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871A -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871A
KR20220159871A KR1020210177386A KR20210177386A KR20220159871A KR 20220159871 A KR20220159871 A KR 20220159871A KR 1020210177386 A KR1020210177386 A KR 1020210177386A KR 20210177386 A KR20210177386 A KR 20210177386A KR 20220159871 A KR20220159871 A KR 2022015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registered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우
민성오
허혜연
서민규
김도현
허정민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컴퓨팅 장치에 의한,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상기 획득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OMN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SHOPPING MALL INFORMATION CUR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쇼핑몰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공하는 상품을 열람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함에 의해,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는 기존의 상품 아이템과 더불어 적어도 매달 수십에서 수백 개에 이르는 신규 상품 아이템을 사이트에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상품 선택의 범위가 넓어짐과 동시에 오히려 많아진 상품 중에서 어느 것을 골라야 하는지와 관련하여 선택 상의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에, 고객의 상품 선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는 고객을 위하여 상품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을 의류라고 가정했을 때, 종래의 의류 추천 서비스 방법은 유저(user) 기반 추천 방법과 아이템(item) 기반 추천 방법이 있다.
상기 유저 기반 추천 방법은 해당 고객의 신체 조건, 선호하는 스타일 및 취향이 유사한 다른 고객이 선택한 의류를 해당 고객에게 추천하는 방법이다.
반면, 상기 아이템 기반 추천 방법은 과거 해당 고객이 사이트에서 선택하였던 의류와 유사한 신체 조건, 선호하는 스타일 및 취향을 가진 의류를 해당 고객에게 추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의류 추천 방법들은 의류의 유사도의 측정 기준이 일정하지 아니하여 객관성이 다소 부족한 단점이 있으며, 추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품 하나별로 일일이 추가적인 정보(해당 제품을 구매한 고객의 신체 조건, 제품의 스타일과 취향, 제품의 클릭 수 등)를 부여하여야 하므로 의류 판매자의 관리 수요도에 수반하여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근래 비교적 유행이 빠르게 변화되는 의류의 상품 특성상 유행에 따라서 의류 판매업체의 재고 상품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의류의 재고 물량을 신속하게 판매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새로운 연결을 통해 상품 판매자와 마케팅 채널을 이어 서비스 사업자에게 최적화된 상점 및 상품과의 연결을 지원하는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한,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상기 획득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OMN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는 태그 정보(tag information)와 함께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자동 배포 단계는,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들을 분석하여,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conversion) 정보, 코호트 그룹(cohort group)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 정보, 코호트 그룹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와 자동 배포 서비스 플랫폼과의 매칭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상기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애드 네트워크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 정보, 코호트 그룹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타입 정보, 상기 쇼핑몰 컨버전 정보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는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타입 정보는 상기 등록 쇼핑몰의 업태 정보, 상기 등록 쇼핑몰의 OMN 카테고리 정보, 상기 등록 쇼핑몰의 스타일(style)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컨버전 정보는 상기 등록 쇼핑몰에 대해 주문하는 고객의 나이대, 성별 및 지역 중 적어도 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코호트 그룹 정보는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상기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될 수 있다.
상기 코호트 그룹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코호트 코드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호트 코드 기준은 매출액 규모 및 상품 업로드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상품 상세 정보는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상세 정보는 상품명, 상품 이미지, 상품 가격 및 상품 재고량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상품 일반 정보, 상품 OMN 카테고리 정보, 상품 스타일(style) 정보, 상품 후기 정보, 상품 배송 정보 및 상품 혜택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장치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상기 저장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고, 그리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자상거래와 연관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서버(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고 그리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그리고 상기 획득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OMN을 통해 제공할 때,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고 그리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쇼핑몰 개설 후 온라인 마켓팅 네트워크에 연결만 하면, 큐레이션 서비스, 어필리에이터 서비스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로 쇼핑몰 및 상품이 자동 연결되어 상품 판매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온라인 마켓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를 통해 매칭되는 서비스 플랫폼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OMN에서 취급하는 정보와 서비스 플랫폼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쇼핑몰 및 상품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과 쇼핑몰 페이(pay)가 연동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에서 풀필먼트 서비스(fulfillment service)가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어필리케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쇼핑몰 및 상품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OMN의 시스템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판매자(110),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 온라인 마켓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130) 및 서비스 사업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판매자(110)는 상품을 판매하는 자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에 가입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여 운영하는 자일 수 있다. 즉, 쇼핑몰 운영자를 포함한다. 판매자(110)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의 단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또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은 상기 앱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이용자가 앱 또는 웹 상에서 쉽게 쇼핑몰을 생성하고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은 OMN(130)과 연동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은 EC 어드민(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의 관리자)을 통해, 판매자(110)를 포함하는 플랫폼 사용자들에게 OMN 참여자를 유치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 유치를 통해 OMN(130)에 노출된 쇼핑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참여 유치는 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OMN에 상품을 노출하고 싶다면 설정"하라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또는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OMN(130)에 가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OMN(130)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이는 OMN을 제어하는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OMN(130)은 모바일 및/또는 PC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버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제공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OMN(130)은 온라인 쇼핑몰 이외에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새로운 마케팅 채널을 다수 포함한다. 이를 통해 쇼핑몰 운영자는 온라인 쇼핑몰 개설 후, 쇼핑몰 또는 상품 등록만 하면, 쇼핑몰 및 상품을 새로운 채널을 통해 공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마케팅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OMN(130)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의 개발자 센터와 연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의 개발자 센터를 이용하여 OMN(130)의 서비스 사업자 및 OMN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레퍼런스(reference)를 제공할 수 있다. OMN(130)은 빅데이터를 통해 구매자의 소비성향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추천하는 큐레이션 서비스(curation service),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120)의 쇼핑몰 자체 또는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마케팅을 대신 해주는 어필리에이트 서비스(affiliate service) 및 광고주와 매체를 연결하는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Ad-network service)를 포함한다.
OMN(130)은 OMN(130)을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사업자(140)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때, OMN(130)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에 의한 수익의 일부를 수수료의 일환으로 서비스 사업자(140)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운영자가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OMN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운영 서버에 의해 OMN에 가입한 쇼핑몰의 쇼핑몰 정보 및/또는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S210). 이때, 정보는 쇼핑몰 운영자로부터 직접 받을 수도 있고,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운영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OMN 서버는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S220),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자동 배포 서비스 플랫폼에 매칭한다(S230). 자동 배포 서비스 플랫폼은 앞서 설명한 큐레이션 서비스(curation service), 어필리에이트 서비스(affiliate service)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Ad-network service)를 포함한다. OMN 서버는 쇼핑몰 정보 및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카테고리 기반, 구독 모델 기반, 구매자 개인 취향 기반, 나이 및 성별 기반 등 다양한 구매 지표를 도출하여, 큐레이션 서비스 등 자동 배포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는, 매칭된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쇼핑몰 또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노출한다(S240).
도 3은 온라인 마켓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를 통해 매칭되는 서비스 플랫폼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판매자(310)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320)에 쇼핑몰을 생성하고, OMN(330)에 자신의 쇼핑몰 및/또는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노출에 관해 동의할 수 있다.
그러면,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320)은 OMN 노출에 동의한 상점 및 상품 정보를 OMN(330)을 통해 자동으로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OMN(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큐레이션 서비스(332), 어필리에이트 서비스(334)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336)를 통해 상기 동의한 상점 및/또는 상품을 노출함으로써 쇼핑몰의 마켓팅을 지원한다.
큐레이션 서비스(332)는 특정 성별, 특정 나이대, 특정 카테고리에 특화된 상품 및 쇼핑몰을 큐레이션한다. 즉, 성별/연령에 맞는 상품을 큐레이션 하여 사용자 맞춤 쇼핑정보를 제휴된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노출할 수 있다.
어필리에이트 서비스(334)는 아마존과 같은 업체가 자신의 채널(블로그, SNS 등)에 쇼핑몰 및 상품을 홍보하고 구매를 이끌어낸다. 대표적으로 AMAZON associates와 같은 서비스가 있다. 어필리에이트 서비스(334)는 특정 기업과 제휴를 맺어 상품의 판매 및 서비스 구매, 등록의 절차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개인 마케터의 마켓팅 행위도 포함될 수 있다.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336)는 검색 및 광고 서비스를 포함한다. 일 예로, 다수의 포털 사이트의 쇼핑 플랫폼을 통합하여, 검색 광고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글, 네이버 등 다양한 포털의 검색 광고를 한 곳에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별 포털의 정책에 대응하여, CPC 최적화, 자동 입찰, 키워드 추출 기술이 활용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광고의 타게팅 기법인 디바이스 분석, 성별/연령별 분석 및 장바구니 분석 등을 접목하여 보다 고도화된 광고 운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검색 광고에서 중요한 팩터로 사용되는 키워드 등록을 업종별 주요 키워드 솔루션을 통해 수행하여, 반응률이 높고 효과적인 키워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AI 개인화 추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및 트래킹 기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OMN에서 취급하는 정보와 서비스 플랫폼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OMN은 연동하여 다양한 클래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ONM에 등록된 쇼핑몰 및/또는 상품을 적절한 OMN 서비스에 매칭시킨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은 연동하는 OMN에 온라인 쇼핑몰 전체 상점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는, 상점 정보 및 그에 대한 태그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품 정보 및 그에 대한 태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OMN 서비스에 사전 동의한 상점 및/또는 상품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자동 배포될 수 있다.
OMN은 위와 같이 획득된 상점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conversion) 정보, 코호트 그룹(cohort group)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정보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는 분석 결과에 따라 쇼핑몰 및 상품을 적절한 서비스에 매칭시킨다.
먼저, 쇼핑몰 타입 정보는 쇼핑몰의 업태 정보, 쇼핑몰 OMN 카테고리 정보 및 쇼핑몰 스타일 정보를 포함한다. 쇼핑몰의 업태 정보는 어떤 상품을 어떤 형태로 판매하는 쇼핑몰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의류 소매업, 의류 도매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쇼핑몰 OMN 카테고리 정보는 쇼핑몰의 OMN 카테고리 중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어떤 상품을 취급하는지에 따라 OMN 카테고리가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 의류를 취급하는지, 남성 신발을 취급하는지를 기반으로 해당 쇼핑몰의 OMN 카테고리가 구분될 수 있다. 쇼핑몰 스타일 정보는 쇼핑몰이 표방하는 스타일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트니스, 섹시, 러블리, 럭셔리 명품 등 해당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특수한 속성을 지시한다. 위의 정보들은 쇼핑몰 등록시 또는 OMN 가입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쇼핑몰 컨버전 정보는 쇼핑몰의 구매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쇼핑몰 주문 연령 정보, 쇼핑몰 주문 성별 정보 및 쇼핑몰 주문 지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해당 쇼핑몰을 방문하거나 해당 쇼핑몰에서 상품을 주문, 구매한 고객들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코호트 그룹 정보는 코호트 그룹 필터(cohort group filter)에 의해 필터링된 정보를 포함한다. 코호트 그룹 필터는 코호트 코드 기준에 따라 쇼핑몰 및/또는 상품을 그룹핑한다. 예를 들어, OMN은 최근 30일(기준 기간을 변경 가능함) 기준에 10억(기준 매출액은 변경 가능) 이상의 몰 그룹을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OMN은 최근 등록 3일 기준 신규 상품의 그룹을 그룹핑할 수 있다.
상품 상세 정보는 상품명, 이미지, 가격(할인 가격 포함), 재고 및 표시 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상품 ONM 카테고리 정보, 상품 스타일 정보, 상품 후기 정보, 상품의 배송 및 혜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무료 배송, 당일 배송, 카드 할인, 쿠폰 할인 등과 관련된 정보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서 개발한 결제 서비스(이를 "쇼핑몰 페이(Shoppingmall Pay)"라고 부를 수 있음)와의 연동을 포함한다. 또한, 해당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배송 서비스, 사입삼촌 서비스, 운영 대행몰 서비스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OMN을 통해 마케팅해줄 수 있다.
OMN은 쇼핑몰 타입 정보 및 쇼핑몰 컨버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쇼핑몰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큐레이션 서비스 및 어필리에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호트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쇼핑몰에 대해 큐레이션 서비스,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OMN은 상품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큐레이션 서비스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OMN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쇼핑몰 및/또는 상품에 매칭되는 큐레이션 서비스 및 어필리에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쇼핑몰 및 상품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MN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자 센터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자 센터는 OMN의 개발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발 레퍼런스를 제공할 수 있고, 큐레이션 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제작 방법 등을 서로 공유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와 연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OMN은 코호트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매출액에 따른 순위에 기반하여 쇼핑몰들을 큐레이션할 수 있다. 즉, "매출액 연 1억 이상 몰 TOP 10"이라는 명목하에, 코호트 그룹을 연 매출액을 기반으로 필터링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쇼핑몰들을 매출액 규모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쇼핑몰 타입 정보의 쇼핑몰 스타일 정보를 매출액 규모 순위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출액 규모 33위의 쇼핑몰 1은 모던시크, 유니크의 쇼핑몰 스타일이 있음을 함께 표시한다. 이때, 쇼핑몰의 대표 이미지 및 쇼핑몰 이름이 함께 표시된다. 또한, 쇼핑몰 컨버전 정보의 쇼핑몰 주문 연령 및 쇼핑몰 주문 성별 또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위의 쇼핑몰 1은 "20대 여성"이라는 쇼핑몰 주문 성별 및 연령이 표시되고, 34위의 쇼핑몰 2은 "30대 여성"이라는 쇼핑몰 주문 성별 및 연령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OMN은 쇼핑몰 타입 정보 중 쇼핑몰 스타일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쇼핑몰을 필터링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쇼핑몰 스타일은, 러블리, 섹시, 페미닌, 럭셔리 명품, 유니크, 십대쇼핑몰, 빅사이즈, 언더웨어, 가방, 패션 잡화 등 해당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대표성 또는 해당 쇼핑몰이 지향하는 방항성에 대응하는 속성으로 판매자가 정의한 것일 수 있는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은 이를 필터링하여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들이 원하는 쇼핑몰이 표시될 수 있도록 허여한다. 이때, 복수 개의 쇼핑몰 스타일 속성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웨어" 속성이 선택되면, 언더웨어 속성을 갖는 쇼핑몰이 필터링되어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표시된다. "언더웨어"와 "섹시" 속성이 선택되면, 언더웨어 속성과 섹시 속성을 함께 갖는 쇼핑몰만이 필터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쇼핑몰 스타일 정보와 코호트 그룹 정보 등 서로 다른 클래스의 정보를 함께 필터링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 1억 이상 몰 중에 "언더웨어" 속성을 갖는 쇼핑몰이 필터링되어 두 가지 필터의 기준에 모두 부합하는 쇼핑몰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OMN은 쇼핑몰 컨버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주문 연령대를 기반으로 "10대"를 선택하여, 10대가 주요 쇼핑몰 주문 연령대를 형성하고 있는 쇼핑몰 및/또는 쇼핑몰의 상품만이 큐레이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쇼핑몰 주문 성별 및 지역 등 다른 쇼핑몰 컨버전 정보의 팩터들도 선택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쇼핑몰 컨버전 정보를 통해 필터링된 쇼핑몰의 상품을 표시할 때, 해당 쇼핑몰의 상세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컨버전 정보에 의해 필터링된 상품이 표시되고 있을 때, OMN은 필터링된 상품의 가격, 이미지, 상품명, 할인율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에서 큐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될 때, 큐레이션 서비스의 이용자는 큐레이션 서비스 앱에서 쇼핑몰 단위(shop)로 정보를 제공받을지, 상품 단위(item)로 정보를 제공받을지 선택할 수 있다. "shop" 아이콘과 "item" 아이콘을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sale" 아이콘을 선택하여 할인 대상 상품 또는 해당 상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쇼핑몰이 검색되어 큐레이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과 쇼핑몰 페이(pay)가 연동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OMN은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끊김 없는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OMN은 큐레이션되고 있는 쇼핑몰의 주변에 쇼핑몰 페이 구매 버튼을 노출하여, 해당 쇼핑몰의 쇼핑몰 페이(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제공하는 결제 플랫폼)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쇼핑몰 페이를 통해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OMN은 OMN 정보와 쇼핑몰 페이를 함께 큐레이션 서비스에 적용함에 따라 이용자에게 끊김 없는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큐레이션된 상품을 클릭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장바구니 담기" 아이콘과 "쇼핑몰 페이 구매하기" 아이콘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쇼핑몰 페이로 쉽게 구매가 가능하도록 허여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쇼핑몰 페이를 통한 결제는 쇼핑몰 하나에만 결제 대상이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쇼핑몰의 상품을 통합 결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게 적용된다. 즉, 쇼핑몰 1의 A 상품의 결제와 쇼핑몰 2의 B 상품의 결제가 쇼핑몰 페이에 의해 통합 결제되도록 상품 결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도 7은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에서 풀필먼트 서비스(fulfillment service)가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OMN은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특수 배송 서비스(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OMN은 큐레이션되고 있는 쇼핑몰의 주변에 당일 배송 가능 쇼핑몰 아이콘을 노출하여, 해당 쇼핑몰이 당일 배송 가능한 쇼핑몰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OMN은 OMN 정보와 패스트박스(빠른 배송) 정보를 함께 큐레이션 서비스에 적용함에 따라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풀필먼트 서비스에 따라 당일 배송 가능한 상품을 모아 보는 것도 가능하다. 즉, 풀필먼트 서비스가 적용되는 상품만을 필터링하여 표시함에 따라 이용자가 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풀필먼트 서비스에 따라 글로벌 배송 가능한 상품 및/또는 쇼핑몰을 모아 보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글로벌 배송과 관련된 풀필먼트 서비스가 적용되는 상품 및/또는 쇼핑몰을 표시함에 따라 이용자가 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8은 어필리케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쇼핑몰 및 상품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OMN은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쇼핑몰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확장하여 배너를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티컬 서비스에서 카테고리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 & 리빙 카테고리의 상품을 표시할 때, 다른 카테고리의 여성 의류 카테고리의 상품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품 1(에어드레서)과 상품 2(러그)와 같은 홈 & 리빙 상품을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표시할 때, 여성 의류 카테고리의 원피스 및 니트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확장되는 카테고리의 상품은 서로 관련성이 낮은 카테고리의 상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OMN은 제 1 머신러닝을 통해, 추천했을 때 구매까지 이어진 사례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학습하여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을 표시할 때, 추천되는 카테고리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상품을 표시하다가 카테고리 2 내지 4의 상품을 추천할 때는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데 반해, 카테고리 5의 상품을 추천할 때 구매로 이어지는 케이스가 기준 값이 발생함을 학습하여, 카테고리 1의 상품 표시시 카테고리 5의 상품을 추천하도록 머신러닝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OMN은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특정 상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쇼핑몰에 관련성이 높은 상품을 확장하여 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븐베이크드 연어 사료를 취급하는 쇼핑몰에 다른 쇼핑몰의 애견 하우스 또는 애견 매트와 같은 애견용품의 상품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a)의 예와 같이, 쇼핑몰의 상품 확장의 실시예에도 머신러닝이 활용될 수 있다. 관련성이 높은 카테고리의 상품을 추천하되, 추천시 실제 구매로 이어진 케이스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활용하여, 제 2 머신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는, 머신러닝 모델을 실행하여 특정 쇼핑몰의 상품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 카테고리를 맞춤형으로 특정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추천되는 상품은 OMN에 가입된 쇼핑몰의 상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OMN은 서로 다른 업체의 상품들을 포함하는 메타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기업 1의 선풍기와 기업 2의 그릇 세트 등을 취합하여 하나의 메타 쇼핑몰을 생성하여 판매될 수 있도록 어플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메타 쇼핑몰로 취합되는 상품은 제 3 머신러닝 모델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제 3 머신러닝 모델은 메타 쇼핑몰로 취합되었을 때, 실제 구매로 이어진 케이스를 학습데이터 셋으로 활용하여 학습된다. 일 예로, 제 3 머신러닝 모델은 메타 쇼핑몰로의 취합시의 연결 구매 확률이 높은 상품들의 세트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활용한다. 이때, 상품의 카테고리의 연관성, 상품 제조 업체의 연관성, 상품 가격의 연관성, 및 상품 할인 정보의 연관성(동일 계열의 카드나 쿠폰의 활용성 등)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
도 9는 OMN의 시스템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서버는 상품정보, 쇼핑몰 정보 및 그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스태깅 데이터베이스(staging DB)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저장된 데이터들은 IDP(Integrated Data Processing)를 통해 내부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의 워커(worker)는 스태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재고품절 진열 중단 정보를 획득하여 OMN에 제공한다.
OMN은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틱 검색 엔진(Elasticsearch Engine)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엘라스틱 검색 엔진을 포함한다. 제 1 엘라스틱 검색 엔진은 워커로부터 전체 데이터를 전달받아, 제 1 검색 API를 통해 내부고객에게 쇼핑몰 및/또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제 2 엘라스틱 검색 엔진은 선택된 쇼핑몰에 대한 데이터만을 전달받아, 제 2 검색 API를 통해 외부고객에게 쇼핑몰 및/또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엘라스틱 검색 엔진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NoSQL 저장소로도 활용된다. 특히,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수정 및 삭제 요청을 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결과를 받을 수 있는 API를 지원한다. 엘라스틱 검색 엔진은 실시간 검색 기능으 제공한다.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데이터 집계 기능을 제공해 실시간 분석 엔진으로도 활용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통신부(1010), 프로세서(1020), 메모리(1030) 및 입출력 모듈(10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부(1010)는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쇼핑몰 운영자 단말,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 및/또는 쇼핑몰 플랫폼 서버와 같은 타 장치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0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관된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부(1010)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통신부(1010)를 통해 수신되는 OMN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태그 정보 포함)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하고, 매칭된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등록 쇼핑몰 및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자동 배포한다. 자동 배포 결과는 관련 API를 통해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20)에서 수행해야 할 프로그램들과 연관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1020)에서 요구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이다. 메모리(1030)는 쇼핑몰의 판매 정보, 매출 정보, 매출 순위, 특정 쇼핑몰에서의 상품 구매 회원 정보 및 쇼핑몰 회원들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장치 내부의 로컬 메모리 또는 외부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040)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정보 입력 수단 및 모니터, TV, 터치스크린과 같은 정보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입출력 모듈(1040)은 쇼핑몰 및 쇼핑몰 상품 분석과 관련된 각종 설정값들(매출액 임계값, 매출액 산출 임계 기간 등)을 변경하고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컴퓨팅 장치에 의한,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상기 획득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OMN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는 태그 정보(tag information)와 함께 획득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배포 단계는,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들을 분석하여,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conversion) 정보, 코호트 그룹(cohort group)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 정보, 코호트 그룹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와 자동 배포 서비스 플랫폼과의 매칭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상기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애드 네트워크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쇼핑몰 타입 정보, 쇼핑몰 컨버전 정보, 코호트 그룹 정보, 상품 상세 정보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타입 정보, 상기 쇼핑몰 컨버전 정보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정보는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타입 정보는 상기 등록 쇼핑몰의 업태 정보, 상기 등록 쇼핑몰의 OMN 카테고리 정보, 상기 등록 쇼핑몰의 스타일(style)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컨버전 정보는 상기 등록 쇼핑몰에 대해 주문하는 고객의 나이대, 성별 및 지역 중 적어도 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코호트 그룹 정보는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상기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호트 그룹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코호트 코드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호트 코드 기준은 매출액 규모 및 상품 업로드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상품 상세 정보는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및 상기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상세 정보는 상품명, 상품 이미지, 상품 가격 및 상품 재고량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상품 일반 정보, 상품 OMN 카테고리 정보, 상품 스타일(style) 정보, 상품 후기 정보, 상품 배송 정보 및 상품 혜택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방법.
  10.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상기 저장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고; 그리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도록 제어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장치.
  11.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상거래와 연관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서버, 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및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는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고; 그리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도록 제어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 시스템.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된 다수의 쇼핑몰들 중 온라인 마케팅 네트워크(OMN: Online Marketing Network)에 등록한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OMN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하는 마켓팅 네트워크임; 그리고
    상기 획득된 등록 쇼핑몰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OMN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OMN을 통해 제공할 때, 상기 상기 등록 쇼핑몰의 정보 및 상기 등록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curation service platform), 어필리에이트 서비스 플랫폼(affiliate service platform) 및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ad netword service platform)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매칭시키고; 그리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플래폼을 기반으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자동 배포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10177386A 2021-05-26 2021-12-13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59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00 2021-05-26
KR20210067700 2021-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71A true KR20220159871A (ko) 2022-12-05

Family

ID=843918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386A KR20220159871A (ko) 2021-05-26 2021-12-13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10177400A KR20220159872A (ko) 2021-05-26 2021-12-13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400A KR20220159872A (ko) 2021-05-26 2021-12-13 쇼핑몰 관련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5987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72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8541B2 (en) Next generation improvements in recommendation systems
US8626602B2 (en) Consumer shopping and purchase support system and marketplace
US201400675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products and services
US201702361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ifying targeted content for customers
US201400675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cision retailing
US20190384616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changing mobile commerce elements within native application instantly without code build
US11127022B2 (en) Retail as a service
KR20210143554A (ko) 오픈마켓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키워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02475A1 (en) Managing, publishing and tracking content for virtual store display windows
US20200202403A1 (en)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connecting initial provider and buyer via mid-distribution man
KR102616924B1 (ko)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효과 분석을 통해 다양한 랭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7632A (ko) 상품별 등록 스케쥴을 기반으로 온라인 마켓 api 연동을 통해 상품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JP7019933B2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KR20090097701A (ko) 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KR20220159871A (ko) 쇼핑몰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145823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6564114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20220102511A (ko) 온라인 광고를 위한 사용자-광고 간 매칭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784021A (zh) 用于使用从评论提取的关键字的系统和方法
KR20210137264A (ko) 빅데이터 기반 온라인 쇼핑몰 ai 키워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6936A (ko)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303163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duct data on mobile user interfaces
US202300923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upported medium
JP6901535B2 (ja) 広告表示制御装置、広告表示制御方法、及び広告表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