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923A -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 Google Patents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923A
KR20220158923A KR1020210066559A KR20210066559A KR20220158923A KR 20220158923 A KR20220158923 A KR 20220158923A KR 1020210066559 A KR1020210066559 A KR 1020210066559A KR 20210066559 A KR20210066559 A KR 20210066559A KR 20220158923 A KR20220158923 A KR 20220158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pasting
side guide
fixation block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844B1 (ko
Inventor
송규문
Original Assignee
송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규문 filed Critical 송규문
Priority to KR102021006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by contacting paper with a device carrying the material
    • D21H23/54Rubbing devices, e.g. brush, pad, f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롤 형태로 감긴 벽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인출홀이 하부에 구비된 고정 블럭을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구비되도록 하고, 그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서, 풀칠 장치를 분해 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풀칠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풀칠 장치의 구성을 최소화시켜 조립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배하는 작업자는 장소와 상관 없이 풀칠 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결합하여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형성하므로서, 벽지에 풀칠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고정 블럭의 상부면에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분해된 풀칠 장치의 구성(측면가이드 프레임, 거치봉, 지지판)이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블럭의 하부 전단에는 컷팅홈이 구비된 컷팅판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를 형성하여, 설정된 치수 만큼 벽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하여 1회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 Paper wallpaper paste device for do it yourself }
본 발명은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형태로 감긴 벽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인출홀이 하부에 구비된 고정 블럭을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구비되도록 하고, 그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서, 풀칠 장치를 분해 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풀칠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풀칠 장치의 구성을 최소화시켜 조립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배하는 작업자는 장소와 상관 없이 풀칠 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결합하여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형성하므로서, 벽지에 풀칠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고정 블럭의 상부면에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분해된 풀칠 장치의 구성(측면가이드 프레임, 거치봉, 지지판)이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블럭의 하부 전단에는 컷팅홈이 구비된 컷팅판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를 형성하여, 설정된 치수 만큼 벽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하여 1회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배란 벽지의 뒷면에 풀칠하여 벽 내지 천장 등에 벽지를 붙여 실내 공간을 미려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벽지를 이용하여 도배를 하기 위해서는 롤 형태로 감긴 벽지를 도배 현장으로 이동한 후 벽 내지 천장의 길이에 맞게 재단한 상태에서 벽지의 뒷면에 풀칠하여 도배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벽지에 풀칠을 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은 롤 형태로 감긴 벽지를 잡고, 다른 사람은 측정한 길이만큼 벽지의 끝단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벽지를 재단한 후에 그 벽지 뒷면에 풀칠을 하기 때문에 풀칠 작업이 용이하기 못하며, 이로 인하여 도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벽 내지 천장의 길이에 맞게 롤 형태로 감긴 벽지를 재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롤 형태로 감긴 벽지를 푼 상태에서 측정자를 이용하여 측정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롤 형태로 감긴 벽지를 푼 상태에서 그 벽지의 뒷면에 풀칠을 할 수 있는 풀칠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종래의 도배 벽지용 풀칠 장치는 받침간과 상기 받침간의 전단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받침간에 설치되는 벽지 걸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몸체에 구비된 공실에 모터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동축 로울러 및 공회전 로울러와, 동축 로울러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몸체에 구비된 공실로 벽지를 공급하는 안내 로울러와, 상기 동축 로울러에 접동되는 접동 로울러와, 몸체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 되며, 풀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관이 구비된 지지대판과, 분사관과 연결되는 풀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벽지 걸이부에 거치된 롤 형태로 감긴 벽지가 동축 로울러와, 안내로울러 사이로 공급되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축 로울러가 회전되면서 몸체 내부로 벽지를 공급하고, 상기 몸체 내부로 공급된 벽지는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는 풀을 이용하여 벽지의 뒷면에 풀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풀칠 장치의 문제점은 풀칠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받침간, 몸체, 벽지 걸이부, 제어부 및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동축 로울러와 동축 로울러의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안내 로울러 등으로 구성 되므로서, 풀칠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못한 뿐만 아니라 풀칠 장치의 크기 또한 크기 때문에 도배 현장까지 풀칠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배할 장소의 평수가 작은 경우에는 풀칠 장치를 이용하여 벽지에 풀칠 작업을 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풀칠 장치를 이용하여 벽지에 풀칠을 한 후에는 풀칠 장치에 묻은 풀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276685 호
한국등록특허 제 10-0845512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긴 벽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인출홀이 하부에 구비된 고정 블럭을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구비되도록 하고, 그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서, 풀칠 장치를 분해 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풀칠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풀칠 장치의 구성을 최소화시켜 조립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배하는 작업자는 장소와 상관 없이 풀칠 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결합하여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형성하므로서, 벽지에 풀칠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고정 블럭의 상부면에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분해된 풀칠 장치의 구성(측면가이드 프레임, 거치봉, 지지판)이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블럭의 하부 전단에는 컷팅홈이 구비된 컷팅판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를 형성하여, 설정된 치수 만큼 벽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하여 1회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긴 벽지가 거치되는 거치홈이 양측면에 형성된 거치부와;
거치부에 거치된 벽지를 인출하는 인출홀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고정 블럭과;
고정 블럭이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홈과 대응되는 결합부가 후단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이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측면가이드 프레임과;
측면가이드 프레임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 가이드 프레임의 전단에 결합 되는 지지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 블럭의 상부면에 수납홈을 길이 방향으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롤 형태로 감긴 벽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인출홀이 하부에 구비된 고정 블럭을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구비되도록 하고, 그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서, 풀칠 장치를 분해 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풀칠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풀칠 장치의 구성을 최소화시켜 조립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배하는 작업자는 장소와 상관 없이 풀칠 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 블럭의 양측면에 측면가이드 프레임을 결합하여 풀칠 공간이 고정 블럭의 전단에 형성하므로서, 벽지에 풀칠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블럭의 상부면에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분해된 풀칠 장치의 구성(측면가이드 프레임, 거치봉, 지지판)이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 블럭의 하부 전단에는 컷팅홈이 구비된 컷팅판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측면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인출홀을 통해 인출된 벽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를 형성하여, 상기 눈금자에 맞게 인출홀을 통해 풀칠 공간으로 벽지를 인출시킨 후에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하여 1회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긴 벽지(W)가 거치되는 거치홈(21)이 양측면에 형성된 거치부(20)와;
거치부(20)에 거치된 벽지(W)를 인출하는 인출홀(41)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20)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고정 블럭(40)과;
고정 블럭(40)이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2)과;
결합홈(42)과 대응되는 결합부(61)가 후단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41)을 통해 인출된 벽지(W)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S)이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과;
측면가이드 프레임(60)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 가이드 프레임(60)의 전단에 결합 되는 지지판(80);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 블럭(40)의 상부면에 수납홈(43)을 길이 방향으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주보는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일면에는 인출홀(41)을 통해 도포 공간(S)으로 인출된 벽지(W)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70)를 형성하고,
눈금자(70)에 의해 길이가 측정된 벽지(W)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홈(51)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컷팅판(50)을 고정 블럭(40)의 전단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의 종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풀칠 장치는 도 1과 같이 롤 형태로 감긴 벽지(W)가 거치되는 거치부(20)와, 상기 거치부(20)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고정 블럭(40)과, 상기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 결합 되어 풀칠 공간(S)이 구비되도록 하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으로 구성한다.
상기 거치부(20)의 양측면에는 롤 형태로 감긴 벽지(W)가 거치되는 거치홈(21)을 형성한다.
상기 거치홈(21)에 롤 형태로 감긴 벽지(W)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봉(10)을 형성한다.
즉, 거치봉(10)을 롤 형태로 감긴 벽지(W)에 관통한 후 그 거치봉(10)을 거치홈(21)에 거치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봉(10)이 거치되는 거치부(20)의 전단에는 고정 블럭(40)을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고리홈(31)이 구비된 고정 고리(30)를 상,하로 회전되게 거치부(20)의 전단 양측면에 힌지로 결합하고, 회전되는 상기 고정 고리(30)의 고리홈(31)이 결합 되는 고리부(32)를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고정 고리(30)를 이용하여 거치부(20)의 전단에 고정 블럭(40)을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을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4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블럭(40)의 상부면에는 수납홈(43)을 고정 블럭(4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하여 고정 블럭(40)의 바닥면과 수납홈(43) 사이로 거치부(20)에 거치된 벽지(W)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홀(4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블럭(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수납홈(43)은 도배에 필요한 소품을 저장하거나 또는 분리된 거치봉(10), 측면가이드 프레임(60), 지지판(80)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여 풀칠 장치를 이동 및 보관하는 도중에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 블럭(40)의 전단하는 컷팅홈(51)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컷팅판(50)을 형성하여 절단 칼(도면 미 도시)을 상기 컷팅홈(51)에 밀착시켜 인출홀(41)을 통해 인출된 벽지(W)를 컷팅하도록 한다.
상기 컷팅홈(51)은 'V'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을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인출홀(41)을 통해 인출된 벽지(W)에 풀칠 작업을 할 수 있는 풀칠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이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마주보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일면에는 결합홈(42)과 대응되는 결합부(61)를 돌출 형성하고, 마주보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일면에는 인출홀(41)을 통해 인출된 벽지(W)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70)를 형성한다.
상기 눈금자(70)의 '0'은 컷팅홈(5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금자(70)가 구비된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전단에는 끼움홈(62)을 각각 형성하고, 끼움홈(62)에 관통되는 지지판(80)을 억지로 끼워지게 결합하여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 결합 된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을 전단을 지지판(80)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끼움홈(62)은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62)에 지지판(80)을 결합 시 풀칠 공간(S)과 연통되는 유출홀(63)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 형태로 감긴 벽지(W)에 관통된 거치봉(10)을 이용하여 거치부(20)의 거치홈(21)에 벽지(S)를 거치한다.
상기 거치부(20)에 롤 형태로 감긴 벽지(S)가 거치된 상태에서 벽지(W)을 끝단을 잡고 고정 블럭(40)에 구비된 인출홀(41)을 통해 도 3과 같이 벽지(W)을 풀칠 공간(S)으로 인출한다.
이때, 풀칠 공간(S)으로 인출된 벽지(W)의 끝단은 도 3과 같이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전단에 결합된 지지판(80)으로 인해 형성된 유출홀(63)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블럭(40)의 인출홀(41)을 통해 풀칠 공간(S)으로 벽지(W)가 인출되면, 도 4와 같이 풀칠 도구(100)인 풀칠용 솔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벽지(W)의 뒷면에 풀 도포 작업을 한다.
이때, 풀칠 도구(100)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롤러 장치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풀칠 도구(100)를 이용하여 벽지(W)의 뒷면에 풀칠 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에 구비된 눈금자(70)를 확인하면서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끝단에 구비된 유출홀(63)을 통해 풀칠을 마친 벽지(W)을 인출한다.
상기 유출홀(63)을 통해 풀칠을 마친 벽지(W)가 인출됨에 따라 고정 블럭(40)의 양측에 결합된 측면가이드 프레임(60)에 의해 구비된 풀칠 공간(S)으로 풀칠되지 않은 벽지(W)가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풀칠 공간(S)으로 벽지(W)가 인출되면, 풀칠 도구(100)를 이용하여 벽지(W)에 풀칠을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여 벽지(W)를 붙이고자 하는 길이만큼 풀칠이 되면, 절단날을 컷팅판(50)의 컷팅홈(51)에 밀착시켜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벽지(W)를 붙이고자 하는 대상물인 벽 내지 천장에 붙이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재 또는 두꺼운 종이재로 제작할 수 있다.
플라스틱재로 제작할 경우 작업자가 들고 다니면서 지속적으로 조립 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도배시 마다 사용할 수 있고, 두꺼운 종이재로 제작할 경우에는 도배 장소에서 조립하여 사용한 후 용이하게 폐기 처분 할 수 있도록 하여 1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거치부와 고정블럭의 길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면 벽지의 폭에 맞춰서 거치부와 고정블럭의 길이를 셋팅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길이가변형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0: 거치봉, 20: 거치부,
21: 거치홈, 30: 고정 고리,
31: 고리홈, 32: 고리부,
40: 고정 블럭, 41: 인출홀,
42: 결합홈, 43: 수납홈,
50: 컷팅판, 51: 컷팅홈,
60: 측면가이드 프레임, 61: 결합부,
62: 끼움홈, 63: 유출홀,
70: 눈금자, 80: 지지판,
100: 풀칠 도구, G: 풀칠 공간,
W: 벽지,

Claims (2)

  1. 롤 형태로 감긴 벽지(W)가 거치되는 거치홈(21)이 양측면에 형성된 거치부(20)와;
    거치부(20)에 거치된 벽지(W)를 인출하는 인출홀(41)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20)의 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고정 블럭(40)과;
    고정 블럭(40)이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2)과;
    결합홈(42)과 대응되는 결합부(61)가 후단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41)을 통해 인출된 벽지(W)에 풀칠하는 풀칠 공간(S)이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 블럭(40)의 양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측면가이드 프레임(60)과;
    측면가이드 프레임(60)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 가이드 프레임(60)의 전단에 결합 되는 지지판(80);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 블럭(40)의 상부면에 수납홈(43)을 길이 방향으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측면가이드 프레임(60)의 일면에는 인출홀(41)을 통해 도포 공간(S)으로 인출된 벽지(W)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70)를 형성하고,
    눈금자(70)에 의해 길이가 측정된 벽지(W)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홈(51)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컷팅판(50)을 고정 블럭(40)의 전단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KR1020210066559A 2021-05-25 2021-05-25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KR102488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59A KR102488844B1 (ko) 2021-05-25 2021-05-25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59A KR102488844B1 (ko) 2021-05-25 2021-05-25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23A true KR20220158923A (ko) 2022-12-02
KR102488844B1 KR102488844B1 (ko) 2023-01-17

Family

ID=8441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59A KR102488844B1 (ko) 2021-05-25 2021-05-25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1886A (en) * 1993-06-21 1995-06-06 Poole; Robert N. Wallpaper paste apply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20028931A (ko) * 2002-01-14 2002-04-17 김재복 도배지 재단기
KR200421940Y1 (ko) * 2006-04-18 2006-07-19 이영조 앉아서 풀칠과 재단을 동시에 하는 휴대용 수동 도배 장치
KR200453746Y1 (ko) * 2010-10-11 2011-05-27 김성인 폭조절이 가능한 벽지용 풀 도포장치
KR101468483B1 (ko) * 2008-08-27 2014-12-03 쿄쿠토오산키 카부시키가이샤 벽지 풀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1886A (en) * 1993-06-21 1995-06-06 Poole; Robert N. Wallpaper paste apply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20028931A (ko) * 2002-01-14 2002-04-17 김재복 도배지 재단기
KR200421940Y1 (ko) * 2006-04-18 2006-07-19 이영조 앉아서 풀칠과 재단을 동시에 하는 휴대용 수동 도배 장치
KR101468483B1 (ko) * 2008-08-27 2014-12-03 쿄쿠토오산키 카부시키가이샤 벽지 풀칠기
KR200453746Y1 (ko) * 2010-10-11 2011-05-27 김성인 폭조절이 가능한 벽지용 풀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844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28571A (en) Tape and cement applying machine
US4707202A (en) Tape applicator
US4915769A (en) Masking machine
KR102488844B1 (ko)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US4913766A (en) Strip applicator
US4130229A (en) Tape dispenser
US3152032A (en) Dispensing device
US10046937B2 (en) Painters masking tape tool
JP2021075046A (ja) 壁紙糊付機
US3029073A (en) Tape folder
US6464164B1 (en) Tool for supporting and applying wallpaper border material
CN214522601U (zh) 具有分切功能的复合机
US1797854A (en) Wall-paper applicator
US10865573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a hand-held dry wall tape applicator
US20030145954A1 (en) Wallpapering aid
US20060054394A1 (en) Ladder accessory for holding paper and tape
JPH0657697U (ja) 貼付材への手動糊付装置
CN218052587U (zh) 一种装饰工程用开槽定位装置
KR102540483B1 (ko) 이미지 연출용 가이드테이프 부착기
CN213055435U (zh) 一种石膏板切割装置
US20120152167A1 (en) Wallpaper Border Sizing Sealant Applicator Tool & Paint Trim Guide
US4122799A (en) Painting device
CN220128850U (zh) 一种双面胶带分切设备
CN217345870U (zh) 一种浴室柜加工用切割装置
JP3079216U (ja) 粘着テープ貼り切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