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732A - Nr-u에서 다운링크 선점을 위한 기준 리소스 - Google Patents

Nr-u에서 다운링크 선점을 위한 기준 리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732A
KR20220162732A KR1020227037300A KR20227037300A KR20220162732A KR 20220162732 A KR20220162732 A KR 20220162732A KR 1020227037300 A KR1020227037300 A KR 1020227037300A KR 20227037300 A KR20227037300 A KR 20227037300A KR 20220162732 A KR20220162732 A KR 2022016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dr
channel
data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크라밋 싱
알렉세이 샤핀
알리 베라반
마이-안 판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2016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클리어 채널 평가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방법은 선점 표시자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한다. 관련된 네트워크 노드, 무선 디바이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NR-U에서 다운링크 선점을 위한 기준 리소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하게, 본 발명은 허가된 스펙트럼에 부가하여 허가되지 않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은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표준의 주요 사용 사례 중 하나이다. URLLC는 예를 들어, 1ms 단방향 지연시간 내 99.9999% 신뢰성과 같이, 전송 신뢰성 및 지연시간에 대해 엄격한 요구사항을 갖는다. NR 릴리스 15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몇 가지 새로운 특성과 향상된 기능이 도입되었다. 릴리스 16에서, 표준화 작업은 URLLC 시스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RLLC 및 다른 NR 사용 사례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공존을 보장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가지 예시적인 시나리오는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와 URLLC UE가 모두 동일한 셀에 공존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멀티플렉싱/우선순위화를 지원하는 두가지 접근법, 즉 다운링크(DL) 선점 및 비허가 스펙트럼 액세스가 확인되었다.
NR에서의 DL 선점
일단 DL URLLC 데이터가 버퍼에 나타나면, 기지국은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이미 진행 중인 다운링크 전송에 할당된 리소스와 충돌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점을 선택해야 한다. 이는 슬롯(slot) 또는 미니-슬롯(mini-slot)의 시작 부분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미니-슬롯은 임의의 OFDM 심볼에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링크 선점은 장기 할당이 (예를 들면, 슬롯 기반의) 리소스를 (특히 광대역 리소스) 점유하고 일반적으로 미니-슬롯을 사용하여 지원되는 URLLC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공간이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줄러(scheduler)는 URLLC 데이터가 의도된 UE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하고, 그에 의해 진행중인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오버라이드(override)가 (선점이) 트리거되었음을 UE에 알릴 수 있다. eMBB 전송이 선점될 때, 원래 메시지의 선점된 부분은 선점된 리소스에서 DL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초기에 스케줄링되었던 UE의 소프트 버퍼를 오염시킨다 (즉, 잡음/간섭만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그러므로, UE에서 eMBB 데이터의 디코딩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프트 버퍼로부터 영향을 받는 비트를 플러시(flush)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준에 의해 요구되지 않더라도). 그렇지 않은 경우, 선점된 비트는 재전송에서 디코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NR 릴리스 15는 그룹 공통 PDCCH를 통한 특수 DCI 포맷 2_1에 의해 (옵션 1) 또는 다중-CBG 재전송 DCI에서의 특수 플래그에 의해 (옵션 2) 전달되는 명시적 시그널링에 의한 선점의 DCI 기반 표시를 허용한다.
옵션 1은 14-비트 비트맵으로 표시를 제공하고, 이는 두개의 선점 표시(pre-emption indication, PI) 메시지 사이에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 도메인을 지정한다. 기준 리소스는 RRC에 의해 구성되고, 여기서 이 시그널링의 시간상 최고 해상도는 1 OFDM 심볼이고 주파수에서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절반이지만 동시에는 아니다. 메시지의 주기가 길수록, 해상도는 더 거칠어진다. 그룹 공통 DCI 포맷 2_1은 구성된 기준 리소스의 어느 부분이 선점되는가를 나타낸다. 이는 그룹 공통 시그널링이므로, BWP 내의 모든 UE가 이를 판독할 수 있다.
옵션 2는 시그널링의 사용자 특정 방식이다. CB/CBG 세트를 포함하는 HARQ 재전송 DCI는 UE가 재전송된 CB/CBG 소프트 비트로 소프트 버퍼에서의 기존 비트를 오버라이트해야 함을 나타내는 특수 비트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gNB는 소프트-결합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전에 플러시될 필요가 있는 코드 블록(CB)/코드 블록 그룹(CBG)의 서브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담당한다.
NR-U
허가된 대역에서의 동작에 부가하여, NR은 3GPP 릴리스 16에서 향상되어 허가되지 않은 대역, 즉 NR-U(NR-unlicensed)에서 동작을 허용한다. 허가된 네트워크 운영자가 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즉 허가되지 않거나 공유된 스펙트럼에서 운영되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시스템 용량을 늘리는 매력적인 접근법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허가되지 않은 스펙트럼"은 비허가 또한/또는 공유 스펙트럼이라 칭할 수 있다.
3GPP 릴리스 16에서는 비허가 스펙트럼의 뉴 라디오(NR) 동작이 표준화되고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NR 동작은 NR-U라 표시된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동작은 비허가 스펙트럼이 다른 표준, 예를 들어 LTE-LAA 또는 Wi-Fi에 따라 운영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다수의 네트워크에 의해 공유될 수 있기 때문에, 허가된 스펙트럼에서의 동작과 본질적으로 다르다.
도 1은 허가 채널(12) 및 비허가 채널(14)을 통한 두개의 디바이스, 즉 기지국(BS)(10)과 사용자 장비(UE)(20) 사이의 통신을 도시한다. 허가 채널(12)과 비허가 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을 점유한다. 즉, 허가 채널(12)은 1.8 내지 1.9GHz의 주파수 스펙트럼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속하고, 비허가 채널은 2.4 내지 2.5GHz의 산업, 과학 및 의료(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대역과 같이, 허가되지 않은 스펙트럼에 속한다.
NR 사양 작업의 기본 원칙은 일반 NR에서 (즉,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NR) 가능한 한 많이 재사용하는 것이지만, NR-U는 허가되지 않은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기 위한 규제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이는 디바이스/노드가 전송을 초기화하기 이전에 긍정적인 결과로 (전송하려는 비허가 무선 채널/스펙트럼에서 감지된 전송이 없는)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ment, CCA)를 실행해야 하는 토크 전 청취(Listen-Before-Talk, LBT)의 사용을 포함한다.
CCA를 실행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UE 또는 기지국)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채널에서 수신된 에너지를 측정한다. Wi-Fi의 경우, 디바이스는 또 다른 디바이스의 전송 시작을 나타내는 프리앰블(preamble) 전송을 체크한다.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수신된 에너지는 클리어한 것으로 평가되는 채널에 대해 특정한 한계값 미만이어야 한다 (또한/또는 특정한 한계값 이상에서 Wi-Fi 프리앰블이 감지/수신되지 않아야 한다). 에너지 감지 레벨 한계값은 예를 들어, -72dBm이 될 수 있고, 그 이상에서는 채널이 사용 중인 것으로 간주되고 디바이스가 전송을 연기하도록 요구된다.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임을 감지한 이후에,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이라 칭하여지는 특정한 시간 동안 전송이 허용된다. COT의 최대 허용 길이, 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COT)은 규정 및 실행된 CCA 타입에 (예를 들어, 매체가 감지된 시간 동안) 의존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1ms 내지 10ms의 범위에 있다. 추가 CCA를 실행하지 않고 전송에 최대 16μs까지의 갭이 허용된다. CCA가 없는(CCA-프리(free)) 16μs 갭은 Wi-Fi에서 전송 수신으로부터 전송 승인까지의 소요 시간을 수용하도록 도입되었다.
비허가 스펙트럼의 사용은 허가된 스펙트럼의 사용에 비해 일부 제한을 가질 수 있지만, 허가된 배포에 대한 보완책으로 비허가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사용을 허용하는 솔루션은 3GPP 운영자에게 큰 가치를 가져다줄 가능성이 있다. NR에서의 일부 특성은 비허가 대역의 특수한 특징을 준수하고 다른 적용가능한 규정을 준수하도록 적응될 필요가 있다. 또한, UE가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려는 경우, 스펙트럼을 액세스하기 전에 채널이 비어 있는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사용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가 토크 전 청취(LBT)이다. LBT에는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채널 액세스 모드 및 채널 점유 시간(COT)이라 칭하여지는 다가오는 전송 기회에 전송하길 원하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다. 그러나, 모든 변형에 대해, 감지는 특정 채널에서 (정의된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대역폭으로 수행된다.
또한, 두가지 모드의 액세스 동작이 정의된다 - 프레임-기반 장비(Frame-Based Equipment, FBE)에 대응하는 반-정적 채널 점유와, 로드-기반 장비(Load-Based Equipment, LBE)에 대응하는 동적 채널 점유. FBE 모드에서는 감지 주기가 간단한 반면, LBE에서의 감지 방식은 더 복잡하다.
반-정적 채널 점유(FBE 모드)
도 2는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FBE 모드에서의 반-정적 채널 점유를 포함하는 FBE 과정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B는 고정 프레임 주기(Fixed Frame Period, FFP)를 지정한다. 각 FFP는 gNB가 잠재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채널 점유 주기와 gNB가 전송에서 배제되는 IDLE 주기로 구분된다. FFP 경계 직전에, gNB는 LBT 주기에서 9μs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LBT 주기 동안 채널이 비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gNB는 다음 FFP의 시작 부분에서 다운링크 전송을 초기화할 수 있다. gNB는 FFP 동안 다른 UE 사이에 DL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과정은 FFP 기간을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FFP 내에서는 DL/UL 전송만이 COT 내에서 허용되고, 이는 FFP 리소스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COT에 이어지는 IDLE 주기는 다른 노드도 채널을 감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예정된다. 따라서, FBE 동작에서, 채널은 FFP 경계 직전에 특정 간격으로 감지된다. FFP 기간은 1과 10ms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FFP 기간은 최소 200ms 이후에 변경될 수 있다. IDLE 주기는 규제 요구사항이고 최소한 TIDLE ≥ max(0.05*COT, 100μs)인 것으로 가정된다. 3GPP에서는 TIDLE = max(0.05*FFP, 100 μs)로 단순화되었다. 따라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은 TMCOT = min(0.95*FFP, FFP-0.1ms)로 정의될 수 있다. 그래서, 10ms FFP의 경우 TMCOT은 9.5ms이고, 1ms FFP의 경우 TMCOT은 0.9ms = 0.9*FFP가 된다.
동적 채널 점유(LBE 모드)
LBE 동작에 대한 디폴트 LBT 메카니즘인 LBT 카테고리 4는 노드가 임의의 시간에 채널을 감지하고 지연 및 랜덤 백오프 주기 이후에 채널이 비어 있는 경우 전송을 시작할 수 있는 기존 Wi-Fi 동작과 유사하다. 특정한 경우, 예를 들어 공유된 COT의 경우, 매우 짧은 감지 주기를 제공하는 다른 LBT 카테고리가 허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eference downlink resource,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여기서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방법은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한다.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에서의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데이터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bitmap)을 포함할 수 있다.
RDR 도메인은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할 수 있다. RDR 세트는 COT에 이어지는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RDR 도메인 내에서 연속적으로 번호가 정해진 RDR 부분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RDR 부분은 IDLE 주기 밖에 있을 수 있다.
RDR 세트는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할 수 있다. PI는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방법은 제2 데이터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될 수 있기 이전에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RDR 세트는 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될 수 있고, FFP의 종료부에서 끝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날 수 있다.
IDLE 주기는 FFP에서 MCOT에 이어질 수 있고, 여기서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갖는다.
RDR 세트는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row)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법은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을 무선 디바이스에 프로비저닝(provision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을 수 있다.
RDR 세트는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방법은 PI가 전송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에 제2 데이터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DCI는 제2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한다.
채널은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될 수 있다.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 또는 종료부에서 전송될 수 있다.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COT에서 전송될 수 있다.
PI는 채널과 다를 수 있는 제2 채널에서 전송될 수 있다.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노드는 프로세싱 회로, 및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RAN 노드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동작은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는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된다.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동작은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방법은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된다.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방법은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에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RDR 도메인은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할 수 있다.
RDR 세트는 COT에 이어지는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RDR 세트는 RDR 도메인 내에서 연속적으로 번호가 정해진 RDR 부분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RDR 부분은 IDLE 주기 밖에 있을 수 있다.
RDR 세트는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할 수 있다. PI는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방법은 제2 무선 신호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될 수 있기 이전에 수신될 수 있다.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될 수 있고, FFP의 종료부에서 끝날 수 있다. RDR 세트는 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날 수 있다.
IDLE 주기는 FFP에서 MCOT에 이어질 수 있다.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가질 수 있다.
RDR 세트는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법은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로 무선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을 수 있다.
RDR 세트는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RDR 세트는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할 수 있다.
방법은 PI가 수신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될 수 있다.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 또는 종료부에서 수신될 수 있다.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한 채널 점유 시간(COT), 또는 다른 COT에서 수신될 수 있다.
PI는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회로, 및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는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된다.
여기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특히 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함으로서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허가된 스펙트럼과 허가되지 않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기지국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는 구조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기지국에 의한 다운링크 전송에서 고정 프레임 주기의 타이밍을 도시한다.
도 3은 클리어 채널 평가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IDLE 주기를 갖는 리소스 도메인 리소스의 오버레이를 도시한다.
도 4는 채널 점유 시간 동안 다운링크 전송의 선점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리소스 다운링크 리소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선점 표시자에서 선점된 리소스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UE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부분적으로 무선인 연결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와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사용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가 부여되거나 암시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성분,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 명시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성분,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는 한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따르거나 선행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 또한/또는 한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따르거나 선행해야 함을 암시하지 않는 한, 설명된 정확한 순서로 실행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성은 적절한 경우에,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이점은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포함된 실시예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노드(node)"는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UE,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로는 노드B(NodeB), 기지국(BS), MSR BS와 같은 다중-표준 무선(multi-standard radio, MSR) 라디오 노드, eNodeB, gNodeB, MeNB, SeNB, 통합 액세스 백홀(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노드,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 릴레이, 릴레이를 제어하는 도너(donor) 노드, 베이스 송수신국(BTS), 중앙 유닛 (예를 들면, gNB에서), 분산 유닛 (예를 들면, gNB에서), 기저대 유닛, 중앙집중식 기저대, C-RAN, 액세스 포인트(AP),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RRU, 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에서의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MSC, MME 등), O&M, OSS, SON, 포지셔닝 노드 (예를 들면, E-SMLC) 등이 있다. 노드의 또 다른 예는 사용자 장비(UE)가 될 수 있고, 이는 셀룰러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UE와 통신하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를 칭한다. UE의 예로는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UE, 차량 대 차량(V2V), 머신 타입 UE, MTC UE, 또는 머신 대 머신(M2M) 통신이 가능한 UE, PDA, 테블릿, 모바일 터미널, 스마트폰, 랩탑 내장 장비(LEE), 랩탑 장착 장비(LME), USB 동글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또는 간단히 "네트워크 노드(NW 노드)"와 같은 일반적인 용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기지국, 무선 기지국, 베이스 송수신국,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진화된 노드 B(eNB), 노드 B, gNodeB(gNB), 릴레이 노드, 액세스 포인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원격 무선 유닛(RRU) 원격 무선 헤드(RRH), 중앙 유닛 (예를 들면, gNB에서), 분산 유닛 (예를 들면, gNB에서), 기저대 유닛, 중앙집중식 기저대, C-RAN, 액세스 포인트(AP)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를 칭할 수 있다.
용어 무선 액세스 기술 또는 RAT는 UTRA, E-UTRA,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WiFi, 블루투스, 차세대 RAT, 뉴 라디오(NR), 4G, 5G 등과 같은, 임의의 무선 통신 기술을 칭할 수 있다. 용어 노드,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표시되는 임의의 장비는 단일 또는 다수의 RAT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신호는 임의의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이 될 수 있다. 물리적 신호의 예로는 PSS, SSS, CSI-RS, DMRS, SSB, DRS, CRS, PRS에서의 신호 등과 같은 기준 신호가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물리적 채널은 (예를 들면, 채널 수신의 맥락에서) 또한 "채널"이라 칭하여진다. 물리적 채널의 예로는 PBCH, NPBCH, PDCCH, PDSCH, sPUCCH, sPDSCH, sPUCCH, sPUSCH, MPDCCH, NPDCCH, NPDSCH, E-PDCCH, PUSCH, PUCCH, NPUSCH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LBT"는 캐리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로 결정하기 이전에 캐리어에서의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타입의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과정 또는 메카니즘에 대응할 수 있다. CSMA 또는 LBT는 또한 클리어 채널 평가(CCA), 클리어 채널 결정 등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칭하여질 수 있다. LBT에 따르는 캐리어를 통한 신호의 전송은 또한 경합-기반 전송이라 칭하여진다. 한편, LBT에 따르지 않는 캐리어를 통한 신호의 전송은 무경합 전송(contention free transmission)이라 칭하여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클리어 채널 평가(CCA)는 캐리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로 결정하기 이전에 캐리어에서의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타입의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SMA) 과정 또는 메카니즘에 대응한다. CCA는 또한 CSMA 방식, 채널 평가 방식, 토크 전 청취(LBT) 등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칭하여진다. CCA 기반 동작은 더 일반적으로 경합-기반 동작이라 칭하여진다. CCA에 따르는 캐리어를 통한 신호의 전송은 또한 경합-기반 전송이라 칭하여진다. 경합-기반 동작은 일반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에서의 전송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 메카니즘은 예를 들어, 간섭을 줄이기 위해 허가된 대역에 속하는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CA에 따르지 않는 캐리어를 통한 신호의 전송은 또한 무경합 전송이라 칭하여진다.
상기에 설명된 선점 기술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DL 전송을 위해 NR에 대해 표준화되었다. 유사한 기술이 NR-U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비허가 스펙트럼/채널에서 리소스에 대한 선점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NR-U는 DL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LBT와 같은 CCA 과정의 사용을 규정하기 때문에, 약간의 수정이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는 비허가 스펙트럼/채널에서 DL 선점을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NR-U 시스템에서 NR 선점 기술의 수정되지 않은 구현과 관련된 문제를 도시한다. 도 3은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eference downlink resource, RDR)가 정의된 DL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도시한다. 선점을 처리하기 위해, RDR은 도 3에서 파티션(partition) 1 내지 14로 도시된, 다수의 RDR 도메인으로 분할된다. RDR은 다수의 RDR 도메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RDR은 여기서 "RDR 세트"라 칭하여질 수 있다. 각 RDR 세트는 선점 표시자(PI)를 운반할 수 있는 제어 리소스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를 포함한다. 특정한 RDR 도메인에 대해 스케줄링된 DL 전송이 선점될 때, 선점된 RDR 도메인을 포함하는 RDR 세트에 이어지는 DL PI에 선점이 표시된다. 따라서, RDR 세트에서의 DL PI는 이전 RDR 세트를 다시 가리킨다.
UE 및 gNB가 RDR 세트의 분할을 구현할 때, IDLE 주기 및 하나 이상의 LBT 주기는 (반-정적 COT/IDLE 주기를 갖는 반-정적 채널 점유를 위해 NR-U에서 도입된) RDR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RDR 세트는 gNB가 DL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시간 주기를 커버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FFP의 IDLE 부분에서는 DL 전송이 없으므로, RDR 세트에 IDLE 부분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COT 이전의 LBT 주기는 IDLE 주기에 포함된다. 그러나, LBT 주기는 예를 들어 COT 공유가 있는 경우, 즉 COT 동안 DL에서 UL로 스위칭되는 경우, COT 내에 있을 수도 있다. COT 공유는 또한 다른 UE로부터의 다른 업링크 전송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DL과 UL 전송 사이의 LBT 리소스을 포함한 갭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RDR 세트는 COT, LBT 리소스, 및 UL 전송을 위해 예정된 리소스에 이어지는 IDLE 주기에 대응하는 리소스와 같이, DL 전송에 이용가능하지 않은 리소스를 제외하는 NR-U와 함께 사용하도록 정의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UE가 IDLE/LBT/UL 주기 동안 어떠한 DL 신호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FFP 동안 DL PI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비허가 채널에 대한 DL 과정의 한 예가 두가지 옵션으로 도 4에 도시된다. 도 4의 좌측은 전송 전에 LBT를 실행할 필요 없이 새로운 전송이 허용되는 DL 전송이 선점되는 선점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는 새로운 전송 이전에, gNB가 이미 전송 사이에 16μs 미만의 시간-갭으로 전송하고 있거나, UE가 UL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UL과 DL 전송 사이의 시간-갭이 16μs 미만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이전의 마지막 전송에 이어지는 시간-갭이 16μs보다 크면, DL 전송이 선점된 리소스를 사용하기 전에 gNB에 의해 LBT가 요구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선점 표시자(PI)를 사용하여, gNB는 참조된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DCI를 통해 UE 또는 UE 그룹에 표시한다. PI는 인터럽트된 (선점된) 전송 이후에 전송된다. 즉, PI는 UE 또는 UE 그룹에 대한 DL 전송을 위해 원래 스케줄링되었지만 또 다른 UE로의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선점된 앞서 수신된 신호를 폐기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UE 또는 UE 그룹을 트리거할 수 있다.
gNB는 또한 선점된 리소스 지정을 선점되었던 UE 또는 UE의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시그널링에서, gNB는 선점된 UE 또는 UE의 그룹에, 선점된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DL 지정을 표시한다. 일부의 경우, 이 지정은 정상적인 스케쥴링 명령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저정된 DL 리소스의 경우 (새로운 전송을 위해 할당된), gNB의 최근 전송과 지정된 DL 리소스 사이의 시간-갭에 따라 LBT가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선점된 전송 및 선점된 리소스에 대한 새로운 스케줄링 명령은 동일한 UE 또는 다른 UE에 속할 수 있다. 스케줄링 지정은 PI와 동일하거나 다른 CORESET 또는 RDR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PI 및 스케줄링 지정은 허가되거나 허가되지 않은 NR 스펙트럼 시나리오에 관계없이, 임의의 순서로 공동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지정은 PI와 함께 선점된 UE 또는 UE의 그룹에 공동으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가 UE로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버퍼링할 때, 네트워크 노드는 이전에 다른 UE 또는 UE의 그룹에 지정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비허가 채널, 즉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에 따르는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한다.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이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선점된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배열의 한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RDR 세트(500)는 파티션 1 내지 14로 도시된 RDR 도메인(502)을 포함한다. RDR 세트(500)는 비허가 스펙트럼에서 DL/UL 전송을 전송/수신하기 위해 gNB에 의해 사용되는 FFP(510) 내의 IDLE 주기(512)에 대응하는 시간 주기(506)를 제외한다. RDR 세트(500)는 또한 UL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508) 내에 속하는 리소스를 제외한다. RDR 도메인(502) 중 하나의 선점은 이어지는 RDR 세트에서 전송되는 PI(514)에 표시된다.
일부 추가 실시예는 스케줄링된 DL 전송이 선점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비허가 채널, 즉 CCA 과정에 따르는 채널을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된다.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는 그 무선 디바이스에 의도되지 않으므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다. 그러나, 정상적인 상황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이어서 수신된 신호와의 소프트 결합을 위해 버퍼에 무선 신호를 유지한다.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 보다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한다. 그 다음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수신 버퍼로부터의 제1 무선 신호를 플러싱함으로서,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PI(514)는 어느 RDR 도메인이 선점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602)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비트맵의 각 비트는 이전 RDR 세트(500)의 RDR 도메인(502)에 대응할 수 있다. 비트맵(602)의 '1'은 대응하는 RDR 도메인(502)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고, '0'은 대응하는 RDR 도메인(502)이 선점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602)을 조사함으로서, PI(514)를 수신하는 UE는 UE에 의해 수신된 DL 전송이 선점되었고 따라서 폐기되어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P 종료 시 IDLE 주기내의 리소스와 같은 특정한 리소스는 전송에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RDR 세트를 할당하는 과정은 PI의 시간 입도(granularity)를 보다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LBT 특정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PI의 시작 전에 T 시간 유닛에 (슬롯 또는 심볼) 걸쳐 있을 수 있다. RDR이 하나 이상의 FFP에 걸쳐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옵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DR은 프레임 주기의 시작부에서 시작할 수 있고, RDR은 현재 프레임 주기의 종료부에서 끝날 수 있고, 또한/또는 RDR은 현재 FFP에서 정의된 IDLE 주기를 뺀 종료부, 예를 들면 최대 100μs 및 FFP의 5% 또는 COT의 5%에서 끝날 수 있다. 3GPP에서 사용하는 경우, FFP의 5%가 권장된다. IDLE 주기의 기간은 시스템 매개변수로부터, 예를 들면 FFP의 구성된 값으로부터, 또는 특정 대역에 대한 규정 규칙으로부터 파생될 수 있다.
IDLE 시간 주기성과 관련하여, FFP 길이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IDLE 시간 리소스의 주기성은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ms FFP 길이에 대한 IDLE 시간은 10ms FFP 보다 훨씬 더 자주 발생하지만 더 짧다. 따라서, gNB는 gNB가 사용하는 FFP 길이에 의존할 수 있는 선점을 위해 허용된 리소스에 대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가 할당 목적으로 1ms 또는 2ms 또는 10ms의 세 가지 타입의 FFP 길이를 할당할 수 있는 경우, 다른 FFP에 대한 "IDLE 시간" 주기성 또는 발생이 다르고 이러한 IDLE 시간 리소스가 테이블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선점을 위해 허용된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세개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테이블은 즉석에서 구성될 수 있고, RDR 구성은 RRC를 통해 UE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gNB가 전송을 선점할 때마다, gNB는 테이블의 주어진 로우 ID에 의해 표시되는 선점된 전송의 리소스에 비트-맵핑된 PI를 (DCI 또는 RRC 메시지에 있을 수 있는) 테이블의 로우 ID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FFP 길이는 200ms 마다 변경될 수 있으므로, 또 다른 테이블이 사용되어 IDLE 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리소스 제외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구성된 FFP 길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그룹-공통 PDCCH에서 발생할 수 있다.
릴리스 16에서, FFP 길이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서 구성되므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 그러나, FFP 길이를 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그룹-공통 PDCCH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에서 제외되는 리소스는 LBT가 실행되는 리소스가 될 수 있다. LBT 리소스는 두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a) FFP의 종료부인 IDLE 주기에 있는 LBT 리소스, 및 (b) COT 동안 발생할 수 있는 LBT 리소스 또는 LBT 제한.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비허가 동작에 의해 도입된 모든 일시정지 및 갭을 (예를 들어, COT 내의 LBT에 대한 갭, IDLE 주기 등) 배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비허가 동작에 의해 도입된 모든 일시정지 및 갭을 (LBT에 대한 갭, IDLE 주기 등) 포함할 수 있다. LBT 리소스는 gNB 또는 UE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점된 리소스 지정은 IDLE 주기/갭과 일치하는 리소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FBE 동작에서, RDR은 프레임 주기 또는 FFP에 걸쳐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COT 내의 LBT 갭은 기준 리소스에서 제외될 수 있고, 또한/또는 IDLE 주기가 기준 리소스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DR 세트에 의해 제외되는 리소스는 프레임 경계의 시작부에 있는 UL 리소스와 같이, UL 전송을 위해 심볼 또는 슬롯이 할당되는 리소스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gNB는 선점된 전송을 연기할 수 있다. 즉, gNB는 인터럽트된 리소스 이후에 인터럽트된 DL 전송을 동일한 또는 다른 COT에서 전송할 수 있다. PI는 선점된 리소스가 즉시 전송될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선점된 DL 전송을 위한 새로운 스케줄링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가 DL에서 다수의 반복을 수신하거나 (슬롯-집합) 다중 안테나 패널 전송, Multi-TRP를 (예를 들면,다중 안테나 패널을 통한 다중 운송 블록의 전송 또는 동일한 운송 블록의 반복) 수신하도록 스케쥴링되고 표시된 기준 리소스와 함께 PI를 수신하면, 다양한 옵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는 각 반복 또는 전송이 RDR 세트에서 선점된 파티션과 교차하는 정도로 개별적으로 선점될 수 있다.
UE가 다른 안테나 패널 또는 gNB로부터 초기화되는 다중 MIMO 레이어를 통해 2개 이상의 전송을 수신하는 경우 (Multi-TRP), 모든 MIMO 레이어에서의 전송이 선점될 수 있거나 전송의 서브세트만이 선점될 수 있다 .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과 주파수 영역, 및 시간과 주파수 입도를 포함하는 RDR 세트의 구성은 FFP 또는 최대 COT에 적응된다. 한 예로, 시간 도메인에서 기준 영역의 기간은 셀에서의 최대 COT와 최대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UE가 적어도 하나의 선점 DCI(PI)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하므로 최대 COT를 초과하는 선점 기준 시간이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고, 그에 따라 최대 COT는 시간 도메인에서 설정된 RDR보다 커야 하고, RDR 세트에 바로 이어지는 선점 DCI는 최소한 선점 DCI에 대한 모니터링 기회를 커버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DL 선점 DCI에 대한 모니터링 기회는 FFP 및/또는 MCOT에 적응될 수 있다. 즉, MCOT에 이어지는 IDLE 주기는 모니터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PI 모니터링 기회는 PI 모니터링 기회와 FFP에서의 IDLE 주기가 오버랩되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해 IDLE 주기에 대한 오프셋 만큼 쉬프트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I 모니터링 주기성은 FFP의 정수배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PI 기회와 IDLE 주기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서, FFP는 PI 모니터링 주기의 정수배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I 모니터링 기회 중 일부가 IDLE 주기와 오버랩되는 경우, UE는 그러한 경우에 PI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 전송 동작은 다음의 옵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PI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T의 시작부에서 전송될 수 있고, LBT가 PI를 전송하기 전에 요구될 수 있고, 또한/또는 PI가 COT에서의 첫 번째 전송이 PI가 아닌 COT의 또 다른 부분에서 전송될 수 있다. PI는 UL 심볼, IDLE 주기, 또는 COT에서의 LBT 갭에서 전송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DL 전송이 선점되는 동일한 COT에서 항상 전송될 수 있다. 즉, PI 전송과 선점된 DL 전송 모두가 동일한 COT에서 발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이전 COT의 선점된 DL 전송을 나타내도록 송신될 수 있다. 즉, PI 전송과 선점된 DL 전송이 다른 COT에서 발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결합된 NR 및 NR-U 리소스에 대해 유효한 DL 리소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RDR 세트는 NR-U 리소스로부터의 IDLE 주기 및 NR 및 NR-U 모두로부터의 UL 심볼/슬롯을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NR 리소스"는 허가된 리소스를 칭하고 "NR-U 리소스"는 허가되지 않은 리소스를 칭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DL PI는 NR-U 리소스 또는 NR과 NR-U 리소스의 혼합을 통해 선점된 DL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항상 NR 리소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L PI는 NR-U 리소스 또는 NR과 NR-U 리소스의 혼합을 통해 선점된 DL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항상 NR-U 리소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DL PI는 항상 COT의 종료부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블록 702), 및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블록 704)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네트워크 노드는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블록 706).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에서의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데이터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한다.
RDR 도메인은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COT에 이어지는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로,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2 데이터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블록 802)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된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된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되기 이전에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종료부에서 끝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IDLE 주기는 FFP에서 MCOT에 이어지고, 여기서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을 무선 디바이스에 프로비저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PI가 전송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 제2 데이터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DCI는 제2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은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에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종료부에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한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전송된다.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1060)는 프로세싱 회로(1070), 및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1080)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RAN 노드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블록 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블록 704)로,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블록 706)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로, 일부 실시예는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블록 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블록 704)로,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로(블록 706),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1060)를 제공한다.
도 9를 참조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방법은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902)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된다.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이다. 방법은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블록 904),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블록 906)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에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도메인은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COT에 이어지는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2 무선 신호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되는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되는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종료부에서 끝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IDLE 주기는 FFP에서 MCOT에 이어지고, 여기서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로 무선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DR 세트는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PI가 수신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은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종료부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한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PI는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1010)는 프로세싱 회로(1020), 및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1020)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902)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블록 904),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블록 906)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일부 실시예는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902)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블록 904),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블록 906)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무선 디바이스(1010)를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된 주제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성분을 사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순화를 위해, 도 10의 무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1006), 네트워크 노드(1060, 1060b), 및 WD(1010, 1010b, 1010c)만을 도시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 사이,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유선 전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나 단말 디바이스와 같은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추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성분 중, 네트워크 노드(1060) 및 무선 디바이스(WD)(1010)는 추가로 상세하게 도시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또는 그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의 액세스 및/또는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 및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전기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하고 또한/또는 이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한 표준 또는 다른 타입의 미리 정의된 규칙 또는 절차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한 실시예는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롱 텀 에볼루션(LTE), 및/또는 다른 적절한 2G, 3G, 4G 또는 5G 표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표준; 및/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동작(WiMax), 블루투스(Bluetooth), Z-웨이브(Z-Wave)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통신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6)는 하나 이상의 백홀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근거리 네트워크(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 및 다바이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 및 WD(1010)는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성분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연결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작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제어기, 무선 디바이스,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그에 참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이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또는 제공하고 또한/또는 다른 기능을 (예를 들면, 관리) 제공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장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도록 기능을 갖춘, 구성된, 배열된, 또한/또는 동작가능한 장비를 칭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액세스 포인트(AP)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BS)을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B) 및 NR 노드 B(gNB)) 포함한다. 기지국은 그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을 기반으로 분류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 말하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이라고도 칭하여질 수 있다.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또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도너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중앙 집중식 디지털 유닛 및/또는 때로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라 칭하여지는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과 같은 분산 무선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유닛는 안테나 통합 라디오로서 안테나와 통합되거나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분산 무선 기지국의 일부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서의 노드로 칭하여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예는 MSR BS와 같은 다중-표준 무선(MSR)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송수신국(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터티(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MSC, MME), O&M 노드, OSS 노드, SON 노드, 위치지정 노드 (예를 들면, E-SMLC), 및/또는 MD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네트워크 노드는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되는 가상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하거나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디바이스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능을 갖춘, 구성된, 배열된, 또한/또는 동작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또는 디바이스의 그룹)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서, 네트워크 노드(1060)는 프로세싱 회로(1070),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 인터페이스(1090), 보조 장비(1084), 전원(1086), 전력 회로(1087), 및 안테나(1062)를 포함한다. 도 10의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1060)는 하드웨어 구성성분의 도시된 조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을 갖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여기서 설명된 작업, 특성, 기능, 및 방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1060)의 구성성분은 더 큰 박스 내에 위치하거나 여러 박스 내에 중첩된 단일 박스로 도시되지만, 실제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도시된 구성성분을 구성하는 다수의 다른 물리적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는 다수의 개별 하드 드라이브 및 다수의 RA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06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구성요소으로 (예를 들어, NodeB 구성성분과 RNC 구성성분, 또는 BTS 구성성분과 BSC 구성성분 등) 구성될 수 있고, 이는 각각 자체 개별 구성성분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가 다수의 개별 구성성분을 (예를 들어, BTS 및 BSC 구성성분) 포함하는 특정한 시나리오에서, 개별 구성성분 중 하나 이상은 여러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가 다수의 Node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고유한 NodeB 및 RNC 쌍은 일부 경우에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60)는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성분은 복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른 RAT에 대한 별도의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 일부 구성성분은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1062)가 RAT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이, 네트워크 노드(1060)에 통합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해 다양한 도시된 구성성분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술은 네트워크 노드(1060) 내의 동일하거나 다른 칩 또는 칩 세트 및 다른 구성성분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0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결정, 계산, 또는 유사한 동작을 (예를 들어, 특정한 획득 동작)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실행되는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또한/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서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 결정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0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장치, 리소스, 또는 단독으로 또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1060) 구성성분과 조합되어 네트워크 노드(106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1070)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 또는 프로세싱 회로(107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여기서 논의된 다양한 무선 특성, 기능, 또는 이점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07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070)는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07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7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07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74)는 별도의 칩 (또는 칩 세트), 보드, 또는 무선 유닛 및 디지털 유닛과 같은 유닛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07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74)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칩 또는 칩 세트, 보드, 또는 유닛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eNB, 또는 다른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 또는 프로세싱 회로(107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와이어 방식과 같이, 분리된 또는 이산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든 실행하지 않든, 프로세싱 회로(1070)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프로세싱 회로(1070) 단독 또는 네트워크 노드(1060)의 다른 구성성분에 제한되지 않고, 네트워크 노드(1060)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한/또는 단말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일반적으로 향유된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는, 제한되지 않지만, 영구 저장 장치, 고체-상태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미디어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플래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및/또는 컴퓨터-실행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논리, 규칙, 코드, 테이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실행되고 네트워크 노드(106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명령,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는 프로세싱 회로(1070)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계산 및/또는 인터페이스(1090)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070) 및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8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90)는 네트워크 노드(1060), 네트워크(1006), 및/또는 WD(1010) 사이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90)는 예를 들어 유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1006)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포트/터미널(109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090)는 또한 안테나(1062)에 연결되거나 특정한 실시예에서 그 일부가 될 수 있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필터(1098) 및 증폭기(109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안테나(1062) 및 프로세싱 회로(107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는 안테나(1092)와 프로세싱 회로(107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무선 연결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는 필터(1098) 및/또는 증폭기(1096)의 조합을 사용하여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매개변수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신호는 안테나(106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062)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고, 이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싱 회로(107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구성성분 및/또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60)는 별도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별도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 없이 프로세싱 회로(1070)가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하고 안테나(1062)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07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터페이스(109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090)는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터미널(1094),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 및 RF 송수신기 회로(1072)를 무선 유닛의 (도시되지 않은) 일부로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090)는 디지털 유닛의 (도시되지 않은) 일부인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74)와 통신할 수 있다.
안테나(1062)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062)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92)에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1062)는 예를 들어, 2GHz와 66GHz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는 임의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정한 영역 내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MIMO라 칭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안테나(1062)는 네트워크 노드(10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1060)에 연결가능할 수 있다.
안테나(1062), 인터페이스(109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수신 동작 및/또는 특정한 획득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1062), 인터페이스(109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전송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
전력 회로(1087)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하거나 이에 결합될 수 있고,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전력을 네트워크 노드(1060)의 구성성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회로(1087)는 전원(1086)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원(1086) 및/또는 전력 회로(1087)는 각각의 구성성분에 적합한 형태로 (예를 들어, 각각의 개별 구성성분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 레벨로) 네트워크 노드(1060)의 다양한 구성성분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1086)은 전력 회로(1087)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060)에 포함되거나 그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60)는 입력 회로 또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예를 들어, 전기 콘센트) 연결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외부 전원은 전력 회로(1087)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 전원(1086)은 전력 회로(1087)에 연결되거나 통합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 형태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외부 전원이 고장난 경우 백업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광전지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원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6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주제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의 특정한 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도 10에 도시된 것 이외의 추가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60)는 네트워크 노드(1060)로의 정보 입력을 허용하고 네트워크 노드(1060)로부터의 정보 출력을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노드(1060)에 대한 진단, 유지보수, 수리 및 다른 관리 기능을 실행하게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WD)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기능을 갖춘, 구성된, 배열된 또한/또는 동작가능한 디바이스를 칭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WD라는 용어는 여기서 사용자 장비(UE)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파, 무선파, 적외선파 및/또는 공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WD는 직접적인 인간 상호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때,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스케쥴에 따라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WD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카메라, 게임 콘솔이나 디바이스, 음악 저장 디바이스, 재생 기기, 웨어러블 터미널 디바이스,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내장 장비(LEE), 랩탑-장착 장비(LME), 스마트 디바이스, 무선 고객 전제 장비(CPE), 차량-탑재 무선 터미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WD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 차량-대-차량(V2V), 차량-대-인프라구조(V2I), 차량-대-모든 것(V2X)을 위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경우 D2D 통신 디바이스라 칭하여질 수 있다. 또 다른 특정한 예로, 사물 인터넷(IoT) 시나리오에서, WD는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을 실행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의 결과를 또 다른 WD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기계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WD는 이 경우에 기계-대-기계(M2M)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이는 3GPP 컨텍스트에서 MTC 디바이스라 칭하여질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예로, WD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 또는 디바이스의 특정한 예로는 센서, 전력계와 같은 계량 디바이스,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이나 개인용 기기 (예를 들면, 냉장고, 텔레비전 등), 개인용 웨어러블이 (예를 들면, 시계, 피트니스 트래커 등)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WD는 동작 상태 또는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모니터링 및/또는 리포팅 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WD는 무선 연결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디바이스는 무선 터미널이라 칭하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설명된 WD는 모바일일 수 있고,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터미널이라 칭하여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10)는 안테나(1011), 인터페이스(1014), 프로세싱 회로(1020),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 보조 장비(1034), 전원(1036) 및 전력 회로(1037)를 포함한다. WD(1010)는 예를 들어, 언급되었던 GSM, WCDMA, LTE, NR, WiFi, WiMAX , NB-IoT,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이, WD(10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해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술은 WD(1010) 내의 다른 구성성분과 동일하거나 다른 칩 또는 칩 세트에 통합될 수 있다.
안테나(1011)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1014)에 연결된다. 특정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테나(1011)는 WD(10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WD(1010)에 연결가능할 수 있다. 안테나(1011), 인터페이스(1014),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20)는 WD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수신 또는 전송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WD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및/또는 안테나(1011)는 인터페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14)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 및 안테나(1011)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하나 이상의 필터(1018) 및 증폭기(101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4)는 안테나(1011) 및 프로세싱 회로(1020)에 연결되고 안테나(111)와 처리 회로(102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 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안테나(1011)에 또는 그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WD(1010)는 별도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프로세싱 회로(1020)가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하고 안테나(101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는 RF 송수신기 회로(10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인터페이스(1014)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무선 연결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는 필터(1018) 및/또는 증폭기(1016)의 조합을 사용하여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매개변수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안테나(1011)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011)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고, 이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012)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싱 회로(102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구성성분 및/또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0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리소스, 또는 단독으로 또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와 같은 다른 WD(1010) 구성성분과 함께 WD(101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여기서 논의된 다양한 무선 특성 또는 이점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1020)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 또는 프로세싱 회로(102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1020)는 RF 송수신기 회로(1022),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02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구성성분 및/또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WD(1010)의 프로세싱 회로(1020)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026)는 개별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026)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의 칩 또는 칩 세트로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개별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24)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026)는 개별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0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026)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칩 또는 칩 세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인터페이스(1014)의 일부가 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 회로(1022)는 처리 회로(1020)를 위해 RF 신호를 컨디셔닝 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WD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실시예에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10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와이어 방식과 같이, 별도의 또는 이산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싱 회로(10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든 실행하지 않든, 프로세싱 회로(1020)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프로세싱 회로(1020) 단독 또는 WD(1010)의 다른 구성성분에 제한되지 않고, WD(1010) 및/또는 단말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일반적으로 향유된다.
프로세싱 회로(1020)는 WD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결정, 계산, 또는 유사한 동작을 (예를 들어, 특정한 획득 동작)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020)에 의해 실행되는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WD(1010)에 의해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또한/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서, 프로세싱 회로(102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 결정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는 컴퓨터 메모리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0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020) 및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030)는 통합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인간 사용자가 WD(1010)와 상호동작하게 허용하는 구성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동작은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사용자에게 출력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WD(1010)에 입력을 제공하게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상호동작의 타입은 WD(101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WD(10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호동작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WD(1010)가 스마트 측정기인 경우, 상호동작은 사용량을 (예를 들면, 사용된 갤런 수) 제공하는 화면 또는 청각적 경고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예를 들면, 연기가 감지된 경우)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입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WD(1010)로의 정보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회로(1020)가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회로(1020)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다른 센서, 키/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다른 입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또한 WD(1010)로부터 정보 출력을 허용하고 프로세싱 회로(1020)가 WD(1010)로부터 정보를 출력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032)의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사용하여, WD(1010)는 단말 사용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이 여기서 설명된 기능으로부터 이익을 얻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보조 장비(1034)는 일반적으로 WD에 의해 실행될 수 없는 보다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측정을 실행하기 위한 특수 센서, 유선 통신 등과 같은 추가 타입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비(1034)의 구성성분의 포함 및 타입은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전원(1036)은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외부 전원 (예를 들면, 전기 콘센트), 광전지 장치 또는 파워 셀과 같은 다른 타입의 전원도 사용될 수 있다. WD(1010)는 여기서 설명되거나 표시된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1036)으로부터 전력을 필요로 하는 WD(1010)의 다양한 부분으로 전원(1036)으로부터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회로(10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특정한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WD(1010)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 또는 입력 회로를 통해 외부 전원에 (예를 들면, 전기 콘센트) 연결가능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WD(1010)는 입력 회로 또는 전원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전기 콘센트와 같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또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1036)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원(1036)의 충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전력 회로(1037)는 전력이 공급되는 WD(1010)의 각 구성성분에 적합한 전력을 만들기 위해 전원(1036)으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임의의 포맷, 변환 또는 다른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측면에 따른 UE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운영하는 인간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대신, UE는 인간 사용자에게 판매하거나 인간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도록 의도되지만, 특정한 인간 사용자와 연관되지 않거나 초기에 연관되지 않을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스프링클러 제어기). 대안적으로, UE는 단말 사용자에게 판매하거나 그에 의해 운영되도록 의도되지 않지만, 사용자와 연관되거나 이익을 위해 운영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전력 측정기). UE(11200)는 NB-IoT UE, 기계 타입 통신(MTC) UE, 및/또는 증강된 MTC(eMTC) UE를 포함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식별되는 임의의 UE가 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00)는 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과 같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WD의 한 예이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어 WD 및 UE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는 UE이지만, 여기서 논의되는 구성성분은 WD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11에서, UE(11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1109),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11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7),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9), 및 저장 매체(11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1115), 통신 서브시스템(1131), 전원(1133), 및/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1121)는 운영 시스템(11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25), 및 데이터(11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 매체(1121)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UE는 도 11에 도시된 모든 구성성분을 사용하거나 구성성분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성분 사이의 통합 레벨은 UE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특정한 UE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구성성분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프로세싱 회로(11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1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구현 상태 기계 (예를 들어, 이산 로직, FPGA, ASIC 등); 적절한 펌웨어와 함께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 프로그램, 범용 프로세서;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과 같이, 메모리에 기계-판독가능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저장된 기계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순차적인 상태 기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1101)는 2개의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는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또는 입출력 디바이스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1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를 통해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입력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1100)에 대한 입력 및 출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작동기, 에미터, 스마트 카드, 또 다른 출력 디바이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UE(1100)는 사용자가 UE(1100)로 정보를 캡처하게 허용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1105)를 통해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터치-감지 또는 존재-감지 디스플레이, 카메라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감지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정전식 또는 저항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기울기 센서, 힘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또 다른 유사한 센서,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광학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11에서, RF 인터페이스(1109)는 전송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구성성분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111)는 네트워크(1143a)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143a)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111)는 이더넷, TCP/IP, SONET, ATM,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1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에 (예를 들어, 광학적, 전기적 등) 적절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구성성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하거나, 대안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RAM(1117)은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저장 또는 캐싱(caching)을 제공하기 위해 버스(1102)를 통해 프로세싱 회로(1101)에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11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싱 회로(11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1119)은 기본 입력 및 출력(I/O), 시작,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스트로크의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을 위한 불변 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1121)는 RAM, RO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플래쉬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저장 매체(1121)는 운영 시스템(11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위젯이나 가젯 엔진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25), 및 데이터 파일(11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1121)는 UE(1100)에 의한 사용을 위해, 다양한 운영 시스템 또는 운영 시스템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121)는 독립 디스크의 중복 어레이(RAI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쉬 메모리, USB 플래쉬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 드라이브,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고밀도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HD-DVD)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블루-레이(Blu-Ray) 광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램 디지털 데이터 저장(HDDS) 광 디스크 드라이브, 외부 미니-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IM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가입자 식원 모듈이나 제거가능한 사용자 식원(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 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1121)는 UE(1100)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오프로드하거나 데이터를 업로드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제조 물품은 디바이스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1121)에 유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서, 프로세싱 회로(1101)는 통신 서브시스템(1131)을 사용하여 네트워크(11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143a) 및 네트워크(1143b)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거나 다른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네트워크(1143b)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IEEE 802.11, CDMA, WCDMA, GSM, LTE, UTRAN,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또 다른 WD, UE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원격 송수신기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송수신기는 RAN 링크에 적절한 (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등) 전송기 또는 수신기 기능을 각각 구현하는 전송기(1133) 및/또는 수신기(1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송수신기의 전송기(1133) 및 수신기(1135)는 회로 구성성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하거나 대안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11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음성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근거리 통신, 위치를 결정하는 글로벌 위치지정 시스템(GPS)과 같은 위치-기반 통신, 또 다른 유사한 통신 기능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43b)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또는 근거리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전원(1113)은 UE(1100)의 구성성분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특성, 이점 및/또는 기능은 UE(1100)의 구성성분 중 하나에서 구현되거나 UE(1100)의 여러 구성성분에 걸쳐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된 특성, 이점 및/또는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여기서 설명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1101)는 버스(1102)를 통해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은 프로세싱 회로(1101)에 의해 실행될 때 여기서 설명된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의 기능은 프로세싱 회로(1101)와 통신 서브시스템(1131)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의 비-계산 집약적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고 계산 집약적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12200)을 도시하는 구조적인 블록도이다. 현재 맥락에서, 가상화는 하드웨어 플랫폼, 저장 디바이스, 및 네트워킹 리소스의 가상화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가상 버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상화는 노드에 (예를 들어, 가상화된 기지국 또는 가상화된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디바이스에 (예를 들어, UE, 무선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들의 구성성분에 적용될 수 있고,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 이상의 가상 구성성분으로 구현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프로세싱 노드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성분, 기능, 가상 기계 또는 컨테이너를 통해) 구현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 노드(123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호스팅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환경(1200)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기계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구성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상 노드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아니거나 무선 연결을 요구하지 않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완전히 가상화될 수 있다.
기능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 중 일부의 특성, 기능 및/또는 이점의 일부를 구현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220)에 의해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가상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기능, 가상 노드, 가상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칭하여질 수 있는)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20)은 프로세싱 회로(1260) 및 메모리(129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230)를 제공하는 가상화 환경(1200)에서 실행된다. 메모리(1290)는 프로세싱 회로(126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1295)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1220)은 여기서 설명된 특성, 이점 및/또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가상화 환경(1200)은 상업용 기성품(COTS) 프로세서, 전용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또는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하드웨어 구성성분 또는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 임의의 다른 타입의 프로세싱 회로가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회로(1260)의 세트를 포함하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디바이스(1230)를 포함한다.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회로(126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1295)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영구적 메모리가 될 수 있는 메모리(129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127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0)를 포함한다.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또한 프로세싱 회로(126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 및/또는 소프트웨어(1295)를 저장한 비-일시적, 영구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129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1295)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 레이어(1250)를 (하이퍼바이저라고도 칭하여지는) 인스턴스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가상 기계(1240)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 특성 및/또는 이점을 실행하게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기계(1240)는 가상 프로세싱, 가상 메모리, 가상 네트워킹 또는 인터페이스, 및 가상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가상화 레이어(1250) 또는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1220)의 인스턴스의 다른 실시예는 가상 기계(1240) 중 하나 이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그 구현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하는 동안, 프로세싱 회로(1260)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레이어(1250)를 인스턴스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1295)를 실행하고, 이는 때로 가상 기계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 VMM)라 칭하여질 수 있다. 가상화 레이어(1250)는 가상 기계(1240)에 네트워킹 하드웨어처럼 나타나는 가상 운영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1230)는 일반 또는 특정 구성성분을 갖는 독립형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1230)는 안테나(12225)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화를 통해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웨어(1230)는 더 큰 하드웨어 클러스터의 일부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또는 고객 전제 장비(CPE)에서와 같이), 여기서 많은 하드웨어 노드는 함께 동작하고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management and orchestration, MANO)(12100)을 통해 관리되어, 특히 애플리케이션(1220)의 수명 주기 관리를 감독한다.
하드웨어의 가상화는 일부 컨텍스트에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라 칭하여진다. NFV는 많은 네트워크 장비 타입을 데이터 센터 및 고객 전제 장비에 위치할 수 있는 산업 표준 대용량 서버 하드웨어, 물리적 스위치, 및 물리적 저장 장치에 통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NFV의 맥락에서, 가상 기계(1240)는 프로그램이 가상화되지 않은 물리적 기계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물리적 기계의 소프트웨어 구현이 될 수 있다. 각 가상 기계(1240), 및 그 가상 기계를 실행하는 하드웨어(1230) 부분은 그 가상 기계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가상 기계(1240)의 다른 것과 그 가상 기계에 의해 공유되는 하드웨어로, 별개의 가상 네트워크 요소(virtual network element, VNE)를 형성한다.
또한, NFV의 맥락에서,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은 하드웨어 네트워킹 인프라구조(1230) 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가상 기계(1240)에서 실행되는 특정한 네트워크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하고, 도 12에서의 애플리케이션(1220)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기(1222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12210)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122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12225)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유닛(12200)은 하나 이상의 적절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드웨어 노드(12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가상 구성성분과 조합하여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기능을 가상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 노드(1230)와 무선 유닛(12200) 사이의 통신을 위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12230)의 사용으로 일부 시그널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로,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1311) 및 코어 네트워크(13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13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311)는 각각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313a, 1313b, 1313c)을 정의하는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다수의 기지국(1312a, 1312b, 1312c)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312a, 1312b, 1312c)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1315)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314)에 연결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1313c)에 위치한 제1 UE(1391)는 대응하는 기지국(1312c)에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그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1313a) 내의 제2 UE(1392)는 대응하는 기지국(1312a)에 무선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다수의 UE(1391, 1392)가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된 실시예는 단독 UE가 커버리지 영역에 있거나 단독 UE가 대응하는 기지국(1312)에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전기통신 네트워크(1310) 자체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 서버, 분산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서버 팜의 프로세싱 리소스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1330)에 연결된다. 호스트 컴퓨터(13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을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운영될 수 있다. 전기통신 네트워크(1310)와 호스트 컴퓨터(1330) 사이의 연결(1321, 1322)은 코어 네트워크(1314)에서 호스트 컴퓨터(1330)로 직접 확장되거나 선택적인 중간 네트워크(1320)를 통해 갈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1320)는 공공, 개별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중간 네트워크(1320)는, 있는 경우,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고; 특히, 중간 네트워크(132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를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통신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UE(1391, 1392)와 호스트 컴퓨터(1330)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은 오버-더-탑(over-the-top, OTT) 연결(1350)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330) 및 연결된 UE(1391, 1392)는 액세스 네트워크(1311), 코어 네트워크(13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1320), 및 가능한 추가 인프라구조를 (도시되지 않은) 매개체로 사용하여, OTT 연결(1350)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연결(1350)은 OTT 연결(1350)이 통과하는 참여 통신 디바이스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312)은 연결된 UE(1391)로 전달되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1330)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와의 들어오는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대해 통지받지 않거나 알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1312)은 UE(139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330) 방향으로 발신되는 나가는 업링크 통신의 미래 라우팅을 알 필요가 없다.
한 실시예에 따라, 이전 단락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현이 이제 도 14를 참조로 설명된다. 통신 시스템(1400)에서, 호스트 컴퓨터(1410)는 통신 시스템(1400)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셋업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4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4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1410)는 저장 및/또는 프로세싱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프로세싱 회로(14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프로세싱 회로(1418)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그들의 조합을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410)는 호스트 컴퓨터(141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141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14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4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은 UE(1430) 및 호스트 컴퓨터(1410)에서 종료되는 OTT 연결(1450)을 통해 접속하는 UE(14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서비스를 원격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은 OTT 연결(1450)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0)은 전기통신 시스템에 제공되고 호스트 컴퓨터(1410) 및 UE(143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1425)를 포함하는 기지국(14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1425)는 통신 시스템(1400)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셋업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426), 뿐만 아니라 기지국(1420)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에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하는 UE(1430)와 적어도 무선 연결(1470)을 셋업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14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26)는 호스트 컴퓨터(1410)에 대한 연결(14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1460)은 직접적이거나, 전기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및/또는 전기통신 시스템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1420)의 하드웨어(1425)는 프로세싱 회로(1428)를 더 포함하고,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그들의 조합을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420)은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 연결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1421)를 더 갖는다.
통신 시스템(1400)은 이미 언급된 UE(1430)를 더 포함한다. 그 하드웨어(1435)는 UE(1430)가 현재 위치하는 커버리지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의 무선 연결(1470)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1437)를 포함할 수 있다. UE(1430)의 하드웨어(1435)는 프로세싱 회로(1438)를 더 포함하고,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그들의 조합을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UE(1430)는 UE(143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143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14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4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은 호스트 컴퓨터(1410)의 지원으로, UE(1430)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410)에서, 실행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은 UE(1430) 및 호스트 컴퓨터(1410)에서 종료되는 OTT 연결(1450)을 통해 실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4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연결(14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32)은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와 상호동작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1410), 기지국(1420), 및 UE(1430)는 각각 도 13의 호스트 컴퓨터(1330), 기지국(1312a, 1312b, 1312c) 중 하나, 및 UE(1391, 1392) 중 하나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말하자면, 이러한 엔터티의 내부 작동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3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14에서, OTT 연결(1450)은 임의의 중개 디바이스 및 이들 디바이스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 언급 없이, 기지국(1420)을 통한 호스트 컴퓨터(1410)와 UE(1430)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UE(1430) 또는 호스트 컴퓨터(1410)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둘 모두로부터 숨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연결(14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균형 고려 또는 재구성을 기반으로).
UE(1430)와 기지국(1420) 사이의 무선 연결(1470)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연결(1470)이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연결(1450)을 사용하여 UE(1430)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보다 정확하게, 이들 실시예의 지시는 UE가 측정 평가를 실행하는 기능을 개선할 수 있고, 이는 차례로 UE가 RLF 선언, 빔 실패 검출, 셀 변경 결정 등과 같은 보다 정확한 동작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UE 성능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UE가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한 데이터 비율, 대기시간 및 다른 요소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과정이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1410)와 UE(1430) 사이의 OTT 연결(14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선택적 네트워크 기능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연결(14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과정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1410)의 소프트웨어(1411) 및 하드웨어(1415)에서, 또는 UE(1430)의 소프트웨어(1431) 및 하드웨어(1435)에서, 또는 둘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는 (도시되지 않은) OTT 연결(1450)이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그와 연관되어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에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의 값을 제공하거나 소프트웨어(1411, 1431)가 모니터링된 양을 계산하거나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양의 값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연결(14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 선호되는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1420)에 영향을 미칠 필요가 없고, 기지국(1420)에 알려지지 않거나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 및 기능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실시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대기시간 등에 대한 호스트 컴퓨터(14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소프트웨어(1411, 1431)가 전파 시간, 에러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OTT 연결(1450)을 사용하여 메시지, 특히 비어 있거나 '더미(dummy)' 메시지가 전송되게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15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15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1510)의 서브단계(1511)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15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운반하는 전송을 초기화한다. 단계(15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기지국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가 초기화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1540)에서 (또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6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16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16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선택적인 서브단계에서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16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로 운반하는 전송을 초기화한다. 전송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을 경유할 수 있다. 단계(16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전송으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7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17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171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1720)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1720)의 서브단계(1721)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1710)의 서브단계(1711)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때,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한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서브단계(17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초기화한다. 방법의 단계(174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8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18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181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182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기지국은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호스트 컴퓨터로의 전송을 초기화한다. 단계(18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적절한 단계, 방법, 특성, 기능, 또는 이점은 하나 이상의 가상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 유닛 또는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각 가상 장치는 이러한 기능 유닛을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능 유닛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수 목적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캐시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전기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각각의 기능 유닛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704)로,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706)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에서의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데이터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방법에서, RDR 도메인은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하는 방법.
실시예 4. 실시예 3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COT에 이어지는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5.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6.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7. 실시예 6의 방법에서,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하는 방법.
실시예 8.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9.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2 데이터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802)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0. 실시예 9의 방법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되는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11. 실시예 9의 방법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되는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12. 실시예 9의 방법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전송되기 이전에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13.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되는 방법.
실시예 14.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종료부에서 끝나는 방법.
실시예 15.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나는 방법.
실시예 16. 실시예 15의 방법에서, IDLE 주기는 FFP에서 MCOT에 이어지고, 여기서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갖는 방법.
실시예 17.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방법.
실시예 18. 실시예 17의 방법에서,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을 무선 디바이스에 프로비저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9.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는 방법.
실시예 20. 실시예 19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는 방법.
실시예 21.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22.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23.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가 전송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 제2 데이터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24. 실시예 23의 방법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DCI는 제2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실시예 25.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채널은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26. 실시예 25의 방법에서, 제2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는 방법.
실시예 27. 실시예 25의 방법에서, 제2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되는 방법.
실시예 28.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에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29. 실시예 1 내지 27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종료부에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30. 실시예 1 내지 27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한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31. 실시예 1 내지 27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32. 이전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33. 실시예 32의 방법에서,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3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1060)로서:
프로세싱 회로(1070); 및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1080)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RAN 노드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704)로,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706)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
실시예 35. 실시예 34의 RAN 노드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RAN 노드가 실시예 2 내지 33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RAN 노드.
실시예 36.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1060)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704)로,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706)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
실시예 37. 실시예 36의 RAN 노드에서, RAN 노드는 실시예 2 내지 33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RAN 노드.
실시예 3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방법으로서: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902)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904);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906)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39. 실시예 38의 방법에서, 선점 표시자는 RDR 도메인에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40. 실시예 38 또는 실시예 39의 방법에서, RDR 도메인은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하는 방법.
실시예 41. 실시예 40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COT에 이어지는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42. 실시예 38 내지 41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43. 실시예 38 내지 42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44. 실시예 43의 방법에서,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하는 방법.
실시예 45. 실시예 38 내지 44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법.
실시예 46. 실시예 38 내지 45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2 무선 신호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47. 실시예 46의 방법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되는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48. 실시예 46의 방법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되는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49. 실시예 46의 방법에서, 리소스 지정은 PI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50. 실시예 38 내지 49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되는 방법.
실시예 51. 실시예 38 내지 50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종료부에서 끝나는 방법.
실시예 52. 실시예 38 내지 51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나는 방법.
실시예 53. 실시예 52의 방법에서, IDLE 주기는 FFP에서 MCOT에 이어지고, 여기서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갖는 방법.
실시예 54. 실시예 38 내지 53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방법.
실시예 55. 실시예 54의 방법에서,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로 무선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56. 실시예 38 내지 55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는 방법.
실시예 57. 실시예 56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는 방법.
실시예 58. 실시예 38 내지 57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59. 실시예 38 내지 58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RDR 세트는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실시예 60. 실시예 38 내지 59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가 수신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61. 실시예 60의 방법에서: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62. 실시예 38 내지 61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채널은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63. 실시예 62의 방법에서,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는 방법.
실시예 64. 실시예 62의 방법에서, 제2 무선 신호의 전송은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되는 방법.
실시예 65. 실시예 38 내지 64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66. 실시예 38 내지 64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종료부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67. 실시예 38 내지 64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한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68. 실시예 38 내지 64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69. 실시예 38 내지 68 중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PI는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법.
실시예 70. 실시예 69의 방법에서,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71. 무선 디바이스(1010)로서:
프로세싱 회로(1020); 및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1030)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902)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904);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906)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실시예 72. 실시예 71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실시예 39 내지 70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실시예 73. 무선 디바이스(1010)로서: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902)로,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RDR 도메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제1 무선 신호가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904); 및
PI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906)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디바이스.
실시예 74. 실시예 73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실시예 39 내지 70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디바이스.
약어
다음 약어 중 적어도 일부는 본 개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약어 사이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에 사용된 방식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아래에 여러 번 나열되는 경우, 첫 번째 목록이 후속 목록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1x RTT CDMA2000 1x 무선 전송 기술(CDMA2000 1x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3GPP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5세대(5th Generation)
ABS 거의 빈 서브프레임(Almost Blank Subframe)
ACK 승인(Acknowledgment)
AP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RQ 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SN.1 추상 구문 표기법 1(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WGN 가산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H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BLER 블록 에러 비율(Block Error Rate)
BWP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CA 캐리어 집계(Carrier Aggregation)
CAPC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클랙스(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CB 코드 블록(Code Block)
CBG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CA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ment)
CC 캐리어 구성성분(Carrier Component)
CCCH SDU 공통 제어 채널 SDU(Common Control Channel SDU)
C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GI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
CIR 채널 임펄스 응답(Channel Impulse Response)
COT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P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ICH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
Ec/No 대역내 전력 밀도로 나눈 칩 당 수신 에너지(Received energy per chip divided by the power density in the band)
CQI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C-RNTI 셀 RNTI(Cell RNTI)
CS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RS 셀 특정 기준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s)
CSI-RS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CSMA 캐리어 감지 멀티 액세스(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WS 경합 윈도우 사이즈(Contention Window Size)
DAS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CCH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L 다운링크(Downlink)
DM 복조(Demodulation)
DM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TC DRS 측정 시간 구성(DRS Measurement Time Configuration)
DRS 발견 기준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X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TX 불연속 전송(Discontinuous Transmission)
DTCH 전용 트래픽 채널(Dedicated Traffic Channel)
DUT 테스트 중인 디바이스(Device Under Test)
E-CID 증강된 셀-ID (위치지정 방법)(Enhanced Cell-ID (positioning method))
E-SMLC 진화된-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ECGI 진화된 CGI(Evolved CGI)
ED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EDGE GSM 진화에 대해 증강된 데이터 비율(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LAA 증강된 허가 지원 액세스(Enhanced License Assisted Access)
EN-DC E-UTRAN 뉴 라디오 이중 연결(E-UTRAN New Radio Dual Connectivity)
eNB E-UTRAN 노드B(E-UTRAN NodeB)
eMBB 증강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PDCCH 증강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SMLC 진화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UTRA 진화된 UTRA(Evolved UTRA)
E-UTRAN 진화된 UTRAN(Evolved UTRAN)
ETSI 유럽 통신 표준 연구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FBE 프레임 기반 장비(Frame Based Equipment)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eLAA 더 증강된 허가 지원 액세스(Further Enhanced License Assisted Access)
FFP 고정 프레임 주기(Fixed Frame Period)
FFS 추가 연구를 위해(For Further Study)
GC-PDCCH 그룹 공통 PDCCH(Group Common PDCCH)
GERAN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gNB NR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 in NR)
GNSS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PRS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SM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HARQ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O 핸드오버(Handover)
HSPA 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RPD 고비율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IS 동기화 중(In Sync)
LAA 허가 지원 액세스(License Assisted Access)
LBE 로드 기반 장비(Load Based Equipment)
LBT 토크 전 청취(Listen-Before-Talk)
LOS 시선(Line of Sight)
LPP LTE 위치지정 프로토콜(LTE Positioning Protocol)
LTE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MAC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CE MAC 제어 요소(MAC Control Element)
MBM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MBSFN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ABS MBSFN 거의 비어있는 서브프레임(MBSFN Almost Blank Subframe)
MCOT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DT 드라이브 테스트의 최소화(Minimization of Drive Tests)
MHz 메가헤르츠(Megahertz)
MIB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ME 이동성 관리 엔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s 밀리세컨드(millisecond)
μs 마이크로세컨드(microsecond)
MSC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NGC 차세대 코어 네트워크(Next Generation Core network)
NPDCCH 협대역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NR 뉴 라디오(New Radio)
NR-U 허가되지 않은 NR (허가되지 않은 스펙트럼에서의 NR 동작)(NR Unlicensed (NR operation in unlicensed spectrum))
OCNG OFDMA 채널 잡음 발생기(OFDMA Channel Noise Generator)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OS 비동기화(Out of Sync)
OSS 운영 지원 시스템(Operations Support System)
OTDOA 관찰된 도착 시간차(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M 운영 및 유지관리(Operation and Maintenance)
PCell 1차 셀(Primary Cell)
PB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CCPCH 1차 공통 제어 물리적 채널(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ell 1차 셀(Primary Cell)
PCFI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P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P 프로파일 지연 프로파일(Profile Delay Profile)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U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SCell 1차 2차 셀(Primary Secondary Cell)
PGW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Gateway)
PHICH 물리적 하이브리드-ARQ 표시 채널(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I 선점 표시자(Preemption Indicator)
PLMN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MI 프리코더 매트릭스 표시자(Precoder Matrix Indicator)
PRA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S 위치지정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SS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UC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ACH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QAM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CI QoS 클래스 표시자(QoS Class Indicator)
QoS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R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T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DR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eference Downlink Resource)
RL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F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M 무선 링크 관리 또는 모니터링 (Radio Link Management or Monitoring)
RNC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TI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RC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M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CP 기준 신호 코드 전력(Received Signal Code Power)
RSRP 기준 심볼 수신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 /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 기준 신호 수신 품질 / 기준 심볼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 Reference Symbol Received Quality)
RSSI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TD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SCH 동기화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SCS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ell 2차 셀(Secondary Cell)
UCI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Uplink)
URLLC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DAP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U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FN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GW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I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B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NR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MTC SS/PBCH 블록 관리 시간 구성(SS/PBCH Block Measurement Time Configuration)
SNR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ON 자체 최적화 네트워크(Self Optimized Network)
SS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B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S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TDD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OA 도착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OA 도착 시간(Time of Arrival)
TS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S 3차 동기화 신호(Tertiary Synchronization Signal)
TTI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Uplink)
UMTS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M 범용 가입자 신원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TDOA 업링크 도착 시간차(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UTRA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N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WCDMA 광역 CDMA(Wide CDMA)
WLAN 광폭 근거리 네트워크(Wide Local Area Network)
1006 : 네트워크
1010, 1010b,c : 무선 디바이스
1011 : 안테나
1012 :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1014 : 인터페이스
1016 : 증폭기
1018 : 필터
1020 : 프로세싱 회로
1022 : RF 송수신기 회로
1024 : 기저대 회로
1026 :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1030 :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032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
1034 : 보조 장비
1036 : 전원
1037 : 전력 회로
1060, 1060b : 네트워크 노드
1062 : 안테나
1070 : 무선 신호
1070 : 프로세싱 회로
1072 : RF 송수신기 회로
1074 : 기저대 회로
1080 :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084 : 보조 장비
1086 : 전원
1087 : 전력 회로
1090 : 인터페이스
1092 :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1094 : 포트/터미널
1096 : 증폭기
1098 : 필터

Claims (41)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704)로,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706)로, 상기 선점 표시자는 상기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점 표시자는 상기 RDR 도메인에서의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제2 데이터의 전송이 선점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채널을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속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상기 COT에 이어지는 상기 FFP 내에서 IDLE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상기 RDR 도메인 내에서 연속적으로 번호가 정해진 RDR 부분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RDR 부분은 상기 IDLE 주기 밖에 있는 방법.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상기 채널에서 업링크 통신을 위해 예정된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토크 전 청취(LBT)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LBT를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상기 주기는 상기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속하는 방법.
  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는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법.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가 전송될 채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 지정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802)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지정은 상기 PI가 전송되는 것과 동일한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지정은 상기 PI가 전송되는 기준 데이터 리소스와 다른 기준 데이터 리소스에서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지정은 상기 PI가 전송되기 이전에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1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시작부에서 시작되는 방법.
  1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종료부에서 끝나는 방법.
  1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에서 끝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IDLE 주기는 상기 FFP에서 상기 MCOT에 이어지고, 여기서 상기 IDLE 주기는 100 마이크로초 및 상기 FFP 기간의 5% 보다 큰, 또는 100 마이크로초 및 상기 MCOT 기간의 5% 보다 큰 기간을 갖는 방법.
  1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상기 RDR 세트 내의 각 RDR 도메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우를 갖는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프레임 주기 길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성 테이블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프로비저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에 걸쳐 있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IDLE 주기를 제외하면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의 종료부과 고정 프레임 주기 경계 사이에서 IDLE 주기에 걸쳐 있는 방법.
  22.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상기 MCOT에서 토크 전 청취(LBT)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2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DR 세트는 상기 채널을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정된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방법.
  2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가 전송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DCI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2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다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레이어 중 제1 MIMO 레어어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다수의 MIMO 레이어 중 제2 MIMO 레이어에서 선점되지 않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다수의 MIMO 레이어 모두에서 선점되는 방법.
  2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는 상기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시작부에서 전송되는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는 상기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프레임 주기(FFP)의 채널 점유 시간(COT) 중 종료부에서 전송되는 방법.
  31.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는 상기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동일한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전송되는 방법.
  32.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는 상기 RDR 도메인이 위치하는 것과 다른 채널 점유 시간(COT)에서 전송되는 방법.
  3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는 상기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전송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허가된 채널을 포함하는 방법.
  35.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1060)로서:
    프로세싱 회로(1070); 및
    상기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108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RAN 노드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704)로,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706)로, 상기 선점 표시자는 상기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RAN 노드가 제2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RAN 노드.
  37.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1060)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제1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702);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선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704)로,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데이터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도록 이전에 스케줄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가 되는 단계; 및
    선점 표시자(PI)를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706)로, 상기 선점 표시자는 상기 RDR 도메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RAN 노드는 제2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RAN 노드.
  3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방법으로서: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902)로, 여기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상기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904); 및
    상기 PI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906)를 포함하는 방법.
  40. 무선 디바이스(1010)로서:
    프로세싱 회로(1020); 및
    상기 프로세싱 회로와 연결된 메모리(103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902)로, 여기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상기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904); 및
    상기 PI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906)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1. 무선 디바이스(1010)로서:
    클리어 채널 평가(CCA) 과정을 따르는 채널에서 제1 무선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902)로, 여기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이전에 스케쥴링된 채널에서의 기준 다운링크 리소스(RDR) 도메인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RDR 도메인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채널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시간 주기를 제외하는 RDR 세트의 일부인 단계;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대해 선점적으로 상기 RDR 도메인에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점 표시자(PI)를 수신하는 단계(904); 및
    상기 PI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906)를 포함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디바이스.
KR1020227037300A 2020-04-02 2021-03-26 Nr-u에서 다운링크 선점을 위한 기준 리소스 KR20220162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04015P 2020-04-02 2020-04-02
US63/004,015 2020-04-02
PCT/SE2021/050274 WO2021201754A1 (en) 2020-04-02 2021-03-26 Reference resource for downlink preemption in nr-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732A true KR20220162732A (ko) 2022-12-08

Family

ID=7539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300A KR20220162732A (ko) 2020-04-02 2021-03-26 Nr-u에서 다운링크 선점을 위한 기준 리소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41148A1 (ko)
EP (1) EP4128919A1 (ko)
KR (1) KR20220162732A (ko)
CN (1) CN115606275A (ko)
BR (1) BR112022019753A2 (ko)
WO (1) WO2021201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97839A (zh) * 2020-08-05 2023-05-09 苹果公司 共享频谱上的无线通信中的ue发起的信道接入过程
US20240129952A1 (en) * 2022-10-14 2024-04-18 Apple Inc. Transmission Preemption for Wi-Fi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3485B2 (en) * 2015-01-08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on enhanced component carriers
US11297510B2 (en) * 2015-01-19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Medium access for shared or unlicensed spectrum
WO2018064128A1 (en) * 2016-09-28 2018-04-05 Idac Holdings, Inc. 5g nr data delivery for flexible radio services
EP3711222A1 (en) * 2017-11-17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hanced soft buffer handling
US10931355B2 (en) * 2018-01-16 2021-02-2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QCL association indication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d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10838B2 (en) * 2018-02-14 2022-04-1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and downlink preemption ind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1148A1 (en) 2023-05-11
BR112022019753A2 (pt) 2022-11-16
WO2021201754A1 (en) 2021-10-07
EP4128919A1 (en) 2023-02-08
CN115606275A (zh)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884638B (zh) 用于多波束随机接入的方法及对应的无线设备
JP7161832B2 (ja) ハンドオーバ実行におけるマルチビーム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CN113767710B (zh) 基于dl cca操作信息适配ue服务小区过程
JP7090718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プロシージャ
CN110771208B (zh) 对无线通信网络中的带宽部分进行切换
US11974320B2 (en) Methods providing control signaling and related wireless devices and network nodes
US20220191966A1 (en) Extension of a discontinuous reception active time
CN113170505B (zh) 免许可频谱中的随机接入和pucch的增强的信道占用共享机制
EP3925369B1 (en)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US20230189338A1 (en) COT/FFP Scheduling in Unlicensed Spectrum
JP7278407B2 (ja) ダウンリンククリアチャネル評価障害の指示
US20220304058A1 (en) Signaling listen-before-talk parameters
EP3858028B1 (en) Methods of signaling reserved resources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traffic
CN114731709A (zh) 用于随机接入过程的配置
US20230141148A1 (en) Reference resource for downlink preemption in nr-u
CN116195317A (zh) 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上覆盖范围增强的msg3和msga传输
KR102667233B1 (ko) 다운링크 클리어 채널 평가 실패의 표시
CN113875183A (zh) 发送和接收指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