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962A -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 Google Patents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962A
KR20220160962A KR1020210069270A KR20210069270A KR20220160962A KR 20220160962 A KR20220160962 A KR 20220160962A KR 1020210069270 A KR1020210069270 A KR 1020210069270A KR 20210069270 A KR20210069270 A KR 20210069270A KR 20220160962 A KR20220160962 A KR 20220160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module
orthogonal
connection
zi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735B1 (ko
Inventor
이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Priority to KR102021006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7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설치되는 제1, 2 이동지지 모듈(600, 800)과, 제1 이동지지 모듈(600) 중 레일 바(630)를 따라 왕복하는 트롤링 모듈(700)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어떠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짚라인의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ZIPLINE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본 발명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떠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짚라인의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짚라인은 높이가 다른 양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와이어를 설치하고, 탑승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착탈식 트롤리를 와이어에 걸어 높이 차에 따른 무동력 중력하강에 의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또는 레포츠의 통칭이다.
짚라인은 플라잉폭스(Flying Fox), 짚와이어(Zip Wire), 짚트랙(Ziptrek), 에어리얼 런웨이(Aerial Runway), 티롤리언 크로싱(Tyrolean Crossing)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종래 짚라인은 지주대를 지면에 고정하거나 매립한 상태에서 연결와이어의 일단부위를 지주대의 상부측에 고정결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 짚라인은 도착지 인근에서 연결와이어가 일정 경사를 이루지 못하고 수평한 상태가 되거나 역방향의 경사각을 가지게 되면 트롤리의 제동이 곤란해짐은 물론 도착지에 도달하기 이전에 트롤리의 활주가 멈추어 버리게 되는데 이는 체험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이 때문에 근래에 설치되는 짚라인 장치의 대부분은 등록특허 제10-2064506호의 "왕복 짚라인 장치" 등과 같이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연결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모터를 이용하여 연결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발전시설을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력선을 출발지(및 도착지)까지 가설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짚라인은 통상적인 연결와이어의 길이를 감안하면 대용량의 발전시설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상당한 설비투자가 필요함은 물론 상당한 넓이에 걸쳐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20645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어떠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짚라인의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짚라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에 각각 세워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메인 지지봉 각각의 상부측을 직교되게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봉과,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의 상기 메인 연결봉과 직교 또는 교차되게 연결되며 시작점과 종점에 비하여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연장 부분이 상대적으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과 가깝게 위치하는 중공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이동지지 모듈;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면에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을 따라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왕복 가능한 트롤리 모듈;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서브 지지봉과 교차되게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레일 프레임와 연결되는 서브 연결봉을 포함하는 제2 이동지지 모듈; 및 상기 메인 연결봉과 상기 레일 프레임의 사이와, 상기 서브 지지봉과 상기 서브 연결봉의 사이와, 상기 레일 프레임와 상기 서브 지지봉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레일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내장되는 수용 바와,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상부 절개 슬롯과, 상기 상부 절개 슬롯을 통하여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수용 바에 대하여 직교되게 상기 수용 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상기 서브 연결봉과 연결되는 연결 리브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 바를 안착 고정시켜 받침 지지하는 바 수용 격벽과,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 모듈의 일부가 이동 안내되도록 하는 보강안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 모듈의 이동 롤러는 각각 상기 레일 슬롯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구름 접촉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일 프레임은,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의 제1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강부와, 상기 타원의 제3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강부와, 상기 제2 하강부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이동부와, 상기 타원의 제4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상승부와, 상기 타원의 제2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승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상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강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상승부의 말단부는 각각,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 또는 상기 도착 지점과 상기 출발 지점으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롤리 모듈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저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 롤러와, 상기 이동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 슬롯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어 지지봉과, 상기 코어 지지봉의 하단부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과, 상기 제1 부재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메인 연결봉과 상기 레일 프레임(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과, 상기 서브 지지봉과 상기 서브 연결봉(이하 제2 양부재)과, 상기 레일 프레임와 상기 서브 지지봉(이하 제3 양부재)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양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연결모듈은, 코어 바디와,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코어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모듈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형성한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제4 회동 지지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에 각각 세워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봉과, 한 쌍의 메인 지지봉 각각의 상부측을 직교되게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봉과,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의 메인 연결봉과 직교 또는 교차되게 연결되며 시작점과 종점에 비하여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연장 부분이 상대적으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과 가깝게 위치하는 중공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이동지지 모듈; 레일 프레임의 하면에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을 따라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왕복 가능한 트롤리 모듈;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지지봉과, 한 쌍의 서브 지지봉과 교차되게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레일 프레임와 연결되는 서브 연결봉을 포함하는 제2 이동지지 모듈; 및 메인 연결봉과 레일 프레임의 사이와, 서브 지지봉과 서브 연결봉의 사이와, 레일 프레임와 서브 지지봉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짚라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프레임은, 레일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레일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내장되는 수용 바와, 레일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상부 절개 슬롯과, 상부 절개 슬롯을 통하여 레일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수용 바에 대하여 직교되게 수용 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수용 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서브 연결봉과 연결되는 연결 리브와,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 레일 프레임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동시에, 수용 바를 안착 고정시켜 받침 지지하는 바 수용 격벽과, 레일 프레임의 하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레일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트롤리 모듈의 일부가 이동 안내되도록 하는 보강안내 리브를 포함하며, 트롤리 모듈의 이동 롤러는 각각 레일 슬롯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구름 접촉하며 레일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트롤리의 원활한 왕복 운동을 도모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프레임은,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의 제1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출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강부와, 타원의 제3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하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강부와, 제2 하강부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이동부와, 타원의 제4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상승부와, 타원의 제2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상승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상승부를 포함하며, 제1 하강부의 선단부와 제2 상승부의 말단부는 각각,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또는 도착 지점과 출발 지점으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바, 중력 방향에 따른 하강 가속 및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승 감속에 따른 트롤리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모듈은,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동 코어와, 이동 코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프레임의 내부 저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 롤러와, 이동 코어와 연결되어 레일 슬롯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어 지지봉과, 코어 지지봉의 하단부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봉을 포함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는 지프라인을 즐길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과, 제1 부재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탈착 결합되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각각, 메인 연결봉과 레일 프레임(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과, 서브 지지봉과 서브 연결봉(이하 제2 양부재)과, 레일 프레임와 서브 지지봉(이하 제3 양부재)을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양부재는 각각,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또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를 할 수 있는 바, 다양한 시공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 직관적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모듈은, 제1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에 의하여 제2 연결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모듈은, 코어 바디와, 코어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힌지에 의하여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과, 코어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에 의하여 제1 연결모듈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과,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부재의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며, 제1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과, 코어 바디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과, 코어 바디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제3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며, 제3 연결 브라켓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형성한 연결 본체와, 연결 본체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 브라켓과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1 연결모듈은, 제1 힌지에 의하여 제3 회동 지지편과 제4 회동 지지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공간이나 시공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활한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a 및 iii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주변부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트롤리 모듈의 주변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 1의 v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8은 도 6의 viiia 및 vii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도 5의 ix-ix 선을 절단하여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제4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iiia 및 iii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주변부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트롤리 모듈(700)의 주변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v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viiia 및 vii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5의 ix-ix 선을 절단하여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제4 부재(40, 64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300)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중 주요부인 커플링 모듈 중 제3 연결모듈(3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3 및 도 14에서 괄호안의 도면 부호는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참조하여 파악하기 위해 붙인 것이다.
예를들어, 도 13(a)에서 보이지 않는 제2 탈착 홈(322)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제1 탈착 돌편(31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술한 제1 탈착 돌편(311)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러한 제2 탈착 홈(322)은 제1 탈착 홈(312)의 형상과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도 13(a)에서 보이지 않는 제2 탈착 돌편(321)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제1 탈착 홈(31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술한 제1 탈착 홈(312)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러한 제2 탈착 돌편(321)은 제1 탈착 돌편(311)의 형상과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도 13(a)에서 보이지 않는 제2 하부 단턱(324)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제1 하부 단턱(314)의 형상과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설치되는 제1, 2 이동지지 모듈(600, 800)과, 제1 이동지지 모듈(600) 중 레일 바(630)를 따라 왕복하는 트롤링 모듈(70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이동지지 모듈(600)은 메인 지지봉(610)에 구비된 메인 연결봉(620)이 후술할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레일 프레임(630)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한 쌍의 메인 지지봉(610)은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에 각각 세워지게 되고, 메인 연결봉(620)이 한 쌍의 메인 지지봉(610) 각각의 상부측을 직교되게 상호 연결한다.
이때, 레일 프레임(630)은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의 메인 연결봉(620)과 직교 또는 교차되게 연결되며 시작점과 종점에 비하여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연장 부분이 상대적으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과 가깝게 위치하는 중공의 부재이다.
한편, 트롤리 모듈(700)은 레일 프레임(630)의 하면에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631)을 따라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왕복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2 이동지지 모듈(800)은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지지봉(810)과, 한 쌍의 서브 지지봉(810)과 교차되게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레일 프레임(630)와 연결되는 서브 연결봉(8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커플링 모듈은 메인 연결봉(620)과 레일 프레임(630)의 사이와, 서브 지지봉(810)과 서브 연결봉(820)의 사이와, 레일 프레임(630)와 서브 지지봉(810)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우선, 메인 연결봉(620)의 양단부는 메인 지지봉(610) 각각과 용접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후술할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레일 프레임(630)은 도 4와 같이 상부 절개 슬롯(633)을 통해 연결 리브(634)가 노출된 수용 바(632)가 레일 프레임(630) 내부의 바 수용 격벽(635)에 의하여 안착 고정되고, 트롤러 모듈(700)의 일부, 즉 코어 지지봉(730)은 보강안내 리브(636)를 따라 안내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수용 바(632)는 레일 프레임(6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레일 프레임(630)의 상부 공간에 내장되는 것이다.
상부 절개 슬롯(633)은 레일 프레임(630)의 상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것이다.
연결 리브(634)는 상부 절개 슬롯(633)을 통하여 레일 프레임(6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수용 바(632)에 대하여 직교되게 수용 바(63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수용 바(63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서브 연결봉(820)과 연결되는 것이다.
바 수용 격벽(635)은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에 레일 프레임(630)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동시에, 수용 바(632)를 안착 고정시켜 받침 지지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보강안내 리브(636)는 레일 프레임(630)의 하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6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트롤리 모듈(700)의 일부가 이동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트롤리 모듈(700)의 이동 롤러(720)는 각각 레일 슬롯(63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공간에서 구름 접촉하며 레일 프레임(6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트롤리 모듈(700)은, 도 4와 같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동 코어(710)와, 이동 코어(71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저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 롤러(720)와, 이동 코어(710)와 연결되어 레일 슬롯(631)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어 지지봉(730)과, 코어 지지봉(730)의 하단부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봉(74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트롤리 모듈(700)은, 파지봉(740) 각각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파지한 손이 미끄러져 파지봉(740)의 단부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탈 규제편(7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레일 프레임(630)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의 우측을 출발 지점이라 설정하고 도 5의 좌측을 도착 지점이라 설정할 때, 도 5의 우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 하강부(630a)와 제2 하강부(630b)와 이동부(630c)와 제1 상승부(630d)와 제2 상승부(630e)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강부(630a)의 선단부와 제2 상승부(630e)의 말단부는 각각,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또는 도착 지점과 출발 지점으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하강부(630a)는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의 제1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출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하강부(630b)는 타원의 제3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하강부(630a)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부(630c)는 제2 하강부(630b)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상승부(630d)는 타원의 제4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630c)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상승부(630e)는 타원의 제2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상승부(630d)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롤리 모듈(700)은 제1 하강부(630a)와 제2 하강부(630b)를 거쳐 이동부(630c)측을 향하여 가속 하강하며, 이동부(630c)를 따라 이동한 다음, 제1 상승부(630d)와 제2 상승부(630e)를 거쳐 도착 지점을 향하여 감속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커플링 모듈은, 도 3과 도 4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110)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100)과, 제1 부재(10)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210)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90도 내외이며, 제1 각도는 90도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 내외에서 적절히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커플링 모듈은,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에 탈착 결합되며,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는 각각, 메인 연결봉(620)과 레일 프레임(630)(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과, 서브 지지봉(810)과 서브 연결봉(820)(이하 제2 양부재)과, 레일 프레임(630)와 서브 지지봉(810)(이하 제3 양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양부재는 각각,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로 순차 정의되거나, 또는 제2 부재(20) 및 제1 부재(10)로 순차 정의되는 등,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단부의 중심과 제2 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을 정의 가능한 제1 부재(10)에 장착되고, 제1 가상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힌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모듈(200)은, 제3 단부와 제4 단부를 가지며 제1 부재(10)와 직교 또는 교차 배치되고 제3 단부의 중심과 제4 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가상선을 정의 가능한 제2 부재(20)에, 제1 힌지(110)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가상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힌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편(120)과, 고정편(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2 연결모듈(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13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연결모듈(200)은, 코어 바디(220)와, 코어 바디(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2 부재(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코어 바디(22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1 연결모듈(1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24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힌지(110)와 제2 힌지(210)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됨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모듈(200)은, 코어 바디(220)와,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제2 연결 브라켓(240)과 함께, 제3 연결 브라켓(250)을 구비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3 연결 브라켓(250)은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부재(20)의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연결 브라켓(23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코어 바디(220)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회동 지지편(231)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23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부재(20)는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 사이에서, 회동을 허용하며 결합 설치될 수 있을 것(도 3 참조)이다.
제2 연결 브라켓(24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코어 바디(220)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제3 회동 지지편(241)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24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제4 회동 지지편(24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110)는, 제1 체결 볼트(112)와 제1 체결 너트(113)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체결 볼트(112)는 제3 회동 지지편(241) 또는 제4 회동 지지편(242)을 통하여 관통 삽입되며, 제3 회동 지지편(241) 또는 제4 회동 지지편(242)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헤드(111)를 구비한 것이다.
제1 체결 너트(113)는 제4 회동 지지편(242) 또는 제3 회동 지지편(241)을 통하여 관통 노출된 제1 체결 볼트(112)에 나사 결합되어 제4 회동 지지편(242) 또는 제3 회동 지지편(241)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힌지(210)는, 제2 체결 볼트(212)와 제2 체결 너트(213)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체결 볼트(212)는 제1 회동 지지편(231) 또는 제2 회동 지지편(232)을 통하여 관통 삽입되며, 제1 회동 지지편(231) 또는 제2 회동 지지편(232)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헤드(211)를 구비한 것이다.
제2 체결 너트(213)는 제2 회동 지지편(232) 또는 제1 회동 지지편(231)을 통하여 관통 노출된 제2 체결 볼트(212)에 나사 결합되어 제2 회동 지지편(232) 또는 제1 회동 지지편(231)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연결모듈(100)의 돌출편(130)의 두께는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제4 회동 지지편(24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4 회동 지지편(242)과 제3 회동 지지편(241) 사이에, 돌출편(130)이 거의 꽉 끼다시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돌출편(130)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요동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제3 연결 브라켓(250)은 도 3과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연결 브라켓(250)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251)을 형성한 연결 본체(252)와,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2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회동 지지편(253)의 두께는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5 회동 지지편(253)은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제2 회동 지지편(232)을 관통하여 결합된 제2 힌지(2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5 회동 지지편(253)이 형성된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은, 제2 힌지(21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2 회동 지지편(231, 232)과 제5 회동 지지편(253)이 상대 회전하는 각도가 90도를 넘지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의 역할 또한 겸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닛 클램프를 이용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를 복수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가 제2 부재(20) 또는 제1 부재(10)에 대하여 90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여 처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면서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한편, 한 쌍의 사이드 지지봉(650)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한 쌍의 메인 지지봉(610)과 별개로 구비되어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메인 지지봉(610) 및 한 쌍의 사이드 지지봉(650) 각각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제4 부재(640)가 지지될 수 있다.
제4 부재(640)는 사용자가 착지하거나 답지(踏地) 가능한 면적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이 제1 베이스 분할편(310)과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 각각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과 마주보는 내주면 일부 또는 내측면 일부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 각각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과 마주보는 내주면 나머지 또는 내측면 나머지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및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각각의 양단부가 도 14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맞물려 도 10과 같이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을 따라 링 형상 또는 림 형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2 베이스 분할편(310, 320) 상호간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3 연결모듈(300)은, 제1, 2 탈착 돌편(311, 321) 및 제1, 2 탈착 홈(312, 3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탈착 돌편(311)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탈착 홈(312)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탈착 홈(322)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제1 탈착 돌편(311)과 맞물리는 것이다.
아울러, 제2 탈착 돌편(321)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탈착 홈(312)과 맞물리는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11과 도 13(c)와 도 12(c)와 도 14(a)에 도시된 다양한 추가 부재의 탈착 결합 구조 제공을 위하여 제1, 2 상부 단턱(313, 323) 및 제1, 2 하부 단턱(314, 32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상부 단턱(313)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하부 단턱(314)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상부 단턱(323)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하부 단턱(324)은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내주면 또는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10(b) 및 도 13(b)와 같이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되는 데크 부재(70)들을 받침 지지하는 제1 지지편(3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지지편(330)은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에 따라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으로부터 탈착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3 연결모듈(300)은, 도 11 및 도 13(c)와 같이 제1, 2 걸림 후크편(341, 342) 및 제1, 2 연결 분할편(343, 34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걸림 후크편(341)은 제1 상부 단턱(313) 또는 제2 상부 단턱(323)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걸림 후크편(342)은 제1 하부 단턱(314) 또는 제2 하부 단턱(324)에 걸림 고정되어 제1 걸림 후크편(341)과 함께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을 클램핑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연결 분할편(343)은 제1 걸림 후크편(341)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장되며, 내주면 또는 내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연결 분할편(344)은 제2 걸림 후크편(342)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장되며, 제1 연결 분할편(343)과 함께 맞물려 내주면 또는 내측면 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연결 분할편(343)과 제2 연결 분할편(344)에 의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별개로 구비되는 봉재 또는 각재인 제3 부재(30)가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분할편(343)과 제2 연결 분할편(344)은 도 8과 같이 서로 맞물려 봉재 또는 각재 등을 포함하는 제3 부재(30)의 단부를 수용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3 부재(30)를 연결시키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12(a) 및 도 14(a)와 같이 제3, 4 걸림 후크편(351, 352) 및 지지편(35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3 걸림 후크편(351)은 제1 상부 단턱(313) 또는 제2 상부 단턱(323)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4 걸림 후크편(352)은 제1 하부 단턱(314) 또는 제2 하부 단턱(324)에 걸림 고정되어 제3 걸림 후크편(351)과 함께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을 클램핑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편(353)은 제3 걸림 후크편(351)과 제4 걸림 후크편(352)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직교되게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편(353)에 의하여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와 별개로 구비되는 판재 또는 패널을 포함하는 제4 부재(40)의 하면을 받침 지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3 연결모듈(300)은 도 12(b) 및 도 14(b)와 같이 제1 베이스 분할편(310) 또는 제2 베이스 분할편(320)의 외주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설치편(360)과, 한 쌍의 설치편(360)에 각각 관통되는 설치홀(36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치홀(361)을 통하여 와이어 또는 봉재(60)가 관통되고, 설치홀(361)을 통하여 관통된 와이어 또는 봉재(60)에 네트나 메시 구조의 제5 부재(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에 각각 세워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봉(610)과, 한 쌍의 메인 지지봉(610) 각각의 상부측을 직교되게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봉(620)과,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의 메인 연결봉(620)과 직교 또는 교차되게 연결되며 시작점과 종점에 비하여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연장 부분이 상대적으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과 가깝게 위치하는 중공의 레일 프레임(630)을 포함하는 제1 이동지지 모듈(600); 레일 프레임(630)의 하면에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631)을 따라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왕복 가능한 트롤리 모듈(700);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지지봉(810)과, 한 쌍의 서브 지지봉(810)과 교차되게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레일 프레임(630)와 연결되는 서브 연결봉(820)을 포함하는 제2 이동지지 모듈(800); 및 메인 연결봉(620)과 레일 프레임(630)의 사이와, 서브 지지봉(810)과 서브 연결봉(820)의 사이와, 레일 프레임(630)와 서브 지지봉(810)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짚라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프레임(630)은, 레일 프레임(6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레일 프레임(630)의 상부 공간에 내장되는 수용 바(632)와, 레일 프레임(630)의 상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상부 절개 슬롯(633)과, 상부 절개 슬롯(633)을 통하여 레일 프레임(6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수용 바(632)에 대하여 직교되게 수용 바(63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수용 바(63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서브 연결봉(820)과 연결되는 연결 리브(634)와,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에 레일 프레임(630)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동시에, 수용 바(632)를 안착 고정시켜 받침 지지하는 바 수용 격벽(635)과, 레일 프레임(630)의 하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6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트롤리 모듈(700)의 일부가 이동 안내되도록 하는 보강안내 리브(636)를 포함하며, 트롤리 모듈(700)의 이동 롤러(720)는 각각 레일 슬롯(63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공간에서 구름 접촉하며 레일 프레임(6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트롤리의 원활한 왕복 운동을 도모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프레임(630)은,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의 제1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출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강부(630a)와, 타원의 제3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하강부(630a)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강부(630b)와, 제2 하강부(630b)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이동부(630c)와,
타원의 제4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630c)로부터 연장되는 제1 상승부(630d)와, 타원의 제2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상승부(630d)로부터 연장되는 제2 상승부(630e)를 포함하며, 제1 하강부(630a)의 선단부와 제2 상승부(630e)의 말단부는 각각,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또는 도착 지점과 출발 지점으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바, 중력 방향에 따른 하강 가속 및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승 감속에 따른 트롤리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모듈(700)은,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동 코어(710)와, 이동 코어(71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프레임(630)의 내부 저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 롤러(720)와, 이동 코어(710)와 연결되어 레일 슬롯(631)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어 지지봉(730)과, 코어 지지봉(730)의 하단부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봉(740)을 포함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는 지프라인을 즐길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110)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100)과, 제1 부재(10)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210)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200)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에 탈착 결합되며,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300)을 포함하며,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는 각각, 메인 연결봉(620)과 레일 프레임(630)(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과, 서브 지지봉(810)과 서브 연결봉(820)(이하 제2 양부재)과, 레일 프레임(630)와 서브 지지봉(810)(이하 제3 양부재)을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양부재는 각각,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 또는 제2 부재(20) 및 제1 부재(10)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를 할 수 있는 바, 다양한 시공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 직관적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편(120)과, 고정편(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2 연결모듈(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130)을 포함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모듈(200)은, 코어 바디(220)와, 코어 바디(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힌지(210)에 의하여 제2 부재(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코어 바디(22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1 연결모듈(1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240)과,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부재(20)의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250)을 포함하며, 제1 연결 브라켓(23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231)과, 코어 바디(220)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회동 지지편(231)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232)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브라켓(240)은, 원판 형상인 코어 바디(220)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코어 바디(220)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제3 회동 지지편(241)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242)을 포함하며, 제3 연결 브라켓(250)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251)을 형성한 연결 본체(252)와, 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252a)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 브라켓(230)과 제2 힌지(2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253)을 포함하고, 제1 연결모듈(100)은, 제1 힌지(110)에 의하여 제3 회동 지지편(241)과 제4 회동 지지편(242)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연결 대상 부재에도 적용 가능한 연결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시공 환경에도 공간이나 시공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활한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어떠한 시공 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짚라인의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제1 부재
20...제2 부재
30...제3 부재
40, 640...제4 부재
50...제5 부재
60...와이어 또는 봉재
70...데크 부재
100...제1 연결모듈
110...제1 힌지
111...제1 헤드
112...제1 체결 볼트
113...제1 체결 너트
120...고정편
130...돌출편
200...제2 연결모듈
210...제2 힌지
211...제2 헤드
212...제2 체결 볼트
213...제2 체결 너트
220...코어 바디
230...제1 연결 브라켓
231...제1 회동 지지편
232...제2 회동 지지편
240...제2 연결 브라켓
241...제3 회동 지지편
242...제4 회동 지지편
250...제3 연결 브라켓
251...삽입홈
252...연결 본체
252a...연결 본체(252)의 타단부 면
253...제5 회동 지지편
300...제3 연결모듈
310...제1 베이스 분할편
311...제1 탈착 돌편
312...제1 탈착 홈
313...제1 상부 단턱
314...제1 하부 단턱
320...제2 베이스 분할편
321...제2 탈착 돌편
322...제2 탈착 홈
323...제2 상부 단턱
324...제2 하부 단턱
330...제1 지지편
341...제1 걸림 후크편
342...제2 걸림 후크편
343...제1 연결 분할편
344...제2 연결 분할편
351...제3 걸림 후크편
352...제4 걸림 후크편
353...지지편
360...설치편
361...설치홀
600...제1 이동지지 모듈
610...메인 지지봉
620...메인 연결봉
630...레일 프레임
630a...제1 하강부
630b...제2 하강부
630c...이동부
630d...제1 상승부
630e...제2 상승부
631...레일 슬롯
632...수용 바
633...상부 절개 슬롯
634...연결 리브
635...바 수용 격벽
636...보강안내 리브
640...제4 부재
650...사이드 지지봉
700...트롤리 모듈
710...이동 코어
720...이동 롤러
730...코어 지지봉
740...파지봉
750...이탈 규제편
800...제2 이동지지 모듈
810...서브 지지봉
820...서브 연결봉

Claims (7)

  1.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에 각각 세워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메인 지지봉 각각의 상부측을 직교되게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봉과,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의 상기 메인 연결봉과 직교 또는 교차되게 연결되며 시작점과 종점에 비하여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연장 부분이 상대적으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과 가깝게 위치하는 중공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이동지지 모듈;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면에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을 따라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왕복 가능한 트롤리 모듈;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서브 지지봉과 교차되게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레일 프레임와 연결되는 서브 연결봉을 포함하는 제2 이동지지 모듈; 및
    상기 메인 연결봉과 상기 레일 프레임의 사이와, 상기 서브 지지봉과 상기 서브 연결봉의 사이와, 상기 레일 프레임와 상기 서브 지지봉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 각각에 장착되어 굴곡 또는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커플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레일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내장되는 수용 바와,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상부 절개 슬롯과,
    상기 상부 절개 슬롯을 통하여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수용 바에 대하여 직교되게 상기 수용 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 모듈에 의하여 상기 서브 연결봉과 연결되는 연결 리브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 바를 안착 고정시켜 받침 지지하는 바 수용 격벽과,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레일 슬롯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 모듈의 일부가 이동 안내되도록 하는 보강안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 모듈의 이동 롤러는 각각 상기 레일 슬롯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구름 접촉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의 제1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강부와,
    상기 타원의 제3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강부와,
    상기 제2 하강부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이동부와,
    상기 타원의 제4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상승부와,
    상기 타원의 제2 사분면 부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승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상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강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상승부의 말단부는 각각, 상기 출발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 또는 상기 도착 지점과 상기 출발 지점으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모듈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 저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 롤러와,
    상기 이동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 슬롯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어 지지봉과,
    상기 코어 지지봉의 하단부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모듈은,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과,
    상기 제1 부재와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과,
    분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별도의 부재를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제3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메인 연결봉과 상기 레일 프레임(이하 제1 양부재(兩部材)라고 함)과, 상기 서브 지지봉과 상기 서브 연결봉(이하 제2 양부재)과, 상기 레일 프레임와 상기 서브 지지봉(이하 제3 양부재)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양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로, 상호 상대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모듈은,
    코어 바디와,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코어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모듈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제3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의 일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은,
    원판 형상인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코어 바디 타면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마주보는 제4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은,
    양단부 중 일단부에 상기 제3 단부 또는 상기 제4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형성한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타단부 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모듈은, 상기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3 회동 지지편과 상기 제4 회동 지지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KR1020210069270A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KR102616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270A KR102616735B1 (ko)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270A KR102616735B1 (ko)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962A true KR20220160962A (ko) 2022-12-06
KR102616735B1 KR102616735B1 (ko) 2023-12-21

Family

ID=8440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270A KR102616735B1 (ko) 2021-05-28 2021-05-28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91Y1 (ko) * 2023-03-21 2023-09-22 하부경 턴트랙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665B1 (ko) * 2008-03-28 2009-08-05 조순영 놀이기구 체결장치
KR20120130452A (ko) * 2011-05-23 2012-12-03 유재이 놀이 시설물용 이동형 매달리기 기구 구조물
KR20130138410A (ko) * 2012-06-11 2013-12-19 유제우 안전 스케이트 보드 놀이기구
US20150114250A1 (en) * 2013-10-28 2015-04-30 Landscape Structures Inc. Zip track system
KR102064506B1 (ko) 2019-08-08 2020-01-09 김희준 왕복 짚라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665B1 (ko) * 2008-03-28 2009-08-05 조순영 놀이기구 체결장치
KR20120130452A (ko) * 2011-05-23 2012-12-03 유재이 놀이 시설물용 이동형 매달리기 기구 구조물
KR20130138410A (ko) * 2012-06-11 2013-12-19 유제우 안전 스케이트 보드 놀이기구
US20150114250A1 (en) * 2013-10-28 2015-04-30 Landscape Structures Inc. Zip track system
KR102064506B1 (ko) 2019-08-08 2020-01-09 김희준 왕복 짚라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91Y1 (ko) * 2023-03-21 2023-09-22 하부경 턴트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735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2165C (en) Ceiling-mounted baffle system
JP6484910B1 (ja) ドローンの安全飛行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ガードフレーム
EP0953538B1 (en) Traction type elevator
KR20220160962A (ko)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짚라인
US10895171B2 (en) Thrust reverser cowl rack
WO2022062174A1 (zh) 用于无人机的位置矫正装置和存储系统
EP3449080B1 (en) Revolving door
JPWO2013014815A1 (ja) カーテンレール構造
FI96713B (fi) Käyttövalmis seinäjärjestelmä
JP2001129781A (ja) 上方から容器を掴むための昇降可能な保持機構の掴み装置
KR20220160959A (ko)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조합 놀이대
KR101350463B1 (ko) 중추 리미트 장치
CN115162564A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CN104279130B (zh) 塔节存储
US20060169483A1 (en) Device for routing jumpers from a raceway
JP2001301915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7126591B1 (ja) ケーブル布設システム
JP4388848B2 (ja) 移動手摺り
WO2022091612A1 (ja) 吊り下げ具
JP2006144234A (ja) パネル吊り込み方法
CN2763153Y (zh) 婴儿车的煞车装置
JP2024523319A (ja) ルーフトップコーナー用アンテナ機器の設置装置
JPS6034873Y2 (ja) 扇風機
JP4519971B2 (ja) 間仕切り壁の施工方法、構造及び間仕切りランナーの構造
JP3080155U (ja) トラック荷台用ポール立て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