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892A -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892A
KR20220161892A KR1020210070192A KR20210070192A KR20220161892A KR 20220161892 A KR20220161892 A KR 20220161892A KR 1020210070192 A KR1020210070192 A KR 1020210070192A KR 20210070192 A KR20210070192 A KR 20210070192A KR 20220161892 A KR20220161892 A KR 20220161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lf
docto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
김효빈
김정민
강민영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7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892A/ko
Publication of KR2022016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상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사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사를 선택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Smart diagnosi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의사의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를 직접 선택하고,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문진의 편의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문진 또는 다양한 진료 정보 및 결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확인 가능하고 직접 현재 상태를 체크하여 상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6년간을 살펴보면, 정신 질병과 관련된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의료진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치료 시간이 짧고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 국내에서는 정신과 치료에 대한 잘못된 편견 때문에 정신과에 대한 정보가 쉽게 공유되지 못할 뿐 아니라 정보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환자 자신에게 맞는 의사를 선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정신과 치료를 위해서 환자와 의사 사이의 구두에 의존하는 문진 위주로 진료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아날로그 형태의 검사지를 이용하는 경우, 문진이 종료되면 환자가 문진 내용을 잊기 쉬울 뿐 아니라 검사지를 분실할 위험이 증가하여 병원을 옮기는 경우 검사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존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1204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가 스스로 의사를 선택하고, 미리 자가 검사를 수행하여 진료 시간을 단축할 뿐 아니라 문진 내용 및 기록을 연동하여 확인 가능하고 자가 검진 상태를 공유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의 대처를 기대할 수 있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상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사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사를 선택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 및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한 경우, 해당 자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병명을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예상 병명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은,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 기 저장된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은, 상기 최초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 또는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 관리부는, 상기 의사의 평가 점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상기 의사의 전문 분야, 상기 문진의 평균 비용, 전체 후기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제공 모듈;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후기 사용자의 후기를 분석하여 문진 관련 단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한 후 상기 문진 관련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후기 정보를 획득하는 후기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반영한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교체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포함하여 레이더 맵 형식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워드는 후기 정보에 포함된 복수개의 단어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의사의 예약 가능 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예약 희망 일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각각 전달하고, 확정된 예약 일정을 상기 예약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의사 단말기에 더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예약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문진 결과를 음성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문진 결과 처리 모듈; 및 상기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자가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누적 저장하여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는 상기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는 경우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상기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평가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은,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추천 정보 관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태 정보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사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사를 선택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한 경우, 해당 자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병명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 기 저장된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 또는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의사의 평가 점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상기 의사의 전문 분야, 상기 문진의 평균 비용, 전체 후기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후기 사용자의 후기를 분석하여 문진 관련 단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한 후 상기 문진 관련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후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반영한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포함하여 레이더 맵 형식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워드는 후기 정보에 포함된 복수개의 단어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의사의 예약 가능 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예약 희망 일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각각 전달하고, 확정된 예약 일정을 상기 예약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의사 단말기에 더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문진 결과를 음성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자가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누적 저장하여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는 상기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는 경우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상기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환자가 스스로 가장 알맞다고 판단되는 의사를 선택하고 자가 검사를 미리 수행하여 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문진 내용 및 기록을 연동하여 환자가 원하는 경우 확인 가능하고 자가 검진 상태를 공유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의 대처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추천 정보 관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태 정보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추천 정보 관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태 정보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의사 단말기(130)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달 받아 처리하고 다시 두 단말기(110, 130)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추천 의사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의사 선택 정보 및 예약 일정을 전달 받아 예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 및 의사 단말기(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문진이 종료되면 문진 내용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가 항상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확인한 후 이상을 감지하면 의사 단말기(130)로 전달하여 의사가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120)은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121), 추천 정보 관리부(122) 및 상태 정보 처리부(12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121)는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121)는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10),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 및 예상 병명 획득 모듈(2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 정보는 일 예로 로그인 정보 및 프로필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10)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기 저장된 문진 정보나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10)은 해당 사용자를 기 저장된 사용자로 판단하며, 문진 정보나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최초 사용자로 판단한다.
최초 사용자와 기 저장된 사용자의 구분은, 후술되는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에서 자가 진단 정보를 구분하여 획득하기 위해 요구된다.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자가 진단 설문지를 제공하고, 자가 진단 설문지에 대한 답변을 자가 진단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은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1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구분에 따라 서로 다른 자가 진단 설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10)에서 판단한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 경우,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설문지를 제공하여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 다시 말해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문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은 문진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약 정보만 존재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직 문진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은 일 예로 기 설정된 주기로 사용자 자신의 기분을 선택하는 자가 진단일 수도 있으며, 특이할만한 상황을 사용자가 느끼는 경우 해당 감정 또는 상황을 자세하게 기재하여 추후 의사와의 문진 시 의사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다른 예시로 문진 정보와 예약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예약일 당일까지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예약일 전날에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에서 획득한 자가 진단 정보 중 기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는 후술되는 상태정보 관리부(123)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최초 사용자의 자가 진단 정보인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는 예상 병명 획득 모듈(23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상 병명 획득 모듈(230)은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에서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한 경우,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전달 받아 분석하여 예상 병명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진단 설문지의 경우, 의사의 문진을 통해 예상되지 않는 병명을 제외할 수 없고, 하나의 증상이 복수개의 병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최대한 다양한 질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자가 진단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예상 병명 획득 모듈(230)은,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개의 예상 병명이 나타나는 경우, 확률이 높은 예상 병명 순서대로 복수개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일하게 병명에 대해 확신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의사 추천에 사용되어 보다 정확도 높은 의사 추천이 이루어질수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120)의 추천 정보 관리부(122)는 사용자에게 의사를 추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를 확인하며, 사용자가 선택 의사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면, 후기를 의사 평가에 반영하여 의사 추천 시 활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추천 정보 관리부(122)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정보를 갱신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정보 제공 모듈(310), 후기 정보 획득 모듈(320) 및 추천 정보 처리 모듈(33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천 정보 제공 모듈(310)은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추천 정보는 의사 평가 점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전문 분야, 평균 비용, 전체 후기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의사 평가 점수는 사용자 후기로부터 획득되며, 일반적인 별점 또는 5점 만점의 평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는 사용자가 기 저장한 주소로부터의 거리일 수도 있고, 현재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거리일 수도 있다. 전문 분야는 의사의 전공, 현재 의사의 문진 횟수가 잦은 병명, 사용자 후기로부터 획득한 병명 평가 점수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평균 비용은, 예상 병명에 대한 의사의 문진 시 발생한 비용의 평균값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 전체 후기는 의사와의 문진을 종료한 후 사용자가 작성한 후기로, 특정할 수 없도록 익명으로 표현될 수 있다. 키워드는 전체 후기에 포함된 단어들 중 병명 또는 문진과 관련된 단어일 수 있다.
한편, 추천 정보 제공 모듈(310)은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노출할 때,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이용하여 레이더 맵 형식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천 정보 제공 모듈(310)은 노출 설정을 확인하고, 노출 설정이 사용자 위치 기준인지 주소 위치 기준인지 확인한다. 추천 정보 제공 모듈(310)은 노출 설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의사를 선정하고, 선정된 의사의 추천 정보를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후기 정보 획득 모듈(320)은 사용자의 후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후기 정보 획득 모듈(320)은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후기 사용자의 후기를 분석하여 문진 관련 단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한 후 문진 관련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키워드로 포함하는 후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기 사용자는 실제 진료를 받고 후기를 작성한 사용자 중 선정될 수 있다. 후기 사용자는 후기들 중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공감 비율을 획득한 후기를 작성한 환자가 선정되며, 이때 공감 또는 비공감의 선택은 실제로 진료를 받은 다른 환자들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중에는 악의적으로 의사를 비방하거나 장난을 치기 위해 의사에 대한 후기를 나쁘게 작성하는 악성 사용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기 정보 획득 모듈(320)은 실제로 진료를 받은 환자들이 후기에 공감/비공감을 선택하도록 하여 환자들 자체적으로 다른 사용자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후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후기 사용자를 선별하도록 할 수 있다.
추천 정보 처리 모듈(330)은 후기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추천 정보에 변경점을 반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천 정보 처리 모듈(330)은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반영한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추천 정보와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변경된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대체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변경된 추천 정보는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의 후기에 가중치를 반영하고, 그 외 사용자의 후기에는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거나 감중치를 반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중치 또는 감중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추천 정보는 의사 평가 점수일 수 있으며, 감중치만 반영되는 추천 정보는 키워드일 수 있다. 이는 후기 전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읽어보면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고, 객관적인 값으로 나타나는 거리, 평균 비용, 전문 분야 등은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지만 의사 평가 점수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의견이기 때문에 악의를 가지는 사용자의 정보로 인해 객관성을 상실할 수도 있으며, 키워드의 경우 악의를 가진 사용자의 후기를 이용하게 되면 문진과 관련되지 않은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120)의 상태 정보 처리부(123)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태 정보 처리부(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정보 처리 모듈(410), 문진 결과 처리 모듈(420) 및 자가 평가 관리 모듈(4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약 정보 처리 모듈(3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를 확인하고, 해당 의사와의 예약 일정을 확정하도록 형성된다. 예약 정보 처리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택 의사를 확인하면, 선택 의사의 의사 단말기(130)로부터 예약 가능 일정을 획득한다. 예약 정보 처리 모듈(310)은 이후 예약 가능 일정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전달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예약 일정을 예약 희망 일정으로 하여 의사 단말기(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의사 단말기(130)로부터 예약 확정 정보를 전달 받으면, 해당 예약 일정을 사용자 단말기(110) 및 의사 단말기(130)에 예약 정보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과정을 보다 단순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천 정보 관리부(122)에서 추천 정보에 각 의사별 예약 가능 일정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의사를 선택하면 예약 가능 일정이 사용자 단말기(11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예약 가능 일정까지 선택한 선택 정보는 예약 정보 처리 모듈(310)로 전달될 수 있다. 예약 정보 처리 모듈(3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 및 예약 희망 일정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예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30) 및 의사 단말기(130)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문진 결과 처리 모듈(420)은 사용자와 의사 사이의 문진 내용을 획득하여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문진 결과 처리 모듈(420)은 사용자와 의사의 문진 과정에서 주고 받은 대화 및 서류를 녹음 및 스캔을 통해 디지털화 하여 문진 결과를 획득하고, 획득한 문진 결과를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진 과정에서 주고 받은 대화는 녹음된 음성 정보가 그대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화를 인공지능 또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텍스트화 한 텍스트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녹음이 아닌 영상 촬영이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영상 정보 및 영상 정보 내의 대화를 텍스트화 한 텍스트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문진 과정에서 발생한 서류의 경우 스캔을 통해 획득되면, 스캔한 파일이 영상 정보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텍스트화 하여 내용을 텍스트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문진 결과 처리 모듈(420)에서 처리된 문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의사와의 문진 내용을 쉽게 기억 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가 평가 관리 모듈(430)은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자가 평가 결과를 관리하고 변화를 확인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평가 관리 모듈(430)은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220)로부터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자가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누적 저장한다. 이때,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일 단위로 획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 누적되는 자가 평가 결과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다.
자가 평가 관리 모듈(430)은 누적되는 자가 평가 결과 데이터를 그래프와 같은 시각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출력함과 동시에 자가 평가 결과의 변화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는 자가 평가 결과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감시 도중 기 설정된 기순 값을 벗어나는 이상 자가 평가 결과를 확인하는 경우, 자가 평가 관리 모듈(430)은 해당 이상 자가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의사 단말기(130)로 출력하여 의사가 해당 결과를 확인하여 대처 정보를 입력하면, 자가 평가 관리 모듈(430)은 대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안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500)이 도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1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해당 시스템을 이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500)은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S510),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S520) 및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5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S510)는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를 이용해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단계 S510은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S610),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20) 및 예상 병명을 획득하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S6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 정보는 일 예로 로그인 정보 및 프로필 정보일 수 있으며 단계 S610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기 저장된 문진 정보나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단계 S610은 해당 사용자를 기 저장된 사용자로 판단하며, 문진 정보나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최초 사용자로 판단한다.
최초 사용자와 기 저장된 사용자의 구분은, 후술되는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20)에서 자가 진단 정보를 구분하여 획득하기 위해 요구된다. 단계 S620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단계 S620은 사용자 단말기에 자가 진단 설문지를 제공하고, 자가 진단 설문지에 대한 답변을 자가 진단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620은 단계 S61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구분에 따라 서로 다른 자가 진단 설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단계 S610에서 판단한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 경우, 단계 S620은 사용자 단말기에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설문지를 제공하여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 다시 말해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문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단계 S620에서는 문진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약 정보만 존재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직 문진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은 일 예로 기 설정된 주기로 사용자 자신의 기분을 선택하는 자가 진단일 수도 있으며, 특이할만한 상황을 사용자가 느끼는 경우 해당 감정 또는 상황을 자세하게 기재하여 추후 의사와의 문진 시 의사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다른 예시로 문진 정보와 예약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예약일 당일까지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예약일 전날에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획득한 자가 진단 정보 중 기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는 후술되는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530)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최초 사용자의 자가 진단 정보인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는 예상 병명을 획득하는 단계(S63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상 병명을 획득하는 단계(S630)는 단계 S620에서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한 경우,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전달 받아 분석하여 예상 병명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진단 설문지의 경우, 의사의 문진을 통해 예상되지 않는 병명을 제외할 수 없고, 하나의 증상이 복수개의 병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최대한 다양한 질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자가 진단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단계 S630은,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개의 예상 병명이 나타나는 경우, 확률이 높은 예상 병명 순서대로 복수개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일하게 병명에 대해 확신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의사 추천에 사용되어 보다 정확도 높은 의사 추천이 이루어질수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500)의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S520)는 추천 정보 관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의사를 추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를 확인하며, 사용자가 선택 의사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면, 후기를 의사 평가에 반영하여 의사 추천 시 활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단계 S520은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정보를 갱신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710), 후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20) 및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교체하는 단계(S7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S710)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추천 정보는 의사 평가 점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전문 분야, 평균 비용, 전체 후기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의사 평가 점수는 사용자 후기로부터 획득되며, 일반적인 별점 또는 5점 만점의 평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는 사용자가 기 저장한 주소로부터의 거리일 수도 있고,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거리일 수도 있다. 전문 분야는 의사의 전공, 현재 의사의 문진 횟수가 잦은 병명, 사용자 후기로부터 획득한 병명 평가 점수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평균 비용은, 예상 병명에 대한 의사의 문진 시 발생한 비용의 평균값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 전체 후기는 의사와의 문진을 종료한 후 사용자가 작성한 후기로, 특정할 수 없도록 익명으로 표현될 수 있다. 키워드는 전체 후기에 포함된 단어들 중 병명 또는 문진과 관련된 단어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710은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노출할 때,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이용하여 레이더 맵 형식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710은 노출 설정을 확인하고, 노출 설정이 사용자 위치 기준인지 주소 위치 기준인지 확인한다. 단계 S710은 노출 설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의사를 선정하고, 선정된 의사의 추천 정보를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후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20)는 사용자의 후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단계 S720은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후기 사용자의 후기를 분석하여 문진 관련 단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한 후 문진 관련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키워드로 포함하는 후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기 사용자는 실제 진료를 받고 후기를 작성한 사용자 중 선정될 수 있다. 후기 사용자는 후기들 중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공감 비율을 획득한 후기를 작성한 환자가 선정되며, 사용자 중에는 악의적으로 의사를 비방하거나 장난을 치기 위해 의사에 대한 후기를 나쁘게 작성하는 악성 사용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계 S720은 실제로 진료를 받은 환자들이 후기에 공감/비공감을 선택하도록 하여 환자들 자체적으로 다른 사용자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후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후기 사용자를 선별하도록 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교체하는 단계(S730)는 후기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추천 정보에 변경점을 반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730은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반영한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추천 정보와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변경된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대체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변경된 추천 정보는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의 후기에 가중치를 반영하고, 그 외 사용자의 후기에는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거나 감중치를 반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중치 또는 감중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추천 정보는 의사 평가 점수일 수 있으며, 감중치만 반영되는 추천 정보는 키워드일 수 있다. 이는 후기 전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읽어보면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고, 객관적인 값으로 나타나는 거리, 평균 비용, 전문 분야 등은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지만 의사 평가 점수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의견이기 때문에 악의를 가지는 사용자의 정보로 인해 객관성을 상실할 수도 있으며, 키워드의 경우 악의를 가진 사용자의 후기를 이용하게 되면 문진과 관련되지 않은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500)의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530)는 상태 정보 처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자가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5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S810), 문진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820) 및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S8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S8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를 확인하고, 해당 의사와의 예약 일정을 확정하도록 형성된다. 단계 S81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 의사를 확인하면, 선택 의사의 의사 단말기로부터 예약 가능 일정을 획득한다. 단계 S810은 이후 예약 가능 일정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예약 일정을 예약 희망 일정으로 하여 의사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810은 의사 단말기로부터 예약 확정 정보를 전달 받으면, 해당 예약 일정을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예약 정보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과정을 보다 단순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S520에서 추천 정보에 각 의사별 예약 가능 일정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의사를 선택하면 예약 가능 일정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예약 가능 일정까지 선택한 선택 정보는 단계 S8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8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 및 예약 희망 일정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예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문진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820)는 사용자와 의사 사이의 문진 내용을 획득하여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단계 S820은 사용자와 의사의 문진 과정에서 주고 받은 대화 및 서류를 녹음 및 스캔을 통해 디지털화 하여 문진 결과를 획득하고, 획득한 문진 결과를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진 과정에서 주고 받은 대화는 녹음된 음성 정보가 그대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화를 인공지능 또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텍스트화 한 텍스트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녹음이 아닌 영상 촬영이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영상 정보 및 영상 정보 내의 대화를 텍스트화 한 텍스트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문진 과정에서 발생한 서류의 경우 스캔을 통해 획득되면, 스캔한 파일이 영상 정보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텍스트화 하여 내용을 텍스트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계 S820에서 처리된 문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의사와의 문진 내용을 쉽게 기억 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S830)는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자가 평가 결과를 관리하고 변화를 확인하도록 형성된다. 단계 S830은 단계 S820으로부터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자가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누적 저장한다. 이때,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일 단위로 획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일 누적되는 자가 평가 결과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다.
단계 S830은 누적되는 자가 평가 결과 데이터를 그래프와 같은 시각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함과 동시에 자가 평가 결과의 변화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는 자가 평가 결과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감시 도중 기 설정된 기순 값을 벗어나는 이상 자가 평가 결과를 확인하는 경우, 단계 S830은 해당 이상 자가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여 의사가 해당 결과를 확인하여 대처 정보를 입력하면, 단계 S830에서는 대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안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121: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 122: 추천 정보 관리부
123: 상태 정보 처리부 130: 의사 단말기
210: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 220: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
230: 예상 병명 획득 모듈 310: 추천 정보 제공 모듈
320: 후기 정보 획득 모듈 330: 추천 정보 처리 모듈
410: 예약 정보 처리 모듈 420: 문진 결과 처리 모듈
430: 자가 평가 관리 모듈

Claims (14)

  1.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상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사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사를 선택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 및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한 경우, 해당 자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병명을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예상 병명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은,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 기 저장된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정보 획득 모듈은,
    상기 최초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 또는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 관리부는,
    상기 의사의 평가 점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상기 의사의 전문 분야, 상기 문진의 평균 비용, 전체 후기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제공 모듈;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후기 사용자의 후기를 분석하여 문진 관련 단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한 후 상기 문진 관련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후기 정보를 획득하는 후기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반영한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교체하도록 형성되는 추천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포함하여 레이더 맵 형식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워드는 후기 정보에 포함된 복수개의 단어로 선정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의사의 예약 가능 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예약 희망 일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각각 전달하고, 확정된 예약 일정을 상기 예약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의사 단말기에 더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예약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문진 결과를 음성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문진 결과 처리 모듈; 및
    상기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자가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누적 저장하여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는 상기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는 경우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상기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자가 평가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8. 자가 진단 정보 처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추천 정보 관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태 정보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와의 예약 정보를 공유하고, 문진 결과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사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사를 선택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한 경우, 해당 자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병명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사용자인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 기 저장된 문진 정보 또는 예약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상 병명 획득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경우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 또는 사전 문진용 자가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의사의 평가 점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상기 의사의 전문 분야, 상기 문진의 평균 비용, 전체 후기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전체 사용자 중 후기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후기 사용자의 후기를 분석하여 문진 관련 단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한 후 상기 문진 관련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후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사용자의 후기를 반영한 변경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추천 정보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포함하여 레이더 맵 형식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워드는 후기 정보에 포함된 복수개의 단어로 선정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의사의 예약 가능 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예약 희망 일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의사 단말기에 각각 전달하고, 확정된 예약 일정을 상기 예약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의사 단말기에 더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문진 결과를 음성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가 평가용 자가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자가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누적 저장하여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는 상기 자가 평가 결과 변화를 확인하는 경우 특이사항 발생 신호를 상기 의사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문진 관리 방법.
KR1020210070192A 2021-05-31 2021-05-31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1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92A KR20220161892A (ko) 2021-05-31 2021-05-31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92A KR20220161892A (ko) 2021-05-31 2021-05-31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92A true KR20220161892A (ko) 2022-12-07

Family

ID=8444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192A KR20220161892A (ko) 2021-05-31 2021-05-31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88B1 (ko) * 2023-06-12 2023-12-19 (주) 마인즈에이아이 모순되는 설문 데이터를 참조로 결정되는 모순 카테고리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04A (ko) 2018-12-10 2020-06-19 주식회사 비브로스 사전 문진표 작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04A (ko) 2018-12-10 2020-06-19 주식회사 비브로스 사전 문진표 작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88B1 (ko) * 2023-06-12 2023-12-19 (주) 마인즈에이아이 모순되는 설문 데이터를 참조로 결정되는 모순 카테고리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5470B2 (en) Tele-health networking, interaction, and care matching tool and methods of use
US8900141B2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determination
US11531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iagnostic software tool
US20160078188A1 (en) Evidence based medical record
US20110313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citing an expert opinion from a care provider and managing health management protocols
CN107924711A (zh) 健康护理服务器、健康护理服务器控制方法和健康护理程序
US20150112721A1 (en) Medical Transitional Care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Business Method
US20160098542A1 (en)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80294059A1 (en) Mental Health Modeling Language
US11545261B2 (en) Hospital healthcare provider monitoring and verifying device and system for patient care condition
KR20220161892A (ko) 스마트 문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31542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ystem compliance with measures to improve system health
Tai-Seale et al. Periodic health examinations and missed opportunities among patients likely needing mental health care
KR102410322B1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Hall et al. Estimating early language input in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with the language access profile tool
US20150310181A1 (en)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reatment of Patients
US20190311790A1 (en) Patient Care System
Park et al. Lessons learned when using mobil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in patients with psychotic-spectrum disorders following a psychiatric hospitalization
US202400964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health data processing
US2024016191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facilitating routing to a provider
JP6630964B2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6630965B2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6630963B2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6630961B2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6630962B2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