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192A -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192A
KR20220163192A KR1020210071779A KR20210071779A KR20220163192A KR 20220163192 A KR20220163192 A KR 20220163192A KR 1020210071779 A KR1020210071779 A KR 1020210071779A KR 20210071779 A KR20210071779 A KR 20210071779A KR 20220163192 A KR20220163192 A KR 2022016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fet
rxic
coil
pow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3192A/ko
Priority to PCT/KR2022/004788 priority patent/WO2022255617A1/ko
Publication of KR2022016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192A/ko
Priority to US18/521,268 priority patent/US202400974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4B5/79

Abstract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 및 제3 코일,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 제2 FET, 제3 FET, 및 제4 FET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 및 제2 정류 회로 - 상기 제2 정류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의 소스는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PERFORMED BY WIRELESS POWER RECEIVER}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power transmitting unit, PTU)(예: 무선 충전 패드)와 전력 수신 장치(power receiving unit, PRU)(예: 스마트 폰)가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전력 송신 장치의 전송 코일과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또는 전자기 공진에 의해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101)는 공진 회로(110), 정류 회로(130), 커패시터(140), 및 로드(150)를 포함하고, 공진 회로는 제1 코일(111), 제1 커패시터(112), 제2 코일(118), 제3 코일(119), 제2 커패시터(121), 제3 커패시터(122), 제1 MOSFET(115), 제2 MOSFET(116), 제3 MOSFET(113), 제4 MOSFET(114), 및 구동 회로(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구동 회로(117)가 제1 MOSFET(115), 제2 MOSFET(116),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을 동기적으로 제어할 때,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101)의 등가회로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117)가 제1 MOSFET(115), 제2 MOSFET(116),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을 동기적으로 제어할 때,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제1 코일(111) 및 제1 커패시터(112)를 포함하는 제1 회로(210a)에 전류가 유도되고, 유도된 전류는 제1 MOSFET(115), 제2 MOSFET(116),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에 의하여 정류되고, 정류된 전력이 정류 회로(130)의 출력단에 공급되어, 커패시터(140) 및 로드(15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2b는 구동 회로(117)가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을 on 상태로 제어하고, 제1 MOSFET(115) 및 제2 MOSFET(116)을 off 상태로 제어할 때,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101)의 등가회로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on 상태로 제어되는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에는 전류가 흐르므로, 공진 회로는 제1 코일(111), 제1 커패시터(112),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2 회로(210b) 및 제3 MOSFET(113), 제4 MOSFET(114), 제2 코일(118), 제3 코일(119), 제2 커패시터(121), 및 제3 커패시터(122)를 포함하는 제3 회로(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진 회로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제2 회로(210b)에 전류가 유도되고, 제1 코일(111)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에 기초하여, 제3 회로(220b)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정류 회로(130)에 의하여 정류되고, 정류된 무선 전력은 커패시터(140) 및 로드(15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101)는 공진 방식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101)는,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충분히 높이기 위하여, 초기에 도 2b와 같이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을 on 상태로 제어하고, 제1 MOSFET(115) 및 제2 MOSFET(116)을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101)는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과 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을 둘 다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 방법을 결정하기 곤란하다. 초기에 도 2b와 같이 제3 MOSFET(113) 및 제4 MOSFET(114)을 on 상태로 제어하고, 제1 MOSFET(115) 및 제2 MOSFET(116)을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경우, 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 및 정류는 가능하나,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신되는 전력이 정류되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RXIC를 부팅시킨 후 무선 전력의 주파수를 파악하고, 무선 전력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동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 및 제3 코일,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 제2 FET, 제3 FET, 및 제4 FET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 및 제2 정류 회로 - 상기 제2 정류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의 소스는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 제2 FET, 제3 FET, 및 제4 FET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의 입력단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RXIC를 부팅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동작;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3 코일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4개의 FET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를 포함하고, 4개의 FET 중 2개의 FET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나머지 2개의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와,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모두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한 후, 무선 전력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동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유도 방식과 공진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2a는,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b는,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방식 RX 모드에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 방식 RX 모드에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1 코일(311), 제2 코일(312), 제3 코일(313), 대역차단 필터(321), 매칭 회로들(322, 323), 클램핑 회로들(324, 325), RXIC(330), 제2 정류 회로(340), PMIC(350), BLE 모듈(360), AP(370), 및 배터리(3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코일(311)은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일 수 있다. 제1 코일(311)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유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대역차단 필터(321)는 제1 코일(311)에 유도되는 전력 중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성분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및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대역차단 필터(321)는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에 대응되는 주파수 성분, 예를 들어, 6.78MHz 성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일(311)에서 유도되고, 대역차단 필터(321)를 거친 무선 전력은 제1 정류 회로의 입력단(Vin)에 인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코일(312) 및 제3 코일(313)은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들일 수 있다. 제2 코일(312)은 매칭 회로(322)에, 제3 코일(313)은 매칭 회로(32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일(312)에서 유도되고, 매칭 회로(322)를 거친 무선 전력은 제1 정류 회로의 입력단(Vin)에 인가될 수 있다.
제3 코일(313) 및 매칭 회로(323)는 제2 정류 회로(34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정류 회로(340)는 풀 브리지(full bridge) 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FET 또는 4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정류 회로(340)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구조를 형성하는 2개의 FET 또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정류 회로(340)의 출력단은 제1 정류 회로의 출력단(Vrect)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클램핑 회로들(324, 325)에 포함되는 FE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제1 정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3에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이 n-채널 FET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 중 적어도 하나는 p-채널 F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정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은 풀 브릿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FET(331) 및 제2 FET(332)의 소스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게이트 드라이버, MCU, 메모리, LDO 레귤레이터, 피드백 제어 회로, 과전압 보호 회로, 및 Power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제4 FET(334), 및 클램핑 회로들(324, 325)에 포함되는 FET들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제4 FET(334), 및 클램핑 회로들(324, 325)에 포함되는 FET들을 on 상태로 스위칭하거나 off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MCU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메모리는 Flash/MTP 또는 S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AP(370) 및 BLE 모듈(360)과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PMIC(350)는 제1 코일(311), 제2 코일(312), 및 제3 코일(3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신되고, DC 전력으로 변환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80)를 충전하거나, 배터리(380)의 전력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PMIC(350)는 및 BLE 모듈(360)과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MST 코일에 연결되어, MST 코일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3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1 코일(311), 제2 코일(312), 및 제3 코일(313) 중 적어도 하나 근처에 배치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3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RXIC(330) 근처에 배치되는 써미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4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RXIC(330)는 RXIC(330)의 입력단(Vin)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제1 코일(311) 및 제2 코일(312) 중 적어도 하나에 전압이 유도됨에 따라 RXIC(330)의 입력단(Vin)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가 AFA 표준에서 정의된 Power Save State에 있을 때,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을 송신할 수 있고, 제2 코일(312)이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수신함에 따라 RXIC(330)의 입력단(Vin)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가 Qi 표준에서 정의된 Ping State에 있을 때, ping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1 코일(311)이 ping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RXIC(330)의 입력단(Vin)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RXIC(330)는 제1 FET(331) 및 제2 FET(332)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FET(331) 및 제2 FET(332)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무선 전력 수신기는 430 동작에서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1 코일(311)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DC 전력은 RXIC(330)를 부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코일(312) 및 제3 코일(313)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 변화에 의하여 제2 코일(312)에 전류가 유도되고, 제2 코일(31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제3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제2 정류 회로(340)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고, 정류된 무선 전력은 RXIC(330)를 부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제1 코일(311)에도 유도 전압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역차단 필터(321)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제1 코일(311)과 RXIC(330)의 입력단이 연결되지 않은 것과 전기적으로 등가적일 수 있다.
430 동작에서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440 동작에서 RXIC(330)가 부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가 부팅된다는 것은, 제1 정류 회로 및 제2 정류 회로(340)의 출력단(Vrect)의 전압이 RXIC(330)가 동작하기 위한 최소 전압 이상이 되어서, RXIC(330)가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가 부팅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Power-Up State에 진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450 동작에서, RXIC(330)는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의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RXIC(330)는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의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임계 주파수는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보다 작고,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보다는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주파수는 1MHz로 설정될 수 있다.
450 동작에서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RXIC(330)는 460 동작에서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XIC(330)가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기도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공진 방식 RX 모드에서 AFA 표준에서 정의된 PRU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450 동작에서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RXIC(330)는 470 동작에서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이 AC 성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470 동작에서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이 AC 성분을 포함한다고 확인되는 경우, RXIC(330)는 480 동작에서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이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보다 낮은 AC 성분을 포함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XIC(330)가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기도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470 동작에서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이 A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 RXIC(330)는 490 동작에서 유도 방식 TX 모드 또는 FW D/L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유도 방식 TX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다른 전자 장치에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4의 410 동작, 440 동작, 450 동작, 460 동작, 470 동작, 480 동작, 및 49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도 5의 510 동작, 540 동작, 560 동작, 570 동작, 580 동작, 및 590 동작에 각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520 동작에서, RXIC(330)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5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1 코일(311)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고, 정류된 무선 전력은 RXIC(330)를 부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코일(312)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제1 코일(311)에도 유도 전압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역차단 필터(321)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제1 코일(311)과 RXIC(330)의 입력단이 연결되지 않은 것과 전기적으로 등가적일 수 있다. 제2 코일(312)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고, 정류된 무선 전력은 RXIC(330)를 부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와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모두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RXIC(330)를 부팅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방식 RX 모드에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610 동작에서, 부팅이 완료된 RXIC(330)는 제1 FET(331) 및 제2 FET(332)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620 동작에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Boot 상태에 진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Boot 상태는 AFA 표준에서 정의된 Boot Stat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이 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된 Low Power State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Boot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를 검색하기 위한 BLE 기반의 Advertsement 신호인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응답 신호(PRU Respnse)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지시하는 PRU 스태틱(static) 신호를 송신 무선 전력 송신기에 송신하고,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용량(capability)을 지시하는 PTU 스태틱(static)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1 정류 회로 및 제2 정류 회로(340)의 출력 전압(Vrec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630 동작에서, RXIC(330)는 제1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건은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의 전압이 지나치게 높아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병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것이 무선 전력 수신기를 손상시킬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기가 직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것이 요구될 때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건은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Vrect)이 제1 임계 전압을 초과할 때 만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 전압은 12V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복수 회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Vrect)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압값들의 평균이 제1 임계 전압을 초과할 때 제1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건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는 RXIC(330) 근처 또는 제1 코일(311), 제2 코일(312), 및 제3 코일(313) 중 적어도 하나 근처에 배치되는 써미스터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를 복수 회 확인하고, 확인된 온도 값들의 평균이 제1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제1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건은 상술한 전압 조건 및 상술한 온도 조건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은 상술한 전압 조건 및 상술한 온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될 때 만족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1 조건은 상술한 전압 조건 및 상술한 온도 조건 둘 다 만족될 때 만족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630 동작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 RXIC(330)는 6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를 On 상태에 진입시켜 무선 전력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640 동작에서, RXIC(330)는 610 동작에서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기를 On 상태에 진입시키므로, 640 동작에서 제1 FET(331) 및 제2 FET(332)는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제3 FET(333) 및 제4 FET(334)는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On 상태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On State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On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인 PRU 제어(PRU control)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고, PRU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전압, 전류,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Power Transfer State에 있을 수 있다.
650 동작에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직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것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제1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반복해서 확인할 수 있다. 650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무선 전력 수신기는 병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코일(312)에 전류가 유도되고, 제2 코일(312)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제3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제2 정류 회로(340)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다.
650 동작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RXIC(330)는 660 동작에서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한다는 것의 의미는, RXIC(330)의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Vin)의 부호에 따라서, 제1 FET(331) 및 제4 FET(334)을 온(on)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2 FET(332) 및 제3 FET(333)을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과, 제1 FET(331) 및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2 FET(332) 및 제3 FET(333)을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을 반복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6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코일(312)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은 동기적으로 스위칭되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6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직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On State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Power Transfer State에 있을 수 있다.
660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655 동작에서 제2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655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면서 660 동작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건은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Vrect)이 충분히 크지 않아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병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것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건은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Vrect)이 제2 임계 전압 이하일 때 만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임계 전압 이하은 3V로 설정될 수 있다.
630 동작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되는 경우, RXIC(330)는 635 동작에서,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645 동작에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On 상태에 진입시켜 무선 전력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645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코일(312)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은 동기적으로 스위칭되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645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직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On 상태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On State를 의미할 수 있다. On 상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64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45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Power Transfer State에 있을 수 있다.
655 동작에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병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것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제2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반복해서 확인할 수 있다. 655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무선 전력 수신기는 645 동작에서와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직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655 동작에서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RXIC(330)는 665 동작에서 제1 FET(331) 및 제2 FET(332)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665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병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코일(312)에 전류가 유도되고, 제2 코일(312)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제3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은 제2 정류 회로(340)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65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On State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65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AFA 표준에서 정의되는 Power Transfer State에 있을 수 있다.
665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650 동작에서 직렬 공진에 의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것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665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면서 650 동작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 방식 RX 모드에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710 동작에서, 부팅이 완료된 RXIC(330)는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한다는 것의 의미는, 도 6의 65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 있다.
720 동작에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식별 단계 및 설정 단계에 진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식별 단계 및 설정 단계는 Qi 표준에서 정의되는 식별 단계 및 설정 단계(identification phase & configuration phase)일 수 있다.
730 동작에서, RXIC(330)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전력 송신 단계에 진입시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력 송신 단계는 Qi 표준에서 정의되는 전력 송신 단계(power transfer state)일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720 동작 수행 후 730 동작 수행 전에 협상 단계(negotiation phas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협상 단계는, 예를 들어, Qi 표준에서 정의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RXIC(330)는 720 동작 수행 후 730 동작 수행 전에 캘리브레이션 단계(calibration phas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예를 들어, Qi 표준에서 정의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311),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312) 및 제3 코일(313),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330), 및 제2 정류 회로(340) - 상기 제2 정류 회로(340)의 출력단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의 소스는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코일(311)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312)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340)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코일(311)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312)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가 부팅된 후, 상기 RXIC(330)는, 상기 무선 전력의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는,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는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Boot 상태에 진입시키고, 제1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On 상태에 진입시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게 하거나;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On 상태에 진입시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1 임계 전압을 초과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가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가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On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312)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340)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동기적으로 스위칭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On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312)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는,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이 온(on) 상태에 있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On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는,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동기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On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제2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2 임계 전압 이하일 때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는,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이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한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TX 모드 또는 FW D/L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는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고, 식별 단계 및 설정 단계에 진입하고, 전력 송신 단계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류 회로(340)는 풀 브리지(full bridge) 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FET 또는 4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류 회로(340)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구조를 형성하는 2개의 FET 또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331), 제2 FET(332), 제3 FET(333), 및 제4 FET(334)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330)의 입력단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RXIC(330)를 부팅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311)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동작;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312)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3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340)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RXIC(330)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코일(311)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코일(312)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의 주파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이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한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및 상기 RXIC(330)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TX 모드 또는 FW D/L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331) 및 상기 제2 FET(332)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는 동작;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Boot 상태에 진입시키는 동작;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1 임계 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임계 전압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On 상태에 진입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임계 전압 이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331), 상기 제2 FET(332), 상기 제3 FET(333), 및 상기 제4 FET(334)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면서, On 상태에 진입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 및 제3 코일,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 제2 FET, 제3 FET, 및 제4 FET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 및
    제2 정류 회로 - 상기 제2 정류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의 소스는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IC가 부팅된 후, 상기 RXIC는,
    상기 무선 전력의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XIC는,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XIC는,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1 임계 전압을 초과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만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가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가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On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동기적으로 스위칭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On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2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XIC는,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이 온(on) 상태에 있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On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XIC는,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동기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On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제2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2 임계 전압 이하일 때 만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XIC는,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이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XIC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RXIC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한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RXIC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TX 모드 또는 FW D/L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XIC는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고,
    식별 단계 및 설정 단계에 진입하고,
    전력 송신 단계에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류 회로는 풀 브리지(full bridge) 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FET 또는 4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류 회로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구조를 형성하는 2개의 FET 또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6.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하고 제1 FET, 제2 FET, 제3 FET, 및 제4 FET을 포함하는 제1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RXIC의 입력단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RXIC를 부팅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이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유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동작;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공진 방식으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3 코일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2 정류 회로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RXIC를 부팅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이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될 때: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공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의 주파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이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XIC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RXIC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한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및
    상기 RXIC의 입력단에 걸리는 상기 전압이 A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도 방식 TX 모드 또는 FW D/L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방식 RX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은:
    상기 제1 FET 및 상기 제2 FET을 온(on)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을 오프(off) 상태에 있도록 스위칭하는 동작;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Boot 상태에 진입시키는 동작;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1 임계 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임계 전압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On 상태에 진입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임계 전압 이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FET, 상기 제2 FET, 상기 제3 FET, 및 상기 제4 FET을 동기적으로 스위칭하면서, On 상태에 진입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71779A 2021-06-02 2021-06-02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KR20220163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79A KR20220163192A (ko) 2021-06-02 2021-06-02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PCT/KR2022/004788 WO2022255617A1 (ko) 2021-06-02 2022-04-04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US18/521,268 US20240097495A1 (en) 2021-06-02 2023-11-28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performed by wireless power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79A KR20220163192A (ko) 2021-06-02 2021-06-02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192A true KR20220163192A (ko) 2022-12-09

Family

ID=8432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79A KR20220163192A (ko) 2021-06-02 2021-06-02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97495A1 (ko)
KR (1) KR20220163192A (ko)
WO (1) WO20222556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920B2 (en) * 2011-11-16 2016-1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feeding system
KR20150050027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06476B1 (ko) * 2014-12-10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80124274A (ko) * 2017-05-11 2018-11-2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자기유도 및 자기공진 겸용 무선충전 패치 장치, 및 무선충전 수신기
KR102261860B1 (ko) * 2019-09-09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레벨 전력 호환용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7495A1 (en) 2024-03-21
WO2022255617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213B2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power reception method,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EP2587613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djusting magnitude of wireless power
US20160134133A1 (en) Contactless power feeding system
US10411762B2 (en) Electronic apparatus
TW201742355A (zh) 無線充電電路、無線充電系統及半導體裝置
US9923605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0879737B2 (en) Control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118811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040473A1 (en)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overvoltage protection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62990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8148630A (ja) 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CN111712992A (zh) 非接触供电装置
JP2019514322A (ja) 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の電磁誘導充電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
CN108988498B (zh) 非接触电力接收装置及非接触电力接收方法
US9106071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bootstrap and over voltage combination clamp for wireless power receiver
JP2013021894A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20220360110A1 (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ncluding detuning circuit
US20230268774A1 (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US20220158492A1 (e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220163192A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방법
EP3449546A1 (en) Battery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US9660459B2 (en) Voltage regulator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US20150097439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N-Type Load Switch Using Bootstrap Gate Drive for Wireless Power Receiver
KR20220150550A (ko) 디튠 회로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EP4191827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