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180A -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180A
KR20220159180A KR1020210067211A KR20210067211A KR20220159180A KR 20220159180 A KR20220159180 A KR 20220159180A KR 1020210067211 A KR1020210067211 A KR 1020210067211A KR 20210067211 A KR20210067211 A KR 20210067211A KR 20220159180 A KR20220159180 A KR 2022015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yer
accessory
vending machine
accessories
purch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김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연 filed Critical 김소연
Priority to KR102021006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180A/ko
Publication of KR2022015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악세사리를 무인으로 판매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다수 품종의 악세서리를 각기 구분하여 수납하는 수납 수단과, 상기 수납 수단에 수납된 악세서리 중 선택된 악세서리를 토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악세서리 각각의 구분 수납 위치 데이터, 상기 악세서리를 복수 단계의 문답으로 분류한 질문 맵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악세서리 구매 대금을 상기 구매자로부터 결제받는 결제 수단과, 상기 구매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구매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질문 맵 데이터에 근거한 순서대로 상기 표시 수단에 질문을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 정보에 의해 다음 질문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악세서리를 결정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에서 결제되면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에 의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제공할 악세서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의 수납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토출 수단을 제어하는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buyer taste analysis typ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악세서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제품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소비자 취향 분석형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사람의 개입 없이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장치로서, 점포 유지에 따른 인건비와 공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과 판매 과정의 편리성, 관리의 용이성 등의 장점 때문에 꾸준히 그 영역을 확대해 왔다.
오늘날 자동판매기는 승차권, 음료, 과자, 기호식품, 1회 용품, 생필품, 장난감, 도서, 화장품 등 다양한 부문에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편리한 유통 방식의 하나로서 확고한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세계 시장은 온·오프라인 매장의 경계와 쇼핑의 국경이 사라지면서 아마존 등 강력한 신기술로 무장한 새로운 경쟁자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무인 점포(Unmanned Stores)도 함께 등장하고 있다. 무인 점포는 현재 글로벌 유통 기업들이 가장 빠르게 도입하고 있는 기술인데, 이는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전자 태그, 가상 현실 등 정보 통신 기술(ICT)이 집약된 결과물로 머지않아 오프 라인 유통 시장을 본격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면서 인력이 필요없는 형태의 무인 점포나 무인 마켓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코로나19와 같은 국제적인 전염병 확산으로 비대면 거래에 대한 요구가 폭증하면서 자판기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점포에 대한 요구는 더욱 폭증하고 있으며, 자판기를 개선하는 기술 역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선행문헌1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10-2019-0019971호(공개일자 2019년02월27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와, 자판기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통신부와, 기존 결제 모듈 중 하나를 대체하여 자판기 제어기의 입출력 버스와 연결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와, 대체된 기존 결제 모듈의 결제 프로세스를 에뮬레이션하여 선택된 상품의 판매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근거리 통신부로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 결제요청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결제 완료가 확인되면 결제 완료 메시지를 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하여 상품 배출을 요구하는 모바일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모바일 결제를 통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자판기에 연결하는 모바일 결제 단말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도 1은 선행문헌1에 따른 모바일 결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선행문헌2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10-2020-0129911호(공개일자 2020년11월18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RFID 모듈을 탑재한 무인 자판기를 통해 이를 이용하는 구매자가 구입 비용을 용이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탑재된 RFID 모듈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 및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자판기 운영자가 직접 무인 자판기를 관리하지 않아도 무인 자판기 내에 보관중인 상품의 재고량 및 유통 기한 등을 관리할 수 있다는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선행문헌2에 따른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2를 포함하여,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 관한 기술에서는 자동 판매기의 관리를 개선하는 것, 자동 판매기의 재고를 파악하는 것, 자동 판매기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 자동 판매기의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것 등에 관한 기술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 왔을 뿐, 구매자에 대한 서비스에 대한 개선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즉, 매장에서는 판매원이 고객의 취향에 대한 응대를 통해 고객의 제품 선택을 돕고 있지만,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그와 같은 고객을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오프라인에서는 랜덤 박스와 같이 고객의 흥미를 유도하는 이벤트가 제공되지만, 자동 판매기에서는 일률적인 판매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것에 비해, 쇼핑의 즐거움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판기에서는 현금이나 카드 등 결제 수단이 제한적이며, 기타 모바일 기반 결제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구매자에게 익숙하지 않아 자동 판매기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자동 판매기의 수익 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공개특허 제10-2019-0019971호(공개일자 2019년02월27일) 2. 공개특허 제10-2020-0129911호(공개일자 2020년11월1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매장에서 판매원이 고객을 응대하듯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악세서리를 판매함으로써, 구매자의 악세서리 구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라인에서 백화점이나 쇼핑몰의 이벤트와 같이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자동 판매기의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팬더믹 상황에서 사용이 익숙해진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채용하여 구매자의 자동 판매기 결제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악세사리를 무인으로 판매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다수 품종의 악세서리를 각기 구분하여 수납하는 수납 수단과, 상기 수납 수단에 수납된 악세서리 중 선택된 악세서리를 토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악세서리 각각의 구분 수납 위치 데이터, 상기 악세서리를 복수 단계의 문답으로 분류한 질문 맵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악세서리 구매 대금을 상기 구매자로부터 결제받는 결제 수단과, 상기 구매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구매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질문 맵 데이터에 근거한 순서대로 상기 표시 수단에 질문을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 정보에 의해 다음 질문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악세서리를 결정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에서 결제되면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에 의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제공할 악세서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의 수납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토출 수단을 제어하는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제공되는 악세서리는, 구매자가 사전에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제공되는 랜덤형 악세서리이며, 상기 랜덤형 악세서리의 가격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이한 제품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는, 상기 악세서리 각각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은 상기 구매자 질문 응답에 의해 선택되는 악세서리를 복수개의 후보로 선택하고, 상기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후보에 대한 상기 악세서리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후보 악세서리 중에서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공급하도록 상기 토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서버에 의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내의 상기 질문 맵 데이터를 갱신되는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질문 맵 데이터는 클라우드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되어 다수의 자동 판매기에서 공동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상기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이용하여 QR(quick response) 코드를 찍거나, 상기 자동 판매기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구매자의 은행 계좌에서 상기 자동 판매기 운영자의 계좌로 상기 악세서리 금액이 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매장에서 판매원이 고객을 응대하듯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악세서리를 판매함으로써, 구매자의 악세서리 구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오프라인에서 백화점이나 쇼핑몰의 이벤트와 같이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자동 판매기의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팬더믹 상황에서 사용이 익숙해진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채용하여 구매자의 자동 판매기 결제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면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으로 식별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 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도 1은 선행문헌1에 따른 모바일 결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선행문헌2에 따른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3은 모바일 결제를 통해 상품을 자동 판매하는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의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수단"이라는 용어는, "모듈(module)", "부(部)"라는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는 개념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수단이 2개 이상의 수단으로 분할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수단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정 수단의 기능이 연계 수단 사이에서 분담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단말, 단말과 서버, 단말과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은,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 번호나 개인의 식별 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이하, 간략하게 '자판기'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모바일 결제를 통해 상품을 자동 판매하는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의 서비스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는, 자판기에서 상품 선택 및 상품 대금 결제, 상품 배출과 같은 통상의 자동 판매기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등을 통해 모바일과 연계하고, 네트워크 등으로 결제 서버나 자판기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 서버가 선택적으로 부가되는 자동 판매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는, 다수 품종의 악세서리를 각기 구분하여 수납하는 수납 수단(110)과, 상기 수납 수단(110)에 수납된 악세서리 중 선택된 악세서리를 토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토출 수단(120)과, 상기 악세서리 각각의 구분 수납 위치 데이터, 상기 악세서리를 복수 단계의 문답으로 분류한 질문 맵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수단(130)과, 상기 악세서리 구매 대금을 상기 구매자로부터 결제받는 결제 수단(140)과, 상기 구매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수단(150)과, 상기 구매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160)과, 상기 질문 맵 데이터에 근거한 순서대로 상기 표시 수단에 질문을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수단(150)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 정보에 의해 다음 질문을 표시 수단(160)에 표시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악세서리를 결정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170)과, 상기 결제 수단(140)에서 결제되면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170)에 의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제공할 악세서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의 수납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토출 수단을 제어하는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을 포함한다.
먼저, 수납 수단(110)은 자판기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선반이 설치되어 복수의 악세서리가 진열된다. 이때, 각 상품은 그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기록된 RF 태그가 부착되어,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에 의해, RF 태그를 인식해서 그 상품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품의 종류 및 재고를 데이터 저장 수단(130)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자판기에서 상품을 추가하거나 상품이 판매됨에 따른 재고변화는 자동으로 인식되어 관리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투명창을 토해 수납 수단에 수납된 각종 악세서리를 시각적으로 노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납 수단(110)에 수납된 각종 악세서리를 사진을, 가격, 브랜드, 상세 상품 정보와 함께 표시 수단(16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역시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매출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
토출 수단(120)은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의 제어에 따라 수납 수단(110)의 특정 위치, 즉 선택된 악세서리의 구분 수납 위치 데이터에 근거한 위치의 악세서리를 토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데이터 저장 수단(130)은 악세서리 각각의 구분 수납 위치 데이터, 악세서리를 복수 단계의 문답으로 분류한 질문 맵 데이터, 악세서리의 제조원, 판매 가격, 재질, 색상, 크기, 무게 등 악세서리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결제 수단(140)은 현금 및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받거나, 결제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현존하는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구현되어, 악세서리 구매 대금을 구매자로부터 결제받는다. 여기에서, 결제코드는 바코드에 한정되지 않고 QR 코드, NFC 태그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이용하여 QR(quick response) 코드를 찍거나, 자동 판매기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구매자의 은행 계좌에서 상기 자동 판매기 운영자의 계좌로 상기 악세서리 금액이 이체되는 QR 코드 결제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변화되고 다양화되는 각종 결제 수단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펜더믹 상황에서 반복 사용되어 익숙해진 QR 코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의 결제 편의성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매출 증대 효과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단(150)은 자동 판매기에 구비된 하드웨어적 버튼, 터치 패드 타입의 소프트웨어적 버튼, 또는 하드웨어적 버튼과 소프트웨어적 버튼의 혼용, 겸용, 병용이 가능하며, 근거리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구매자 단말(200)에 구비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매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예컨대, 질문에 응답하여 복수의 응답 선택지 중 원하는 응답을 선택하거나, 주문을 선택하거나, 메뉴를 선택하는 등 구매자가 자동 판매기에 원하는 동작에 따라 입력한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에 송신한다.
표시 수단(160)은 구매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며, LCD LED, OLED를 포함하여,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디스플레이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 수단(150)과 표시 수단(160)을 터치 패드나 가상 터치와 같은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와 입력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구매자의 직관적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170)은 데이터 저장 수단(130)에 기저장된 질문 맵 데이터에 근거한 순서대로 상기 표시 수단에 질문을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수단(150)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 정보에 의해 다음 질문을 표시 수단(160)에 표시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악세서리 또는 악세서리 후보군을 결정한다. 예컨대, 남자, 여자의 성별, 원하는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 원하는 악세서리 종류, 나이 또는 나이대, 색상, 도형, 직업 등을 순차적으로 질문하여, 각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공통 인자가 가장 높은 악세서리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공통 인자가 가장 높은 악세서리 부터 우선 순위대로 기설정된 갯수(예를 들어 3∼5)만큼 추천 후보군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후보군은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의 제어에 의해 표시 수단(160)에 표시하여 구매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170)에 의해서 결정되는 악세서리는, 동일한 가격대의 상품군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자가 사전에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제공되는 랜덤형 악세서리로서 상이한 가격대에서 랜덤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동 판매기에서는 제공되지 않던 오프라인의 프로모션이나 이벤트와 같은 역할로서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판매를 증징시키고,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자동 판매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고, 통신 수단(190)을 통해 외부의 자동 판매기 관리 서버(300)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등에 접속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및 처리하며, 특히 결제 수단(140)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면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170)에 의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제공할 악세서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악세서리의 수납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토출 수단(120)을 제어한다. 이때,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의 각종 제어는 동작 과정이나 구매자의 선택 상황 등에 따라 그 동작 순서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 판매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동 판매기 재고, 악세서리별 단가, 판매액, 판매 시간, 판매 수량 등 각종 빅데이터로 활용되는 데이터의 및 자동 판매기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접속하여, 업데이트되는 악세서리 정보, 질문 맵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아 데이터 저장 수단(130) 내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하는 통신 수단(1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자동 판매기 관리 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는 원격에 위치한 복수의 자동 판매기가 연결되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 판매기 관리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자판기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선반이 설치된 수납 수단(110)에 복수의 악세서리가 진열된 상태에서, 구매자 단말(200)을 통해 결제 수단(140)에서 결제가 이루어진다(S10). 이때, 결제는 현금, 현금카드, 신용카드 및 바코드, NFC 결제, QR 결제 등 현존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예를 들어 구매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 수단(160)에 표시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일반 구매, 추천 구매 등의 구매 방식이 선택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추천 구매가 선택되면(S30),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구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악세서리를 결정할 수 있도록 취향 분석 수단(170)을 제어한다. 취향 분석 수단(170)은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저장 수단(130)에 기저장된 질문 맵 데이터에 근거한 순서대로 상기 표시 수단에 질문을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수단(150)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 정보에 의해 다음 질문을 표시 수단(160)에 표시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악세서리 또는 악세서리 후보군을 결정한다(S40).
S40 단계에서, 악세서리 후보군이 결정되면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이벤트 선택 화면을 표시 수단(160)에 표시한다(S50). 예를 들어, 랜덤 박스를 선택할 지 후보군에서 직접 선택할지를 결정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S50 단계에서, 랜덤 박스가 선택되면(S60),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S40 단계에서 취향 분석 수단(170)에 의해 분석된 악세서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토출하도록 토출 수단(120)을 제어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악세서리를 제공한다(S70). 여기에서 제공되는 악세서리는, 구매자가 사전에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제공되는 랜덤형 악세서리이며, 상기 랜덤형 악세서리의 가격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이한 제품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구매자의 취향이 반영되어 구매자의 취향에 부합하면서도, 결제 금액에 비해 다양한 가격 대의 제품에 대한 기대, 특히 고가의 제품에 대한 기대감을 일으켜, 제품 구매에 대한 재미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가격 범위는 법이 규제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50 단계에서, 랜덤 박스가 아니라 직접 선택이 선택되면,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S40 단계에서 취향 분석 수단(170)에 의해 분석된 악세서리 중에서 기설정된 갯수만큼 표시 수단(160)에 표시한다(S80). 이때, 표시되는 악세서리는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S40 단계에서 취향 분석 수단(170)에 의해 분석된 악세서리 중에서 구매자의 취향과 겹치는 선택 인자(선택 항목)가 제일 많은 악세서리 순으로 순차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추천 후보 악세서리 군에 대한 상세 정보, 예를 들어, 악세서리의 대표 사진과 함께, 다각도 사진 정보, 악세서리의 제조원, 판매 가격, 재질, 색상, 크기, 무게 등 악세서리에 관한 각종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S80단계에서, 특정 악세서리가 선택되면(S90), 즉, 입력 수단(150)을 통해서 특정 악세서리 수단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S90 단계에서 구매자에 의해서 선택된 악세서리를 토출하도록 토출 수단(120)을 제어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악세서리를 제공한다(S100).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구매자에 의해서 구매가 취소되면, 즉, 입력 수단(150)으로부터 구매 취소 신호가 인가되면,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180)은 상술한 과정을 정지하고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 동작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그 순서가 변환되거나, 특정 단계가 배제되거나, 다른 단계들이 추가로 더 포함되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수납 수단
120 : 토출 수단
130 : 데이터 저장 수단
140 : 결제 수단
150 : 입력 수단
160 : 표시 수단
170 :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
180 :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
190 ; 통신 수단
200 : 구매자 단말
300 : 자동 판매기 관리 서버
400 ;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버

Claims (6)

  1.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악세사리를 무인으로 판매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다수 품종의 악세서리를 각기 구분하여 수납하는 수납 수단과,
    상기 수납 수단에 수납된 악세서리 중 선택된 악세서리를 토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악세서리 각각의 구분 수납 위치 데이터, 상기 악세서리를 복수 단계의 문답으로 분류한 질문 맵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악세서리 구매 대금을 상기 구매자로부터 결제받는 결제 수단과,
    상기 구매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구매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질문 맵 데이터에 근거한 순서대로 상기 표시 수단에 질문을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 정보에 의해 다음 질문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악세서리를 결정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에서 결제되면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에 의해 구매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제공할 악세서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의 수납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토출 수단을 제어하는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제공되는 악세서리는, 구매자가 사전에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제공되는 랜덤형 악세서리이며, 상기 랜덤형 악세서리의 가격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이한 제품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는, 상기 악세서리 각각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매자 취향 분석 수단은 상기 구매자 질문 응답에 의해 선택되는 악세서리를 복수개의 후보로 선택하고,
    상기 자동 판매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후보에 대한 상기 악세서리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후보 악세서리 중에서 선택된 악세서리를 구매자에게 공급하도록 상기 토출 수단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서버에 의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내의 상기 질문 맵 데이터를 갱신되는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맵 데이터는 클라우드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되어 다수의 자동 판매기에서 공동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상기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이용하여 QR(quick response) 코드를 찍거나, 상기 자동 판매기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구매자의 은행 계좌에서 상기 자동 판매기 운영자의 계좌로 상기 악세서리 금액이 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KR1020210067211A 2021-05-25 2021-05-25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KR20220159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211A KR20220159180A (ko) 2021-05-25 2021-05-25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211A KR20220159180A (ko) 2021-05-25 2021-05-25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80A true KR20220159180A (ko) 2022-12-02

Family

ID=8441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211A KR20220159180A (ko) 2021-05-25 2021-05-25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18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971A (ko) 2019-02-07 2019-02-27 주식회사 인큐테크 자판기에 연결하는 모바일 결제 단말기
KR20200129911A (ko) 2019-05-10 2020-11-18 라스트마일 주식회사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971A (ko) 2019-02-07 2019-02-27 주식회사 인큐테크 자판기에 연결하는 모바일 결제 단말기
KR20200129911A (ko) 2019-05-10 2020-11-18 라스트마일 주식회사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0600A1 (en) Virtual Marketplace Enabling Machine-to-Machine Commerce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US2015037960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Deferring Purchases to Optimize Purchase Conditions
JP2018527662A (ja) 以前に注文された商品を自動的に再注文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50324828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Publishers and Intelligent Personal Agents
US119004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to an upsell system via a tag
KR101859055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80374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concerning a transaction over a network
US20120129552A1 (en) Integrated mobile ordering system
US202401443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Recommendation Generation
JP2019003634A (ja) 決済システム
KR20190083460A (ko) 이동식 점포를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
KR20180111501A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EP2955685A1 (en) Interactiv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in both actual exhibit spot and online shop
KR101714274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KR20220159180A (ko) 구매자 취향 분석형 악세서리 자동 판매기
JP2018005626A (ja) 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装置並びに販売支援方法
JP6567028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31155B1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JP20191176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JP20191175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087159B2 (ja) データ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1299829B1 (ko)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