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492A -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492A
KR20220162492A KR1020210071009A KR20210071009A KR20220162492A KR 20220162492 A KR20220162492 A KR 20220162492A KR 1020210071009 A KR1020210071009 A KR 1020210071009A KR 20210071009 A KR20210071009 A KR 20210071009A KR 20220162492 A KR20220162492 A KR 2022016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wireless information
ch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1007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492A/ko
Publication of KR2022016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은, 복수의 AP의 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AP의 신호 세기에 대한 랭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CHANGE USING WIRELESS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만 무선 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과 통신의 발달로 인해, 종전과 달리 근무지가 고정되지 않는 원격 근무 및 재택 근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근무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발생한 코로나 등과 같은 전염병 발생 등으로 인해 재택 및 원격 근무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회사에서는 직원이 원격 및 재택 근무 지원을 위해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VDI)나 Virtual Private Network (VPN)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시스템들은 사내 정보 보호 등과 같은 보안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원격 근무 시 보안의 관점에서, 카페와 같이 공공장소에서 원격 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보안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하더라도 화면 상에 정보가 노출되는 것은 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직원의 근무 위치에 대한 추가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또는 재택 근무자에 대해 관리자 또는 승인권자는 필요한 경우 유선 등을 통해 근무 상황을 확인토록 하고 있으며, 재택 또는 원격 근무자의 경우 개인적인 사정을 이유로 근무장소의 이탈, 변경 등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관리자 또는 승인권자에게 사전에 또는 즉시 보고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서 관리자 또는 승인권자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관리가 필요한 직원 수가 많음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재택 근무자가 연락 가능한 수단을 가지고 근무지를 이탈할 경우에는 정확한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업전용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또는 기기에서 확인 가능한 무선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근무자의 근태 관리가 가능한 솔루션 확보가 필요하다.
한편 원격/재택 근무자가 정상 근무를 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다만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무선 정보를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근무 시간 전체에 대해서 수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하루 8시간의 근무 시간 동안 30초 주기로 무선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이로 인하여 데이터 사용량, 트래픽, 전원 소모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만 무선 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은, 복수의 AP의 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AP의 신호 세기에 대한 랭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상기 스코어의 합을 이용하여 변화량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변화량 점수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이전 스캔 시점과 상기 현재 스캔 시점 간에 특정 AP의 랭킹 변화가 클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스캔 시점에 특정 AP가 유입된 경우, 상기 유입된 특정 AP의 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이 낮을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스캔 시점에 특정 AP가 유출된 경우, 상기 유출된 특정 AP의 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이 낮을 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근무 관리 방법은, 원격 근무자의 개인 단말 및 상기 원격 근무자의 업무용 단말의 초기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단말로부터 제1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단말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무용 단말로부터 제2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업무용 단말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상기 제2 위치 정보 및 상기 초기 위치를 이용하여, 정상 근무 보고, PC 도난 또는 보안 이슈 보고, 근무지 변경 보고 및 근무지 이탈 보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이고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외인 경우 상기 PC 도난 또는 보안 이슈 보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임계 범위 외이고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임계 범위 외인 경우 상기 근무지 변경 보고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변경 판단 장치가 위치 정보의 획득의 필요성을 1차적으로 판단하고,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서 위치 정보 획득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무선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사용량, 트래픽 및 전원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근무자가 개인적으로 소지하는 개인 단말의 위치와 원격 근무자가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PC의 위치를 이용하여 원격 근무자의 다양한 근무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근무 형태를 근태 관리에 활용하고, 기업 보안 솔루션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근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원격 근무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근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근태 관리 시스템은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 측위 서버(200) 및 근태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주변의 복수의 AP의 무선 정보를 수집하고, 측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무선 정보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또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측위 서버(200)에 무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주변의 AP를 스캔하여 주변의 AP(Access Point)의 무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정보는, AP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AP의 MAC address) 및 AP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P는 Wi-Fi 신호를 송출하는 Wi-Fi AP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치 측위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AP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기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의 이동 단말기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가 업무 수행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용어 “측위 서버(200)”는 용어 “서버(200)”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측위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위 서버(200)의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또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위 서버(200)의 통신부(210)는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로부터 무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서버(200)의 통신부(210)는 근태 관리 서버(300)에 근무 현황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측위 서버(200)의 제어부(220)는 측위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서버(200)의 메모리(230)는 측위 서버(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기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서버(200)의 메모리(230)는 AP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측위 서버(200)는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로부터 AP의 식별 정보 및 AP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위 서버(200)는 수신된 무선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서버(200)는 원격 근무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위 서버(200)는,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두 개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들을 이용하여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하고, 생성된 근무 현황 보고를 근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무 현황 보고는, 근무지 변경 보고, 근무지 이탈 보고, PC 도난/보안 이슈 보고 및 정상 근무 보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근태 관리 서버(300)는 측위 서버(200)로부터 근무 현황 보고를 수신하고, 수신된 근무 현황 보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근태 관리 서버(300)는 측위 서버(200)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위 서버(200)의 제어부(220)는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하고, 생성된 근무 현황 보고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은, 복수의 AP의 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210),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AP의 신호 세기에 대한 랭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30),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하는 단계(S250), 및,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무선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70)를 포함한다.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주변의 AP를 스캔하여 주변의 AP의 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S210). 여기서 무선 정보는, AP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AP의 MAC address) 및 AP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주변의 AP를 스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의 AP의 무선 정보는 주기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AP의 신호 세기에 대한 랭킹 정보를 획득(S230)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 정보는, AP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AP에 할당된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AP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었으며, 제1 AP로부터 수신된 제1 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제1 무선 신호의 랭킹 정보는 가장 낮은 1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AP에는 1이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AP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었으며, 제2 AP로부터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세기가 8번째로 큰 경우 제2 무선 신호의 랭킹 정보는 8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AP에는 8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신호의 세기가 큰 기 설정된 개수의 랭킹 정보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개수가 5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제1 시점에 주변을 스캔하여 무선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시점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5개의 랭킹 정보 및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5개의 무선 신호를 전송한 5개의 AP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5개의 랭킹 정보 및 5개의 AP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디.
또한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제2 시점에 주변을 스캔하여 무선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시점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5개의 랭킹 정보 및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5개의 무선 신호를 전송한 5개의 AP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5개의 랭킹 정보 및 5개의 AP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디.
한편 스캔된 AP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스캔된 AP의 개수의 랭킹 정보 및 AP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할 수 있다(S250).
이하에서는 복수의 AP 중 제1 AP의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1 시점에서의 제1 AP의 랭킹 정보를 Ranki, 제2 시점에서의 제1 AP의 랭킹 정보를 Rankj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00AABBCCDD라는 MAC address를 가진 제1 AP가 존재하고, 1 시점에서의 신호 세기가 1번째, 제2 시점에서의 신호 세기가 3인 경우, Ranki = 1, Rankj = 3일 수 있다.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현재 스캔 시점에서, 제1 AP는 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AP는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에는 리스트에 포함되었으나,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는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 제1 AP에 대한 스코어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Score: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AP에 대한 스코어, n: 기 설정된 개수, Ranki: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에서의 AP의 랭킹 정보)
여기서 1은 상수로써, 0 또는 다른 수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 제1 AP가 유출된 경우, 유출된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이 낮을 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1인 경우(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5인 경우(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작은 경우)보다, 더 높은 스코어가 부여될 수 있다. 이는 제1 시점에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컸던 AP가 제2 시점에는 스캔되지 않은 경우에,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현재 스캔 시점에 제1 AP가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AP는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에는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는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 제1 AP에 대한 스코어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Score: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AP에 대한 스코어, n: 기 설정된 개수, Rankj: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AP의 랭킹 정보)
여기서 1은 상수로써, 0 또는 다른 수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 제1 AP가 유입된 경우, 유입된 제1 AP의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이 낮을 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P의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1인 경우(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제1 AP의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5인 경우(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작은 경우)보다 더 높은 스코어가 부여될 수 있다. 이는 제1 시점에는 스캔 되지 않았던 AP가 제2 시점에는 가장 큰 세기의 무선 신호를 나타내며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1 AP는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에서의 리스트 및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리스트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 제1 AP에 대한 스코어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Score: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AP에 대한 스코어, n: 기 설정된 개수, Ranki: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에서의 AP의 랭킹 정보, Rankj: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AP의 랭킹 정보)
여기서 1은 상수로써, 0 또는 다른 수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과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 간에 제1 AP의 랭킹 변화가 클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1이고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5인 경우,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1이고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3인 경우보다 더 높은 스코어가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4이고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1인 경우,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4이고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3인 경우보다 더 높은 스코어가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AP의 제1 시점(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3이고 제2 시점(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 정보가 3인 경우, 가장 낮은 스코어인 0이 부여될 수 있다.
즉, AP의 랭킹 변화가 클수록,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스코어의 합을 이용하여 변화량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현재 스캔 시점에 유출된 AP의 스코어, 현재 스캔 시점에 유입된 AP의 스코어, 이전 스캔 시점의 리스트 및 현재 스캔 시점의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AP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변화량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4
(Decision: 변화량 점수, k: 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스코어의 개수, Scorel: 스코어)
한편 스코어의 합(
Figure pat00005
)에는 음수(-)가 붙는다. 즉 스코어의 합이 클수록(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높을수록), 변화량 점수(Decision)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량 점수가 0.75보다 작은 경우,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무선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270). 이 경우 제어부(120)는 현재 스캔 시점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270).
이 경우 서버(200)는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원격 근무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한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서버(200)는 두개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두 개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등의 개인 단말이며, 제2 사용자 단말은 업무를 위해 사용되는 업무용 단말로써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데스크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을 개인 단말이라고 명칭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을 PC라 명칭한다.
또한 PC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 무선 통신으로 인터넷 망과 연결될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PC일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 등 유선으로 인터넷 망과 연결되고 이동이 어려운 고정형 PC일 수 있다.
한편 개인 단말 및 이동형 PC는, 앞서 설명한 위치 변경 판단 장치(100)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한명의 사용자가 개인 단말 및 이동형 PC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며, 도 4에서는 한명의 사용자가 개인 단말 및 고정형 PC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버(200)는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S305).
사용자(원격 근무자)는 최초에 VDI / VPN를 활용하기 위해서,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200)로부터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를 전달 받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개인 단말에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를 전송하면서 무선 정보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단말은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고, 서버(200)는 수신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무선 정보 및 개인 단말의 GPS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복합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개인 단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를 이동형 PC 에 입력함으로써 이동형 PC를 인증하고, 이동형 PC에서 VDI / VPN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인증된 PC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PC인지 판단하고(S310),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PC인 경우 이동형 PC에 무선 정보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형 PC는 이동형 PC에서 수집되는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15). 이 경우 서버(200)는 이동형 PC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개인 단말과 이동형 PC의 위치를 동일 좌표로 설정하여, 개인 단말 및 이동형 PC의 초기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S320). 즉 개인 단말과 이동형 PC의 초기 위치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더욱 정확한 무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개인 단말의 위치를 개인 단말과 이동형 PC의 초기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200)는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와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를 모두 활용하되,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개인 단말 및 이동형 PC의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이동형 PC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S325). 구체적으로 개인 단말에서 수집되는 무선 정보가 이동형 PC에서 수집되는 무선 정보보다 더욱 정확하므로, 서버(200)는 개인 단말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형 PC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개인 단말은 개인 단말의 무선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의 무선 정보의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S330), 개인 단말은 개인 단말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40). 반면에, 개인 단말의 무선 정보의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개인 단말은 무선 정보의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S335).
한편 서버(200)는 수신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 즉 개인 단말의 절대 위치(좌표)를 추정할 수 있다(S345).
한편 이동형 PC는 무선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 PC의 무선 정보의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S350), 이동형 PC는 이동형 PC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60). 반면에, 이동형 PC의 무선 정보의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이동형 PC는 무선 정보의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S355).
한편 서버(200)는 이동형 PC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보정하고(S365), 보정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 즉 이동형 PC의 절대 위치(좌표)를 추정할 수 있다(S370).
한편 제1 임계 범위는 개인 단말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범위이고, 제2 임계 범위는 이동형 PC가 초기 위치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범위와 제2 임계 범위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한편 서버(200)는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인지 결정하고,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내인지 결정할 수 있다(S375).
그리고,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외이고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외인 경우는, 사용자가 개인 단말과 이동형 PC를 모두 소지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근무지 변경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S380).
또한,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외이고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내인 경우는, 사용자가 개인 단말만 소지한 채 다른 곳으로 이동한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근무지 이탈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S385).
또한,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이고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외인 경우는, 개인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나 이동형 PC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PC 도난 또는 보안 이슈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S390).
또한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이고 이동형 PC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내인 경우는, 개인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및 이동형 PC가 모두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정상 근무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S395).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한명의 사용자가 개인 단말 및 고정형 PC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을 참고하면, 서버(200)는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S305).
또한 서버(200)는 인증된 PC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PC인지 또는 인터넷 망과 유선 연결된 고정형 PC인지 판단하고(S310), 인터넷 망과 유선 연결된 고정형 PC인 경우 개인 단말과 고정형 PC의 위치를 동일 좌표로 설정하여, 개인 단말 및 이동형 PC의 초기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S400).
한편 개인 단말은 개인 단말의 무선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의 무선 정보의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S405), 개인 단말은 개인 단말에서 수집된 무선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415). 반면에, 개인 단말의 무선 정보의 변화량 점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개인 단말은 무선 정보의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S410).
한편 서버(200)는 수신된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 즉 개인 단말의 절대 위치(좌표)를 추정할 수 있다(S420).
한편 서버(200)는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인지 결정할 수 있다(S425).
그리고,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외인 경우는, 사용자가 개인 단말을 소지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근무지 이탈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S430).
반면에 개인 단말의 위치 정보가 초기 위치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인 경우는, 개인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정상 근무 보고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개인 단말은 무선 정보의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S410).
한편 서버(200)는 근태 관리 서버(300)에 근무 현황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근태 관리 서버(300)의 관리자는 사용자(원격 근무자)의 근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일한 근무 현황 보고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위치 변경 판단 장치 200: 측위 서버
300: 근태 관리 서버

Claims (6)

  1. 복수의 AP의 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AP의 신호 세기에 대한 랭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랭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현재 스캔 시점에서의 상기 스코어의 합을 이용하여 변화량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변화량 점수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무선 정보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이전 스캔 시점과 상기 현재 스캔 시점 간에 특정 AP의 랭킹 변화가 클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스캔 시점에 특정 AP가 유입된 경우, 상기 유입된 특정 AP의 현재 스캔 시점의 랭킹이 낮을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P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스캔 시점에 특정 AP가 유출된 경우, 상기 유출된 특정 AP의 이전 스캔 시점의 랭킹이 낮을 수록 높은 스코어를 부여하는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6. 원격 근무자의 개인 단말 및 상기 원격 근무자의 업무용 단말의 초기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단말로부터 제1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단말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무용 단말로부터 제2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업무용 단말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상기 제2 위치 정보 및 상기 초기 위치를 이용하여, 정상 근무 보고, PC 도난 또는 보안 이슈 보고, 근무지 변경 보고 및 근무지 이탈 보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 현황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1 임계 범위 내이고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임계 범위 외인 경우 상기 PC 도난 또는 보안 이슈 보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임계 범위 외이고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임계 범위 외인 경우 상기 근무지 변경 보고를 생성하는
    원격 근무 관리 방법.
KR1020210071009A 2021-06-01 2021-06-01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KR20220162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009A KR20220162492A (ko) 2021-06-01 2021-06-01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009A KR20220162492A (ko) 2021-06-01 2021-06-01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92A true KR20220162492A (ko) 2022-12-08

Family

ID=8443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009A KR20220162492A (ko) 2021-06-01 2021-06-01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4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1546B2 (en) Serve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reless management and topology
US8913270B2 (en) Authentication system having an authent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search record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roup information to find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800404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orkflow operations to a computing device
US8526929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sioning and management
US20170006576A1 (en) Serve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reless Management and Topology
CN111221484B (zh) 投屏方法及装置
JP20132427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590349A (zh) 一种基于Wi-Fi Aware和Wi-Fi Direct的移动考勤系统
CN105657660A (zh) 基站巡检终端的接入方法、巡检终端、服务器及基站
KR102229345B1 (ko) 무선 ap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근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근태 관리 시스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EP3057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environment context
CN110209956B (zh) 提供阅读服务的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US9888379B2 (en) Affiliation and disaffiliation of computing devices
KR20220162492A (ko) 무선 정보를 이용한 위치 변경 판단 방법
JP2019177990A (ja) エレベーター点検支援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作業情報管理方法
KR102232406B1 (ko) 무선 ap 접속 정보의 주기적 확인을 통해 실질적 근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근태 관리 시스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11210A (ko)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JP6218226B2 (ja) 端末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094719A (zh) 访问控制方法、装置、设备
US20180375741A1 (en) Datacenter service flow optimization
JP2015211337A (ja) 情報生成装置及び受信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JP7428429B1 (ja) 勤務状況管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645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6212794A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装置、位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79736A1 (en) Authentication device, individual identif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