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835A -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 Google Patents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835A
KR20220161835A KR1020210070076A KR20210070076A KR20220161835A KR 20220161835 A KR20220161835 A KR 20220161835A KR 1020210070076 A KR1020210070076 A KR 1020210070076A KR 20210070076 A KR20210070076 A KR 20210070076A KR 20220161835 A KR20220161835 A KR 20220161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elastic
force
adjusting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연
김관기
조상원
강신우
Original Assignee
(주)미플러스코리아
채수연
김관기
조상원
강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플러스코리아, 채수연, 김관기, 조상원, 강신우 filed Critical (주)미플러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7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835A/ko
Publication of KR2022016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그립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인 가능한 핀셋은, 일단부가 서로 접하여 고정되고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며, 외력에 의하여 파지부가 서로 접하며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원되는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부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1 집게부 또는 제2 집게부에 끼움 결합되는 그립부와, 집게부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1 집게부 또는 제2 집게부에 끼움 결합되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여 집게부의 복원력과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 사이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Pincette that can control elasticity}
본 발명은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립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에 관한 것이다.
핀셋은 손으로 잡기 어려운 작은 물체를 잡기 위해 손가락 대용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핀셋은 의료용으로 상처부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의 손이 닿으면 안되는 상처부위를 치료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즉, 핀셋은 작고 오염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사람의 손가락 대신 잡아주는 도구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핀셋은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작은 물체나 얇은 실과 같은 것들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히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핀셋은 주로 사람의 엄지와 검지로 집게를 누르는 힘을 통해 물체를 파지한다. 사람의 외력이 사라지면 핀셋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집게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즉, 집게는 자체적인 복원력을 갖고 있어 끝단부가 외력에 의해 눌려지고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종래의 핀셋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지만 오랜 기간동안 반복해서 사용하다보면 변형이 생겨 탄성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핀셋은 핀셋의 복원력과 사람의 힘의 차이가 커, 파손되기 쉬운 물체들을 파지하는 경우 그립력(물체를 파지하는 힘)을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외피가 얇아 쉽게 터질 수 있는 작은 물체를 집어야 하는 경우, 파지하는 힘 조절이 쉽지 않아 물체가 쉽게 터져버려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기술적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005호(2013. 03. 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립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은, 일단부가 서로 접하여 고정되고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가 서로 접하며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원되는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 또는 상기 제2 집게부에 끼움 결합되는 그립부, 상기 집게부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 또는 상기 제2 집게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집게부의 복원력과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중앙에 슬릿 형상의 상기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납작한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제1 조절벽과 제2 조절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제1 집게부 또는 상기 제2 집게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벽과 상기 제2 조절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점차 두께가 좁아지거나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벽과 상기 제2 조절벽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와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의 탄성력과 벌어짐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셋의 그립력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작고 파손되기 쉬운 물체를 알맞은 힘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간단한 구조로 핀셋의 복원력을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체를 각기 다른 힘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은 집게에 탄성력을 더하기위한 부재를 집게에 결합하는 방향과 위치에 따라 핀셋의 복원력이 달라진다. 탄성력을 더하기 위한 부재는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마찰에 의해 집게에 고정되어 손쉽게 분리 결합 할 수 있어 그 사용성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탄성조절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의 다양한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탄성조절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1)은 단부가 서로 접하여 고정되고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파지부(20)를 형성하며, 외력에 의하여 파지부(20)가 서로 접하며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원되는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를 포함하는 집게부(10)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1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제1 집게부(11) 또는 제2 집게부(12)에 끼움 결합되는 그립부(30)와, 집게부(10)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2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제1 집게부(11) 또는 제2 집게부(12)에 끼움 결합되며,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여 집게부(10)의 복원력과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1)은 집게부(10)의 자체적인 탄성력과 탄성조절부(40)의 탄성력이 서로 결합되어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1)의 복원력이 형성된다. 또한, 그립부(30)는 이러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1)의 복원력에 더해 그립력을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1)은 집게부(10)에 결합되는 탄성조절부(40)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집게부(10) 사이의 벌어지는 각도 등을 조절하고 각각 다른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복원력을 갖는 집게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탄성조절부(40)는 집게부(10)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립부(30)는 집게부(10)를 파지하는 손이 위치하는 곳에 위치하여 그립감을 높여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집게부(10)의 그립력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우선, 집게부(10)는 동일 대칭 형상의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의 벌어진 일측으로 작은 물체를 파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는 일단부가 서로 접하고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타단부에 작은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0)를 형성한다. 집게부(10)는 물건을 집을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게부(1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는 일측이 벌어진 상태로 타측이 연결된 초기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파지부(20)가 서로 가까워지고 외력에 제거되면 원래대로 복원되는 형태를 갖는다. 집게부(10)는 작고 파손되기 쉬운 물체를 파지하기 위해 파지부(20)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며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20)는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외력이 없을 경우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집게부(10)에 물체를 잡기위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다시 말해,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가 마주하는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파지부(20)는 이격된 거리가 점차 좁아지며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집게부(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사자리게 되면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는 자체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다시 이격된 상태로 돌어갈 수 있다. 그립부(30)와 탄성조절부(40)는 이러한 고유의 복원력을 갖는 집게부(10)에 추가적으로 탄성력을 더하여 집게부(10)의 복원력을 높여줄 수 있으며, 이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립부(3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집게부(10)에 끼움결합 되어 집게부(10)의 그립감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집게부(10)를 사용하는 경우 그립부(30)에 손가락을 접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집게부(10)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립부(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관통홀(31)이 관통 형성되어 제1 집게부(11) 혹은 제2 집게부(12)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관통홀(31)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폭과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제1 집게부(11)혹은 제2 집게부(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그립부(30)는 제1 관통홀(31)을 기준으로 양측면이 모두 동일한 두께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그립부(30)는 제1 관통홀(31)을 기준으로 양측면이 대칭되고, 양측면은 각각 제1 관통홀(31)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30)는 집게부(10)의 외측에 위치하는 면을 외측면,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위치하는 면을 내측면이라하면, 외측면은 손가락에 의한 외력을 집게부(1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내측면은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더 나아가, 그립부(30)는 파지부(20)의 최소 간격을 제한하고 집게부(10)의 그립력을 조절 수 있다. 그립부(30)는 파지부(20)측에 결합되는 경우,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의 이격된 끝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의 끝단이 서로 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찢어지거나 터지기 쉬운 물체를 파지하는 경우 파지부(20)의 간격이 과도하게 좁하져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그립부(30)의 내측면이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접하는 경우 집게부(10)에 추가적으로 탄성력을 더 부여하여 집게부(10)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탄성조절부(40)는 그립부(30)와 동일한 재질인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집게부(10)의 복원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조절부(40)는 집게부(10)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결합되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다양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탄성조절부(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과 높이가 일정한 제2 관통홀(41)이 관통 형성되며, 제2 관통홀(41)로 집게부(10)를 관통시켜 끼움결합 된다. 탄성조절부(40)는 그립부(30)와 함께 하나의 집게부(10)에 순착적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탄성조절부(40)와 그립부(30)는 차례로 제1 집게부(11) 혹은 제2 집게부(12)에 나란히 결합된다. 탄성조절부(40)는 집게부(10)의 접하는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그립부(30)는 집게부(10)의 파지부(20) 측에 위치한다. 탄성조절부(40)는 집게부(10)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고 탄성력을 더해주어 최종적으로 집게부(10)의 복원력을 조절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조절부(40)는 제2 관통홀(41)을 기준으로 양측면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다. 특히, 탄성조절부(40)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측의 두께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변하도록 형성된다. 탄성조절부(40)는 이러한 경사진 일측면인 제1 조절벽(42)과, 제2 관통홀(41)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조절벽(43)을 포함한다.
제1 조절벽(42)은 상대적으로 제2 조절벽(43)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집게부(10) 사이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조절벽(42)은 두께가 점차 줄어들거나 커지는 형상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제1 조절벽(42)은 최대 A1 두께 에서부터 최소 A2 두께까지 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1 조절벽(42)은 양단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어 집게부(10)에 끼워지는 방향에 따라 집게부(1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조절부(40)의 제1 조절벽(42)이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 방향을 향하도록하고 A1 두께 측면을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의 접하는 일단부 측을 향하게 결합하는 경우, 제1 조절벽(42)은 A1 두께 측면이 파지부(20) 측을 향하게 결합하는 것보다 더 큰 탄성력을 집게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조절벽(42)의 A1 두께 측면이 집게부(10)의 파지부(20) 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제1 조절벽(42)은 집게부(10)의 내측에 접하되 접하는 집게부(10)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집게부(10)에 밀착되며 보다 작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조절벽(43)은 두께가 B로 일정하게 형성되며 제2 관통홀(41)과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제2 조절벽(43)은 주로 집게부(10)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결합된다. 제2 조절벽(43)은 그립부(30)의 일측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집게부(10)에 나란히 결합되었을 때 그립부(30)와 탄성조절부(40)의 외측면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탄성조절부(40)와 그립부(3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이 동일한 높이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서로 접하도록 집게부(10)에 결합되어도 외측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아 일체감을 형성하여 미관상 통일감을 부여하여 편리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의 다양한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큰 물체를 파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보다 작은 물체를 파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보다 작은 물체를 파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집게부(10)는 집게부(10) 자체의 탄성력과 탄성조절부(40) 혹은 그립부(30)의 탄성력이 더해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갖는다. 다시 말해, 집게부(10)의 복원력은 집게부(10) 자체 탄성력과 탄성조절부(40) 혹은 그립부(30)의 탄성력이 더해져 형성된다. 집게부(10)의 자체 탄성력은 집게부(10)의 형상 및 재질에 의해 고유하게 형성된 값이다. 이에 따라, 집게부(10)의 복원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탄성조절부(40) 혹은 그립부(30)를 이용하여 조절해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게부(10)는 큰 힘을 갖는 손가락을 대신해 작은 물체를 작은 힘으로 정밀하게 파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미세하게 작은 힘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탄성조절부(40)와 그립부(30)는 힘의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물체를 파지하는 경우의 도면이고,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1)은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의 크기나 특성에 따라 자체 복원력을 조절하여 물체를 파지하는 힘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도 4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조절부(40)의 제1 조절벽(42)을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위치시키되, 제1 조절벽(42) 중 두께가 두꺼운 측면을 집게부(10)와의 결합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집게부(10)의 복원력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탄성조절부(40)의 제1 조절벽(42)은 제1 집게부(11) 혹은 제2 집게부(1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를 벌려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는 예를들어, 파지부(20)의 간격보다 큰 물체를 집기 위한 경우 탄성조절부(40)를 이용해 집게부(10)의 각도를 크게 조절하여 파지부(20)의 간격을 늘여주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집게부(10)의 복원력보다 손가락의 힘이 크게 센 경우 탄성조절부(40)를 이용해 집게부(10)의 복원력을 키워 손가락의 힘으로 물체를 파지하는 힘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하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조절부(40)의 경사면을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위치시키되, 제1 조절벽(42) 중 두께가 얇은 측면을 집게부(10)와의 결합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집게부(10)의 복원력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도 5의 경우는 도 4의 경우보다 집게부(10)의 복원력이 작게 형성된다. 탄성조절부(40)는 제1 조절벽(42)의 전체면적이 제1 집게부(11) 혹은 제2 집게부(12)의 내측면에 완전 밀착되어 집게부(10)의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는,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보단 집게부(1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집게부(10)의 복원력을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탄성조절부(40)의 제1 조절벽(42)의 방향에 따라 집게부(10)에 더해지는 탄성조절부(40)의 탄성력을 각기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조절부(40)는 집게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어느 위치에든 결합이 가능하여 결합위치에 따라 탄성력을 모두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개인의 힘에 맞는 탄성력으로 조절하여 집게부(10)를 조작하는 힘을 개개인에 맞춰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탄성조절부(40)는 집게부(10)에 결합되는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집게부(10)에 부여하는 탄성력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립부(30)와 탄성조절부(40)는 파지부(2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집게부(10)에 가하는 탄성력을 낮춰줄 수 있다. 이때, 그립부(30)는 파지부(20)와 인접하여 파지부(20)의 그립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립부(30)는 파지부(20)에서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 사이에 접하며, 제1 집게부(11)와 제2 집게부(12)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최소 폭을 제한한다. 도 6과 같은 그립부(30)와 탄성조절부(40)의 배치구조는, 머리카락 혹은 쉽게 부러지는 실과 같이 매우 얇고 작은 물체를 파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지부(20)의 간격보다 현저히 작고 찢어지거나 파손되기 쉬운 물체를 파지해야 하는 경우, 파지부(20)와 근접하게 그립부(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위치시켜 파지부(20) 사이가 그립부(30)의 일측 두께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체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10: 집게부 11: 제1 집게부
12: 제2 집게부 20: 파지부
30: 그립부 31: 제1 관통홀
40: 탄성조절부 41: 제2 관통홀
42: 제1 조절벽 43: 제2 조절벽

Claims (6)

  1. 일단부가 서로 접하여 고정되고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가 서로 접하며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원되는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 또는 상기 제2 집게부에 끼움 결합되는 그립부;
    상기 집게부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 또는 상기 제2 집게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집게부의 복원력과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중앙에 슬릿 형상의 상기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납작한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제1 조절벽과 제2 조절벽이 형성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제1 집게부 또는 상기 제2 집게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벽과 상기 제2 조절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점차 두께가 좁아지거나 두꺼워지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벽과 상기 제2 조절벽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 사이의 탄성력과 벌어짐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는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KR1020210070076A 2021-05-31 2021-05-31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KR20220161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76A KR20220161835A (ko) 2021-05-31 2021-05-31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76A KR20220161835A (ko) 2021-05-31 2021-05-31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35A true KR20220161835A (ko) 2022-12-07

Family

ID=8444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076A KR20220161835A (ko) 2021-05-31 2021-05-31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8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05B1 (ko) 2011-01-14 2013-03-29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족집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05B1 (ko) 2011-01-14 2013-03-29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족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1867A1 (ja) 医療用把持装置
US4177698A (en) Finger fit implement
US4079765A (en) Implement for holding and guiding nails
WO2006065641A2 (en) Double headed tweezers
US10765413B2 (en) Handle for microsurgical instruments
US20060175853A1 (en) Tweezer
CO4700323A1 (es) Mango para afeitadora
US20050070927A1 (en) Tissue approximation device
US20070151572A1 (en) Hair pick
US6242677B1 (en) Plectrum auxiliary device for string musical instruments
JP2019216947A (ja) 止血器具
KR20220161835A (ko) 탄성 조절이 가능한 핀셋
WO2012004885A1 (ja) 毛抜き
US20090066101A1 (en) Easy view tweezers
US5405353A (en) Microsurgical needle holder
JP2012086292A (ja) 開閉作業具
US20170273704A1 (en) Combined tweezers and method of using combined tweezers
JP6296705B2 (ja) 手で使用する挟み具のための連結具
US5893307A (en) Pliers with biasing element
JP2018143558A (ja) 医療用鋼製ピンセット
JP5002400B2 (ja) 筆記具保持用補助具
JP6876318B2 (ja) 医療用器具
US11344096B2 (en) Tweezers
KR20170098403A (ko) 손가락 반지형 핀셋
KR200415184Y1 (ko) 역작용으로 파지하는 핀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