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57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575A
KR20220158575A KR1020210104795A KR20210104795A KR20220158575A KR 20220158575 A KR20220158575 A KR 20220158575A KR 1020210104795 A KR1020210104795 A KR 1020210104795A KR 20210104795 A KR20210104795 A KR 20210104795A KR 20220158575 A KR20220158575 A KR 2022015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refrigerator
machine room
doo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원
안성우
박승규
박규서
오민규
김현철
김미주
박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11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30Insulation with respect to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냉장고이다. 본 개시의 냉장고는 냉장고본체(10)의 상부에 냉장실(12)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냉장실(12)과 구획벽(16)으로 구획되어 냉동실(14)이 냉장고본체(10) 하부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 뒤쪽에 해당되는 냉장고본체(10) 내부에 기계실(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의 내부에는 제1증발기(66)와 제2증발기(66')가 있고, 상기 기계실(18)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일부 있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하부 외면에는 레그조립체(24)가 설치되어 냉장고본체(10)를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차가운 공기를 사용하여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실내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저하시켜서 음식물을 냉동 및/또는 냉장하여 보관하는 것이다.
냉장고 내에 구비되는 저장실로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음식물 또는 음료를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이 있을 수 있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보다 상부 배치되는 탑마운트 타입,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에는 0 ~ 5℃의 온도에서 보관되는 음식물 들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은 -18℃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어 보관되는 음식물을 얼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일반적인 실내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장고본체와 도어를 통한 열전달이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냉장고본체와 도어는 일정 두께 이상의 단열층을 가져야 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869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 두께 이상의 단열층을 냉장고본체와 도어가 가지면서 내부에 소정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냉장고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특히,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의 단열층을 가지게 되면 냉장고의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냉장고는 주방 등에서 다른 가구와 비교할 때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커서 주변의 가구들과 어울리지 않고,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장고본체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되는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56127호에서와 같이 기계실 또는 냉장고본체의 후면을 구성하는 벽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냉장고본체의 전후방향 길이가 길어지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에 비해 냉장고의 내부에는 보관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식품들이 보관될 수 있다. 하지만, 냉장실 도어는 단열을 위한 단열층이 불투명한 것이어서 냉장실 내부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냉장실 도어를 열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1867호에서는 냉장실 도어에 투명부재를 두어 냉장실 내부를 도어를 열지 않고도 볼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상기 투명부재를 통한 열전달 때문에 냉장실의 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전력소비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냉장실 도어에 투명부재를 사용하여 냉장실 내부를 볼 수 있게 하더라도 냉장실의 전후 길이가 길게 되면 앞쪽에 보관되는 식품에 의해 뒤쪽에 보관되는 식품이 가려서 냉장실 내부에 보관되는 식품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57583호에서는 냉장고본체의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고 냉장고본체의 좌우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냉장고본체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냉장고본체가 전방으로 넘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기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어를 냉장고본체 하부까지 연장되게 두어서 전체를 내부의 저장공간을 하나로 만들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저장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와 도어의 단열 성능에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0-0018013호에서는 가정용 냉장고의 도어에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여기서도 도어의 단열 성능에 문제가 있어서 강화유리의 표면에 내측 코팅층과 외측 코팅층을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86644호에서는 냉장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힌지조립체가 일측은 냉장고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의 상면과 하면에 힌지조립체를 장착하게 되면 도어의 두께가 일정 이상의 값을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장고에서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데, 압축기, 응축기, 기계실팬조립체, 증발기 등이 각각 별개로 기계실 내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냉장고의 제조라인에서 이들 부품들을 각각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유지 보수 또한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01) 한국 공개특허 제20-2008-0005869호 (선행기술문헌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56127호 (선행기술문헌0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1867호 (선행기술문헌04)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57583호 (선행기술문헌05) 한국 공개특허 제10-2000-0018013호 (선행기술문헌06)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86644호
본 개시의 목적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냉장고의 무게중심을 냉장고본체의 상대적으로 하부 및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냉장고의 전후방향 길이에서 도어가 차지하는 비율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냉장고가 주변 가구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통해 냉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전후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만들어진 냉장고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기계실 공간의 체적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기계실에 설치되는 부품을 모듈화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내부에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를 두어 냉장실과 제1증발기 사이 냉동실과 제2증발기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를 구획벽의 뒤쪽 부분에 위치시키고 그 외의 열교환사이클 부품을 냉장고본체 하부의 기계실에 두고 있어 냉장고본체의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후방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열이 되는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 도어프레임을 설치하여 도어를 구성하고 있다.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서 냉장고의 전후방향 길이에서 도어가 차지하는 비율을 낮춰서 전후방향길이가 짧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열이 되는 투명부재를 통해 냉장실 내부를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냉장고본체의 외면을 둘러 레그조립체를 설치하여 냉장고가 놓여지는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를 두면서도 냉장고본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열교환사이클을 냉장실용과 냉동실용을 별도로 구성하면서 압축기를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어, 기계실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기계실커버 상에 기계실에 설치되는 열교환사이클 부품을 장착할 수 있어서, 기계실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모듈화하여 취급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본 개시는 상부에 냉장실이 있고 상기 냉장실 하부에 냉동실이 있으며 일측에 기계실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는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 도어프레임이 있는 도어, 상기 냉장고본체 하부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본체를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레그조립체,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는 상기 구획벽의 내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열교환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동실의 뒤쪽 하부에 해당되는 냉장고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에 대응되는 상기 냉장고본체의 저면으로 노출되게 기계실커버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커버에는 기계실 내외부로 공기가 입출되는 기계실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기계실커버 상에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열교환사이클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는 상기 구획벽의 내부 뒤쪽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증발기는 제1증발기케이스에 형성된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증발기는 제2증발기케이스에 형성된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에 직교하는 팬설치부에는 제1순환팬조립체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에 직교하는 팬설치부에는 제2순환팬조립체가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증발기와 냉장실 사이에는 상기 구획벽을 지나 냉장실과 제1증발기케이스를 연통시키는 제1공급덕트와 제1귀환덕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증발기와 냉동실 사이에는 상기 구획벽을 지나 냉동실과 제2증발기케이스를 연통시키는 제2공급덕트와 제2귀환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열교환사이클은 냉장실용과 냉동실용이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레그조립체는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레그, 상기 레그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냉장고본체와 연결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고본체에 고정된 고정너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레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레그조립체에는 상기 조절볼트를 상기 연결편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볼트고정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레그조립체는 다수개가 상기 냉장고본체의 하부 외면을 둘러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본 개시는 내부에 냉장실, 냉동실, 기계실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는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 도어프레임이 있는 도어, 상기 냉장고본체 하부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본체를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레그조립체,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열교환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구획벽의 내부에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증발기는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증발기는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설치부와 직교하게 팬설치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제1순환팬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설치부와 직교하게 팬설치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제2순환팬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구획벽의 내부 뒤쪽 부분에 설치되는 제1증발기는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구획벽의 내부 뒤쪽 부분에 설치되는 제2증발기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와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에는 각각 직교하게 팬설치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순환팬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와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가 상기 구획벽 내부 뒤쪽에 설치됨에 의해 상기 냉장실 바닥 뒤쪽이 돌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투명부재는 단열유리 사이에 진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유리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란트가 위치되어 상기 단열유리를 접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실란트가 위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위치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을 둘러 가스켓이 설치되어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도어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본체장착부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장착부와 본체장착부를 연결부가 연결하는 힌지조립체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도어장착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힌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본체장착부는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힌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열교환사이클 부품 중에서 압축기와 응축기는 냉장실용과 냉동실용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기계실팬조립체는 상기 기계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기계실커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기계실커버에는 상기 압축기와 대응되는 위치 그리고 상기 응축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기계실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어 기계실과 외부 사이의 공기유동이 일어날 수 있다.
본 개시의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있다.
본 개시에서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내부에 냉장실용 제1증발기와 냉동실용 제2증발기를 두고 공급덕트 및 귀환덕트를 사용하여 공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로 유동시킨다. 따라서, 공급덕트와 귀환덕트가 구획벽만 지나면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바로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덕트와 귀환덕트의 길이가 짧아짐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냉장실과 냉동실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냉장고 내부의 온도제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보관되는 식품을 보다 잘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냉장고본체의 상부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 하부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 후방에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 사이의 공간 뒤쪽에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를 설치하고, 상기 기계실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여러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본체의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냉장고본체의 뒤쪽 그리고 하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냉장고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어는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된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 도어프레임이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어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부분이고, 상기 투명부재는 단열유리를 겹쳐서 만들어지는 것이어서 도어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냉장고의 전후방향 길이에서 냉장고본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도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상대적으로 얇고 가벼워지고 냉장고본체의 전후방향 길이를 일정 이상의 값으로 유지하여 냉장고본체 내부의 저장공간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도 전체 냉장고의 전후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냉장고본체의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냉장고의 전후방향 길이를 줄여 냉장고가 사용되는 공간에서 다른 가구들과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는 진공 단열유리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고 가장자리를 둘러 단열유리 사이를 접착하는 실란트를 둔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도어프레임이 설치된 도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투명부재의 가장자리 만 도어프레임에 의해 가려지므로, 도어의 거의 전체 영역에서 투명부재를 통해 저장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도어의 두께가 투명부재 가장자리를 둘러 있는 도어프레임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대적으로 도어를 얇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도어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도어에 의해 냉장고본체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냉장고본체의 하부를 둘러서 레그조립체를 두었으므로, 냉장고본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례에서는 냉동실용 열교환사이클과 냉장실용 열교환사이클을 따라 구성하면서 압축기를 각각의 열교환사이클 용으로 따로 두었다. 따라서 동일한 열교환사이클의 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하나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2개의 압축기로 열교환사이클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압축기를 기계실에 설치하므로 기계실의 크기, 특히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냉장고본체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부품을 기계실커버에 모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에 설치되는 열교환사이클 부품들이 하나의 모듈로 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모듈형태로 조립라인에 투입할 수 있게 되어 냉장고의 제조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배면에서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고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레그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도어의 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횡단면도.
도 8은 본 개시를 구성하는 도어가 힌지조립체에 의해 냉장고본체에 연결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개시를 구성하는 도어에서 사용되는 필러와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개시의 내부 구성을 보인 투시사시도.
도 11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증발기와 덕트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개시를 구성하는 열교환사이클의 부품들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개시의 냉장고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보인 투시도.
도 14는 본 개시를 구성하는 덕트들의 배치를 보인 측면도.
도 15는 본 개시의 열교환사이클을 보인 사이클도.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례의 열교환사이클 부품들의 배치를 보인 투시사시도.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례의 열교환사이클 부품들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례의 냉장고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보인 투시도.
도 1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례의 덕트들의 배치를 보인 측면도.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례의 열교환사이클을 보인 사이클도.
도 21은 본 개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2는 본 개시에서 냉장실을 순환하는 공기흐름을 정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3은 본 개시에서 냉장실을 순환하는 공기흐름을 측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4는 본 개시에서 냉동실을 순환하는 공기흐름을 정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5는 본 개시에서 냉동실을 순환하는 공기흐름을 측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6은 본 개시에서 기계실 내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개시의 냉장고는 냉장고본체(10)가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는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를 정면에서 볼 때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들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내부에는 냉장실(12)과 냉동실(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에서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4)은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벽체들은 내부에 단열층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은 발포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은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져서 냉장실(12) 및 냉동실(14)과 외부 사이에서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외면에는 상기 냉장실(12)에 대응되는 부분과 냉동실(14)에 대응되는 부분의 좌우 폭이 달리되도록 단차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냉장실(12)에 해당하는 냉장고본체(10) 부분이 상기 냉동실(14)에 해당하는 냉장고본체(10)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좌우 길이가 길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내부에는 냉장실(12)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은 상기 냉장실(1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편의상,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위치될 수 있는 선반이나 서랍과 같은 구조물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 바닥의 뒤쪽에 돌출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증발기(66,66')가 위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에 대응되는 냉장고본체(10)에는 냉동실도어(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5)는 상기 냉동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5)는 냉동실(14)에서 차가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냉동실(14)에는 서랍형태로 된 보관용기가 있어서 상기 냉동실도어(15)와 함께 냉동실(14)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5)를 취급하기 위해 손잡이(15')가 냉동실도어(15)의 전면 일측에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냉동실도어(15)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30)와 같이 힌지조립체를 사용하여 개폐되는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4) 사이는 구획벽(1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은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4) 사이에서 수평인 평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의 내부에는 단열층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의 단열층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증발기(66)와 제2증발기(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은 바닥의 뒤쪽이 돌출되어 있다. 이는 기계실(18)이 형성되면서 만들어진 돌출구조이다. 상기 돌출된 부분의 내측에는 기계실(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의 뒤쪽에 해당되는 냉장고본체(10)의 하부에는 기계실(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본체(10)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후방향 길이는 기존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장고본체의 전후방향 길이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냉장고본체(10)의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주방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가구의 전후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릇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이나 찬장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같을 수 있다. 참고로,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찬장이나 수납장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30)를 포함하는 냉장고본체(10)의 전후방향 길이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0)를 포함하는 냉장고본체(10)의 전후방향이 길이는 430mm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홈(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20)은 상기 냉장고본체(10) 전면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20)은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 홈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20)에 인접하여서는 체결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2)에는 체결나사(22')가 체결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조립체(42)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하부에는 레그조립체(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조립체(24)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저면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그조립체(24)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하부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그조립체(24)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그조립체(24)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하부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냉장고본체(10)를 바닥에 지지하므로 냉장고본체(1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레그조립체(24)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그조립체(24)는 레그(25)를 가진다. 상기 레그(25)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봉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레그(25)는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레그(25)의 높이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연결편(2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편(26)은 상기 레그(2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26)은 냉장고본체(10)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홈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26)을 관통하여서는 조절볼트(2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27)는 상기 냉장고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너트(28)에 체결된상태에서 고정너트(28)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볼트(27)는 상기 레그(25)의 연결편(26)과 일체로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볼트(27)는 상기 연결편(26)에 볼트고정구(2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볼트고정구(29)는 상기 조절볼트(27)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볼트(27)가 상기 연결편(26)에 대해서 회전은 가능하지만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27)가 상기 냉장고본체(10)에 고정된 고정너트(28)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 상기 레그(25)가 상기 냉장고본체(10)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냉장고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그(24)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외면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 있어서 냉장고본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에는 도어(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한 쌍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어(30)는 다르게는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도어를 사용하여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할 수도 있다. 하나의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도면에 있는 2개의 도어(30)를 합친 면적으로 도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구성을 도 5에서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어(30)에는 도어프레임(32)이 가장자리를 둘러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은 합성수지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은 사각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은 단열성능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은 외관을 구성하는 재질과 내부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재질이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모서리들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일측 변을 따라서는 필러설치단(32')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러설치단(32')은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러설치단(32')은 상기 도어프레임(32) 중에서 도어(30)의 자유단부에 해당되는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러설치단(32')은 상기 냉장실(12)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일측 변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필러설치단(32')은 2개의 도어(30) 중에서 일측 도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내면을 둘러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투명부재(34)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홈(3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착홈(33)은 상기 도어프레임(32) 내면 전체를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에는 투명부재(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내면을 둘러 형성된 안착홈(33)에 상기 투명부재(34)의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34)는 냉장실(12)의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34)는 단열이 가능한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34)로는 VIG(Vaccum Insulation Glass)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34)는 2장의 단열유리(35) 사이에 진공공간(35')을 형성한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투명부재(34)는 2장 이상의 단열유리(35)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유리(35)들 사이에 진공공간(35')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단열유리(35)들 사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실란트(3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란트(36)는 상기 단열유리(35)를 서로 접착하면서 상기 진공공간(35')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명부재(34)는 진공쳄버 내를 진공으로 만들고, 진공쳄버 내에서 상기 단열유리(35) 2장을 실란트(36)로 접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단열유리(35) 사이에 진공공간(35')이 형성되면서 투명부재(34)의 진공성능을 극대화한 것이다.
상기 투명부재(34)의 실란트(36) 부분은 도 7과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안착홈(3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안착홈(33)의 깊이방향 일부 구간 내에 상기 실란트(36)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부재(34)는 상기 진공공간(35')이 형성된 영역도 상기 안착홈(33)에 일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란트(36) 부분은 단열 성능이 상기 진공공간(35')에 해당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란트(36)가 위치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해당되는 진공공간(35')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32)에 가스켓(38)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38)은 그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진공공간(35')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배면과 냉장고본체(10)의 전면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란트(36)와 진공공간(35')의 경계에 상기 가스켓(38)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일치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실란트(36)의 폭과 상기 가스켓(38)의 폭이 같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거나 또는 상기 가스켓(38)의 폭이 상기 실란트(36)의 폭보다 크게 되어 상기 가스켓(38)의 폭 내측 영역에 상기 실란트(3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을 상기 도어프레임(32)에 고정하기 위한 가스켓홈(38')이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배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란트(36)가 위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을 따라 상기 가스켓홈(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홈(38')은 상기 실란트(36)의 폭 방향 중간부분에 해당되는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은 또한 단열성능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실란트(36)와 진공공간(35')의 경계에 있거나 경계에서 진공공간(35')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으면, 상기 가스켓(38)의 내측에 해당되는 영역은 단열성능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는 투명부재(34)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도어프레임(32)의 두께 정도의 두께만을 가지면서도 일정 이상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도어(3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면서도 충분한 단열을 할 수 있고, 상기 투명부재(34)를 통해 냉장실(12)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장실(12)은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34)를 통해서 냉장실(12) 내측까지 잘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은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일부라도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가스켓(38)의 폭방향 일단부라도 상기 투명부재(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외부에서 상기 투명부재(34)를 통해 가스켓(38)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스켓(38)은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어야 한다. 또는 상기 가스켓(38)의 폭방향 양단부는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도어프레임(32) 전면에는 손잡이(3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39)는 상기 도어(30)의 개폐 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39)는 양측의 도어(30)에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39)는 각 도어(30)의 자유단부 쪽 도어프레임(3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에서 냉장고본체(10)에 연결되는 반대쪽, 즉 도어(30)의 자유단부 쪽 내면에 해당되는 구간의 가스켓(38)이 밀착되도록 필러(4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필러(40)는 상기 도어프레임(32)의 필러설치단(32')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러(40)는 양측의 도어(30) 선단 사이의 틈을 통해 냉장실(12)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필러(40)는 일측 도어(30)의 필러설치단(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2개의 도어가 닫혔을 때, 각각의 도어(30)의 자유단부 쪽에 위치되는 가스켓(38)에 동시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필러(40)는 일측 도어(30)의 필러설치단(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고본체(10)의 일측에 있는 가이드구조에 의해 안내되어 도어(30)의 개폐 시에 회전되어 상대 도어(30)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필러(40)의 횡단면 형상이 도 9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러(40)는 2개의 도어(30)가 닫혔을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어(30)의 대응되는 가스켓(38)이 밀착되어 도어(30) 선단 사이의 틈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힌지조립체(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42)는 소프트클로징(Soft closing)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42)는 댐퍼와 스프링 기능이 적용된 푸시-풀타입(Push-pull type)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힌지조립체(42)는 댐퍼와 스프링 기능이 적용된 푸시-풀(Push-pull)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42)는 도어장착부(43), 본체장착부(45) 그리고 연결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43)는 상기 도어(30)의 배면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힌지홈(4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힌지홈(42')에 상기 도어장착부(43)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42')의 일측에는 체결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42")에 체결나사가 체결되어 힌지조립체(42)의 도어장착부(43)를 도어프레임(3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43)는 본 실시례에서는 'ㄱ'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배면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홈(42')도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43)는 상기 가스켓(38)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외측에 해당되는 상기 도어프레임(3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홈(42')도 상기 가스켓(38)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외측에 해당되는 상기 도어프레임(32)의 가장자리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장착부(45)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면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장착부(45)는 상기 냉장고본체(10)에 형성된 힌지홈(20)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20)에 상기 본체장착부(45)가 체결나사(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43)와 상기 본체장착부(45) 사이를 연결부(47)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7)는 일종의 링크구조이다. 상기 힌지조립체(42)에서 상기 도어장착부(43)나 본체장착부(45)의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구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0)가 닫히는 마지막 구간에서 도어(30)의 동작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구조가 상기 본체장착부(45)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닫히는 마지막 단계에서 도어(30)의 회전속도가 줄어들도록 하면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특히 도어(30)가 닫힐 때,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 충격없이 부드럽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장착부(43)와 연결부(47)는 상대적으로 냉장고본체(10)의 전방으로 살짝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도어(30)의 일측 가장자리가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도 15를 참고하여 기계실(18) 내부를 포함하는 열교환사이클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기계실(18)이 상기 냉동실(14)의 뒤쪽에 해당되는 냉장고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냉장고본체(10)의 최하측에 위치됨에 의해 냉장고본체(10)의 무게중심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열교환사이클을 2개로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기계실(18)을 개폐할 수 있도록 기계실커버(5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52)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52)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저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기계실커버(52)는 상기 기계실(18)을 냉장고본체(10) 저면 쪽에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52) 상에는 기계실(18)에 위치되는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52)에는 기계실통기구(54,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통기구(54,54')는 기계실(18)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통기구(5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응축기(60,6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통기구(54')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56,56')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압축기(56,56')는 상기 기계실커버(52)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1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6,56')들은 각각의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기(56,56')들은 상기 기계실커버(52)의 기계실통기구(54')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별도의 열교환사이클을 사용하여 냉장실(12)과 냉동실(14)을 냉각하므로 2개의 압축기(56,56')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열교환사이클에서 복수개의 압축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각각의 열교환사이클에 하나 씩 2개의 압축기(56,56')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고 압축기(56,56')를 복수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56,56')를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18) 공간, 특히 기계실(18)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6,56')에 인접하여 기계실팬조립체(5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팬조립체(58)는 상기 기계실통기구(54,54')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팬조립체(58)에 의해 발생된 기류는 상기 기계실통기구(54)를 통해 기계실(18) 내부로 들어와서 응축기(60,6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60')를 통과한 공기는 기계실팬조립체(58)에 의해 상기 압축기(56,56')를 지나서 상기 기계실통기구(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6,56')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공기와 열교환하는 응축기(60,60')가 상기 기계실통기구(5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60')는 상기 기계실팬조립체(58)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60')에서 작동유체가 공기로 열을 전달하여 작동유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60')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의 열을 전달받는 공기는 상기 기계실팬조립체(58)에 의해 상기 기계실통기구(54)를 통해 기계실(18)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60')는 상기 압축기(56,56')와 같은 갯수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제1응축기(60)와 제2응축기(60')는 별도의 열교환사이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열교환사이클 내에서 2개의 응축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응축기(60,60')들은 트레이(6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60')에서 나온 작동유체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밸브(64,64')가 있다. 상기 팽창밸브(64,64')도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있다. 각각의 팽창밸브(64,64')는 별도의 열교환사이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64,64')를 통과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열교환하는 제1증발기(66)와 제2증발기(66')가 있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는 냉장실(12)의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열교환사이클과 냉동실(14)의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열교환사이클이 별도로 있다. 상기 제1압축기(56), 제1응축기(60), 제1팽창밸브(64), 제1압축기(56)는 냉장실(12)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56'), 제2응축기(60'), 제2팽창밸브(64'), 제2압축기(56')는 냉동실(14)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 내부의 단열층 내에 제1증발기케이스(65)와 제2증발기케이스(6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 내부에는 제1증발기(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 내부에는 제2증발기(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케이스(65,65')는 증발기설치부(65-1)와 팬설치부(65-2)가 서로 직교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증발기설치부(65-1)는 상기 팬설치부(65-2)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구획벽(16)의 뒤쪽이 냉장실(12)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냉장실(12)의 바닥 뒤쪽에 돌출된 부분은 상기 증발기설치부(65-1) 때문에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증발기설치부(65-1) 내부에는 증발기(66,66')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팬설치부(65-2)에는 순환팬조립체(70,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65-2)는 상기 구획벽(16)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와 제2증발기케이스(65')에는 각각 입구(65i)와 출구(65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65i)는 상기 팬설치부(65-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구(65e)는 상기 증발기설치부(6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입구(65i)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귀환덕트(7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급덕트(7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입구(65i)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귀환덕트(8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공급덕트(7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66)와 제2증발기(66')에서는 작동유체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66)에서는 냉장실(12)을 유동하는 공기와 작동유체와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66')에서는 냉동실(14)을 유동하는 공기와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66)와 제2증발기(66')에서는 공기로부터 작동유체로 열을 전달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66)와 제2증발기(66')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와 제2증발기케이스(65')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획벽(16)의 뒤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와 제2증발기케이스(65')가 상기 구획벽(16)의 뒤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면, 냉장실(12)과 냉동실(14)과 증발기(66,66') 사이의 거리가 가깝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의 유동을 위한 덕트(72,74,76,78)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66)에 인접하여서는 제1순환팬조립체(70)가 있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상기 팬설치부(65-2)에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를 통해 상기 제1공급덕트(70)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는 상기 냉장실(14)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66')에 인접하여서는 제2순환팬조립체(7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70')는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팬설치부(6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70')는 상기 냉동실(14)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를 통해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7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유동되어 제2공급덕트(76)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0)에는 제1공급덕트(7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가 설치된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에 입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냉장실(12)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후방벽을 따라 냉장실(12)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냉장실(12)의 뒤쪽 내면 또는 냉장실(12)의 뒤쪽 단열층 내부를 따라 냉장실(12)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내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를 통해서는 상기 냉장실(12)로 차가운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에는 냉장실(12)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토출구(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73)들은 상기 제1공급덕트(72)의 전면에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어 냉장실(12)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제1공급덕트(7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횡단면이 좌우로 긴 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횡단면이 좌우로 긴 타원형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공급덕트(72)를 구성하는 것은 냉장고본체(10) 내부의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공기유동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는 상기 구획벽(16)에서 시작해 냉장실(12)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72)의 길이는 냉장실(12)의 높이와 거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1공급덕트(72)를 통한 공기의 공급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실(14) 내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1증발기(66)로 돌아오도록 하는 제1귀환덕트(74)가 상기 구획벽(1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74)는 입구가 상기 냉장실(12)의 하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74)는 출구가 상기 구획벽(16)에 있는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입구(65i)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74)를 통해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1증발기(66)에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66)에서는 상기 냉장실(12)을 유동하고 귀환한 공기가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증발기(66)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다시 상기 제1공급덕트(72)로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74)는 길이가 상기 구획벽(16)의 두께 정도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귀환덕트(74)를 통한 공기의 귀환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54')의 출구(65e)와 연결되고 상기 냉동실(14)로 연장되게 제2공급덕트(7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76)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냉동실(14) 뒤쪽에 있는 단열층을 따라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76)는 상기 냉동실(14)의 뒤쪽 내면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76)는 다르게는 상기 냉동실(14)을 형성하는 벽면 내측의 단열층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76)에서 냉동실(14)에 위치되는 부분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14) 내부를 향해 개구되게 토출구(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76)도 제1공급덕트(72)와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76)의 길이는 상기 냉동실(14)의 높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14)로 신속하게 차가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상기 제2증발기(66')로 유동시키기 위해 제2귀환덕트(80)가 상기 구획벽(16)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귀환덕트(80)의 입구는 상기 냉동실(14)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2귀환덕트(80)의 출구는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입구(65i)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귀환덕트(80)의 길이는 상기 구획벽(16)의 두께 정도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귀환덕트(80)를 통해 공기의 귀환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서 도 20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냉장고본체(110)에 형성된 냉장실(112)과 냉동실(114)을 위해 공용으로 열교환사이클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압축기(156)를 사용하면서 제1증발기(166)는 냉장실(112) 용으로 사용하고, 제2증발기(166')는 냉동실(114)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상기 기계실(118)이 상기 냉동실(114)의 뒤쪽에 해당되는 냉장고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8)은 냉장고본체(110)의 최하단에 위치됨에 의해 냉장고본체(110)의 무게중심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8)을 개폐할 수 있도록 기계실커버(15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152)는 상기 냉장고본체(110)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152)는 상기 냉장고본체(110)의 저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기계실커버(152)는 상기 기계실(118)을 냉장고본체(110) 저면 쪽에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152) 상에는 기계실(118)에 위치되는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152)에는 기계실통기구(154,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통기구(154,154')는 기계실(118)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통기구(15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응축기(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통기구(154')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156)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156)는 상기 기계실커버(152)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11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56)는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기(156)는 상기 기계실커버(152)의 기계실통기구(154')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56)에 인접하여 기계실팬조립체(15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팬조립체(158)는 상기 기계실통기구(154,154')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기계실팬조립체(158)에 의해 발생된 기류는 상기 기계실통기구(154)를 통해 기계실(118) 내부로 들어와서 응축기(16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60)를 통과한 공기는 기계실팬조립체(158)에 의해 상기 압축기(156)를 지나서 상기 기계실통기구(1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56)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공기와 열교환하는 응축기(160)가 상기 기계실통기구(15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60)는 트레이(161)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커버(15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60)는 상기 기계실팬조립체(158)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60)에서 작동유체가 공기로 열을 전달하여 작동유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60)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의 열을 전달받는 공기는 상기 기계실팬조립체(158)에 의해 상기 기계실통기구(154)를 통해 기계실(118)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상기 응축기(160)에서 나온 작동유체를 제1팽창밸브(164) 및/또는 제2팽창밸브(164')로 보내기 위해 3방향밸브(16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방향밸브(162)에는 상기 응축기(160)에서 나온 작동유체가 흐르는 배관이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3방향밸브(162)에는 제1팽창밸브(164) 그리고 제2팽창밸브(164')로 연결되는 배관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164)와 제2팽창밸브(164')는 작동유체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16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증발기(166)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164)에서 나온 작동유체는 제1증발기(166)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2팽창밸브(16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증발기(166')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팽창밸브(164')에서 나온 작동유체는 제2증발기(166')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구획벽(116) 내부의 단열층 내에 제1증발기케이스(165)와 제2증발기케이스(16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 내부에는 제1증발기(1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65') 내부에는 제2증발기(1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케이스(165,165')는 증발기설치부(165-1)와 팬설치부(165-2)가 서로 직교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증발기설치부(165-1)는 상기 팬설치부(165-2)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구획벽(116)의 뒤쪽이 돌출되게 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설치부(165-1) 내부에는 증발기(166,166')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팬설치부(165-2)에는 순환팬조립체(170,1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165-2)는 상기 구획벽(116)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와 제2증발기케이스(165')에는 각각 입구(165i)와 출구(165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165i)는 상기 팬설치부(165-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구(165e)는 상기 증발기설치부(16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의 입구(165i)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귀환덕트(17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의 출구(165e)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급덕트(17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65')의 입구(165i)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귀환덕트(18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65')의 출구(165e)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공급덕트(17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와 제2증발기(166')에서는 작동유체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에서는 냉장실(112)을 유동하는 공기와 작동유체와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166')에서는 냉동실(114)을 유동하는 공기와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와 제2증발기(166')에서는 공기로부터 작동유체로 열을 전달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와 제2증발기(166')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와 제2증발기케이스(165')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획벽(116)의 뒤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와 제2증발기케이스(165')가 상기 구획벽(116)의 뒤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면, 냉장실(112)과 냉동실(114)과 증발기(166,166') 사이의 거리가 가깝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와 제2증발기(166')에서 나온 배관은 또 하나의 3방향밸브(16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3방향밸브(168)는 상기 압축기(156)로 들어가는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방향밸브(168)에 의해 상기 압축기(156)로 상기 제1증발기(166) 및/또는 제2증발기(166')에서 나온 작동유체가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에 인접하여서는 제1순환팬조립체(170)가 있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의 상기 팬설치부(165-2)에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1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170)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165)의 출구(165e)를 통해 상기 제1공급덕트(170)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170)는 상기 냉장실(114)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166')에 인접하여서는 제2순환팬조립체(17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170')는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65')의 팬설치부(16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170')는 상기 냉동실(116)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65')의 출구(165e)를 통해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17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유동되어 제2공급덕트(176)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110)에는 제1공급덕트(17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170)가 설치된 제1증발기케이스(165)의 출구(165e)에 입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상기 냉장고본체(110)의 냉장실(112)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상기 냉장고본체(110)의 후방벽을 따라 냉장실(112)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냉장실(112)의 뒤쪽 내면 또는 냉장실(112)의 뒤쪽 단열층 내부를 따라 냉장실(112)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내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를 통해서는 상기 냉장실(112)로 차가운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에는 냉장실(112)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토출구(1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73)들은 상기 제1공급덕트(172)의 전면에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어 냉장실(112)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17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제1공급덕트(17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횡단면이 좌우로 긴 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공급덕트(172)는 횡단면이 좌우로 긴 타원형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공급덕트(172)를 구성하는 것은 냉장고본체(110) 내부의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공기유동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장실(114) 내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1증발기(166)로 돌아오도록 하는 제1귀환덕트(174)가 상기 구획벽(11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174)는 입구가 상기 냉장실(112)의 하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174)는 출구가 상기 구획벽(116)에 있는 제1증발기케이스(165)의 입구(165i)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귀환덕트(174)를 통해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1증발기(166)에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66)에서는 상기 냉장실(112)을 유동하고 귀환한 공기가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증발기(166)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다시 상기 제1공급덕트(172)로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170)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54')의 출구(165e)와 연결되고 상기 냉동실(114)로 연장되게 제2공급덕트(17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176)는 상기 냉장고본체(110)의 냉동실(114) 뒤쪽에 있는 단열층을 따라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176)는 상기 냉동실(114)의 뒤쪽 내면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176)는 다르게는 상기 냉동실(114)을 형성하는 벽면 내측의 단열층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176)에서 냉동실(114)에 위치되는 부분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114) 내부를 향해 개구되게 토출구(1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176)도 제1공급덕트(172)와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4)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상기 제2증발기(166')로 유동시키기 위해 제2귀환덕트(180)가 상기 구획벽(116)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귀환덕트(180)의 입구는 상기 냉동실(114)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2귀환덕트(180)의 출구는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165')의 입구(165i)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례의 냉장고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냉장실(12)은 상기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9)를 잡고 당기면 상기 힌지조립체(42)가 동작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개방되는 것은 도 21의 (a)에서 (c)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a)에는 도어(30)가 냉장실(12)을 폐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도어(30)가 냉장고본체(10)에 대해 직각으로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c)에는 도어(30)가 추가적으로 더 열려서 105°정도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30)가 닫히는 것은 개방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조립체(40)는 도어(30)가 닫히는 마지막 구간, 다시 말해 상기 도어(30)의 배면이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 접촉되는 구간에서 댐핑력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의 배면이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충격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힌지조립체(42)의 도어장착부(43)와 본체장착부(45)가 각각 힌지홈(42')(20) 내에 위치되고 있다. 따라서, 도어(30)의 배면과 냉장고본체(10)의 전면 사이에는 단지 가스켓(38)만이 위치되어 압착되면서 기밀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장착부(43)는 상기 도어프레임(32)의 배면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홈(42') 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도어장착부(43)의 위치가 도어(30)의 배면 가장자리에 있어서 가스켓(38) 보다 외측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힌지조립체(42)에서부터 도어(30)의 회전중심 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가깝게 되어 도어(30)의 회전중심 측 단부가 냉장고본체(10)의 전면과 간섭하지 않게 되어 도어(30)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도 21의 (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30)가 개방되더라도 냉장고본체(10)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30)의 자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장고본체(10)가 앞으로 넘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에서는 투명부재(34)를 통해서 냉장실(12) 내부를 볼 수 있는데, 상기 투명부재(34)는 상기 도어(30)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상기 도어프레임(32)은 상기 투명부재(34)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상 냉장실(12) 내부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냉장실(12)은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어 보다 쉽게 내부의 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구성은 2장의 단열유리(35)의 가장자리를 단열재질로 만들어진 도어프레임(32)이 둘러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볍다. 이와 같은 특성은 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작용하는 도어(30)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도어(30)에서는 단열유리(35) 2장을 서로 접착하기 위해 실란트(36)를 사용하는데, 상기 실란트(36)가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진공공간(35')의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도어(30)를 통한 단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켓(38)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기 실란트(36)가 있는 영역보다 내측에 있도록 하여 상기 실란트(36)에 의한 단열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대적으로 얇은 도어(30)이지만 충분한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교환사이클에서 만들어진 차가운 공기가 상기 냉장실(12)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증발기(66)에서 작동유체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만들어진다. 제1증발기(66)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제1순환팬조립체(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를 통해 상기 제1공급덕트(72)로 들어간다. 상기 제1공급덕트(72)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상기 냉장실(12)로 상기 토출구(73)를 통해서 토출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22와 도 2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12) 내부를 순환한 공기는 상기 냉장실(12)하부 일측의 제1귀환덕트(74)로 들어가서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65)의 입구(65i)를 통해 제1증발기(66)로 유동된다. 제1증발기(66)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고 다시 위에서 설명된 경로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14)로 차가운 공기가 전달되어 냉동실(14)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2증발기(66')에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한 공기는 상기 제2순환팬조립체(70')의 동작으로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출구(65e)를 빠져나와 상기 제2공급덕트(76)로 들어간다. 상기 제2공급덕트(76)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78)를 통해 냉동실(14)로 전달되고, 냉동실(14) 내부를 순환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14) 내부를 순환한 공기는 상기 제2귀환덕트(80)를 통해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의 입구(65i)로 들어간다.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65')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상기 제2증발기(66')에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여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로 되고, 위에서 설명된 경로를 반복하여 순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커버(52)에는 기계실(18)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기계실커버(52)를 냉장고본체(10)에서 분리하면, 이들 부품들이 기계실(18)에서 냉장고본체(10) 하부를 통해 외부로 빠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레그조립체(24)에 의해 냉장고본체(10)와 바닥면 사이에 틈새가 있어서 가능하다..
상기 기계실커버(52)에는 기계실(18)에 위치되는 부품들이 설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커버(52)에 있는 부품들은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고, 최초의 조립작업 시에는 조립라인에 기계실커버(52)에 설치된 상태로 투입하면 조립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열교환사이클이 동작할 때, 상기 응축기(60)와 압축기(56)에서 열방출이 많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60)와 압축기(56)를 외부의 공기로 냉각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도 2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팬조립체(58)가 동작되면, 상기 기계실통기구(54,54')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응축기(60)와 압축기(56)에서의 방열이 일어난다. 상기 기계실팬조립체(58)의 회전방향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달리 될 수 있지만,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60) 쪽의 기계실통기구(5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기계실(18)로 들어가서 응축기(60)에서 열을 받고, 이 후에 압축기(56)로 이동한다. 상기 압축기(56)의 열을 받은 공기는 기계실(18) 외부로 상기 기계실통기구(54')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서 도 2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의 냉장실(112)과 냉동실(114)을 통한 공기 유동은 위의 실시례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열교환사이클은 하나의 압축기(156)를 사용하면서 상기 제1증발기(166)가 냉장실(112)을 유동하는 공기의 열을 제거하고 상기 제2증발기(166')가 냉동실(114)을 유동하는 공기의 열을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작이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레그조립체(24)는 상기 조절볼트(27)가 회전되어 상기 고정너트(28)에 대해 상대 이동함에 의해 냉장고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그조립체(24)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하부 외면을 따라 상하로 레그(25)가 설치되어 냉장고본체(10)를 지지할 수 있어, 냉장고본체(10)를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냉장고본체 12: 냉장실
14: 냉동실 15: 냉동실도어
15'; 손잡이 16: 구획벽
18: 기계실 20: 힌지홈
22: 체결공 22': 체결나사
24: 레그조립체 25: 레그
26: 연결편 27: 조절볼트
28: 고정너트 29: 볼트고정구
30: 도어 32: 도어프레임
32': 필러설치단 33: 안착홈
34: 투명부재 35: 단열유리
35': 진공공간 36: 실란트
38: 도어가스켓 38': 가스켓홈
40: 필러 42: 힌지조립체
42': 힌지홈 42": 체결공
43: 도어장착부 45: 본체장착부
47: 연결부 52: 기계실커버
54,54': 기계실통기구 56: 제1압축기
56': 제2압축기 58: 기계실팬조립체
60: 제1응축기 60': 제2응축기
61: 트레이 64: 제1팽창밸브
64': 제2팽창밸브 65: 제1증발기케이스
65': 제2증발기케이스 65i: 입구
65e: 출구 65-1: 증발기설치부
65-2: 팬설치부 66: 제1증발기
66': 제2증발기 70: 제1순환팬조립체
70': 제2순환팬조립체 72: 제1공급덕트
73: 토출구 74: 제1귀환덕트
76: 제2공급덕트 78: 토출구
80: 제2귀환덕트 152: 기계실커버
154,154': 기계실통기구 156: 압축기
158: 기계실팬조립체 160: 응축기
161: 트레이 162: 3방향밸브
164: 제1팽창밸브 164': 제2팽창밸브
165: 제1증발기케이스 165': 제2증발기케이스
165i: 입구 165e: 출구
165-1: 증발기설치부 165-2: 팬설치부
166: 제1증발기 166': 제2증발기
168: 3방향밸브 170: 제1순환팬조립체
170': 제2순환팬조립체 172: 제1공급덕트
173: 토출구 174: 제1귀환덕트
176: 제2공급덕트 178: 토출구
180: 제2귀환덕트

Claims (24)

  1. 상부에 냉장실이 있고 상기 냉장실 하부에 냉동실이 있으며 일측에 기계실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는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 도어프레임이 있는 도어,
    상기 냉장고본체 하부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본체를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레그조립체,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는 상기 구획벽의 내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열교환사이클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동실의 뒤쪽 하부에 해당되는 냉장고본체에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바닥에 대응되는 상기 냉장고본체의 저면으로 노출되게 기계실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커버에는 기계실 내외부로 공기가 입출되는 기계실통기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커버 상에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열교환사이클 부품들이 장착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는 상기 구획벽의 내부 뒤쪽에 위치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는 제1증발기케이스에 형성된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증발기는 제2증발기케이스에 형성된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에 직교하는 팬설치부에는 제1순환팬조립체가 위치되며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에 직교하는 팬설치부에는 제2순환팬조립체가 위치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와 냉장실 사이에는 상기 구획벽을 지나 냉장실과 제1증발기케이스를 연통시키는 제1공급덕트와 제1귀환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증발기와 냉동실 사이에는 상기 구획벽을 지나 냉동실과 제2증발기케이스를 연통시키는 제2공급덕트와 제2귀환덕트가 구비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사이클은 냉장실용과 냉동실용이 별도로 구성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조립체는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레그, 상기 레그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냉장고본체와 연결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고본체에 고정된 고정너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레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조립체에는 상기 조절볼트를 상기 연결편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볼트고정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조립체는 다수개가 상기 냉장고본체의 하부 외면을 둘러 구비되는 냉장고.
  12. 내부에 냉장실, 냉동실, 기계실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는 투명부재의 가장자리를 둘러 도어프레임이 있는 도어,
    상기 냉장고본체 하부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본체를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레그조립체,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열교환사이클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의 내부에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는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증발기는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부에 위치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설치부와 직교하게 팬설치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제1순환팬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2증발기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설치부와 직교하게 팬설치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제2순환팬조립체가 설치되는 냉장고.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의 내부 뒤쪽 부분에 설치되는 제1증발기는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구획벽의 내부 뒤쪽 부분에 설치되는 제2증발기는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 내에 위치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와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에는 각각 직교하게 팬설치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순환팬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와 제2증발기케이스의 증발기설치부가 상기 구획벽 내부 뒤쪽에 설치됨에 의해 상기 냉장실 바닥 뒤쪽이 돌출되는 냉장고.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단열유리 사이에 진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유리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란트가 위치되어 상기 단열유리를 접착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가 위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위치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을 둘러 가스켓이 설치되어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도어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본체장착부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장착부와 본체장착부를 연결부가 연결하는 힌지조립체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착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힌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본체장착부는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힌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냉장고.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열교환사이클 부품 중에서 압축기와 응축기는 냉장실용과 냉동실용이 별도로 구비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기계실팬조립체는 상기 기계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기계실커버 상에 설치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커버에는 상기 압축기와 대응되는 위치 그리고 상기 응축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기계실통기구가 형성되어 기계실과 외부 사이의 공기유동이 일어나는 냉장고.
KR1020210104795A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202201585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6523 2021-05-24
KR1020210066523 2021-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75A true KR20220158575A (ko) 2022-12-01

Family

ID=8444057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798A KR20220158578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7A KR20220158577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9A KR20220158579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5A KR20220158575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4A KR20220158574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6A KR20220158576A (ko) 2021-05-24 2021-08-09 도어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798A KR20220158578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7A KR20220158577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9A KR20220158579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794A KR20220158574A (ko) 2021-05-24 2021-08-09 냉장고
KR1020210104796A KR20220158576A (ko) 2021-05-24 2021-08-09 도어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2015857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13A (ko) 2000-01-04 2000-04-06 김영호 가정용 냉장고의 도어 구조
KR20080005869U (ko) 2007-05-29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56127A (ko)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텀프리져타입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7583A (ko) 2015-11-17 2017-05-25 김현호 투명한 창을 가진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70091867A (ko) 2016-02-02 2017-08-10 오디하이텍(주) 투명 냉장고 도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냉장고
KR20180086644A (ko)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투명 패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13A (ko) 2000-01-04 2000-04-06 김영호 가정용 냉장고의 도어 구조
KR20080005869U (ko) 2007-05-29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56127A (ko)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텀프리져타입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7583A (ko) 2015-11-17 2017-05-25 김현호 투명한 창을 가진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70091867A (ko) 2016-02-02 2017-08-10 오디하이텍(주) 투명 냉장고 도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냉장고
KR20180086644A (ko)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투명 패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79A (ko) 2022-12-01
KR20220158574A (ko) 2022-12-01
KR20220158578A (ko) 2022-12-01
KR20220158577A (ko) 2022-12-01
KR20220158576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195B2 (en) Refrigerator
US8132423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s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EP1174666A2 (en) Electric refrigerator
US20080202149A1 (en) Refrigerator
US20090113920A1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US10852050B2 (en) Refrigerator
KR20090046296A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조방법
JP4488966B2 (ja) 冷蔵庫
AU2018402915A1 (en) Recessed refrigerator
WO2009072773A2 (en) Refrigerator
WO2017113769A1 (zh) 一种风直冷变换式冰箱
KR20120000642A (ko) 모듈식 냉장고
CN111609606B (zh) 一种具有双送风风机的冰箱及其送风控制方法
JP3904866B2 (ja) 冷蔵庫
CN111609619B (zh) 回风口形成于箱体两侧壁的冰箱
WO2007010267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JP6035510B2 (ja) 冷蔵庫
US20090113921A1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827772A (zh) 冰箱
KR102531202B1 (ko) 냉장고
KR20220158575A (ko) 냉장고
JP2008111640A (ja) 冷蔵庫
JP2007046849A (ja) 冷蔵庫
KR20060110150A (ko) 냉장고
KR101507832B1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