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611A -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 Google Patents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611A
KR20220159611A KR1020210067409A KR20210067409A KR20220159611A KR 20220159611 A KR20220159611 A KR 20220159611A KR 1020210067409 A KR1020210067409 A KR 1020210067409A KR 20210067409 A KR20210067409 A KR 20210067409A KR 20220159611 A KR20220159611 A KR 20220159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joint
knee
hinge
air pock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용
Original Assignee
강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용 filed Critical 강석용
Priority to KR102021006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611A/ko
Publication of KR2022015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A61F2005/017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laterally plac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를 이용하여 특정 각도 이상으로 무릎 관절이 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무릎 관절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대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상부 결속부; 무릎 관절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종아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하부 결속부; 및 무릎 관절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의 일정 부분을 따라 하부 힌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의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의 일정 부분을 따라 상부 힌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의 하부 힌지와, 상기 상부 힌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결속부에 고정되어 무릎 관절과 대퇴부 사이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힌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결속부에 고정되어 무릎 관절과 종아리 사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Angle Adjusting Knee Brace Combining Funtion Of Air Pocket Traction System and Low Frequency Stimulator}
본 발명은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를 이용하여 특정 각도 이상으로 무릎 관절이 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적층형 에어포켓을 이용하여 무릎 관절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착용자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EMS 생성부에서 발생된 저주파로 무릎 관절 인근의 근육에 자극을 가하여 강화시킬 수 있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해부학적으로 슬관절(knee joint)이라고 불리우는 무릎 관절은 대퇴골의 하단과 경골의 상단 및 슬개골의 후면 등 세부분의 뼈 사이에 위치하는 관절로써, 인체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모양의 관절이다.
무릎 관절은 경첩 관절의 일종으로 단순한 굴곡-신전(굽힘-핌) 운동은 물론,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회전 운동이 동반되는 연합 운동을 담당하고 있는데, 보행 시 대퇴골과 경골 2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십자인대 및 후방십자인대 등이 굴곡 및 신전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전방십자인대는 경골의 회전과 앞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후방십자인대는 경골의 뒤쪽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내측 측부 인대와 외측 측부 인대는 각각 바깥쪽과 안쪽으로 꺾이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무릎 관절은 사고나 운동 등에 의하여 인대 및 연골 등이 손상되기 쉬우며, 특히 운동 경기 중 타인과 부딪히거나 달리던 중 갑자기 정지하는 상황에서 한계를 넘는 자극이 가해져 십자인대가 손상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50세 이후에는 오랫동안 무릎 관절을 사용함에 따라 관절 연골이 닳아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하기도 하며, 비만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한 관절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무릎 관절의 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
무릎 관절에 나타나는 각종 손상이나 질병은 약물과 운동 요법, 물리 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며,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호전이 없을 때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이나 절골술 등 외과적인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무릎 보조기는 이와 같은 무릎 관절에 발생한 장애를 치료 중이거나 수술 후 재활 과정 등에서 무릎 관절 부위를 보호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거나, 무릎 관절의 굴절이나 신전 각도를 제한하여 장애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 보조 장치이다.
종래 무릎 보조기에 장착되어 무릎 관절의 굴곡이나 신전 각도를 제한하는 장치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104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상기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과 회동프레임(150)을 각도조절부재로 연결하고, 제1덮개(300)와 제2덮개(400)로 체결되며, 회동프레임(150)의 회동 각도를 제1 및 제2 각도조절수단(500,600)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사용 중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상기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대퇴골과 경골 2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무릎 관절의 운동 구조와 상이하여, 상기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착용하여 보행하는 경우 구동이 유연하지 못하고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를 반감시킬 수도 있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104호(2006.11.07.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5643호(2010.05.27.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를 이용하여 특정 각도 이상으로 무릎 관절이 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적층형 에어포켓을 이용하여 무릎 관절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착용자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EMS 생성부에서 발생된 저주파로 무릎 관절 인근의 근육에 자극을 가하여 강화시킬 수 있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는 무릎 관절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대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상부 결속부; 무릎 관절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종아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하부 결속부; 및 무릎 관절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정 부분을 따라 하부 힌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의 상부 힌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정 부분을 따라 상부 힌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의 하부 힌지와, 상기 상부 힌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결속부에 고정되어 무릎 관절과 대퇴부 사이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힌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결속부에 고정되어 무릎 관절과 종아리 사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릎 보조기는 상기 상부 힌지의 기어와 하부 힌지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특정 각도 이상으로는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가 맞물려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복수개의 스토퍼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 중 제한하고자 하는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스토퍼를 선택하여 삽입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무릎 전방에서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각각 특정 각도 이상으로 펴지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신전 제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는, 무릎 후방에서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각각 특정 각도 이하로 굽혀지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굴곡 제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무릎 보조기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지지 플레이트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며, 에어포켓의 확장에 의하여 착용자의 무릎 관절에 측방으로 일정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릎 보조기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지지 플레이트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며, 2~15㎐ 대역의 저주파를 생성하여 무릎으로 전달하는 EMS 발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에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가 각각 결합되어 상호 기어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퇴골과 경골 2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무릎 관절의 운동 구조와 유사하여 구동이 유연하고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좌우의 구별이 없이 필요에 따라 무릎 관절의 외측 또는 내측에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부 힌지의 기어와 하부 힌지의 기어 사이에 원하는 제한 각도의 스토퍼를 선택하여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특히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특정 각도 이상으로 펴지는 것을 방지하는 신전 제한 스토퍼와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굴곡 제한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무릎 관절의 장애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이드부의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가압부를 통하여 착용자의 무릎 관절에 측방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무릎 관절의 신전 또는 굴곡 각도 제한은 물론 무릎 관절의 연골 소실 부위를 견인하여 통증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적층형 에어포켓을 이용하여 가압부를 구성함으로써, 넓은 면적에 균일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무릎 관절 상태에 따라 견인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세기와 패턴을 가지는 저주파를 생성할 수 있는 EMS 발생부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무릎 상태에 알맞은 저주파 미세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착용자의 무릎 주변의 근육이 강제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자연적으로 근력이 강화되어 무릎 관절의 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 가이드부의 분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토퍼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압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10)는 대퇴부에 고정되는 상부 결속부(100)와, 종아리에 고정되는 하부 결속부(200)와, 상기 상부 결속부(100)와 하부 결속부(200)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무릎 관절의 신전 또는 굴곡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결속부(100)와 하부 결속부(200)는 탄력성 있는 밴드 형태로 각각 대퇴부와 종아리의 둘레를 감싸며, 단부에는 벨크로 등과 같은 결속 수단이 구비되어 착용자의 대퇴부와 종아리의 둘레에 맞추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300)는 상기 상부 결속부(100)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 지지대(340)와, 상기 상부 지지대(3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힌지(320)와, 상기 하부 결속부(200)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 지지대(350)와, 상기 하부 지지대(35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힌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힌지(320)와 하부 힌지(330)는 지지 플레이트(310)를 이루는 상단 플레이트(311)와 하단 플레이트(312)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단 플레이트(311)와 하단 플레이트(31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 회전축(313)과 하부 회전축(314)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힌지(320)와 하부 힌지(330)는 원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외주면을 따라서는 기어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힌지(320)의 기어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힌지(320)와 하부 힌지(330)가 각각 상부 회전축(313)과 하부 회전축(314)을 중심으로 기어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착용자가 무릎 관절을 굽히거나 필 때 하나의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에 비하여 매우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무릎 보조기(10)의 착용자에 따라서는 치료나 재활 등을 위하여 무릎 관절이 과도하게 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스토퍼(400)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단 플레이트(311)와 하단 플레이트(312) 간의 공간에서 상부 힌지(320) 기어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하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하나의 세트로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토퍼(400)는 무플 관절이 특정 각도 이상으로 펴지는 것을 제한하는 신전 제한 스토퍼(410) 세트와 특정 각도 이하로 굽혀지는 것을 제한하는 굴곡 제한 스토퍼(420) 세트로 구별되어 각각 각도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신전 제한 스토퍼(410) 세트와 굴곡 제한 스토퍼(420) 세트에서 어느 하나의 스토퍼(400)를 선택하여 장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전 제한 스토퍼(410)는 무릎의 전방 방향에서 상기 상부 힌지(320)의 기어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굴곡 제한 스토퍼(420)는 무릎의 후방에서 상기 상부 힌지(320)의 기어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신전 제한 스토퍼(410)를 장착한 경우에 착용자는 특정 각도 이상으로는 무릎 관절을 펴지 못하고 그 각도 이하로는 자유롭게 무릎 관절을 굽혔다 폈다를 반복할 수 있으며, 상기 굴곡 제한 스토퍼(420)를 장착한 경우에는 특정 각도 이하로 무릎 관절을 굽히지 못하고 그 각도 이상으로는 자유롭게 무릎 관절을 굽혔다 폈다를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무릎 보조기(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장치를 종래 기술과 같이 무릎 보조기(10) 자체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토퍼(400)와 같이 별도의 구성품으로 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무릎 보조기(1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무릎 보조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적당한 스토퍼(400)를 선택한 후 장착하는 경우 용이하게 무릎 관절의 신전 또는 굴곡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무릎 관절의 연골이 소실되거나 손상된 환자의 경우, 통증 완화를 위하여 일정 압력으로 무릎 관절을 측방에서 견인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300)의 지지 플레이트(310)의 하단 플레이트(312)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단 플레이트(312)와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가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가압부(500)는 별도의 펌핑부(52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하로 확장 팽창하는 에어포켓(510)이 다수개 적층 형성되어 일명 자바라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착용자의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530)를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500)를 적층형 에어포켓(510)을 이용하여 자바라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펌핑부(52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에어포켓(510)이 상하로 확장되면서 착용자의 무릎 관절의 넓은 면적에 균일한 압력을 전달하여 견인할 수 있으며, 연골 소실이나 손상으로 인한 고통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릎 보조기(10)는 착용자의 무릎 관절 외측뿐만 아니라 내측에도 별도의 구성이나 구조의 변경 등을 할 필요가 없이 임의로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00)도 착용자의 통증 부위 등에 따라 무릎 관절 외측이나 내측에 위치시켜 원하는 부위를 가압할 수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릎 보조기(10)는 특정 주파수의 저주파를 생성하여 무릎으로 전달하는 EMS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EMS 발생부는 2~15㎐ 대역의 저주파를 생성하는 EMS 모듈과, 상기 EMS 모듈에서 생성된 저주파를 착용자의 무릎으로 전달하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300)의 지지 플레이트(310)와 무릎 관절 사이에서 착용자의 무릎 관절 부근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500)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500)와 무릎 관절 사이에서 착용자의 무릎 관절 부근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극 패드로는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 패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하이드로겔 패드는 반복 사용으로 인한 부착성 저하와 전도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전극 패드를 채택하여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하도록 하였다.
상기 EMS 모듈은 출력의 세기를 착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자극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최대 출력과 작동 시간을 제한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EMS 발생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무릎 보조기(10)를 착용하여 무릎 관절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무릎 관절 인근 부위에 저주파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으로 무릎 관절 인근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EMS 발생부를 가압부(500)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릎 관절의 연골 소실 또는 손상 부위를 가압하면서 동시에 무릎 관절 인근 부위에 저주파를 전달하여 반복적으로 무릎 관절 인근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여 해당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 무릎 보조기
100 - 상부 결속부
200 - 하부 결속부
300 - 회전 가이드부
310 - 지지 플레이트
311 - 상단 플레이트 312 - 하단 플레이트
313 - 상부 회전축 314 - 하부 회전축
320 - 상부 힌지
330 - 하부 힌지
340 - 상부 지지대
350 - 하부 지지대
400 - 스토퍼
410 - 신전 제한 스토퍼
420 - 굴곡 제한 스토퍼
500 - 가압부
510 - 에어포켓
520 - 펌핑부
530 - 압력계

Claims (6)

  1. 무릎 관절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대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상부 결속부(100);
    무릎 관절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종아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하부 결속부(200); 및
    무릎 관절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부 회전축(313)과 하부 회전축(3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3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부 회전축(3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정 부분을 따라 하부 힌지(330)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의 상부 힌지(32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하부 회전축(3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의 일정 부분을 따라 상부 힌지(320)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의 하부 힌지(330)와,
    상기 상부 힌지(320)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결속부(100)에 고정되어 무릎 관절과 대퇴부 사이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40)와,
    상기 하부 힌지(33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결속부(200)에 고정되어 무릎 관절과 종아리 사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350)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 가이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320)의 기어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특정 각도 이상으로는 상기 상부 힌지(320)와 하부 힌지(330)가 맞물려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복수개의 스토퍼(4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400) 중 제한하고자 하는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스토퍼(400)를 선택하여 삽입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0)는,
    무릎 전방에서 상기 상부 힌지(320)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각각 특정 각도 이상으로 펴지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신전 제한 스토퍼(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0)는,
    무릎 후방에서 상기 상부 힌지(320)와 하부 힌지(330)의 기어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각각 특정 각도 이하로 굽혀지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굴곡 제한 스토퍼(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300)의 지지 플레이트(310)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와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며, 에어포켓(510)의 확장에 의하여 착용자의 무릎 관절의 측방으로 일정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300)의 지지 플레이트(310)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와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며, 특정 주파수의 저주파를 생성하여 무릎으로 전달하는 EMS 발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조절용 무릎 보조기.
KR1020210067409A 2021-05-26 2021-05-26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KR20220159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09A KR20220159611A (ko) 2021-05-26 2021-05-26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09A KR20220159611A (ko) 2021-05-26 2021-05-26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11A true KR20220159611A (ko) 2022-12-05

Family

ID=8439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09A KR20220159611A (ko) 2021-05-26 2021-05-26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6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104Y1 (ko) 2006-09-05 2006-11-14 박유동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20100055643A (ko) 2008-11-18 2010-05-27 조경일 무릎관절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104Y1 (ko) 2006-09-05 2006-11-14 박유동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20100055643A (ko) 2008-11-18 2010-05-27 조경일 무릎관절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474B2 (ja) 中枢神経系障害又は運動器官の損傷の後遺症を患う患者のための装置
KR970010541B1 (ko) 자세 및 운동 기능의 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장치
KR101496683B1 (ko)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JP4315766B2 (ja) 歩行補助装置
US8308671B2 (en) Knee orthosis
JP6647225B2 (ja) 脚矯正器具及び矯正器具
CN209059884U (zh) 一种可穿戴式下肢康复机器人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US9089403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US10765548B2 (en) Knee joint orthosis
US10085869B2 (en) Knee orthosis for treatment of PCL injury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JP2017530834A (ja) 身体のバランスを復元させる下半身及び脊椎関節運動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EP0911015B1 (en) Orthopedic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units
KR20220159611A (ko) 에어포켓의 견인시스템과 저주파자극기의 기능을 결합한 각도 조절용 무릎 보조기
CN101357090B (zh) 膝关节防过伸康复矫正器
WO2006110545A2 (en) Vibration and compression countermeasure harness and belt for bone and muscle loss
CN113081428A (zh) 多自由度仿生智能矫形系统和方法
RU13021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вижений в суставах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таза и позвоночника
CN220213176U (zh) 一种美人鱼仿生下肢矫形器
RU280714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ртопед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для больных с последствиями параличей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U2774037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объема движений в голеностопном суставе у детей с мышечной дистрофией Дюшенна
CN213666004U (zh) 一种可调的膝关节矫形器
KR102340611B1 (ko) 관절 교정장치
WO2024050142A1 (en) Unloading knee-ankle-foot orthotic apparatus with conforming and distracting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