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691A -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 Google Patents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691A
KR20220159691A KR1020210067614A KR20210067614A KR20220159691A KR 20220159691 A KR20220159691 A KR 20220159691A KR 1020210067614 A KR1020210067614 A KR 1020210067614A KR 20210067614 A KR20210067614 A KR 20210067614A KR 20220159691 A KR20220159691 A KR 20220159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ound
core
resilience
arch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954B1 (ko
Inventor
서진우
Original Assignee
(주) 서림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림바이오 filed Critical (주) 서림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6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9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은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부는 저면에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발포 미드솔, 수용홈에 밀착하는 아치부, 아치부의 좌우로 제공되는 수평 지지부와 아치부에 대응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드솔 지지구조, 및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변위에 따라 미드솔 지지구조에 의한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리바운스 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FOOTWEAR OF ADJUSTING AMOUNT OF CUSHION AND REBOUNCE}
본 발명은 쿠션과 반발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신발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신발의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용이하게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는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시작되었지만, 관련된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목적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며, 밑창부분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솔 및 미드솔의 저면에 부착되어 내마모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아웃솔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미드솔과 아웃솔을 하나의 소재로 결합하여 별도의 분리 없이 하나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건강한 보행은 착지, 중립 및 전진으로 자연스럽게 이러지는 것이 좋을 수 있다. 하지만, 굽을 높인 신발이나 신발창의 사용으로 뒤꿈치가 들린 보행이 현대인의 보행 습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047352호는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2개의 쿠션부재를 상하로 지그재그 교차 시킴으로써 그 사이로 육각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충격흡수를 개선하고 반발특성을 높여 추진식 구름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신발창은 높은 반발특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그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없어 상황에 따라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94251호는 "충격 흡수와 반발특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신발 솔은 최상의 반발특성을 제공하면서 신발 솔을 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훌륭하지만, 이 역시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없어 상황에 따라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갖는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31333호는 다수개의 반발튜브관을 이용한 탄성 밑창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미드솔을 형성하는 고밀도 스폰지창에 좌우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고, 그 통로에 탄성 튜브를 삽입하여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의 방법으로 반발특성을 제어할 수 있지만, 그 사용이 불편하며, 항상 탄성튜브관이나 공기연결관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필요한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을 여전히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쿠션과 반발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바운스 코어를 돌리거나 비트는 단순한 동작으로도 원하는 쿠션 또는 반발특성의 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바운스 코어의 지지 위치나 개수를 변경하여 쿠션 또는 반발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바운스 코어뿐만 아니라 리바운스 코어를 수용하는 미드솔 지지구조를 개량하여 그 자체로도 양호한 반발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은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부는 저면에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발포 미드솔, 수용홈에 밀착하는 아치부, 아치부의 좌우로 제공되는 수평 지지부와 아치부에 대응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드솔 지지구조, 및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변위에 따라 미드솔 지지구조에 의한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리바운스 코어를 포함한다.
리바운스 코어는 미드솔 지지구조의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미드솔 지지구조에 의한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리바운스 코어의 조절을 위해서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노출되는 리바운스 코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방으로 노출된 리바운스 코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아치부의 양측으로 수평 지지부가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지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밑창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미드솔 지지구조의 양 수평 지지부의 끝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 윙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수직 윙들은 발포 미드솔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발포 미드솔의 좌우 비틀림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리바운스 코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반발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바운스 코어는 D-컷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바운스 코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컷 단면의 리바운스 코어가 수평하게 배향되면 미드솔 지지구조가 반발탄성을 제공할 수 없지만, 리바운스 코어가 수직하게 배향되면 리바운스 코어가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의 상하로 지지함으로써 강한 반발특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리바운스 코어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하여 반발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서 리바운스 코어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바운스 코어가 미드솔 지지구조 내에서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리바운스 코어는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서 신발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리바운스 코어에 의한 지지 위치에 따라 반발특성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리바운스 코어는 복수개의 블록이 척추 형상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블록들로 이루어진 리바운스 코어는 아치부와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지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미드솔 지지구조에 의해서 집중적으로 지지하는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밑창부는 수평 지지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아웃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웃솔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노출된 리바운스 코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물품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리바운스 코어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사용자가 직접 반발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바운스 코어를 특정 각도로 돌리거나 비트는 단순한 동작으로 쿠션과 반발특성의 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물품은 이 외에도 리바운스 코어의 지지 위치나 지지하는 코어의 개수를 변경하여 반발특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발물품은 수직 윙들을 형성하여 리바운스 코어를 수용하는 미드솔 지지구조를 개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밑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밑창부의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밑창부의 미드솔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밑창부에서 리바운스 코어를 이용하여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의 밑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밑창부의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밑창부에서 리바운스 코어의 지지 위치를 변경하여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밑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밑창부의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밑창부의 미드솔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밑창부에서 리바운스 코어를 이용하여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은 갑피(110) 및 발바닥을 지지하는 밑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부(120)는 발포 미드솔(130) 및 후방에서 발포 미드솔(130)의 저면을 지지하는 미드솔 지지구조(140)를 포함하며, 미드솔 지지구조(140)는 발포 미드솔(130)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한 수용홈(132)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뒤꿈치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갑피(110)는 운동화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신발물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용도, 예를 들어 구두, 슬리퍼, 장화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재질 등으로 갑피를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갑피가 밑창부와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밑창부(120)는 미드솔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밑창부의 특정 기능을 위한 다른 지지 구조나 내부 부속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미드솔 지지구조(140)는 수용홈(132)에 밀착하는 아치부(142), 아치부(142)의 좌우로 제공되는 수평 지지부(144) 및 아치부(142)에 대응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닥 지지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치부(142)와 바닥 지지부(146)는 리바운스 코어(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아치부(142), 수평 지지부(144) 및 바닥 지지부(146)는 TPU 계통의 고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지지부(144)의 단부로 복수의 수직 윙(148)이 형성되며, 수직 윙(148)은 발포 미드솔(130)의 측면을 지지하여 밑창부(120)의 뒤틀림을 제한할 수 있다.
아치부(142)와 바닥 지지부(146) 사이에서 리바운스 코어(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은 후방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리바운스 코어(150)의 조절 노브(152)를 통해서 리바운스 코어(15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후방으로 노출된 조절 노브(152)를 회전시켜 리바운스 코어(150)를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리바운스 코어(150)는 반원형 단면의 기둥 또는 D-컷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 케이스(154)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바운스 코어(15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반발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a)와 같이, D-컷 단면의 리바운스 코어(150)가 수평하게 배향되면 리바운스 코어(150)가 아치부(142)와 바닥 지지부(146)를 상하로 연결하지 않아 미드솔 지지구조(140)가 충분한 반발탄성을 제공할 수 없으며,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와 같이, 리바운스 코어(150)가 수직하게 배향되면 리바운스 코어(150)가 아치부(142)와 바닥 지지부(146)에 상하로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강한 반발특성을 형성할 수 있다. 미드솔 지지구조(140)가 강한 반발특성을 제공하여, 탄탄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밑창부(120)는 수평 지지부(144)의 저면에 부착되는 ㄷ-자 형상의 아웃솔(12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솔(122)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지지부(146)를 방해하지 않으며, 조절된 반발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의 밑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밑창부의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밑창부에서 리바운스 코어의 지지 위치를 변경하여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밑창부는 발포 미드솔(130) 및 미드솔 지지구조(140')를 포함하며, 미드솔 지지구조(140')는 수용홈(132)에 밀착하는 아치부(142), 아치부(142)의 좌우로 제공되는 수평 지지부(144), 아치부(142)에 대응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닥 지지부(146) 및 복수의 수직 윙(148)을 포함할 수 있다.
리바운스 코어(160)는 척추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블록(162)을 포함하며, 리바운스 코어(160)는 아치부(142)와 바닥 지지부(146) 사이의 공간에서 진입하여 공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리바운스 코어(160)는 앞으로 전진하여 지지 위치를 전진시킬 수 있지만(a), 경우에 따라 뒤로 후퇴하여 지지 위치를 후진시킬 수도 있다(b).
리바운스 코어(160)는 아치부(142)와 바닥 지지부(146) 사이의 공간에서 신발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리바운스 코어(160)에 의한 전후 지지 위치에 따라 반발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신발물품 110 : 갑피
120 : 밑창부 130 : 발포 미드솔
140 : 미드솔 지지구조 150,160 : 리바운스 코어

Claims (9)

  1.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는,
    저면에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발포 미드솔;
    상기 수용홈에 밀착하는 아치부, 상기 아치부의 좌우로 제공되는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아치부에 대응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드솔 지지구조; 및
    상기 아치부와 상기 바닥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변위에 따라 상기 미드솔 지지구조에 의한 반발특성을 조절하는 리바운스 코어;를 포함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와 상기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리바운스 코어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 윙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윙들이 상기 발포 미드솔을 통해 전달되는 좌우 비틀림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스 코어는 D-컷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바운스 코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반발특성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와 상기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리바운스 코어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스 코어는 상기 아치부와 상기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신발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바운스 코어에 의한 지지 위치에 따라 반발특성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스 코어는 복수개의 블록이 척추 형상으로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아치부와 상기 바닥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전후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과 반발특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신발물품.
KR1020210067614A 2021-05-26 2021-05-26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KR102558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14A KR102558954B1 (ko) 2021-05-26 2021-05-26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14A KR102558954B1 (ko) 2021-05-26 2021-05-26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91A true KR20220159691A (ko) 2022-12-05
KR102558954B1 KR102558954B1 (ko) 2023-07-24

Family

ID=8439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614A KR102558954B1 (ko) 2021-05-26 2021-05-26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9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110A (en) * 1993-02-04 1995-08-01 L.A. Gear, Inc. Adjustable shoe heel spring and stabilizer
JP2003325201A (ja) * 2002-05-13 2003-11-18 Adidas Internatl Marketing Bv 可調節緩衝手段を備える靴
KR100516417B1 (ko) * 1998-08-18 2005-09-26 브리텍 풋웨어 디벨로프먼트 엘엘씨 에너지 저장 및 복원을 위한 신발창 구조물
US20080098619A1 (en) * 2004-09-27 2008-05-01 Smaldone Patricia L Impact Attenuating and Spring Element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Elements
KR20090071523A (ko) * 2009-06-03 2009-07-01 김용욱 신발용 쿠션 및 높이 조절장치
KR20100104179A (ko) * 2009-03-17 2010-09-29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110A (en) * 1993-02-04 1995-08-01 L.A. Gear, Inc. Adjustable shoe heel spring and stabilizer
KR100516417B1 (ko) * 1998-08-18 2005-09-26 브리텍 풋웨어 디벨로프먼트 엘엘씨 에너지 저장 및 복원을 위한 신발창 구조물
JP2003325201A (ja) * 2002-05-13 2003-11-18 Adidas Internatl Marketing Bv 可調節緩衝手段を備える靴
US20080098619A1 (en) * 2004-09-27 2008-05-01 Smaldone Patricia L Impact Attenuating and Spring Element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Elements
KR20100104179A (ko) * 2009-03-17 2010-09-29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20090071523A (ko) * 2009-06-03 2009-07-01 김용욱 신발용 쿠션 및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954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0223B (zh) 具有稳定围栏的鞋类物品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US5048203A (en) Athletic shoe with an enhanced mechanical advantage
US6161315A (en) Shoe outsole having a stability ridge
CN107072348B (zh) 具有动态边缘腔体中底的鞋制品
US8650774B2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9179738B2 (en) Golf shoes
US5046267A (en)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control device
CA1338231C (en) Athletic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KR101002375B1 (ko) 유연한 및/또는 측방으로 안정한 발 지지 구조체 및 그러한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품
EP1827156B1 (en) Impact-attenuating elements and customizable products containing such elementsi
US7487604B2 (en)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US20100236096A1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US20140202031A1 (en)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US20130174444A1 (en) Flexible shoe sole
CN108577026A (zh) 带有突起的鞋底和鞋类物品
JP2006334395A (ja) 履物ソール
GB2288720A (en) Resilient sole
US20100115796A1 (en) Heel construction for footwear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CN109068793A (zh) 用于鞋类制品的分层鞋底结构
KR102558954B1 (ko) 쿠션과 반발탄성의 양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102502480B1 (ko) 리바운스 기능을 제공하는 신발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