모품만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리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색조 팔레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돌부에 색조 팔레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착탈수단에 의해 색조 팔레트가 지지돌부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a,7b 및 도 7c는 본 발명 색조 팔레트의 다양한 배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색조 팔레트와 지지돌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뚜껑과 용기 몸체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 색조 팔레트의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개폐 가능한 뚜껑(120)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몸체(110)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로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상부트레이(200) 바닥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가 착탈수단(5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호 이격되게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안착부(400)와; 상기 안착부(400)와 이격된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400)와 구획되며 제1화장용품(610)이 수납되는 수납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본체에 대해 회전동작되어 개폐가능한 뚜껑(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120)의 상부 외측면에는 거울(125)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거울(125)은 상기 뚜껑(120)의 상부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 부위에 결합되며, 유리 또는 금속소재로 구성된다.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색조 팔레트(30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안착부(400) 내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수납부(250)는 상기 안착부(400)와 이격된 상기 상부트레이(200)의 테두리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화장용품(610)의 수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화장용품(610)은 수납부(250) 내에 수용되는 립솔, 립스틱,브러쉬 등의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안착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획공간을 갖는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로 구성되되, 상기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는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의 모서리 부위를 각각 감싸도록 일측 부위와 타측부위가 절곡되는 앵글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지지돌부(450)와, 상기 각 지지돌부(450)의 내측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턱(455)을 구비한 것이다.(여기서 안착부(400)는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로 표현되어 있으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지지턱(45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4안착부(410,420,430,440)의 내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모서리 부위의 하측면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턱(455)은 사용자가 색조 팔레트(300)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400)의 바닥부위로부터 상기 색조 팔레트(300)를 일정 높이(h1)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부(450)는 색조 팔레트(300)의 모서리부위 만을 감싸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색조 팔레트(300)는 지지돌부(450)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부위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들어서 지지돌부(450)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몸체(110)는 회전가능한 상부트레이(2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제2화장용품(620)의 수납을 위한 수용부(150)를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한 상기 상부트레이(200)의 회전을 위해 상기 상부트레이(200)는 외주 일부위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1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50)는 상기 상부트레이(200)의 회전시 외부로 개방된다.
상기 제2화장용품(620)은 상기 수용부(150)의 내부에 수납되는 용품으로서, 예를 들어 스펀지 소재의 퍼프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5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외측에 형성되는 끼움공(510)과, 일단부가 안착부(400)의 지지돌부(450)에 대해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스프링부재(530)의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단부가 상기 끼움공(510)에 록킹 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지지돌부(450)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록킹지지구(520)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지지구(520)는 상기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이 지지되도록 고정턱(525)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530)는 탄성스프링으로서, 상기 지지돌부(450)와 고정턱(52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를 상기 끼움공(510)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평상시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와 끼움공(510)의 록킹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끼움공(510)은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위치 변경을 고려하여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록킹지지구(520)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지지돌부(450)의 외측으로 당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530)가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끼움공(510) 내에 끼워진 일단부가 끼움공(5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색조 팔레트(300)와 지지돌부(450)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지지구(520)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부(45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록킹지지구(520)는 평상시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끼움공(510) 내에 록킹 결합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300)를 지지돌부(45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색조 팔레트(3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타단부를 외측으로 당겨서 상기 스프링부재(530)를 수축시키면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가 끼움공(510)으로부터 분리되어 색조 팔레트(300)를 지지돌부(45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를 상부트레이(200)의 제1,2,3,4안착부(410,420,430,440)에 각각 결합되도록 각 지지돌부(450)의 지지턱(455)에 안착시키는 중에,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외측면이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록킹지지구(520)를 지지돌부(450)의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스프링부재(530)를 수축시키게 되고,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가 끼움공(510) 위치에 위치하게 될 경우 수축된 스프링부재(53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가 끼움공(510) 내부로 삽입되어 색조 팔레트(300)를 지지돌부(450)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색조 팔레트(300)는 하부면이 지지돌부(450)의 지지턱(455)에 안착됨에 따라 상부트레이(2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지지돌부(450)가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각 모서리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색조 팔레트(30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분해작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색조 팔레트(300)를 지지돌부(45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록킹지지구(520)의 타단부를 지지돌부(450)의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고정턱(525)에 의해 지지된 스프링부재(530)가 수축동작됨과 아울러, 록킹지지구(520)의 일단부가 지지돌부(450)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끼움공(510)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지지돌부(450)와 색조 팔레트(300)의 록킹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색조 팔레트(300)의 이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의 컬러 색상의 색조 팔레트(300)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와 같이 제1안착부(410)에 배치된 빨강색 색상의 색조 팔레트(300)를 도 7b에서와 같이 제3안착부(430)에 배치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배열형태로 임의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c에서와 같이 앞서 도 7a, 7b에서 사용하지 않는 색상을 다른 색상의 색조 팔레트(300)로 교체 및 리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125)이 뚜껑(120)의 상부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뚜껑(120)을 열지 않고도 사용자의 용모를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상부트레이(200)는 상기 용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트레이(200)를 회전시켜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50)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개방된 수용부(150)를 통해 제2화장용품(620)을 인출 또는 수납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화장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립스틱, 아이새도우, 마스카라 등의 색조 화장품과 화장용 보조 용구를 같이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수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색조 팔레트(300)를 구입하여 원하는 배열 위치에 각각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소모품만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리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 안착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색조 팔레트(300)가 사각형이 아닌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400)는 원형의 색조 팔레트(300)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라운드진 지지돌부(450)가 서로 이격되게 상부트레이(200)의 바닥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120)과 용기 몸체(110)가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색조 팔레트와 지지돌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색조 팔레트 2개가 각각 일체형의 한 세트로 구성된 제1,2색조 팔레트(300A,300B)가 지지돌부(450)의 지지턱(455)에 의해 상부트레이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지지된 것이다.
상기 제1색조 팔레트(30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이 구획된 공간에 담겨지도록 구획되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제1색조 팔레트(300A)가 병렬 배치된 것으로서,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을 하나의 제1색조 팔레트(300A)에 담은 상태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배열 형태로 위치를 변경하거나 다른 제1색조 팔레트(300A)로 교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색조 팔레트(300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이 구획된 공간에 담겨지도록 구획되며,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제2색조 팔레트(300B)가 병렬 배치된 것으로서,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을 하나의 제2색조 팔레트(300B)에 담은 상태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배열 형태로 위치를 변경하거나 다른 제2색조 팔레트(300B)로 교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색조 팔레트(300)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색조 화장품이 개별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을 하나의 세트에 담도록 구획된 제1,2색조 팔레트(300A,300B)를 이용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하도록 배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리필 및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화장품 용기 110 : 용기 몸체
120 : 뚜껑 125 : 거울
150 : 수용부 200 : 상부트레이
210 : 파지부 250 : 수납부
300 : 색조 팔레트 300A,300B : 제1,2색조 팔레트
400 : 안착부 410,420,430,440 : 제1,2,3,4안착부
450 : 지지돌부 455 : 지지턱
500 : 착탈수단 510 : 끼움공
520 : 록킹지지구 525 : 고정턱
530 : 스프링부재 610 : 제1화장용품
620 : 제2화장용품

Claims (7)

  1. 개폐 가능한 뚜껑(120)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몸체(110)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로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상부트레이(200) 바닥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가 착탈수단(5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호 이격되게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안착부(400)와;
    상기 안착부(400)와 이격된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400)와 구획되며 제1화장용품(610)이 수납되는 수납부(2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는 상기 상부트레이(2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제2화장용품(620)의 수납을 위한 수용부(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400)는 복수의 구획공간을 갖는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로 구성되되,
    상기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는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의 모서리 부위를 각각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는 지지돌부(450)와,
    상기 각 지지돌부(450)의 내측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턱(45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500)은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외측에 형성되는 끼움공(510)과,
    일단부가 안착부(400)의 지지돌부(450)에 대해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스프링부재(530)의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단부가 상기 끼움공(510)에 록킹 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지지돌부(450)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록킹지지구(5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400)는 상기 복수의 구획공간을 갖는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로 구성되되,
    상기 제1,2,3,4안착부(410,420,430,440)는 원형 둘레를 갖는 복수의 색조 팔레트(300)의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라운드진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돌부(450)와,
    상기 지지돌부(45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색조 팔레트(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4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의 상측면에는 거울(125)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조 팔레트(3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두가지 색상의 색조 화장품이 구획된 공간에 담겨지도록 구획되는 제1,2색조 팔레트(300A,30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KR1020210072053A 2021-06-02 2021-06-02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KR10249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053A KR102493081B1 (ko) 2021-06-02 2021-06-02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053A KR102493081B1 (ko) 2021-06-02 2021-06-02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26A true KR20220163226A (ko) 2022-12-09
KR102493081B1 KR102493081B1 (ko) 2023-01-27

Family

ID=8444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053A KR102493081B1 (ko) 2021-06-02 2021-06-02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0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847A (ko) 2011-07-01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혼합형 왼손 오른손 법칙 병렬결합을 이용한 필터
CN202874257U (zh) * 2012-10-23 2013-04-17 台鉅企业股份有限公司 化妆品容器
KR101300145B1 (ko) * 2011-11-16 2013-08-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88760Y1 (ko) 2016-08-31 2019-03-14 (주)게릿코퍼레이션 화장품 용기
KR20190079896A (ko) * 2017-12-28 2019-07-08 권희재 볼터치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847A (ko) 2011-07-01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혼합형 왼손 오른손 법칙 병렬결합을 이용한 필터
KR101300145B1 (ko) * 2011-11-16 2013-08-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202874257U (zh) * 2012-10-23 2013-04-17 台鉅企业股份有限公司 化妆品容器
KR200488760Y1 (ko) 2016-08-31 2019-03-14 (주)게릿코퍼레이션 화장품 용기
KR20190079896A (ko) * 2017-12-28 2019-07-08 권희재 볼터치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081B1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533B1 (en) Cosmetic jar with pivotable pull-out storage device
US3187757A (en) Plural dispensing units and toilet kit with central compartmented storage member
US8132977B2 (en) Refill container for consumer products
WO2019046297A1 (en) CONTAINER FOR COSMETICS WITH REMOVABLE PALLET
EP1233687B1 (en) Cosmetics package
US6530709B1 (en) Nail polish applicator
US20080257376A1 (en) Cosmetic Case
JP2007021229A (ja) 製品をパッケージ化及び小出しするための多容器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て化粧を塗布する方法
US10638824B2 (en) Cosmetics carry system
US20150305475A1 (en) Cosmetic applicator
US20140126948A1 (en) Double-headed deodorant dispenser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493081B1 (ko)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CN112867413A (zh) 用于化妆品的包括具有中空前部的铰接中间面板的容器
KR102079452B1 (ko) 듀얼 타입의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93485B1 (ko) 화장료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KR20240072584A (ko)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102545418B1 (ko) 화장품 수납접시의 적정한 배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US2562073A (en) Cosmetic powder container and dispenser
CN113473882A (zh) 滑动式化妆粉饼盒
KR20230167827A (ko) 듀얼 어플리케이터 파우더 팩트 용기
KR200432011Y1 (ko) 화장품 용기
US20090232584A1 (en) Applic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