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027A - 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 - Google Patents

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027A
KR20220162027A KR1020210181213A KR20210181213A KR20220162027A KR 20220162027 A KR20220162027 A KR 20220162027A KR 1020210181213 A KR1020210181213 A KR 1020210181213A KR 20210181213 A KR20210181213 A KR 20210181213A KR 20220162027 A KR20220162027 A KR 20220162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nsor
diaphragm
stem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7315B1 (en
Inventor
노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발
Publication of KR2022016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66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lve system for self-diagnosing a valve state in which a user can manage a valve in a more optimal state. The valve system for self-diagnosing a valve state comprises: a valve having a flow path; a pneumatic actuat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in the valve by moving a stem up and down with a diaphragm or a piston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luid; and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consisting of a pressure sensor, a density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in order to detect breakage of the diaphragm or piston and leakage of the valve, wherein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at one side of a second region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a first region where the fluid is supplied among regions partitioned by the diaphragm or the piston.

Description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Valve status self-diagnosis valve system {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

본 발명은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초기 센서 데이터에서 스템이 작동함에 따른 변화 값을 제거한 보정 센서 데이터를 얻고, 그 보정 센서 데이터를 가지고, 이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최적의 상태로 밸브를 관리할 수 있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system for self-diagnosing valve conditions,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a valve is abnormal, and obtains correction sensor data obtained by removing a change value due to the operation of a stem from initial sensor data , It is a valve state self-diagnosis valve system in which the user can manage the valve in a more optimal state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abnormality with the correction sensor data.

본 발명은 유로를 가지는 밸브와 그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해주는 공압 작동기가 하나로 설치되고, 그 공압 작동기의 내부에는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는 스템이 밸브 내의 유로를 개폐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밸브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alve having a flow path and a pneumatic actuat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are installed as one, and a stem connected to a diaphragm or a piston inside the pneumatic actuator can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within the valve. In addition, it refers to a type in which a sensor is attached to help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stalled valve is out of order.

이때,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의 파손 또는 밸브의 누설의 판단을 위해, 장착된 센서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통해 밸브 및 공압 작동기의 이상여부를 판단해 알려준다.At this time, in order to determine damage to the diaphragm or piston or leakage of the valve, it determines and informs whether the valve and pneumatic actuator are abnormal through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installed sensor.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압력 및 밀도의 변화가 스템의 이동에 의하는 것인지, 혹은 상기 밸브 실내에 갇힌 기체의 온도 변화의 영향에 의하는 것인지 구별하는 것이 곤란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the changes in pressure and density are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em or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gas trapped in the valve chamb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103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21036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초기 센서 데이터에서 스템이 작동함에 따른 변화 값을 제거한 보정 센서 데이터를 얻고, 보정 센서 데이터를 가지고, 이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최적의 상태로 밸브를 관리할 수 있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nd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a valve is abnormal, obtains correction sensor data obtained by removing a change value caused by the operation of a stem from initial sensor data, and obtains correction sensor data. Its purpose is to provide a valve state self-diagnosis valve system in which the user can manage the valve in a more optimal state by notifying the user of an abnorma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은 유로를 가지는 밸브와 제공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으로 스템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 내 유로를 개폐하는 공압 작동기와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의 파손 및 상기 밸브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 밀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으로 구획되는 영역 중 상기 유체가 제공되는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self-diagnosis valve system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valve having a flow path and a pneumatic actuat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in the valve by moving the stem up and down with a diaphragm or a piston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luid. and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essure sensor, a density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to detect breakage of the diaphragm or piston and leakage of the valve,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the diaphragm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rea,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area where the fluid is provided, among the areas partitioned by the frame or the piston.

이때, 상기 공압 작동기는 공압이 입력되는 입력 포트 및 공압이 출력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출력 포트에 설치되어 공압의 누설 여부를 검지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neumatic actuator includes an input port through which air pressure is input and an output port through which air pressure is output, and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at the output port to detect whether air pressure is leaked.

또한,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 및 밀도 센서를 포함하며, 최초에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센서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스템이 이동함에 따른 데이터 변화 값을 연속적으로 측정 및 산출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평균값에서 상기 데이터 변화 값을 제거하여 산출되는 보정 센서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다이아프렘 또는 피스톤의 파손 및 상기 밸브의 누설을 경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a density sensor, initially continuously measures and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sensor data, continuously measures and calculates a data change value as the stem moves, and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sensor data When the correction sensor data calculated by removing the data change value is out of a preset range, damage of the diaphragm or piston and leakage of the valve may be warned.

또한,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센서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는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칩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단말기의 접근 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receiving sensor data,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f at least one of an NFC or RFID tag to store the sensor data and when a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data can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작동기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장치 또는 조명 장치를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 alarm may be generated through an audio device or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neumatic actuator.

또한, 상기 공압 작동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템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installed outside the pneumatic actuator to indicate an open/closed state of the valv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display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em to visually inform a user of the open/closed state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m. can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elf-diagnosing valv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템의 이동에 따른 압력 변화 범위 및 실내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율을 고려해서 이들을 노이즈로 제거하면서 얻어지는 보정 센서 데이터로 상기 밸브의 이상유무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an error as to whether or not the valve is abnormal with correction sensor data obtained while removing noise by considering the range of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m and the expansion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room temperature.

둘째,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작동기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장치 또는 조명 장치를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전달하여 보다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an alarm is generated through an audio device or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neumatic actuator, and the abnormal state is quickly communicated to the user or manager, thereby enabling management in a more optimal state.

셋째,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칩이 포함되어 있는 제어부에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접근 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사용자가 보다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storing sensor data in a control unit containing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f NFC or RFID tag and transmitting the data when the user's terminal approaches, the user can manage it in a more optimal state. have.

넷째, 상기 공압 작동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설치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installing a display unit installed outside the pneumatic actuator to indicat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valve, visually providing the user with open/closed information of the val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naged in a more optimal stat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작동기 중 다이아프램의 단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작동기 중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aphragm in a pneumat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ston in a pneumat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s used herei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의 구성Composition of self-diagnosis valv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작동기 중 다이아프램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작동기 중 피스톤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aphragm of a pneumat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ston of a pneumat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밸브(1), 공압 작동기(2), 센서부(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valve system for self-diagnosing valve st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valve 1, a pneumatic actuator 2, and a sensor unit 30.

밸브(1)는 유로(3)와 스템(11)으로 구성된다.The valve 1 is composed of a flow path 3 and a stem 11.

유로(3)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으로 구비된다.The flow passage 3 is provided as a pipe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이때 유로(3)의 형상은 사용양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low path 3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mode and the like.

스템(11)은 유로(3)를 통해 유체가 통하거나 멈추거나 유량 등을 제어하기 위해 유로(3) 상부 일측에 홀을 통과하여 유로(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스템(11)은 공압 작동기(2)의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의 하면의 일측에 결합된다.The stem 11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3 by passing through a hole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path 3 in order to allow fluid to flow through the flow path 3, to stop, or to control the flow rate. The stem 1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4 or piston 5 of the pneumatic actuator 2.

이때, 스템(11)이 상하 이동을 통해 유로(11)를 개폐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m 11 may open and close the passage 11 through vertical movement.

밸브(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사용양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alve 1 is configured in common,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in consideration of usage conditions and the like.

공압 작동기(2)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neumatic actuator 2 includes a diaphragm 4 or a piston 5 depending on the usage.

공압 작동기(2)는 밸브(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스템(11)이 구비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밸브(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스템(11)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일실시예로, 다이아프램(4)을 사용하는 공압 작동기(2)는 크게 하우징(13), 다이아프램(4) 및 스프링(11a)으로 구성된다. The pneumatic actuator 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1,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valve 1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where the stem 11 is provided to operate the stem 11, as shown in FIG. As such, in one embodiment, the pneumatic actuator 2 using the diaphragm 4 is largely composed of a housing 13, a diaphragm 4, and a spring 11a.

하우징(13)은 밸브(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다이아프램(4) 및 스프링(11a) 등이 구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다이아프램(4)을 통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상부 하우징(2a) 및 하부 하우징(2b)으로 구성된다. The housing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1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diaphragm 4 and the spring 11a can be configured. No matter what size it is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t is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2a) and a lower housing (2b) in which the inner space is partitioned through the diaphragm (4).

상부 하우징(2a)은 하우징(13)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하우징(13)의 전체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3)이 전체적으로 육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 반구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2a forms the upper region of the housing 13, and its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hape of the housing 1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3 is shown as form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as a whole, but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to have a hemispherical or polygonal cross section depending on the usage mode.

또한, 상부 하우징(2a)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면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면 중심 일측에 작동 유체가 입출력 될 수 있도록 개방된 작동 유체 공급원(1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 open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2a,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more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working fluid can be input and output.

이때, 작동 유체 공급원(10) 주변 일측, 바람직하게는 다이아프램(4)이 상승하였을 때 다이아프램(4)과 상부 하우징(2a)이 맞닿는 면 일측에는 스토퍼(10a)를 두어 다이아프램(4)이 상승할 때 상부 하우징(2a)과의 접촉을 피해 다이아프램(4)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스토퍼(10a) 외에 다이아프램(4)과 상부 하우징(2a)의 접촉을 막고, 다이아프램(4)을 손상시키지 않는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a stopper 10a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surface where the diaphragm 4 and the upper housing 2a come into contact when the diaphragm 4 rises, so that the diaphragm 4 When it rises, it helps to prevent damage to the diaphragm 4 in advance by avoiding contact with the upper housing 2a. Depending on the usage mode, other than the stopper 10a, any member may be used as long as it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diaphragm 4 and the upper housing 2a and does not damage the diaphragm 4.

하부 하우징(2b)은 상부 하우징(2a)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하우징(2a)과 결합되어 내부에 다이아프램(4) 및 스프링(11a) 등의 구성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lower housing 2b has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pper housing 2a, and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2a so that components such as the diaphragm 4 and the spring 11a can be combined therein. provides

이때, 하부 하우징(2b)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스템(11)과 대응되는 하부 하우징(2b)의 바닥면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2b,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b corresponding to the stem 11.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a) 및 하부 하우징(2b)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3)의 내부 영역은 후술하는 다이아프램(4)을 통해 분리되어 상부 하우징(2a)을 통해 형성되는 상부 영역을 제1 영역(20), 하부 하우징(2b)을 통해 형성되는 하부 영역을 제2 영역(21)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region of the housing 13 composed of the upper housing 2a and the lower housing 2b is separated through a diaphragm 4 described later to form an upper region formed through the upper housing 2a. A lower area formed through the first area 20 and the lower housing 2b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21 .

다이아프램(4)은 하우징(13)의 내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 하우징(2a) 및 하부 하우징(2b)의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하우징(13)의 내부 영역을 구획하고, 상부 하우징(2a)의 작동 유체 공급원(1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하부로 팽창하며 스템(11)을 하강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다이아프램(4)은 탄성이 있는 얇은 판 형상의 간막으로 상부 하우징(2a)과 하부 하우징(2b)의 사이 일측에 구비된다. 구비된 다이아프램(4)은 내부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2a) 및 하부 하우징(2b)의 연결부위에서 오링(O-Ring)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이아프램(4) 외에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diaphragm 4 divides the inner area of the housing 13 around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3, preferably a joint between the upper housing 2a and the lower housing 2b, and the upper housing 2a It is a device that expands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and lowers the stem 11. The diaphragm 4 is an elastic thin plate-shaped partition and is provided on one side between the upper housing 2a and the lower housing 2b. The provided diaphragm 4 serves as an O-ring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housing 2a and the lower housing 2b to prevent leakag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herein. In addition to the diaphragm 4,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achieve this purpose.

또한, 스프링(11a)이 결합되어지는 다이아프램(4)의 하부면에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여 스프링(11a)과 다이아프램(4)이 직접 접촉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이아프램(4)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보강 부재는 어떠한 것으로 특정 지어지지 않고, 다이아프램(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이라면 선택적으로 결정되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4 to which the spring 11a is coupled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spring 11a and the diaphragm 4,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iaphragm 4.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member is not specified as anything, and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if it i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iaphragm 4.

이때, 스템(11)은 하부 하우징(2b)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다이아프램(4)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어 다이아프램(4)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하강 또는 상승하며 밸브(1)의 유로(3)를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stem 11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lower housing 2b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4, and descends or rises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iaphragm 4 and the passage of the valve 1 (3) is configured to be closed or opened.

스프링(11a)은 다이아프램(4) 및 하부 하우징(2b)의 바닥면 사이에 스템(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유체가 제공되는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21)에 구비된다. 여기서 스프링(11a)은 다이아프램(4)의 복원을 보조하는 장치이다.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스프링(11a) 외에 다이아프램(4)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공압이 제거되는 경우 다이아프램(4)을 상부 방향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장치 또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spring 11a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11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4 and the lower housing 2b, and is provided in the second area 21 opposite to the area where the fluid is supplied. . Here, the spring (11a) is a device that assists the restoration of the diaphragm (4). Depending on the mode of use, any devic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restore the diaphragm 4 upward when the air pressure that presses the diaphragm 4 downward, in addition to the spring 11a, is removed, preferably. Preferably, an elastic member such as an elastic device or rubber, and more preferably, a coil spring is used.

본 발명에 따른 공압작동기(2)는 스템(11)의 승강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스템(11)의 작동 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한 하부 격벽 하우징(12) 및 스템(11)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하부 격벽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 위치표시기(1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pneumatic actuato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and the stem 11 to secure more operating space for the stem 11 in order to more smoothly move the stem 11 up and down. In order to do so, a position indicator 11b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

하부 격벽 하우징(12)은 밸브(1)와 하우징(13), 바람직하게는 밸브(1)와 하부 하우징(2b) 사이에 구비되어, 스템(11)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위치표시기(11b)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하부 격벽 하우징(12)의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의 중앙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스템(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is provided between the valve 1 and the housing 13, preferably between the valve 1 and the lower housing 2b, to secure an operating space for the stem 11 and at the same time position indicator 11b. ) is a device that provides a space for inser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central sid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so that the stem 11 can pass therethrough.

이때, 내부에는 위치표시기(11b)와 눈금부(11c)가 구성이 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하부 격벽 하우징(12)이 전체적으로 육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 구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by providing a space inside which the position indicator 11b and the scale 11c can be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is shown as form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as a whole, but depending on the usage mode It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to have a spherical or polygon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또한, 하부 격벽 하우징(12)은 내부의 위치표시기(11b) 및 눈금부(11c)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위치표시기(11b) 및 눈금부(11c)와 대응되는 일측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사용양태에 따라 하부 격벽 하우징(12)은 전반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position indicator 11b and the scale 11c so that a user or manager can visually check the internal position indicator 11b and the scale 11c.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sponding one sid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obvious that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may be entire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depending on usage conditions.

위치표시기(11b)는 사용양태에 따라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식은 스템(11)의 일측에 위치센서 등을 통해 스템(11)의 승강에 따른 위치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 기계식은 위치표시기(11b) 및 위치표시기(11b)가 가리키는 눈금부(11c)를 두고 스템(11)이 이동에 따라 움직여 위치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The position indicator 11b may be configured electronically or mechanically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electronic type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a positional change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stem 11 through a position sensor on one side of the stem 11. In the mechanical type, the position indicator 11b and the scale part 11c indicated by the position indicator 11b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m 11 to show the change in position.

본 발명에서는 기계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였지만 사용양태에 따라 전자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위치표시기(11b)는 스템(11)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어 줄 수 있게 스템(11)의 중간 일측에 눈금을 가리킬 수 있는 위치표시기(11b)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하부 격벽 하우징(12)의 벽면 일측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눈금부(11c)가 구비되어 스템(11)의 이동에 따라 위치를 나타내어 줄 수 있게 구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chanical type is adopted and used, but it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nic type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position indicator 11b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 indicator 11b capable of indicating a scale on one side of the middle of the stem 11 so as to indic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tem 11, and a corresponding lower bulkhead housing. A scale part 11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of (12) to show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m 11.

이때, 스템(11)의 중간 일측의 눈금을 가리키는 위치표시기(11b) 또는 하부 격벽 하우징(12)의 벽면 일측의 눈금부(11c)는 특정하게 정해지지 않고, 사용 양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indicator 11b indicating the scale on one side of the middle of the stem 11 or the scale part 11c on one side of the wall of the lower bulkhead housing 12 is not specifically determined, and is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depending on the usage It can be.

도 2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일실시예로, 피스톤(5)을 사용하는 공압 작동기(2)는 크게 케이싱(14), 피스톤(5)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in one embodiment, the pneumatic actuator 2 using the piston 5 is largely composed of a casing 14 and a piston 5.

케이싱(14)은 내부에 피스톤(5) 및 스템(11) 등이 구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케이싱(14)은 피스톤(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 케이싱(2c) 및 스템(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싱(2d)으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싱(14)은 밸브(1)와 결합됨에 있어서 오링(6)을 추가하여 보다 밀접하게 결합시키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The casing 14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piston 5 and the stem 11 can be configured, and may be formed in any shape and size as long as this purpose can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casing 14 includes an upper casing 2c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5 and a lower casing 2d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11. It consists of In addition, when the casing 14 is coupled with the valve 1, an O-ring 6 is added to more closely couple it, and it is provided to prevent leakage of fluid.

상부 케이싱(2c)은 케이싱(14)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피스톤(5)의 외주면을 감싸고, 피스톤(5)의 외주면과 상부 케이싱(2c)의 내벽이 밀착되도록 구비하여 피스톤(5)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형성된다. 하지만 피스톤(5)을 포함하여 피스톤(5)이 상부 케이싱(2c)과 밀착되어서 상하이동을 함에 있어 방해하지 않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을 하여도 무관하다. The upper casing 2c forms the upper region of the casing 14, and its shape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5, and is provid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5 an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ing 2c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 5) is formed to secure sufficient space in providing a spac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However,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piston 5, including the piston 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asing 2c and secures a sufficient sp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ertical movement.

또한, 상부 케이싱(2c)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면 일측에 작동 유체가 입출력 될 수 있도록 개방된 작동 유체 공급원(1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 open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casing 2c,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working fluid can be input and output.

하부 케이싱(2d)은 상부 케이싱(2c)과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스템(11)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템(11)과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스템(11)의 상하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스템(11)을 포함하여 스템(11)이 하부 케이싱(2d)과 밀착되어서 상하이동을 함에 있어 방해하지 않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을 하여도 무관하다. The lower casing 2d is coupled to the upper casing 2c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as a size and shap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11 therein, and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m 11 so th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tem 11 It provides a space that does not impede movement. However,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stem 11, including the stem 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asing 2d and secures a sufficient space not to interfere with the vertical movement.

또한, 상부 케이싱(2c)과 하부 케이싱(2d)을 결합함에 있어서 요크 또는 보닛(40)이 사용되어 보다 밀접하게 결합시킨다. In addition, in coupling the upper casing 2c and the lower casing 2d, a yoke or bonnet 40 is used to more closely couple them.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2c) 및 하부 케이싱(2d)으로 구성되는 케이싱(14)의 내부 영역은 후술하는 피스톤(5)을 통해 분리되는 피스톤(5)의 상부 영역을 제1 영역(20)이라 하고, 피스톤(5)의 하부 영역을 제2 영역(21)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region of the casing 14 composed of the upper casing 2c and the lower casing 2d is the first region 20 of the upper region of the piston 5 separated through the piston 5 described later. ), and the lower region of the piston 5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region 21 .

피스톤(5)은 작동 유체의 압력을 받아 공압 작동기(2)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20) 및 제2 영역(21)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싱(2c)의 측벽면 내부와 접촉되고, 스템(11)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게 구비된다. 피스톤(5)의 중앙 일측에는 스템(11)이 통과하여 밀접하게 결합되고, 피스톤(5)의 중앙 일측, 바람직하게는 스템(11)이 통과하여 결합되어진 중앙 일측이 하부로 굽어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The piston 5 is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upper casing 2c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inside of the pneumatic actuator 2, preferably between the first area 20 and the second area 21 under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and is coupled with the stem 11 to move up and down. The central one side of the piston 5 passes through the stem 11 and is closely coupled, and the central one side of the piston 5, preferably the central one side through which the stem 11 passes and is coupled, is provided in a bent shape. do.

이때, 피스톤(5)의 형상은 도 2에서의 도시한바를 설명하는 예시일 뿐 피스톤(5)의 형상은 제한적이지 않고, 상부 케이싱(2c)과 접촉하고 스템(11)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piston 5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what is shown in FIG. 2, and the shape of the piston 5 is not limited, and can move up and down by contacting the upper casing 2c and being coupled with the stem 11. It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and sizes if it can achieve the purpose it has.

또한, 피스톤(5) 외에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other than the piston 5,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achieve this purpose.

전술한 바와 같이 공압 작동기(2)의 일실시예로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을 사용한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 외에 스템(11)을 승강시켜 유로(3)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using the diaphragm 4 or the piston 5 as one embodiment of the pneumatic actuator 2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n addition to the stem 11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3 by moving it up and down.

센서부(30)는 압력 센서, 밀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부(30)는 하우징(13) 또는 케이싱(14)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21) 내부의 상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2b) 또는 하부 케이싱(2d)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센서부(30)의 설치 위치는 하부 하우징(2b) 또는 하부 케이싱(2d)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양태에 따라 상부 하우징(2a) 또는 상부 케이싱(2c)에 구비되거나, 상부 하우징(2a) 또는 상부 케이싱(2c) 및 하부 하우징(2b) 또는 하부 케이싱(2d)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30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essure sensor, a densit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he sensor unit 3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3 or casing 14,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2b or lower casing 2d so as to measure the situation inside the second region 21. It is good to be provide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or unit 30 is not limited to the lower housing 2b or the lower casing 2d, but is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2a or the upper casing 2c or the upper housing 2a depending on the usage mode.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asing 2c and the lower housing 2b or the lower casing 2d.

이때, 센서부(30)에 복수의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는 상호 인접한 일측에 집중되도록 구비되거나, 상호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각도 이상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센서의 배치 방법은 밸브(1) 및 공압 작동기(2)의 크기, 용량,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sensors are used in the sensor unit 30,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to be concentrated on one side adjacent to each other, or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or a certain angle or more. It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considering the size, capacity, shape, etc. of the valve 1 and the pneumatic actuator 2.

또한, 스템(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스템(11)의 상하 운동을 통해 밸브(1)내 유로(3)를 개폐하였을 때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개폐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부(미도시)를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공압 작동기(2)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지며 스템(11)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1) 내 유로의 현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의 형태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not shown)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em 11 and visually providing open/closed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or manager when the flow path 3 in the valve 1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tem 1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Here,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side of the pneumatic actuator 2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passage in the valve 1 that is opened and closed as the stem 11 moves up and dow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is not limited and may be selectively made according to the usage mode.

또한, 밸브(1) 또는 공압 작동기(2)의 이상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켜줄 수 있는 오디오 장치(미도시) 또는 조명 장치(미도시)가 공압 작동기(2) 외부의 일측에 추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오디오 장치 또는 조명 장치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n audio device (not shown) or a lighting device (not shown)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to the user when an abnormality of the valve 1 or the pneumatic actuator 2 is detecte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neumatic actuator 2 outside. Additional may be provided. Here, the audio device or the lighting device is not limited and may be selectively made according to the usage mode.

또한, 센서부(30)와 연결되어 센서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미도시)를 추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공압 작동기(2) 일측 또는 공압 작동기(2)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칩을 포함하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가 접근 시 근거리 무선통신 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해준다. In addition,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 and receiving sensor data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neumatic actuator 2 or on one side adjacent to the pneumatic actuator 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 by wire or wirelessly and includes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f NFC or RFID tag. Alternatively, when the manager's terminal approaches, data is transmitted us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의 사용양태 Usage of self-diagnosis valve system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의 사용 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A use mode of the self-diagnosing valve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grea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to prevent confus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일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4)을 구비한 공압 작동기(2)를 활용한 밸브 상태 자가 진단 밸브 시스템의 사용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1 as an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se of the self-diagnosing valve system using a pneumatic actuator 2 having a diaphragm 4 is as follows.

다이아프램(4)을 구비한 공압 작동기(2)에서는 작동 유체 공급원(10)을 통해 작동 유체가 입력되면 입력된 작동 유체를 통해 제1 영역(20)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높아진 압력을 통해 제1 영역(20)이 팽창하게 됨에 따라 다이아프램(4)이 하강하게 된다. 다이아프램(4)이 하강하게 되면 연결되어 있는 스템(11)도 하강하면서 밸브(1) 내의 유로(3)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은 다이아프램(4)과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11a)을 누를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스템(11)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위치표시기(11b)의 눈금도 아래로 내려 감으로써 스템(11)의 현위치를 나타내어 준다. In the pneumatic actuator 2 having the diaphragm 4, when the working fluid is input through the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the pressure in the first region 20 increases through the input working fluid. As the first region 20 expands through the increased pressure, the diaphragm 4 descends. When the diaphragm 4 descends, the connected stem 11 also descends and closes the passage 3 in the valve 1. Here, the pressure is applied enough to press the spring 11a connected to the diaphragm 4, and the scale of the position indicator 11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em 11 also goes down. Show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tem (11).

반대로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공급원(10)을 통해 출력되면 제1 영역(20)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다이아프램(4)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다이아프램(4)과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11a)을 통해 다이아프램(4)의 상승을 보조하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working fluid is output through the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the pressure in the first region 20 decreases and the diaphragm 4 rises. Here, the elevation of the diaphragm 4 is assisted through the spring 11a connected to the diaphragm 4.

또한, 다이아프램(4)이 상승할 때 스토퍼(10a)까지만 상승하여 다이아프램(4)의 손상을 방지하여 준다. 다이아프램(4)이 상승하게 되면 연결되어 있는 스템(11)도 상승하게 되고, 스템(11)과 연결되어 있는 밸브(1) 내의 유로(3)를 개방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iaphragm 4 rises, it rises only up to the stopper 10a to prevent damage to the diaphragm 4. When the diaphragm 4 rises, the connected stem 11 also rises, and the passage 3 in the valve 1 connected to the stem 11 is opened.

이때, 위치표시기(11b)의 눈금도 같이 상승함으로써 스템(11)의 현위치를 나타내어 준다. At this time, the scale of the position indicator 11b also rises to indic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tem 11.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을 활용한 공압 작동기(2)를 활용한 밸브 상태 자가 진단 밸브 시스템의 사용양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 the use of the valve state self-diagnosis valve system using the pneumatic actuator 2 using the piston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피스톤(5)을 구비한 공압 작동기(2)는 작동 유체 공급원(10)을 통해 유체가 입력되어 높아진 압력으로 제1 영역(20)이 팽창하게 되고, 팽창을 통해 피스톤(5)이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5)이 하강하게 되면 연결되어 있는 스템(11)도 하강을 하게 된다. In the pneumatic actuator 2 having the piston 5, fluid is input through the working fluid supply source 10, the first region 20 expands with the increased pressure, and the piston 5 descends through the expansion. . When the piston 5 descends, the connected stem 11 also descends.

여기서 다이아프램(4)과는 반대로 스템(11)과 연결되어 있는 밸브(1) 내 유로는 개방하게 된다. Here, the passage in the valve 1 connected to the stem 11 opposite to the diaphragm 4 is opened.

반대로 작동 유체가 출력되면 제1 영역(20)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낮아진 압력을 통해 피스톤(5)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5)과 연결되어 있는 스템(11)도 상승하게 된다. 스템(11)의 상승에 의해 밸브(1) 내의 유로는 폐쇄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working fluid is output, the pressure in the first region 20 is lowered, and the piston 5 rises through the lowered pressure. Here, the stem 11 connected to the piston 5 also rises. As the stem 11 rises, the passage in the valve 1 is closed.

이때, 추가 구비할 수 있는 표시부로 통해 현 밸브(1) 내 유로(3)의 개폐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서 나타내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flow path 3 in the current valve 1 can be displayed by a user or manager through a display unit that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본 발명에서의 도 1과 도 2의 도시한바를 전술한 내용에서는 사용양태가 다이어프램(4)과 피스톤(5)의 움직임에 따른 유로(3)의 개폐가 반대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을 설명하기위한 예시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사용양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으로 해석되어야 한다.1 and 2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ssage 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4 and the piston 5 is reversed in the use mode,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user's or administrator's use mode as a non-limiting one.

센서부(30)는 압력 센서 및 밀도 센서를 포함하여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의 파손, 오링(6)의 파손 및 밸브(1)의 누설을 검지한다. 센서부(30)는 제2 영역(21)의 초기 상태를 압력 센서 및 밀도 센서로 압력 및 밀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한 초기 센서 데이터 값을 얻고, 여기서 얻어진 초기 센서 데이터 값의 평균을 내어 평균값을 얻는다. The sensor unit 30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a density sensor to detect breakage of the diaphragm 4 or piston 5, breakage of the O-ring 6, and leakage of the valve 1. The sensor unit 30 obtains initial sensor data values obtained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pressure and density of the initial state of the second area 21 with a pressure sensor and a density sensor, and averages the initial sensor data values obtained to obtain an average value. .

그리고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 스템(11)이 이동함에 따른 압력 및 밀도의 변화 값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평균값에서 제거한 보정 센서 데이터를 얻는다. 보정 센서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의 파손, 오링(6)의 파손 및 밸브(1)의 누설을 경고하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0% 내외의 변화로 보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10%내외의 범위를 5%~15% 또는 0%~20%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inuously measuring changes in pressure and density as the diaphragm 4, piston 5, or stem 11 moves, correction sensor data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m from the average value. If the correction sensor data is out of the preset range, a warning is given of damage to the diaphragm 4 or piston 5, damage to the O-ring 6, and leakage of the valve 1. Here, the preset range is regarded as a change of around 10%, and the user or manager may set the range of around 10% to the range of 5% to 15% or 0% to 20%.

또한, 보다 정확한 보정 센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보정 센서 데이터의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추가 구비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노이즈는 다이아프램(4) 또는 피스톤(5), 스템(11)의 이동에 따른 제2 영역(21)에 갇힌 기체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른 팽창률을 말한다. 보정 센서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보정 센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remove noise from the value of the corrected sensor data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corrected sensor data. The above-mentioned noise refers to the expansion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gas trapped in the second region 2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4, piston 5, or stem 11. By removing noise from the calibrated sensor data, more accurate calibrated sensor data can be obtained.

여기서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을 보내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이상 유무를 미연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이상여부의 판단을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When an abnormality signal occurs,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user or administrator so that the user or administrator can check the abnormality in advance. This enables the user or administrator to more quickly respond to the determination of abnormalities and manage them in an optimal state.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보내지는 알림으로는 아래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For notifications sent to users or administrators, refer to the description below.

이상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추가 구비될 수 있는 오디오 장치 또는 조명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it notifies the user or manager visually or audibly through an audio device or lighting device tha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it can be managed in an optimal state by responding more quickly.

또한, 추가 구비될 수 있는 제어부에서는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칩을 통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접근을 인지하여 센서부(30)에서 취합해서 저장해 놓은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ich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recognizes the user or administrator's access to the terminal through the provid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transmits the sensor data collected and stored in the sensor unit 30 to respond more quickly to an optimal state. allows you to manage

전술한 내용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위한 예시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사용양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usage mode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a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 limit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내용은 모든 면에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foregoing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밸브
2: 공압 작동기
2a: 상부 하우징
2b: 하부 하우징
2c: 상부 케이싱
2d: 하부 케이싱
3: 유로
4: 다이아프램
5: 피스톤
6: 오링
10: 작동 유체 공급원
10a: 스토퍼
11: 스템
11a: 스프링
11b: 위치표시기
11c: 눈금부
12: 하부 격벽 하우징
13: 하우징
14: 케이싱
20: 제1 영역
21: 제2 영역
30: 센서부
40: 요크 또는 보닛
1: valve
2: pneumatic actuator
2a: upper housing
2b: lower housing
2c: upper casing
2d: lower casing
3: Euro
4: diaphragm
5: Piston
6: O-ring
10: source of working fluid
10a: stopper
11: stem
11a: spring
11b: position indicator
11c: graduation part
12: lower bulkhead housing
13: housing
14: casing
20: first area
21: second area
30: sensor unit
40: yoke or bonnet

Claims (6)

유로를 가지는 밸브;
제공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으로 스템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 내 유로를 개폐하는 공압 작동기; 및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의 파손 및 상기 밸브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 밀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으로 구획되는 영역 중 상기 유체가 제공되는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A valve having a flow path;
a pneumatic actuator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in the valve by moving the stem up and down with a diaphragm or a piston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luid; and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essure sensor, a density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to detect damage of the diaphragm or piston and leakage of the valve;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second reg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region where the fluid is supplied, among regions partitioned by the diaphragm or the pist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 작동기는 공압이 입력되는 입력 포트 및 공압이 출력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출력 포트에 설치되어 공압의 누설 여부를 검지하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neumatic actuator includes an input port through which air pressure is input and an output port through which air pressure is output,
The valve system self-diagnosis valve system, wherein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at the output port to detect whether or not air pressure is leak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 및 밀도 센서를 포함하며,
최초에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센서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스템이 이동함에 따른 데이터 변화 값을 연속적으로 측정 및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평균값에서 상기 데이터 변화 값을 제거하여 산출되는 보정 센서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피스톤의 파손, 오링의 파손 및 상기 밸브의 누설을 경고하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a density sensor,
Initially, the correction sensor data calculated by continuously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sensor data, continuously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data change value as the stem moves, and removing the data change value from the data average value is set in advance. A self-diagnostic valve system that warns of damage to the diaphragm or piston, damage to the O-ring, and leakage of the valve when out of r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센서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는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칩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단말기의 접근 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receiving sensor data,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f at least one of an NFC or RFID tag to store the sensor data and to transmit the data when a user's terminal approach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압 작동기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장치 또는 조명 장치를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 valve system for self-diagnosing valve status, which generates an alarm through an audio device or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neumatic actu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 작동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템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installed outside the pneumatic actuator to indicat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valve,
Wherein the display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em to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valve to a us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m.
KR1020210181213A 2021-05-31 2021-12-17 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 KR10259731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9665 2021-05-31
KR1020210069665 202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027A true KR20220162027A (en) 2022-12-07
KR102597315B1 KR102597315B1 (en) 2023-11-02

Family

ID=8444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213A KR102597315B1 (en) 2021-05-31 2021-12-17 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31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207A (en) * 2011-06-30 2014-03-19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Valve signature diagnosis and leak test device
KR101470455B1 (en) * 2013-12-06 2014-12-08 주식회사파워테크 Apparatus for self diagnosis alarm system on pneumatic control valve
KR20160023148A (en) * 2014-08-21 2016-03-03 주식회사 밸칸 Actuated Pneumatic Control Valve
KR101836085B1 (en) * 2017-07-17 2018-03-09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Fluid leakage self-diagnosis system
KR20210021036A (en) 2018-06-30 2021-02-24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Diaphragm valve and its monitor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207A (en) * 2011-06-30 2014-03-19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Valve signature diagnosis and leak test device
KR101470455B1 (en) * 2013-12-06 2014-12-08 주식회사파워테크 Apparatus for self diagnosis alarm system on pneumatic control valve
KR20160023148A (en) * 2014-08-21 2016-03-03 주식회사 밸칸 Actuated Pneumatic Control Valve
KR101836085B1 (en) * 2017-07-17 2018-03-09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Fluid leakage self-diagnosis system
KR20210021036A (en) 2018-06-30 2021-02-24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Diaphragm valve and its monito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315B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992B2 (en) System for monitoring backflow preventer condition
CN11060338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failure in solenoid valve for manifold assembly
CN102472408B (en) For determin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fault mode of air-operated type control valve assembly
TWI687658B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of fluid controller,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fluid controller
CN104100754A (en) Intelligent actuator and method of monitoring actuator health and integrity
US11101089B2 (en) Independent pressure monitoring switch element
KR102402579B1 (en) Motion analysi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fluid control device
JP7444987B2 (en) a pressure relief device and a battery housing with the pressure relief device;
TW202006278A (en) Diaphragm valve and monitoring method for same
JP7315963B2 (en) FLUID CONTROL DEVICE, ERROR DETECTION METHOD FOR FLUID CONTROL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EP17331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neumatic valve control
JP5814822B2 (en)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for differential pressure / pressure combined sensor
JP7179377B2 (en) Fluid control equipment
KR20220162027A (en) Valve system with self-diagnosis of valve satatus
KR102229131B1 (en) Fluid control equipment
JP7265251B2 (en) Motion analysis system for fluid control device, motion analysis method for flui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070064497A (en) Oil pressure sensor for sensing fail prevent
CN112577679A (en) Leak monitoring of an isolation chamber of a pressure sensing device
US12000123B2 (en) System for monitoring backflow preventer condition
CN110475999B (en) Fluid actuated valve
KR102608664B1 (en) Control valve integrated with leakage detecting means
US20230332714A1 (en) Fluid control device
KR101060672B1 (en) Solenoid valve
JP2016180483A (en) Fluid control device
KR200476991Y1 (en) Diaphragm type pressure gauge having pressure leakage cutoff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