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989A -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 Google Patents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989A
KR20220158989A KR1020210066703A KR20210066703A KR20220158989A KR 20220158989 A KR20220158989 A KR 20220158989A KR 1020210066703 A KR1020210066703 A KR 1020210066703A KR 20210066703 A KR20210066703 A KR 20210066703A KR 20220158989 A KR20220158989 A KR 2022015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unit
dental prosthesis
spac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5951B1 (en
Inventor
노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클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클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클로버
Priority to KR102021006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51B1/en
Publication of KR2022015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7Particle radiation, e.g. electron-beam, alpha or bet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terilizing dental prosthesis. The device comprises: a sterilization unit comprising a sterilization space of a preset area for sterilizing dental prosthesis, and irradiating sterilization light onto the sterilization space; and a stand unit on which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and which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of the sterilization unit by an external force, and is return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space by an external force after a preset sterilization time is completed. The stand unit includes: a base member formed of a flat plate with a preset area; a mounting unit at which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o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a hand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 block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mounting unit and the handle to block exposure of light for sterilization in the sterilization space after the stand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the UV sterilization effect.

Description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는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for sterilizing a dental prosthesi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일반적으로 치아 보철물은 노화나 충치 등으로 부득이하게 치아의 제거하여 음식물 섭취가 불편한 경우, 인공적으로 치아의 일부 또는 모든 치아를 보충해주는 틀니, 치아가 삐뚤어져 치열이 고르지 못한 부정교합을 바로 잡아 주거나 개선하는 교정치료를 위한 교정기, 치아변색을 개선하기 위한 미백 트레이 등 치아의 건강을 위해 여러 가지 보정물을 사용한다.In general, dental prosthesis is a denture that artificially supplements some or all teeth when teeth are inevitably removed due to aging or tooth decay, and it is inconvenient to eat food. Various correction materials are used for dental health, such as braces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whitening trays to improve tooth discoloration.

이러한 치아 보철물 사용시, 치아 보철물의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해주지 않으면 잔재하는 세균들로 인해 충치를 유발시키거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여, 치아건강을 위한 치아 보철물이 오히려 사용자의 치아뿐만 아니라 건강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치아 보철물의 세척과 보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그에 따라 여러 기능이 겸비된 세척제와 보관함이 개발되고 있다.When using such a dental prosthesis, if the microorganisms or bacteria of the dental prosthesis are not removed, the remaining bacteria cause tooth decay or cause hygiene problems, resulting in the dental prosthesis for dental health harming not only the user's teeth but also the health. Therefore, the importance of hygienic cleaning and storage of dental prostheses is emphasized, and accordingly, cleaning agents and storage boxes with multiple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최근,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램프나 레이저를 많이 사용하는데,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자외선램프로부터 발산된 살균파장 253,7nm의 강력한 파장이 세균 및 바이러스의 DNA를 변성시켜 이들을 모두 사멸시키는 획기적인 살균법으로 세균류나 원생동물도 99,9%까지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8,000~10,000 시간으로 길고,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안전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Recently, UV lamps or lasers are widely used to sterilize dental prostheses. In th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UV lamp, the powerful sterilizing wavelength of 253.7 nm emitted from the UV lamp denatures the DNA of bacteria and viruses to kill them all. It is a revolutionary sterilization method that can sterilize up to 99.9% of bacteria and protozoa, and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a long lifespan of 8,000 to 10,000 hours and is safer than using chemicals.

전원부가 포함된 틀니보관함은 상측에 자외선램프를 하측으로 노출시켜 틀니를 보관하였을 때, 자외선램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틀니를 살균시키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틀니보관함의 안쪽 상측과 하측에 반사경을 구비하여 자외선의 효율적인 분산을 유도하고 있다.The denture storage box including the power unit has the convenience of sterilizing the dentures using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when the dentures are stored by exposing the ultraviolet lamp to the lower side on the upper side. In addition, reflectors ar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enture storage box to induce efficient dispersion of ultraviolet rays.

그러나 반사경의 금속 재질에 따라 적외선 반사율이 차이가 있지만 금속을 통해 반사된 자외선은 파장의 변화로 인해 자외선의 살균능력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상측 중앙에 일자형 자외선램프를 구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노출시키는데, 일자형인 자외선램프는 보편적으로 치아 배열을 따라 형성되는 U자 형태의 치아 보철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infrared reflectance depending on the metal material of the reflector, the sterilizing ability of the ultraviolet light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change in wavelength of the ultraviolet light reflected through the metal. In addition, a straight UV lamp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to expose it in a downward direction, but the straight UV lamp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sterilize a U-shaped dental prosthesis that is generally formed along the tooth arrangement.

또한, 종래의 틀니보관함은 단면이 사각형의 일측이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대체로 U자형 틀니를 보관하기 유리하지만, 틀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휴대과정에서 틀니가 금속재의 반사판에 접촉되어 부딪히면서 틀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에 자외선램프가 노출되어 자외선램프에 틀니가 부딪히게 되면 자외선램프가 손상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nture storage box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one side is curved, so it is generally advantageous to store U-shaped dentures, but there is no structur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dentures, so the dentures are attached to the metal reflector during the carrying process. Not only can damage to the dentures be caused by bumping into contact, but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V lamp can be damaged when the UV lamp is ex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dentures collide with the UV lamp.

이러한 틀니 보관함 뿐만 아니라 교정기 및 미백 트레이의 보관함 또한 교정기와 미백 트레이를 보관하기 용이하지만, 보관함 내부의 일면에 부딪혀 손상될 우려가 있고, 교정기 및 미백 트레이를 별도로 살균할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치과에 방문하여 소독하는 방식으로 살균하였기 때문에 매일 제때에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Not only this denture storage box, but also the storage box for braces and whitening trays is easy to store braces and whitening trays, but there is a risk of damage by bumping into one side of the storage box, and a device to separately sterilize braces and whitening trays is not provided, so visit the denti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at the right time every da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틀니를 비롯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기, 치아 미백을 위한 미백 트레이 등 치아 보철물에 남아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하기 살균하고, 치아 보철물이 놓여지는 스탠드부에 자외선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반사 구조를 적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s to remove microorganisms or bacteria remaining in dental prostheses, such as dentures, braces for correcting teeth, and whitening trays for teeth whitening, and tee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various reflective structures to increase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effect on a stand on which a prosthesis is placed.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는,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 공간 상에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고,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 공간 외측으로 반송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위에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거치부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상기 살균 공간에서 살균용 빛의 노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rilizing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steriliz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sterilizing light on the sterilizing space. Sterilization unit to investigate; and a stand on which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of the sterilization unit by an external force, and convey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space by an external force after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time is completed, wherein the stand unit comprises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space. A base member formed of a flat plate of an area;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o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nd a block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handle to block exposure of light for sterilization in the sterilization space after the stand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및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한 이상의 돌기는, 상기 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An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t least one protrusion of the mounting portion are formed of a reflective material. At this time, at least one or more projections of the holding portion, the projec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portion.

한편, 상기 살균부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수평 길이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수직 길이를 갖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지면 방향으로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unit, the body portio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having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leg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having a preset vertical length;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irradiating light for sterilization toward the ground;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supply of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상기 살균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통공된 다수개의 통풍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bod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남아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하기 살균 동작을 수행하고, 치아 보철물이 놓여지는 스탠드부에 자외선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반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살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terilization operation to remove microorganisms or bacteria remaining in the dental prosthesis, and applies various reflective structures to increase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effect on the stand on which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이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에 스탠드부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거치부의 돌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스탠브부에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b 및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and unit is accommodated in a sterilization space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explaining in detail the protrusions of the holding part of FIG. 6 , and FIG. 8 is a view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dental prosthesis is placed on the stanchion part of FIG. 6 .
9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B and 9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may be, for example, any type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laptop computer. Also, the 'terminal'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 capable of accessing other terminals or servers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telephone network,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ventions of the same scope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ntradict each other techn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이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에 스탠드부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tand unit is accommodated in a sterilization space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는 살균부(100) 및 스탠드부(20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dental prosthesis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sterilization unit 100 and a stand unit 200 .

살균부(100)는 치아 보철물(10)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115)을 구비하고, 살균 공간(115) 상에 살균용 빛, 즉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살균 공간(115)은 스탠드부(115)의 베이스 부재(210)의 두께, 거치부(240)의 돌기(241)의 높이, 거치부(240) 상에 놓여지는 치아 보철물의 사이즈를 통합적으로 반영하여 수평 길이와 수직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unit 100 has a sterilization space 115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sterilize the dental prosthesis 10, and irradiates the sterilization space 115 with light for sterilization, that is, ultraviolet rays. At this time, the sterilization space 115 integrates the thickness of the base member 210 of the stand part 115,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241 of the holding part 240, and the size of the dental prosthesis placed on the holding part 240.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can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o .

스탠드부(200)는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지고, 사용자 또는 치과 관계자 등의 외력에 의해 살균부(100)의 살균 공간(115)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살균 공간(115) 외측으로 반송된다.The stand unit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115 of the sterilization unit 100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 or dental personnel, after the dental prosthesis 10 is placed on it, and after a preset sterilization time is completed, the stand unit 200 is not affected by external force. It is convey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space 115 b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공간(115)은 스탠드부(20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이지만, 살균 공간(115) 내에 스탠드부(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스탠드부(200)의 차단부재(220)에 의해 일면이 차폐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terilization space 115 is in an open state so that the stand part 200 can move freely, but the stand part 200 is in a state where the stand part 200 is accommodated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5. One surface may be shielded by the blocking member 22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bottom view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살균부(100)는, 바디부(111), 레그부(112), 광원부(140), 전원부(120), 통풍구(130) 및 LED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3 to 5, the sterilization unit 10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body unit 111, a leg unit 112, a light source unit 140, a power supply unit 120, a ventilation hole 130, and LEDs. does not

바디부(111)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수평 길이를 갖는다. 레그부(112)는 바디부(111)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수직 길이를 갖는다. 이때, 레그부(112)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닥면에 지면과 마찰되어 살균부(100)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스티커 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11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has a preset horizontal length. The leg part 112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1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has a preset vertical length. At this time, an anti-slip sticker or anti-slip pad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art 112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event the sterilization unit 100 from slipping by rubbing against the ground.

바디부(111)와 레그부(1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 형태의 몸체(110)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부(111)와 레그부(112)가 분리되어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111)의 수평 길이와 레그부(112)의 수직 길이를 이용해 살균부(100)는 살균 공간(115)을 형성하고, 레그부(112) 사이로 스탠드부(200)가 이송 또는 반송된다. The body part 111 and the leg part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 shaped body 110, and the body part 111 and the leg part 112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y are separated and assembled. It could be.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100 forms a sterilization space 115 usi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ody unit 111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leg unit 112, and the stand unit 200 is transported or transported between the leg units 112. is returned

광원부(140)는 바디부(111)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램프가 설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살균용 빛을 조사한다. 자외선램프는 250~275nm의 자외선이 갖는 살균 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자외선의 파장 및 조사량(방사 강도×조사 시간)에 관계되며, 균의 생존율은 조사량에 대해 거의 지수 관계수적으로 감소하고, 균종에 따라서 거의 동일하며, 치아 보철물의 표면 살균에 이용된다. In the light source unit 140, at least one UV lamp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111, and irradiates light for sterilization toward the ground. The ultraviolet lamp uses the sterilizing action of 250-275 nm ultraviolet rays, and is related to the wavelength and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radiation intensity × irradiation time), and the survival rate of bacteria decreases almost exponentially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irradi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bacteria. It is almost the same and is used for surface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전원부(120)는 바디부(111)의 상부면에 설치된 전원버튼과 연결되어 전원 버튼에 따라 광원부(140)에 전원 공급을 결정한다. LED들은 바디부(111)의 일측면이나 상부면에 전원 버튼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광원부(1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The power unit 120 is connected to a power butt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111 and determines power supply to the light source unit 140 according to the power button. The LEDs ar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ower button on one side or upper surface of the body 111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source 140 .

이때, 바디부(111)의 상부면은 터치 패널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동작버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1)의 내부에는 살균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제어부는 터치 패널이나 동작 버튼과 연동하여 전원부(120)의 동작에 따라 광원부(140) 및 LED들을 제어하고,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경과되면 광원부(140)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or may have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In addition,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100 is built inside the body unit 111, and the controller interlocks with the touch panel or operation button to control the light source unit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 and LEDs, and when a sterilization time preset by a timer (not shown) elapses,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40 may be stopped.

다수개의 통풍구(130)는 외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바디부(11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통공되어 있다. 이러한 통풍구(130)는 외부에서 찬공기가 유입되어 바디부(111)를 경유하여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바디부(111)의 하부면에 설치된 광원부(140)에서 발생된 열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vents 130 are through from one side of the body 111 to the other side so that outside air can pass through. These ventilation holes 130 allow cold air to flow in from the outside via the body 111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1 can be cooled.

한편, 제어부는 통신모듈(미도시)을 내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나 치아 보철물(10)을 관리하는 치과의 제어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이나 제어 단말에 치아 보철물의 살균 시작/완료 상태, 살균 횟수, 치아 보철물의 사용 기간 등을 알려줄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or a dental control terminal managing the dental prosthesis 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inform the user terminal or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tart/completion status of steriliza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the number of times of sterilization, the period of use of the dental prosthesis,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 및 제어 단말은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 memory (not shown), a processor (not shown), and a database (not shown), such as a smart phone, TV, PDA, or tablet PC. , PC, notebook PC and other user terminal devices may be implemented.

살균부(100)는 바디부(111), 레그부(112), 광원부(140), 전원부(120), LED들 외에도, 살균 시작/완료 상태, 비정상 상황(전원 공급 중지, 살균 동작 중 스탠드부의 강제 반송 등)을 알려주는 경고음 발생수단, 살균시간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수단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body part 111, the leg part 112, the light source part 140, the power supply part 120, and LEDs, the sterilization unit 100 includes a sterilization start/completion state, an abnormal situation (power supply stop, stand part during sterilization operation) Forced conveyance, etc.)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arning sound generating mean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sterilization time or an operating state, and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거치부의 돌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스탠드부에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explaining in detail protrusions of the holding unit of FIG. 6, and FIG. 8 is a dental prosthesis placed on the stand unit of FIG. It is a diagram explaining the true state.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탠드부(200)는 베이스 부재(210), 거치부(240), 손잡이(230), 차단부재(22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FIGS. 6 and 8 , the stand unit 200 includes a base member 210, a mounting unit 240, a handle 230, and a blocking member 2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베이스 부재(210)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데,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210)는 살균 공간(115)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살균 공간보다 적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거치부(240)는 100mm×130nm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살균 공간의 수평 길이는 130mm 이상이 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210 is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damaged by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an ultraviolet lamp. The base member 210 preferably has a smaller area than the sterilization space so that it can move on the sterilization space 115 .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100 mm×130 nm,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terilization space may be 130 mm or more.

거치부(240)는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41)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41) 위에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지게 된다. 이때, 거치부(240)의 돌기(241)는 상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좁아지는 경사면(241a)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241)의 상부는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져 파손되지 않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거나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 및 거치부(240)는 반사 재질로 형성된다. At least one protrusion 24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in the mounting portion 240 , and the dental prosthesis 10 is placed o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241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41 of the holding part 24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241a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p, and the upper part of the protrusion 241 has a round shape so that the dental prosthesis 10 is not damaged when lifted. It is preferably formed as or formed in a flat shap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and the mounting portion 240 are formed of a reflective material.

거치부(240)는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진 후에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이격 거리(d1)를 갖도록 돌기(241)는 지면에 대해 일정 범위(5 mm ~ 20 mm)(?)의 수직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치아 보철물(10)이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과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살균용 빛이 돌기(241)의 경사면(241a)이나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서 반사되어 치아 보철물(10)에 조사되도록 하여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The holding portion 24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after the dental prosthesis 10 is lifted, and the protrusion 241 has a certain distance (d1)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certain range (5 mm to 20 mm). mm) (?). Therefore, since the dental prosthesis 10 maintains a spaced st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damaged due 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and the light for sterilization is emitted from the protrusion 241. It is reflected from the inclined surface 241a of the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to be irradiated to the dental prosthesis 10 so as to increase sterilization efficiency.

원뿔 형태로 형성된 돌기(241)는 하부에 오목 홈(241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오목 홈(241b)은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지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살균용 빛이 오목 홈(241b)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 즉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살균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A concave groove 241b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241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the concave groove 241b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toward the ground so as to be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Therefore, the light for sterilization is refracted by the concave groove 241b and directed up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ntal prosthesis is raised, so that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손잡이(230)는 베이스 부재(2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 또는 치과 관계자에 의해 파지되어 살균부(100)의 살균 공간(115)으로 이송 또는 반송될 수 있도록 한다. The handle 2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210,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a user or a person concerned with dentistry and transported or transported to the sterilization space 115 of the sterilization unit 100.

차단부재(220)는 거치부(240)와 손잡이(230) 사이에 형성되어, 스탠드부(200)가 살균 공간(115)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살균 공간(115)에서 살균용 빛(자외선)의 노출을 차단하고, 거치부(240)가 살균 공간(115)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The blocking member 220 is formed between the holder 240 and the handle 230, and after the stand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115, the sterilization space 115 emits light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It blocks exposure and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mounting portion 240 from leaving the sterilization space 115.

이러한 차단부재(220)는 살균 공간(115)의 횡단면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투명필름 또는 반투명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단부재(220)는 자외선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면서, 치아 보철물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을 최소화하고, 외부에서 자외선램프의 동작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The blocking member 220 is formed with an area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rilization space 115, and a transparent film or translucent film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is attached. 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220 blocks external exposure of ultraviolet rays to prevent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minimizes exposure of the dental prosthesis, minimizes exposure, and makes it easy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lamp from the outside.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9b 및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9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B and 9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거치부(240)의 돌기 형태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거치부(240)의 돌기(241)가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원뿔의 상부면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거치부(240)의 돌기(241)가 사각뿔(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형성되고, 사각뿔(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상부면이 모따기 가공으로 평면 형태로 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protrusion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protrusion 241 of the holding portion 240 is formed in a cone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is formed in a round shape,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holding portion 240 ( 241) is formed in a quadrangular pyramid (or pyramid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quadrangular pyramid (or pyramid shape) is formed to be in a flat shape by chamfering.

또한, 거치부(24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41)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구강 구조인 하악과 상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돌기(241)는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와 '∪' 형태로만 돌출 형성되어 틀니 등의 치아 보철물이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41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eve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as a who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jaw, which is a human oral structure, and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n upper jaw. That i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41 are not formed entir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but protrude only in '∩' and '∪' shapes, so that dental prostheses such as dentures can be seated. .

거치부(240)와 손잡이(230)의 사이에는 차단부재(220)가 끼워지는 끼움홈(220a)이 형성된다. 차단부재(220)는 끼움홈(220a)에 끼워져 자외선 차단 역할을 수행하지만, 사용자는 차단부재(220)의 세척이나 파손시 끼움홈(220a)에서 차단부재(220)를 꺼내어 세척이나 교체할 수 있다. An fitting groove 220a into which the blocking member 220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holder 240 and the handle 230 . The blocking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20a and serves to block ultraviolet rays, but when the blocking member 220 is washed or damaged, the blocking member 220 can be taken out from the fitting groove 220a to be washed or replaced. have.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a)와, 거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b)이다.10 is a plan view (a)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b)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mounting uni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거치부(240)의 돌기 형태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거치부(240)의 돌기(241)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각 돌기(241)의 하부에는 적어도 일면에 복수 개의 반사홈(242)을 형성하여 반사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but the protrusion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That is, the protrusions 241 of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nd a plurality of reflective grooves 242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under each protrusion 241 to increase reflective efficiency. have.

이때, 반사홈(242)은 일자('ㅣ')형태나 직각('┘')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살균용 빛이 반사되어 상방, 즉 치아 보철물이 놓여진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반사홈(242)은 'U'자 형태로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flection groove 242 is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ㅣ') shape or a right angle ('┘') shape, but is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so that the light for sterilization is reflected up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where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let it do As shown in (b) of FIG. 10 , two adjacent reflection grooves 242 may have a 'U' shape.

거치부(240)의 돌기(241)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원뿔, 사각뿔,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원기둥, 삼각기둥, 육각 기둥 등의 각기둥이나 깍뿔, 원뿔 등의 다양한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241 of the mount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e, a quadrangular pyramid, or a quadrangular prism,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besides, a cylinder, a triangular prism, a hexagonal prism, or the like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polyhedrons such as prisms, pyramids, and cone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살균부
111 : 바디부
112 : 레그부
120 : 전원부
130 : 통풍구
140 : 광원부
200 : 스탠드부
210 : 베이스 부재
220 : 차단부재
230 : 손잡이
240 : 거치부
100: sterilization unit
111: body part
112: leg part
120: power supply
130: vent
140: light source
200: stand part
210: base member
220: blocking member
230: handle
240: mounting part

Claims (5)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 공간 상에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고,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 공간 외측으로 반송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위에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거치부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상기 살균 공간에서 살균용 빛의 노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a sterilization unit having a sterilizatio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sterilizing a dental prosthesis and irradiating light for sterilization onto the sterilization space; and
A stand unit on which the dental prosthesis is lifted,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of the sterilization unit by an external force, and convey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space by an external force after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time is completed,
The stand part,
A base member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dental prosthesis is placed o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nd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block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handle to block exposure of light for sterilization in the sterilization space after the stand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eriliz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및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t least one or more protrusions of the mounting portion are formed of a reflective material,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한 이상의 돌기는,
상기 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t least one protrus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e protrusion is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narrowing toward the t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수평 길이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수직 길이를 갖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지면 방향으로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ation unit,
a body portio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having a preset horizontal length;
leg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having a preset vertical length;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irradiating light for sterilization toward the ground; and
A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power unit for determining power supply to the light sourc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통공된 다수개의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terilization unit,
The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bod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KR1020210066703A 2021-05-25 2021-05-25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KR1025859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03A KR102585951B1 (en) 2021-05-25 2021-05-25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03A KR102585951B1 (en) 2021-05-25 2021-05-25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89A true KR20220158989A (en) 2022-12-02
KR102585951B1 KR102585951B1 (en) 2023-10-11

Family

ID=8441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703A KR102585951B1 (en) 2021-05-25 2021-05-25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5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658Y1 (en) *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지피코 Dental U.V. Sterilizer With Vacuum Packing Unit
KR101102993B1 (en) *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A surface treat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KR20130087605A (en) * 2011-01-31 2013-08-06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for implants
KR101516185B1 (en) *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for surface treatment of dental implant
KR20170015583A (en) * 2015-07-29 2017-02-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ls using ultraviolet ray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658Y1 (en) *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지피코 Dental U.V. Sterilizer With Vacuum Packing Unit
KR20130087605A (en) * 2011-01-31 2013-08-06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for implants
KR101102993B1 (en) *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A surface treat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KR101516185B1 (en) *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for surface treatment of dental implant
KR20170015583A (en) * 2015-07-29 2017-02-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ls using ultraviolet 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51B1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decontamination
ES2818601T3 (en) Support structures, cabinet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objects
US20070274879A1 (en) Uv sterilizer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US6039928A (en) Writing implement sterilization apparatus
CN104415384B (en) Utilize the portable germicidal device of ultraviolet light LED
US20130004367A1 (en) Sani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JP7325839B2 (en) Ultraviolet bend type sterilizer
KR20110099351A (en) A baby of bottle sterilizer
KR20170106845A (en) Sterilizing and cleaning apparatus for portable
JP2010119777A (en) Sterilizer of key input device
CN111514333A (en) Access & exit degassing unit
EP1849497A1 (en) Tanning apparatus
KR20220158989A (en) 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CN209847894U (en) Illumination device of ultraviolet disinfection container and portable ultraviolet disinfection container
RU197893U1 (en) Germicidal UV LED Illuminator
JP4448071B2 (en) Surgical light
JP2022082987A (en) Sterilizer
CN216394804U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JP2000107263A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CN215900453U (en) Sterilization or disinfection system
JPH0314189Y2 (en)
TWM606320U (en) Mobile sterilization device
US20240066160A1 (en) Shelf for uv-c disinfection
KR20140140385A (en) Unit chair for Dental clin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