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669A -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669A
KR20220161669A KR1020210069673A KR20210069673A KR20220161669A KR 20220161669 A KR20220161669 A KR 20220161669A KR 1020210069673 A KR1020210069673 A KR 1020210069673A KR 20210069673 A KR20210069673 A KR 20210069673A KR 20220161669 A KR20220161669 A KR 2022016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oulder
lower arm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720B1 (ko
Inventor
조형철
Original Assignee
조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철 filed Critical 조형철
Priority to KR102021006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720B1/ko
Priority to PCT/KR2022/007715 priority patent/WO2022255767A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 A61F5/3784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directly connected to the trunk, e.g. with j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Abstract

본 발명의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는, 치매환자가 손을 움직여 주사바늘 빼기, 자해, 치료부위 훼손, 배설물 접촉 등 부주의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팔을 보호하고 침대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되 팔을 직접 결박하지 않아 팔에 상처가 생기지 않고 착용이 쉬우며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롭고 손을 관리할 수 있으며 바람이 잘 통하여 착용감 및 피부 보호에 좋으면서 행동이 자연스러운 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는, 관체 형상으로 손과 팔이 수용되는 팔 억제부; 및 선단은 팔 억제부에 연결되고 중심부는 어깨와 쇄골, 목을 두르며 착용되는 어깨착용부;를 포함하되, 팔 억제부는, 상박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되는 상박부; 상박부에 이어지며 하박 및 손을 수용하는 하박부; 및 하박부 내측면에 밀착되며 손을 수용하고 탈부착 방식으로 구비되는 손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박부는, 일단 상면에서 삼각근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회전이 이뤄지는 삼각근커버단; 일단 테두리가 상박부의 일단 상면 및 양 측면을 따라 부착되어 삼각근커버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타단 테두리를 따라 연결탈착부재가 구비되어 어깨착용부에 결합되는 어깨연결단; 및 일단은 어깨연결단에 부착되고 타단은 어깨착용부에 결합되는 잠금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어깨착용부는, 목 착용구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착용부재; 연결탈착부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탈착고정부재; 및 잠금풀림방지부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풀림대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Dementia Patient Arm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매환자가 손을 움직여 주사바늘 빼기, 자해, 치료부위 훼손, 배설물 접촉 등 부주의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팔을 보호하고 침대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되 팔을 직접 결박하지 않아 팔에 상처가 생기지 않고 착용이 쉬우며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롭고 손을 관리할 수 있으며 바람이 잘 통하여 착용감 및 피부 보호에 좋으면서 행동이 자연스러운 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는, 어깨를 두르며 착용되는 어깨착용부의 양 측단 또는 일 측단에 사각형 혹은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어 삼각근부터 상박, 하박, 손까지 일자형으로 수용하며 부위별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팔 억제부가 구비되고, 팔 억제부 내에서 팔이 소정 공간 움직일 수 있고 상박부에 통풍공이 형성되어 팔이 답답하지 않고 통증 및 상처 발생 우려가 없으며, 팔 억제부의 외측에는 하박부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침대 프레임에 결박할 수 있는 고정유닛이 구비되어 팔 고정장치의 프레임 결박이 수월하며, 손보호부는 하박부에 탈착되도록 구성되고 손보호부를 탈거하면 하박부의 밴드를 풀어 커버를 젖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팔 고정장치를 풀지 않고도 손목과 손이 노출될 수 있어서 혈당 체크 등의 치료, 검진 행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환자 보호 및 안전은 물론 치료 실용성을 두루 갖춘 치매 환자용 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매환자는 비정상적인 판단으로 상식적인 범주를 벗어난 행동을 종종 일삼게 되어 보호자나 의료인력이 낭패를 겪는 일이 발생하곤 하는데, 특히 수족의 움직임은 문제없으나 중증 치매를 앓거나 특정 정신질환으로 올바른 판단을 잘 못하는 경우 손을 이용하여 자해를 하거나, 팔에 부착된 주사바늘이나 입에 부착된 호흡기 등을 빼는 경우도 있고, 본인의 상처 부위를 긁어 상처가 더욱 심해지거나 짓무르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하게는 자신의 배설물을 만지고 삼키는 등의 행위가 이뤄지고 있어서, 중증 치매환자나 정신질환자의 경우 병원, 요양원, 가정 등 보호시설에서는 상기 환자의 팔을 침대 프레임에 결박하여 고정하는 일이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환자를 구속하여 거추장스러운 일을 방지하는 차원이 아니라, 환자의 원활한 치료와 고통 경감을 도모하고 배설물 접촉, 상처 훼손 등 환자 건강에 직접적인 위해가 될 수 있는 일을 방지하고자 하는 궁여지책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래서 종전에는 팔을 직접 침대 프레임에 끈으로 묶거나, 환자복의 팔 부위에 끈을 부착하여 침대 프레임에 묶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렇게 되면 환자의 팔에 압박이 가해져 고통이 생기고 환자가 답답해하여 반항이 심해지고 움직임이 많아지며 그러할수록 상처가 생기고 짓물러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큰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팔이 삽입되는 관체의 고정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팔에 밀착되며 옥죄어 팔이 답답하고 공기가 통하지 않아 피부에 나쁜 영향을 끼치며, 앉아있거나 보행 시 고정장치가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고, 손에서 채혈하여 혈당 체크를 하거나 손목에 바늘을 삽입하려고 할 때 고정장치를 다 풀어야 하고 침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여 혈당 체크 또는 바늘 투입과 빼기 등을 할 때 환자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공격적 행동으로 인해 정상 진료가 이뤄지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치매환자 등이 위험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팔을 보호할 수 있되, 침대 등 프레임에 결박할 수도 있고 또는 보행이나 앉아있는 경우 흘러내리지 않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팔이 압박되지 않아 통증과 답답함이 없으면서 결박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팔이 고정된 상태에서 혈당 체크 등 진료 행위 또한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어서, 환자의 보호와 안전을 지키면서 환자가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팔 고정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4676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어깨를 두르며 착용되는 어깨착용부의 양 측단 또는 일 측단에 사각형 혹은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어 삼각근부터 상박, 하박, 손까지 일자형으로 수용하며 부위별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팔 억제부가 구비되고, 팔 억제부 내에서 팔이 소정 공간 움직일 수 있고 상박부에 통풍공이 형성되어 팔이 답답하지 않고 통증 및 상처 발생 우려가 없으며, 팔 억제부의 외측에는 하박부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침대 프레임에 결박할 수 있는 고정유닛이 구비되어 팔 고정장치의 프레임 결박이 수월하며, 손보호부는 하박부에 탈착되도록 구성되고 손보호부를 탈거하면 하박부의 밴드를 풀어 커버를 젖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팔 고정장치를 풀지 않고도 손목과 손이 노출될 수 있어서 혈당 체크 등의 치료, 검진 행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치매환자가 손을 움직여 주사바늘 빼기, 자해, 치료부위 손상, 배설물 접촉 등의 부주의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팔을 보호하고 침대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되 팔을 직접 결박하지 않아 팔에 상처가 생기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여 착용감 및 피부 보호에 좋도록 하여, 환자 보호 및 안전은 물론 치료 실용성을 두루 갖춘 치매 환자용 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는, 관체 형상으로 손과 팔이 수용되는 팔 억제부; 및 선단은 팔 억제부에 연결되고 중심부는 어깨와 쇄골, 목을 두르며 착용되는 어깨착용부;를 포함하되, 팔 억제부는, 상박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되는 상박부; 상박부에 이어지며 하박 및 손을 수용하는 하박부; 및 하박부 내측면에 밀착되며 손을 수용하고 탈부착 방식으로 구비되는 손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박부는, 일단 상면에서 삼각근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회전이 이뤄지는 삼각근커버단; 일단 테두리가 상박부의 일단 상면 및 양 측면을 따라 부착되어 삼각근커버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타단 테두리를 따라 연결탈착부재가 구비되어 어깨착용부에 결합되는 어깨연결단; 및 일단은 어깨연결단에 부착되고 타단은 어깨착용부에 결합되는 잠금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어깨착용부는, 목 착용구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착용부재; 연결탈착부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탈착고정부재; 및 잠금풀림방지부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풀림대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박부는, 겨드랑이 부위 하면에 부착되어 어깨를 두르며 결박하는 어깨고정밴드;를 더 포함하고, 어깨고정밴드는 일측에 구비되는 밴드탈착부재;를 포함하여, 어깨고정밴드는 밴드탈착부재를 결합시키면 하나의 원형 고리로 어깨를 결박하고, 밴드탈착부재를 분리시키면 양 측으로 분리되어 어깨 결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박부는, 중앙 소정 위치에서 선단까지 상면, 하면, 양 측면을 각각 덮도록 하박상단, 하박하단, 및 하반측단으로 분할 형성되는 하박커버단; 및 하박커버단의 외주면을 두르며 하박상단, 하박하단 및 하박측단을 결박하되 양 선단이 분리되어 착탈 방식으로 결합되는 하박개방밴드;를 더 포함하며, 하박부에서 손보호부를 탈거하고 하반고정밴드를 풀면 하박상단, 하박하단 및 하박측단은 하박부 외표면 방향으로 젖혀지며 하박부 선단 내부에 수용되는 손목이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박부는,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면 소정 구간을 두르며 장착되는 고정유닛; 및 고정유닛의 일측에 부착되어 침대 프레임과 하박부를 결속하는 프레임결속밴드;를 더 포함하고, 고정유닛은 하박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깨착용부는, 삼각근에 접하는 부위에 통공 형성되는 팔관통구;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팔과 손을 직접적으로 압박하지 않고 소정 공간에서 여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동시에 팔과 손을 침대프레임 등에 결박하여 안전하게 억제할 수 있다.
둘째, 팔을 프레임에 결박하지 않을 시에도 팔 고정장치 선단에 손보호부가 장착되어 있어 손을 이용한 자해, 상처 훼손, 배설물 접촉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셋째, 손보호부는 탈착 방식으로 쉽게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어 팔이 수용되는 상박부 및 하박부를 침대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 손보호부만 탈거하면 손이 노출되어 혈당 체크 등의 진료 행위가 가능하며, 필요 시 하박부만 젖히며 추가 개방할 수 있어 팔 고정상태에서 더욱 다양한 진료 행위를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넷째, 팔 억제부는 관체로써 팔과 손을 수용하여 위험 행위를 방지함과 동시에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착용부에 연결되어 흘러내리지 않아 침대에 결박 고정되는 것뿐 아니라 앉거나 걸을 때에도 계속 착용할 수 있으며, 어깨의 회전이 자유로워 편하게 활동할 수 있다.
다섯째, 어깨착용부는 어깨에 얹고 단추를 채우며 지퍼를 잠그는 간단한 동작으로 착용이 이뤄져 수월하게 착용과 탈의가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섯째, 팔 억제부는 어깨착용부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어깨착용부의 타측에는 팔관통구가 형성되어 어깨를 끼워 편리하게 착용함으로써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의 착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억제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억제부의 손보호부 분리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부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부와 그 착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팔 억제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의 착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억제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억제부의 손보호부 분리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부의 상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부와 그 착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팔 억제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팔 고정장치는 치매환자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치매환자에 국한된 용도가 아니며 팔과 손을 임의로 사용하여 환자 본인의 건강 및 치료에 위험상황이 도래할 수 있는 모든 경우에 대해 요양원, 병원,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써, 치매환자를 위시하여 가령 정신질환자, 고통을 수반하는 환자의 치료 시 팔 고정 등을 포함하여 팔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팔과 손에 어떠한 상처나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겪고 있는 질병이나 처한 환경에 추가적인 위험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명된 팔 고정장치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10)는 팔 억제부(100)와 어깨착용부(200)를 포함한다.
팔 억제부(100)는 팔과 손을 수용하는 관체로써 형성이 되고 팔 억제부(100) 내에 팔과 손이 일정 부분 움직일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여 팔과 손을 압박하지 않도록 구성이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육면체로써 형성이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팔 억제부(100)의 외측에 팔 억제부(100)를 침대프레임 등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환자의 팔을 결박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하되 환자의 팔과 손에는 어떠한 압박이나 고통을 가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어깨착용부(200)는 팔 억제부(100)에 연결되어 어깨에 착용되는 부재로써 양 팔과 손에 팔 억제부(100)가 착용되면 각각의 팔 억제부(100)의 일단에 어깨착용부(200)의 양측 선단이 연결되어 어깨부터 쇄골, 목을 두르며 착용될 수 있어서 환자는 팔 억제부(100)가 흘러내리지 않고 편안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침대프레임에 결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팔과 손이 보호되면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팔 억제부(100)와 어깨착용부(2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팔 억제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박부(110), 하박부(120) 및 손보호부(130)를 포함한다.
상박부(110)는 팔 부위 중 상박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공(111)이 통공 형성되어 팔 억제부(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팔 억제부(100) 내측에 수용된 팔과 손이 쾌적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병균의 번식 등으로 인한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박부(110)는 어깨착용부(200)에 연결되는 부위로써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상박부(110)는 이를 위해 삼각근커버단(112), 어깨연결단(113), 잠금풀림방지부재(114), 어깨고정밴드(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삼각근커버단(112)은 상박부(110) 상면 일단, 즉 어깨착용부(200)에 연결되는 부위의 상면이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며 삼각근을 덮는 형상의 판상 일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근커버단(112)은 연장 접합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어서 팔 억제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어깨를 들어올리면 어깨가 접힘에 따라 상박부(110) 본체는 팔에 고정된 상태에서 삼각근커버단(112)의 연장 부위만 회전이 이뤄지므로 삼각근이 보호되면서 동시에 팔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어깨연결단(113)은 일단 테두리가 상박부(110) 일단 상면과 양 측면을 따라 부착되어 삼각근커버단(112)을 감싸면서 어깨부위에 둘러지도록 형성되며, 어깨연결단(113)의 타단 테두리를 따라 연결탈착부재(113a)가 구비되어 어깨착용부(200)에 결합된다.
어깨연결단(113)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질기고 부드러운 직물 재질로 구비되어 착용 및 활동이 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탈착부재(113a)는 어깨착용부(200)의 탈착고정부재(240)와 결합 및 해제가 이뤄질 수 있어 팔 억제부(100)와 어깨착용부(2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연결탈착부재(113a) 및 탈착고정부재(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지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탈이 원활하고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 착탈 부재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하여 단추 및 구멍, 스냅단추, 벨크로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깨연결단(113)에는 잠금풀림방지부재(114)가 구비되어 어깨착용부(200)의 풀림대응부재(230)와 결합될 수 있는데 잠금풀림방지부재(114)의 일단은 어깨연결단(113)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고 타단은 어깨착용부(200)의 풀림대응부재(230)에 결합됨으로써 연결탈착부재(113a)를 가로지르며 어깨연결단(113)과 어깨착용부(200)를 결합시켜 연결탈착부재(113a)에 의한 결합에 더하여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탈착부재(113a)로써의 지퍼가 팔 및 어깨의 잦은 움직임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풀릴 경우를 대비하여 지퍼의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잠금풀림방지부재(114)가 보완함과 동시에 잠금풀림방지부재(114) 자체적으로 어깨연결단(113)과 어깨착용부(200)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잠금풀림방지부재(1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의 전면부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의 후면부에 부착될 수도 있는데, 결합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고 행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 한 그 위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하며 또한 그 개수에도 제한을 두지 아니하여 어깨연결단(113)과 어깨착용부(200)의 결합부위를 따라 다수의 잠금풀림방지부재(1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잠금풀림방지부재(114)는 단추 및 단추에 결합된 끈 형태의 직물 혹은 가죽 소재의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고 풀림대응부재(230) 또한 단추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외에도 끈 형태의 후크와 어깨연결단(113)에 고정된 루프의 벨크로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풀림대응부재(230) 또한 벨크로 루프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잠금풀림방지부재(114) 및 풀림대응부재(230) 또한 결합력이 우수하고 착탈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한 그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그리고 팔 억제부(100)에는 상술한 연결탈착부재(113a) 및 잠금풀림방지부재(114)에 더하여 팔 억제부(100)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보완하기 위하여 어깨고정밴드(115)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깨고정밴드(115)는 상박부(110)의 일단 하면에 부착되어 어깨를 두르며 결박하는 착탈 방식의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서, 팔 억제부(100)를 착용하고 어깨고정밴드(115)를 둘러 착용하게 되면 어깨고정밴드(115)가 상박부(110)의 하면, 즉 겨드랑이 부위에서 시작하여 어깨와 목 사이를 감싼 후 다시 겨드랑이 부위로 이어지는 형상이 되어 마치 가방을 메었을 때 어깨끈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어깨고정밴드(115)는 두 개의 끈이 구성된 형태로 직물, 가죽을 포함하여 끈 형태로 구비되는 모든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끈의 일단은 상박부(110) 하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이고 각 끈의 타단이 어깨를 두르면서 만나 상호 결합이 이뤄지게 되는데, 상기 결합되는 각 타단에는 착탈 방식의 밴드탈착부재(115a)가 각각 구비되어 타단끼리 만나면서 밴드탈착부재(115a)가 결합되어 두 개의 끈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하나의 원형 고리를 형성하면서 어깨를 결박하고, 밴드탈착부재(115a)를 분리시키면 양 측으로 분리되어 어깨 결박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어깨착용부(200)의 양측 상면, 즉 목 착용구(210)의 양측에는 밴드견장(260)이 각각 구비되어서 어깨고정밴드(115)가 밴드견장(260)의 내측면을 통과하면서 착용이 이뤄진 후 밴드탈착부재(115a)로 결합이 이뤄질 수 있어서, 어깨고정밴드(115)를 착용 후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밴드견장(2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견장의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어깨고정밴드(115)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하며, 따라서 가령 상기 밴드견장(260)이 부착되는 위치에 스냅단추의 암단추가 구비되고 어깨고정밴드(115)에 그에 대응되는 스냅 수단추가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벨크로의 루프와 후크가 어깨착용부(200)와 어깨고정밴드(115)에 분리 구비되어 벨크로 결합에 의해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밴드탈착부재(11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버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어깨고정밴드(115) 일측 밴드에는 암버클이 구비되고 타측 밴드에는 수버클이 구비되어 수버클이 암버클에 끼워지면서 상호 결합되고 암버클 소정 부위를 눌러 수버클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일측 밴드는 암버클에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어깨고정밴드(115)를 착용할 때 밴드탈착부재(115a)를 결합시켜 어깨에 결속 시킨 후 어깨에 밀착되어 견고한 지지를 할 수 있도록 어깨고정밴드(115)의 길이를 맞춤 조절 할 수 있다.
이로써 상술한 연결탈착부재(113a), 잠금풀림방지부재(114) 및 어깨고정밴드(115)는 팔 억제부(100)를 신체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연결탈착부재(113a) 및 잠금풀림방지부재(114)는 어깨연결단(113)과 어깨착용부(200)를 연결하고 고정하면서 팔 억제부(100)를 지지하고, 어깨고정밴드(115)는 상박부(110)에 연결된 상태로 어깨에 두름으로써 팔 억제부(1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잠금풀림방지부재(114)와 어깨고정밴드(115)는 둘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탈착부재(113a)만 구성된 형태로 팔 억제부(100)가 지지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사용 환경과 팔 억제부(100) 및 어깨착용부(200)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박부(110)가 상박 부위를 보호하고 어깨에 연결되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면, 하박부(120)는 상박부(110)에 이어지며 하박 부위를 수용하고 보호하며, 침대프레임에 팔 억제부(100)를 결속하는 기능을 하되 결속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손을 노출시켜 혈당 체크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박부(120)는 이를 위해 하박커버단(121), 하박개방밴드(122) 및 고정유닛(123)을 포함한다.
하박커버단(121)은 하박상단(121a), 하박하단(121b) 및 하박측단(121c)으로 분할 형성되어, 하박커버단(121)의 중앙 소정 위치에서 손 보호부 방향 선단까지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각각 덮도록 구성되면서 사각형 단면의 관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하박상단(121a), 하박하단(121b) 및 하박측단(121c)은 하박부(120) 외표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박개방밴드(122)가 하박커버단(121)에 구비되어 하박상단(121a), 하박하단(121b) 및 하박측단(121c)의 외주면을 두르게 되며 이로써 하박상단(121a), 하박하단(121b) 및 하박측단(121c)이 사각형 단면의 관체형상을 유지하게 되는데, 하박개방밴드(122)의 일측은 하박커버단(121) 소정 위치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양 선단은 착탈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하박개방밴드(1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소정의 폭을 지니는 직선형 밴드로 형성되되, 하박개방밴드(122)의 중심은 하박하단(121b)의 외측면에 고정 부착된 상태로 구비되고, 하박커버단(121)이 손 보호부 방향으로 펼쳐져 모아진 상태에서 하박개방밴드(122)가 하박커버단(121)을 감싸면서 두르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하박개방밴드(122)의 양 선단을 결합시키면 하박상단(121a), 하박하단(121b) 및 하박측단(121c)을 묶어서 하박커버단(121)의 관체 형상을 유지시킨다.
하박개방밴드(122)의 양 선단 결합부위에는 착탈 방식의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어서 하박개방밴드(122)의 일단에는 후크가, 타단에는 루프가 형성되어 벨크로에 의한 착탈 결합 및 분리가 이뤄질 수 있다.
하박개방밴드(122)의 결합부위를 분리하여 밴드를 펼치게 되면 하박상단(121a), 하박하단(121b) 및 하박측단(121c)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각각 젖혀질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우선 손보호부(130)를 하박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손보호부(130)는 하박부(120) 내측면에 밀착되며 손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손보호부(130)는 하박부(120)의 내주면에 대응되어 밀착되는 형상으로써 내삽되어 손보호부(130)와 중첩되도록 갖춰진 후 환자에게 착용될 수 있다.
하박부(120)의 선단 내측은 환자의 손이 닿는 부위이므로 환자가 하박부(120) 내측을 긁어 손상을 낼 수 있으므로, 이때 손보호부(130)만 교체 가능하도록 하박부(120) 내측면에 착탈 방식으로 구비하게 되면 환자의 손은 손보호부(130)에 닿게 되는데 손보호부(130)는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환자의 손을 보호하게 되고 손보호부(130)가 손상되면 손보호부(130)만 교체 장착할 수 있으므로, 하박부(120) 선단 내측의 손상으로 인해 팔 억제부(100) 전체를 교체하는 비효율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박부(120)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데, 가령 손보호부(130)의 테두리는 요철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박부(120)의 테두리는 요홈 형성되면서 상호 착탈 결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손보호부(130) 테두리 소정 위치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하박부(120) 테두리에는 상기 요홈에 끼움 맞춰질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면서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손보호부(130)가 하박부(120)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끼움 장착되어야 테두리 간 결합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고 환자가 임의로 잡아 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손보호부(130)와 하박부(120)의 착탈 구조 및 결합 관계를 저해하지 않는 한 그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하여 상술한 것처럼 손보호부(130)가 하박부(120)에 내삽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반대로 하박부(120)가 손보호부(130)에 내삽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손보호부(130)와 하박부(120)가 상호 정확히 테두리가 수평을 이루며 결합될 수도 있다.
손보호부(130)의 전면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야 팔 억제부(100) 내 통풍 효과가 좋고 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환자들 중에서는 손톱으로 손보호부(130)를 긁어 손에 상처가 나고 손보호부(130)가 훼손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 이러한 경우 손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필요 시 손의 치료와 손보호부(130)의 교체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고정유닛(123)은 하박부(1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양 단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써 외주면 소정 구간을 감싸며 장착될 수 있다.
고정유닛(123)은 하박부(120)를 수용하며 밀착 형성되되 하박부(120)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박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고정유닛(123)의 일측에는 프레임결속밴드(123a)가 부착되어 침대 프레임에 결속될 수 있는데, 프레임결속밴드(12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양 갈래의 끈이 고정유닛(123)의 일측 일 지점에 각각의 일단이 모아진 채 부착되고 양 갈래로 갈라진 프레임결속밴드(123a)의 양 선단이 침대 프레임을 두른 후 만나면서 서로 묶여 고정유닛(123)과 침대프레임을 고정 결속하게 되는데 이로써 팔 억제부(100) 전체를 침대 프레임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유닛(123)은 하박부(120)를 따라 소정 구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침대 프레임에 프레임결속밴드(123a)를 결속할 적정 위치에 맞춰 고정유닛(123)을 이동시킨 후 묶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고, 이로써 침대 프레임의 결속 위치에 맞춰 환자의 누울 위치를 변경하거나 혹은 프레임결속밴드(123a)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야 할 필요가 없으며, 고정유닛(123)과 침대 프레임이 최단 거리에서 묶일 수 있으므로 짧고 단단하게 결속될 수 있어 침대 프레임과 팔 억제부(100) 사이가 헐겁지 않게 되면서 고정효과가 높은 장점을 지닐 수 있다.
손보호부(130)는 하박부(120)에서 이어지며 손을 수용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손보호부(130)와 하박부(120)는 착탈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손보호부(130)를 분리한 후 하박개방밴드(122)를 풀고 나서 하박커버단(121)을 젖히게 되면 손과 손목이 노출될 수 있는데, 이는 팔 억제부(100)가 고정유닛(123)에 의해 침대프레임에 결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 및 손목만 노출되는 것이므로 환자의 반항이나 돌발 행동을 적절히 저지하면서 안전하게 혈당 체크 등의 진료 및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될 수 있다.
환자, 특히 치매환자 또는 정신질환자의 경우 과민반응으로 손보호부(130) 내에 수용된 손을 움직여 손톱으로 손보호부(130) 내부를 긁고 훼손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손보호부(130)는 하박부(120)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이렇게 훼손된 손보호부(130)는 교체 장착이 가능하며, 긁는 행위로 인한 손톱 등 손의 부상 방지를 위해 손보호부(130)의 내부는 우레탄, 고무, 직물 등 손톱으로 긁어도 다치지 않는 부드러우면서도 단단한 안전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팔 억제부(100)는 상박부(110), 하박부(120) 및 손보호부(130)가 어깨 결합 부위 상박에서 손 끝까지 순서대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외부에서 보기에는 사각형의 단면을 지니는 일체형으로 관측될 수 있는데, 다만 고정유닛(123)이 하박부의 외주면에 사각 형상의 단을 형성하며 팔 억제부(100)에 둘러 장착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팔 억제부(100)의 재질은 하드보드지나 박스류를 포함하는 종이 재질, 경량의 합판 등 목재 재질, 그리고 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벼우면서 동시에 견고하고 단단하며 건강에 유해하지 않는 재질인 것으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기능 및 구조를 저해하지 않는 한 그 재질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어깨착용부(200)는, 선단은 팔 억제부(100)에 연결 결합되고 중심부는 어깨와 쇄골, 목을 두르며 착용될 수 있는데, 중심부에는 목 착용구(210)가 형성되어 목을 끼우며 착용할 수 있고, 목 착용구(210)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펼쳐지며 마치 직사각형의 숄 형상으로 구비된다.
목 착용구(210)의 전면 혹은 후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는 목 착용구(210)를 중심으로 어깨착용부(200)의 일측과 타측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착용부재(220)가 구비되며, 착용부재(220)를 분리하여 목 착용구(210)에 목을 착용한 후 착용부재(220)를 결합시켜 어깨착용부(200)를 어깨와 목에 착용 완료 할 수 있다.
착용부재(2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단추 혹은 지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어깨착용부(200)의 착용은 셔츠나 점퍼를 입는 것과 유사한 절차로써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고, 그 외 착용부재(220)의 종류로는 벨크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의류에 부착되어 손쉽게 착탈 될 수 있는 한 그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팔 억제부(100)는 어깨착용부(200)의 양 단에 결합되어 환자의 양 팔을 모두 보호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팔 억제부(100)는 어깨착용부(200)의 일단에만 결합되어 한 쪽 팔만 보호 및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어깨착용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팔 억제부(1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용 부재로써 선단에 탈착고정부재(240), 풀림대응부재(23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부(200)는 상기 결합용 부재가 양 단 모두에 구비되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부(200)는 상기 결합용 부재가 일단에만 구비된다.
탈착고정부재(240)는 어깨착용부(200)의 연결탈착부재(113a)에 대응되는 결합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연결탈착부재(113a)로 지퍼가 적용이 되면 탈착고정부재(240)는 연결탈착부재(113a)와 하나의 부재로써 쌍을 이뤄 지퍼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풀림대응부재(230)는 어깨착용부(200)의 잠금풀림방지부재(114)에 대응되는 결합용 부재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잠금풀림방지부재(114)가 어깨연결단(113)에 단추가 형성되고 가죽 또는 직물 재질의 끈이 어깨연결단(113)의 단추에 일단이 결합되면, 상기 어깨연결단(113)의 단추에 대응되는 단추가 풀림대응부재(230)로써 어깨착용부(200)에서 형성되고 상기 끈의 타단이 풀림대응부재(230)에 결합됨으로써 끈의 양단이 복수의 단추에 결합 고정되고 이로써 어깨연결단(113)과 어깨착용부(200)를 상호 결속시키고 연결탈착부재(113a)에 의한 결합상태를 보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깨착용부(200)와 팔 억제부(100)는 복수의 결합용 부재에 의해 결합이 이뤄지고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데, 특히 연결탈착부재(113a) 및 탈착고정부재(240)와 잠금풀림방지부재(114) 및 풀림대응부재(230)는 상호 교차하며 배치되어 결합력이 증가하고 하중의 분산을 유도하여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잠금풀림방지부재(114) 및 풀림대응부재(230)는 어깨연결단(113) 및 어깨착용부(200)의 다수 지점에 구비되어 연결탈착부재(113a)를 다수 지점에서 교차하며 설치될 수 있어 결합 및 고정 효과는 더욱 배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의 양 단에 결합되면 어깨착용부(200)의 양 단에 동시에 하중을 발생시켜 복수의 팔 억제부(100)가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어깨착용부(200)는 안정적인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의 일단에만 결합되어 한 쪽 팔만 보호 및 고정하는 기능을 하게 되면 어깨착용부(200)의 일단에만 하중이 발생되어 어깨착용부(200)가 기울어지게 되므로 이의 방지를 위해 어깨착용부(200)의 타측단에는 삼각근에 접하는 부위에 팔관통구(250)가 통공 형성되어 팔이 끼움 착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어깨착용부(200)의 타단은 어깨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일단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되며 어깨착용부(200)의 안정적인 착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팔관통구(250)는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의 일단에 연결되는 경우에 타단 삼각근 부위에 형성되면서 어깨착용부(200) 타단에는 풀림대응부재(230), 탈착고정부재(240)가 형성되지 않고 매끈한 테두리로 처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어깨착용부(200)의 양 단에는 풀림대응부재(230), 탈착고정부재(240)가 모두 형성되고 팔관통구(250) 또한 양 측단 삼각근 부위에 모두 형성될 수 있어서,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 양 측에 모두 구비되면 팔관통구(250)에 팔의 끼움 없이 팔 억제부(100)에 바로 착용이 이뤄지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용될 수 있고, 팔 억제부(100)가 일단 혹은 타단 중 일측에만 구비되면 반대쪽 타단 혹은 일단의 팔은 해당 부위에 형성된 팔관통구(250)에 끼워지면서 착용이 이뤄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풀림대응부재(230), 탈착고정부재(240)가 어깨착용부(200)의 양 단에 모두 형성되고 팔관통구(250) 또한 어깨착용부(200)의 양 측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사용 환경 및 필요에 의해서 팔 억제부(100)의 개수 및 착용 위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환자 본인이 스스로 착용하기 보다는 사용 대상의 특수성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간호 인력의 보조에 의해 착용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간호 인력이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착용 시 우선은 착용부재(220)를 풀고 목 착용구(210)에 목을 맞춰 어깨착용부(200)를 목과 어깨에 정렬시켜 배치시킨다.
그리고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에 분리된 상태에서 팔 억제부(100)에 한쪽 팔을 끼운 후 어깨착용부(200) 일단에 팔 억제부(100)의 어깨연결단(113)을 맞추고 연결탈착부재(113a)와 탈착고정부재(240)를 상호 결합을 시키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 연결탈착부재(113a) 및 탈착고정부재(240)는 지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연결탈착부재(113a) 및 탈착고정부재(240) 각각의 이가 맞물리도록 배치한 후 손잡이를 이동시켜 상호 지퍼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어깨착용부(200) 일단에 팔 억제부(100)가 결합된다.
그리고 다른 쪽 팔 또한 팔 억제부(100)에 끼운 상태에서 어깨착용부(200) 타단에 어깨연결단(113)을 맞추면서 팔 억제부(100)를 배치하고 연결탈착부재(113a) 및 탈착고정부재(240)를 결합하게 되며, 이로써 양 팔에 팔 억제부(100)가 모두 착용되고 양 측 팔 억제부(100)는 어깨착용부(200)의 양 단에 결합이 이뤄진다.
이로써 팔 억제부(100)와 어깨착용부(200)의 일차 결합이 이뤄지며 이 상태에서 환자의 손은 손보호부(130)에 감싸있고 팔 억제부(100)에 의해 접힐 수 없는 상태이므로 직접 착용부재(220)를 잠글수 없으며 간호인력이 착용부재(220)를 잠그게 되면 일차적인 착용이 완료된다.
이후 연결탈착부재(113a)의 결합력을 지지하고 팔 억제부(100)의 착용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잠금풀림방지부재(114) 및 어깨고정밴드(115)가 추가로 착용될 수 있다.
잠금풀림방지부재(1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어깨연결단(113)에 구비된 단추에 끈의 일측이 끼움 결합된 상태이므로 끈의 타측을 풀림대응부재(230)에 끼우면서 잠금풀림방지부재(114)를 교차하며 양 단으로 어깨연결단(113)과 어깨착용부(200)를 붙잡고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잠금풀림방지부재(114) 및 풀림대응부재(230)는 다수의 쌍으로구서 구비되어 상호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어깨고정밴드(115)가 착용될 수 있는데, 간호인력은 어깨고정밴드(115)의 양 갈래 선단이 어깨를 두른 후 어깨 일측에서 서로 만날 수 있도록 한 뒤 밴드탈착부재(115a)를 상호 결합시킨다.
밴드탈착부재(11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버클의 형태일 수 있으므로 어깨고정밴드(115)의 일측 갈래 선단에 구비된 암버클에 타측 갈래 선단에 구비된 수버클을 끼움 장착하면서 상호 결합할 수 있고, 결합이 완료되면 암버클에 연결된 어깨고정밴드(115)의 길이를 조절하여 어깨에 밀착되도록 조여줌으로써 팔 억제부(100)가 어깨착용부(200)를 두르며 어깨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팔 억제부(100)를 한 쪽 팔에만 착용하고자 한다면 팔 억제부(100)는 어깨착용부(200)의 일단에만 결합시킨 후 결합 과정을 갖게 되는데, 결합 전에 다른 쪽 팔을 어깨착용부(200) 타단의 팔관통구(250)에 통과시켜 착용을 시키고 나서 어깨착용부(200) 일단에 팔 억제부(100)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상태로 본 발명의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10)의 착용이 완료되며 환자는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10)를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앉거나 누울 수 있으며 상박부(110)에 통풍공(111)이 구비되었으므로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환자의 팔을 고정해야 할 상황이라면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팔 억제부(100)를 침대 프레임에 결박하여 고정함으로써 팔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결속밴드(123a)를 침대 프레임에 묶어 팔 억제부(100)를 침대에 결속시켜 팔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되는데, 프레임결속밴드(123a)를 묶을 수 있는 침대 프레임이 현재 착용상태에서의 프레임결속밴드(123a)와 거리가 먼 경우 고정유닛(123)을 하박부(1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해당 침대 프레임에 최대한 인접되도록 배치한 후 프레임결속밴드(123a)를 침대 프레임에 묶어 단단히 결속할 수 있다.
이렇게 팔을 고정한 상태에서 혈당 체크를 할 상황이 되면 상박부(110)와 하박부(120)를 착용한 채 손과 손목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간호인력은 우선 손보호부(130)를 하박부(12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겨 분리시키고 하박개방밴드(122)를 풀은 후 하박상단(121a), 하방하단, 하박측단(121c) 각각을 젖혀 상기 하박상단(121a), 하방하단, 하박측단(121c)의 외표면이 하박부(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하면서 하박커버단(121)이 형성된 하박부(120) 소정 구간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손보호부(130)가 분리되고 하박커버단(121)이 개방되면 손과 손목이 노출될 수 있는데 팔 억제부(100)에 팔이 착용되고 팔 억제부(100)는 프레임결속밴드(123a)에 의해 침대 프레임에 결박된 상태이므로 환자의 팔은 고정되어 안전한 상태에서 혈당 체크 등 진료 행위가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팔 억제부(100)는 사각형 단면이 아닌 원형 단면의 관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유닛(123) 또한 원형 단면의 관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추가 실시예서도 고정유닛(123)이 하박부(120)를 따라 소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후 프레임결속밴드(123a)를 이용하여 팔 억제부(100)를 침대 프레임에 결속할 수 있다.
팔 억제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혈당 체크 등의 진료를 할 경우 손과 손목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하박부(120)를 상박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데, 상박부(110)의 결합면 테두리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며 단차면에 나선이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하박부(120)의 결합면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 나선에 결합될 수 있는 요홈 나선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면서, 하박부(120)와 상박부(110) 상호 간에 나선이 맞춰진 후 회전을 시키면 상박부(110)와 하박부(120)가 결합 고정되면서 원기둥 형상의 관체를 완성하여 팔 억제부(100)를 형성하게 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박부(110)로부터 하박부(120)를 분리하여, 손과 손목을 노출시켜 진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 하박개방밴드(122)는 하박부(120)와 상박부(110)의 결합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호 결합상태를 공고히 하는 기능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반면 하박부(120)와 상박부(110)가 나선 결합이 이뤄져 쉽게 분리되지 않는 데다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처럼 하박커버단(121)이 추가 실시예에서는 구비되지 않으므로 하박개방밴드(122)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임의 결정될 수 있다.
손보호부(130)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원형의 테두리에 나선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박부(120)의 결합면 테두리의 나선에 결합될 수 있어서 손보호부(130)와 하박부(120)는 나선 회전결합 및 회전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손보호부(130)를 회전시켜 하박부(120)로부터 분리하고 나서 하박부(120)를 상박부(110)로부터 분리하여 손과 손목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또는 손보호부(130)의 분리 없이 손보호부(130)와 하박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박부(120)를 회전시켜 상박부(1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손을 노출시켜 진료행위를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필요에 의해서 손보호부(130)만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10)는 신체 착용이 간편하고 결합 및 고정이 원활하면서 각 연결 부위별로 어깨착용부(200), 상박부(110), 하박부(120), 손보호부(130)의 분리 및 개방이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착용 상태에서 팔에 고통을 주지 않고 쾌적함을 유지하면서 팔을 외부 특정 프레임에 결박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손 부위만을 노출 시켜 혈당 체크 등 진료 행위까지 수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착용하는 환자와 보호자, 간호인력 모두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요양원 환자 팔 고정장치
100 : 팔 억제부
110 : 상박부
111 : 통풍공
112 : 삼각근커버단
113 : 어깨연결단
113a : 연결탈착부재
114 : 잠금풀림방지부재
115 : 어깨고정밴드
115a : 밴드탈착부재
120 : 하박부
121 : 하박커버단
121a : 하박상단
121b : 하박하단
121c : 하박측단
122 : 하박개방밴드
123 : 고정유닛
123a : 프레임결속밴드
130 : 손보호부
200 : 어깨착용부
210 : 목착용구
220 : 착용부재
230 : 풀림대응부재
240 : 탈착고정부재
250 : 팔관통구
260 : 밴드견장

Claims (5)

  1. 관체 형상으로 손과 팔이 수용되는 팔 억제부; 및
    선단은 팔 억제부에 연결되고 중심부는 어깨와 쇄골, 목을 두르며 착용되는 어깨착용부;를 포함하되,
    팔 억제부는,
    상박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되는 상박부;
    상박부에 이어지며 하박 및 손을 수용하는 하박부; 및
    하박부 내측면에 밀착되며 손을 수용하고 탈부착 방식으로 구비되는 손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박부는,
    일단 상면에서 삼각근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회전이 이뤄지는 삼각근커버단;
    일단 테두리가 상박부의 일단 상면 및 양 측면을 따라 부착되어 삼각근커버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타단 테두리를 따라 연결탈착부재가 구비되어 어깨착용부에 결합되는 어깨연결단; 및
    일단은 어깨연결단에 부착되고 타단은 어깨착용부에 결합되는 잠금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어깨착용부는,
    목 착용구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착용부재;
    연결탈착부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탈착고정부재; 및
    잠금풀림방지부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풀림대응부재;를 포함하는,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박부는,
    겨드랑이 부위 하면에 부착되어 어깨를 두르며 결박하는 어깨고정밴드;를 더 포함하고,
    어깨고정밴드는 일측에 구비되는 밴드탈착부재;를 포함하여,
    어깨고정밴드는 밴드탈착부재를 결합시키면 하나의 원형 고리로 어깨를 결박하고, 밴드탈착부재를 분리시키면 양 측으로 분리되어 어깨 결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박부는,
    중앙 소정 위치에서 선단까지 상면, 하면, 양 측면을 각각 덮도록 하박상단, 하박하단, 및 하반측단으로 분할 형성되는 하박커버단; 및
    하박커버단의 외주면을 두르며 하박상단, 하박하단 및 하박측단을 결박하되 양 선단이 분리되어 착탈 방식으로 결합되는 하박개방밴드;를 더 포함하며,
    하박부에서 손보호부를 탈거하고 하반고정밴드를 풀면 하박상단, 하박하단 및 하박측단은 하박부 외표면 방향으로 젖혀지며 하박부 선단 내부에 수용되는 손목이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박부는,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면 소정 구간을 두르며 장착되는 고정유닛; 및
    고정유닛의 일측에 부착되어 침대 프레임과 하박부를 결속하는 프레임결속밴드;를 더 포함하고,
    고정유닛은 하박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어깨착용부는,
    삼각근에 접하는 부위에 통공 형성되는 팔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KR1020210069673A 2021-05-31 2021-05-31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KR10250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73A KR102507720B1 (ko) 2021-05-31 2021-05-31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PCT/KR2022/007715 WO2022255767A1 (ko) 2021-05-31 2022-05-31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73A KR102507720B1 (ko) 2021-05-31 2021-05-31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69A true KR20220161669A (ko) 2022-12-07
KR102507720B1 KR102507720B1 (ko) 2023-03-07

Family

ID=8432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73A KR102507720B1 (ko) 2021-05-31 2021-05-31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7720B1 (ko)
WO (1) WO202225576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120A (ja) * 2000-07-25 2002-02-05 Shinsuke Sunaga 点滴管の引抜き防止具
KR200381330Y1 (ko) * 2005-01-17 2005-04-11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KR100816778B1 (ko) *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KR101446763B1 (ko) 2012-11-23 2014-10-01 광주광역시 광산구 팔고정장치
CN209236521U (zh) * 2018-04-02 2019-08-13 遵义医学院附属医院 老年痴呆患者关节置换术后上肢用约束袖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250203U (zh) * 2020-08-11 2021-05-25 苏州市中医医院 一种手部良肢位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120A (ja) * 2000-07-25 2002-02-05 Shinsuke Sunaga 点滴管の引抜き防止具
KR200381330Y1 (ko) * 2005-01-17 2005-04-11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KR100816778B1 (ko) *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KR101446763B1 (ko) 2012-11-23 2014-10-01 광주광역시 광산구 팔고정장치
CN209236521U (zh) * 2018-04-02 2019-08-13 遵义医学院附属医院 老年痴呆患者关节置换术后上肢用约束袖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767A1 (ko) 2022-12-08
KR102507720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05277B (zh) 婴儿和父母使用的新生儿医用包裹及相关方法
CN210811879U (zh) 一种一体式约束带
KR102507720B1 (ko) 치매환자 팔 고정장치
US9993621B2 (en) Adaptable sleeve for catheter securement and protection
KR101162888B1 (ko) 휠체어와 침대 겸용 보호조끼
KR102373788B1 (ko) 환자 결속구
CN214180735U (zh) 一种可透视乒乓球约束手套
CN219614159U (zh) 一种约束手套
CN211911932U (zh) 一种医用约束装置
CN220512982U (zh) 一种临床用约束带
CN211049779U (zh) 一种约束衣
TWM544302U (zh) 充氣式約束裝置
KR102597366B1 (ko) 다용도 마스크 스트랩
CN202036387U (zh) 一种七件式医用约束用具
CN219323192U (zh) 一种带约束功能的病员服
CN213821959U (zh) 一种用于约束上肢活动的约束用具
CN218279931U (zh) 一种约束手套
CN215839816U (zh) 一种新型医用约束手套
CN212754356U (zh) 一种躁动症患者用防护手套
CN215020039U (zh) 一种可拼接的手部固定装置
CN208785029U (zh) 透气手腕脚腕固定约束带
KR101961725B1 (ko)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CN208677534U (zh) 一种骨针保护套
US10426653B2 (en) Arm immobilization apparatus
KR101424792B1 (ko) 탈의 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전신보호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