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706A - Versatile opener - Google Patents

Versatile ope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706A
KR20220157706A KR1020210065574A KR20210065574A KR20220157706A KR 20220157706 A KR20220157706 A KR 20220157706A KR 1020210065574 A KR1020210065574 A KR 1020210065574A KR 20210065574 A KR20210065574 A KR 20210065574A KR 20220157706 A KR20220157706 A KR 2022015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handle
open
li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우
Original Assignee
최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우 filed Critical 최동우
Priority to KR102021006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706A/en
Publication of KR2022015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4Combination tools, e.g. comprising cork-screws, can piercers, crowncap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2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stoppers
    • B67B7/04Cork-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 B67B7/403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adapted for engaging the ring of a pull tab for opening an aper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satile opener for a tab, which can safely open various lids of a bottle, a can and a tin with one tool. To his end, disclosed is the versatile opener for a tab, which comprises: a handle of a flat plate shape, which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side and a vertical length side; a tab first opener which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length side of the handle, and is provided to fasten, pull and open the tab; a versatile second opener which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length side of the handle to temporarily open the bottle lid and the can lid; a third opener which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and unfolded in the handle to open a cork stop; and a can lid opening fourth opener which is extend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length side of the handle to cut alo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n lid to open the can lid. All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peners are provided to be extended and monolithically protrude along the length horizontal side and vertical side of the single handle. The handle is formed such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vertical length side may be extended and bent. The third opener is rotated by a hinge shaft in the bent portion to be opened.

Description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Versatile opener }Opener for multipurpose opener {Versatile opener }

본 발명은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병, 깡통, 통조림, 캔 등의 다양한 뚜껑을 하나의 도구에서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op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opener capable of safely opening various lids of bottles, cans, cans, and the like with one tool.

일반적으로, 원터치 캔 형태의 제품은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유통시키기 위하여 캔 구조로 제공되고 있는 바, 쥬스나 콜라, 사이다 등과 같이 음료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식음하기 위해 용기에 내장된 원터치 오프너를 개구 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In general, products in the form of one-touch cans are provided in a can structure to safely store and distribute the contents, but products provided in the form of beverages such as juice, cola, cider, etc. are built into the container to drink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The process of opening the one-touch opener is required.

또한, 소위 통조림 형태로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캔을 개구할 때는 진공으로 밀폐된 원터치 오프너를 개구(open) 시키는 제1단계 오픈동작과, 개구된 캔의 뚜껑부를 전면에서 후면까지 제거하는 개봉 과정인 제2단계 동작을 거쳐야만 캔의 내용물을 꺼내 식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pening a can for storing food containing fish, meat, or fruit in a so-called canned form, the first stage opening operation of opening the one-touch opener sealed by vacuum, and the front cover of the opened can It can be applied to take out the contents of the can and eat it only after going through the second step operation, which is the opening process of removing from the back to the back.

제1단계의 오픈동작을 수행할 때 캔의 상부뚜껑에 밀착되어 있는 오프너의 홀 지지구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자들이 홀 지지구 저부로 손톱을 들이밀다가 다치게 되고 통증을 유발시키는 불편이 있어서 부모님들은 어린 자녀들이 음료용 캔을 구입하여 개구하다가 손상을 당할까 염려스러워서 자녀들이 직접 캔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 어른들이 숟가락 등을 이용하여 오프너의 홀 지지구를 부분적으로 들어올려 개구한 후 자녀들에게 전달하여 음용하도록 적용되고 있다.When perform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step, users insert their nails into the bottom of the hole supporter to lift the hole supporter of the open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lid of the can. To prevent young children from opening the can themselves because they are afraid that they will be damaged while opening it, and adults should use a spoon to partially lift the hole support of the opener to open it and pass it on to their children to drink. is being applied

또한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캔을 오픈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1단계의 오픈 동작뿐만 아니라 개구된 캔의 뚜껑부를 전면부에서 후면부까지 제거하는 개봉 과정인 제2단계 동작을 거쳐야만 내용물을 꺼내 먹을 수 있는바, 이러한 개봉과정의 2단계 동작은 어린 학생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뚜껑의 예리한 절단부에 손가락을 상하거나 신체에 손상을 입기 쉬우므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낭패를 당하기 쉽다.In addition, in order to open a food storage can containing fish, meat, or fruit, the contents must go through not onl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step, but also the second step of opening the lid of the can from the front to the rear. can be taken out and eaten, and this second-stage operation of the opening process is easy for young students as well as adults to injure their fingers or damage their bodies on the sharp cut part of the lid, so if you don't pay attention, it's easy to get into trouble.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6-0001816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원터치 통조림 캔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8에 제시하고 있는바, 도 8에서 식품용 캔 구조가 원형캔(20)의 표면뚜껑부(21a)에 캔따개(10)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the prior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1816, the general structure of a general one-touch canning can is shown in FIG. 8, and in FIG. (21a) shows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having a can opener (10).

도 8에 제시된 식품용 캔을 오픈하기 위해 캔따개(10)를 상부로 들어올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8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n opener 10 is lifted upward to open the can for food.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구성의 식품 보관용 캔 구조에서 캔(20)의 표면뚜껑부(21a)에 마련되는 캔따개(10)는 손가락을 끼우기 위한 구멍 홀(11)과 구멍 홀(11) 외연으로 손가락을 지지하는 얇은 띠 형상의 홀 지지구(14)을 갖는 구조를 이룬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conventional can structure for storing food, the can opener 10 provided on the surface lid 21a of the can 20 has a hole 11 for inserting a finger and a hole hole 11 It has a structure with a thin strip-shaped hole supporter 14 supporting a finger on the outer edge.

상기 구조의 통조림 캔을 개구하고자 할 때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캔따개(10)의 홀 지지구(14)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리벳축(13)을 중심으로 반대 측의 표면뚜껑부(21a)의 절개코너부(21c)를 오프너콕(12)이 압박되어 개구시킨 후, 완전 오픈 하기를 원할 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캔따개(10)의 홀 지지구(14)에 손가락을 끼운채 뒤쪽으로 잡아당겨 캔을 개구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되고 있다.When trying to open the canned can of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 8, if the hole support 14 of the can opener 10 is lifted upward, the surface lid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with the rivet shaft 13 as the center ( After the opener cock 12 is pressed to open the incision corner 21c of 21a), when you want to completely open it, as shown in the figure, insert your finger into the hole support 14 of the can opener 10 to the back It is appli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n is opened by pulling it.

그러나 상기 구성의 식품 보관용 캔의 개구 구조는 한 손은 캔따개(10)의 구멍 홀(11)에 손가락을 끼워 홀 지지구(14)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부로 들어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캔(20) 의 몸체를 파지하고 개구동작을 구현할 때 캔(20)의 측부를 잡거나, 또는 힘주어 잡기 위해서, 캔의 외연 돌출턱(22)을 붙잡고 개구동작을 취하게 된다.However, in the opening structure of the can for food storag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one hand inserts a finger into the hole 11 of the can opener 10, holds the hole support 14 with a finger, lifts the can upward, and the other hand holds the can. When holding the body of the can 20 and implementing the opening operation, in order to hold the side of the can 20 or hold it with force, the open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holding the outer protruding jaw 22 of the can.

이때 예리한 절단면(21d)에 손을 다치기 쉬워서 어느 정도의 힘이 주어져야 하는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고, 늘주의를 하면서 불안한 마음으로 캔따개(10)를 당기게 됨에도 예리한 절단면(21d)에 의해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다.At this time, it is easy to injure the hand on the sharp cutting surface 21d, so it is not easy to estimate how much force should be given, and even though the can opener 10 is pulled with anxiety while always paying attention, the sharp cutting surface 21d hurts It has structural limitations that often occur.

상기와 같은 오프너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 2002-87497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손잡이 걸이부(풀 탭)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구조로서 캔의 축심 X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 이면에 고정된 걸어(plating jig)부재를 갖는 구성을 개시하여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는 개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open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87497 has a structure for easily lifting the handle hanger (pull tab), and a rotation plate and rotation freely rotated around the axis X of the can. By disclosing a configuration having a plating jig member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plate, an opening method without using a finger is proposed.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 회전플레이트는 외경의 원판부와 이 원판부 바깥 둘레에 형성된 설치 플랜지와 캔의 상단연부의 외주 측에 굴곡 형성된 립부에 괘지 가능해지도록 플랜지(flange)의 내주 면으로 돌설된 괘지편을 갖춰야 기능하게 되는 등으로 복잡한 기술구성을 통해서 제조단가가 높아져서 현장적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tating plate has an outer diameter disk portion, an installation flang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portion, and a lip portion bent on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can. It had a problem of low field applicability due to high manufacturing cost through complex technical composition such as having to be equipped to function.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6-0001816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1816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병, 깡통, 통조림, 캔 등의 물건들의 다양한 뚜껑을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opener that can safely open various lids of objects such as bottles, cans, cans, and ca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도구 몸체에 다양한 따개용 오프너를 제공하여 실생활이나 캠핑시에 쉽게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arious openers for opening in one tool body so that the tool can be easily used in real life or camp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오프너를 하나의 몸체에 제공함에 더불어 오프너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arious openers to one body and to use the openers saf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상생활이나 캠핑에서 사용할 경우 번거럽게 오프너를 찾는일 없이 하나의 도구에서 모든 종류의 오프너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ll types of openers to be used in one tool without cumbersome search for openers when used in daily life or camping.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가로 길이변과 세로 길이변으로 형성되는 평판형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세로 길이변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캔 따개를 결착 및 당겨서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캔 따개용 제1 오프너와; 상기 손잡이의 세로 길이변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병마개 및 캔 뚜껑을 일시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다용도용 제2 오프너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서 수용 및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코르크 마개를 오픈하도록 설치되는 제3 오프너와; 상기 손잡이의 가로 길이변에 일단에 연장 돌출 형성되어 통조림 캔 뚜껑의 둘레부를 따라 절취하여 캔뚜껑을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캔뚜껑 오픈용 제4 오프너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제1.2 및 제3, 4오프너는 모두 하나의 손잡이의 길이 가로변과 세로변을 따라 일체로 연장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세로 길이변 모서리부가 연장 구부러져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절곡부위 내측에서 제3 오프너가 힌지축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handle formed of a certain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a first can opener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handle and provided to open the can opener by binding and pulling the can opener; a multi-purpose second opener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handle to temporarily open bottle caps and can lids; a third opener installed inside the handle to be received and unfolded to open the cork; A fourth opener for opening a can lid is provided to extend and protrude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handle and cu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nned can lid to open the can lid,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All four openers are provided so as to extend and protrude integrally along the lengthwise and longitudinal sides of one handle, and the handle is formed to be bent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corners of the lengthwise length, and the third opener is formed inside the bent portion as a hinge axis. Disclosed is a multipurpose opener for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and opened.

또한, 상기 제1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길이변 좌우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중간 부위에서 일부 구부러지도록 돌출되는 양날개부와; 몸체부에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양날개부의 중심 사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 형성되며, 끝단의 단부가 소정각도로 말리도록 구부러진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opener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handle; Both wing parts protruding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gth of the body part and protruding to be partially bent in the middle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from the body and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two wing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a hook bent so that the ends of the ends are ro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제2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에서 수평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는 병마개 따개부와; 상기 병마개 따개부의 상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통조림용 캔을 일부 천공하여 오픈하도록 하는 구비되는 캔 천공용 따개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pener includes a bottle cap opener extending and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hand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cluding a can-piercing opener that extends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le cap opener to partially pierce and open the can for canning.

또한, 상기 제3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 내부에 힌지축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길이변으로 스프링 형태로 말려서 연장 돌출되어 와인용 코르크 마개를 오픈하도록 설치되는 와인 마개 따개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opener includes a coupling part coupled to a hinge axis inside one side of the hand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cluding a wine stopper that is installed to open a cork for wine by being rolled up in a spring form along the length of the coupling part and extending and protruding.

또한, 상기 손잡이는 평판면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손잡이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마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n-slip finish formed along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to prevent slipping on the handle.

또한, 상기 제4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에서 형성되는 절곡부의 일측 가로 길이변을 따라 형성되며, 일곳에는 캔뚜껑을 관통 절취하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캔뚜껑을 테두리에 제4 오프너를 걸치도록 하는 걸이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opener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handle, a blade portion is formed to cut through the can lid at one place, and the fourth opener is hung on the rim of the can lid on the other s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hooking grooves is formed.

본 발명은 병의 뚜껑을 오픈하는 기능과 더불어 콜라, 사이다, 쥬스 등의 음료용 캔 구조를 오픈 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선류나 고기류나 과일류 등을 내장한 식품보관용 통조림 캔을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pen a can structure for beverages such as cola, cider, juice, etc. along with the function of opening the lid of a bottle, and can safely open canned cans for food storage containing fish, meat or fruits It provides a beneficial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하나의 도구 몸체에 다양한 따개용 오프너를 제공하여 실생활이나 캠핑시에 쉽게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openers for opening are provided in one tool body, so that the tool can be easily used in real life or camping.

또한, 다양한 오프너를 하나의 몸체에 제공함에 더불어 오프너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openers are provided in one body, and the openers can be safely used.

또한, 일상생활이나 캠핑에서 사용할 경우 번거럽게 오프너를 찾는일 없이 하나의 도구에서 모든 종류의 오프너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used in daily life or camping, there is an effect that all types of openers can be used with one tool without cumbersomely finding an opener.

좀더 구체적으로, 손잡이가 없는 경우, 캔따개슬롯에 캔따개를 끼운 상태로 캔따개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표면뚜껑부를 위쪽으로 들어 올릴 수 없었다. 때문에 오프너의 몸체가 캔의 에지 영역을 지렛대의 지지점으로 삼아 표면뚜껑부를 잡아 당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캔의 둘레면으로 인하여 몸체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표면뚜껑부를 완전히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사용자가 오프너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오프너의 몸체의 회동 범위가 더욱 제한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re is no handle,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can opener while the can opener is inserted into the can opener slot, the surface lid cannot be lifted upwar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ody of the opener has to pull the surface lid portion using the edge area of the can as a support point of the lever.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rotation range of the body is limited due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surface lid portion. In particular,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opener body,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ner body is further limit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캔의 홀 지지구의 안쪽으로 제1 오프너의 양날개부를 삽입한 후 에지 영역을 지렛대의 지지점으로 들어 올림 다음, 고리부를 켄의 홀 지지구에 걸어서 잡아당기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안전하게 캔의 표면뚜껑부를 보다 원활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erting the two wings of the first opener into the hole support of the can, lifting the edge area to the support point of the lever, and then hooking the hook to the hole support of the Ken and pulling it By providing th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urface lid of the can can be safely opened more smoothly.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를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의 좌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의 우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의 종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에서 와인 따개용 오프너를 펼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에서 제1 오프너의 사용을 보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캔의 구조와 사용을 보인 예시도이다.
1 to 7 are embodiments showing a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front view of a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opener for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right side of the opener for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ner for wine opener in the opener for opener for multipurp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use state showing the use of the first opener in the opener for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use of a conventional ca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but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completely cove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를 보인 실시 예이다.1 to 7 are embodiments showing a multi-purpose opener for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100)는 일정 가로 길이변(a)과 세로 길이변(b)으로 형성되는 평판형의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의 세로 길이변(b)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캔 따개를 결착 및 당겨서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캔 따개용 제1 오프너(120)와; 상기 손잡이(110)의 세로 길이변(b)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병마개 및 캔 뚜껑을 일시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다용도용 제2 오프너(130)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서 수용 및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코르크 마개를 오픈하도록 설치되는 제3 오프너(140)와; 상기 손잡이(110)의 가로 길이변(a)에 일단에 연장 돌출 형성되어 통조림 캔 뚜껑의 둘레부를 따라 절취하여 캔뚜껑을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캔뚜껑 오픈용 제4 오프너(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제1.2 및 제3, 4오프너는 모두 하나의 손잡이(110)의 길이 가로변(a)과 세로변(b)을 따라 일체로 연장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하되, 세로 길이변(b) 모서리부가 연장 구부러져 절곡부위가 형성되며, 절곡부위 내측에서 제3 오프너(140)가 힌지축(113)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구성하게 된다.1 to 7, the opener 100 for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handle 110 formed of a certain horizontal length side (a) and a vertical length side (b); a first can opener 120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length side (b) of the handle 110 and provided to open the can opener by binding and pulling the can opener; a multi-purpose second opener 130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length side (b) of the handle 110 to temporarily open bottle caps and can lids; a third opener 140 installed to open the cork by being accommodated and unfolded inside the handle; A fourth opener 150 for opening the can lid is provided to open the can lid by cutt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nned can lid by extending and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length side (a) of the handle 110. However, the 1.2, 3, and 4 openers are all provided so as to extend and protrude integrally along the horizontal side (a) and the vertical side (b) of one handle 110,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vertical side (b) A bent portion is formed by extension and bending, and the third opener 140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 113 inside the bent portion to be opened.

손잡이(110)는 평판형의 길이방향의 바닥 평판부(111)와, 바닥 평판부(111)에서 일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측면부(112)와, 측면부(112)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평면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andle 110 has a flat plate-shaped bottom plate part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de part 112 formed by bending vertically to one side from the bottom plate part 111 and standing, and a side part 112 bent from the side part 112 to be horizont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at portion 113 formed of.

또한, 상기 평면부(113)의 일측에는 제3 오프너(140)를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축(114)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13)의 타측에는 제3 오프너(140)를 손가락으로 잡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걸이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상기 평면부(113)의 일곳에는 상기 제3 오프너의 회전을 일시 억제하도록 하는 걸림턱(117)이 일부 구부러져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a hinge shaft 114 for rotating the third opener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t part 113, and the third opener 140 can be easily held by a finger on the other side of the flat part 113. A finger hooking groove 115 is formed to enable extraction, and a locking jaw 117 to temporarily suppress rotation of the third opener is formed at one portion of the flat portion 113 by bending it.

또한, 상기 평면부(1130는 그 일면에 다수의 쐐기 형태의 형상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마감부(119)를 더 구비하도록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lat portion 1130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non-slip finish portion 119 formed in a plurality of wedge-shaped shapes on one surface thereof to prevent slipping from the user's grasped hand.

제1 오프너(120)는 상기 손잡이(11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121)와; 몸체부(121)의 길이변 좌우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중간 부위에서 일부 구부러지도록 돌출되는 양날개부(122)(123)와; 몸체부(121)에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양날개부(122)(123)의 중심 사이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 형성되며, 끝단의 단부가 소정 각도로 말리도록 구부러진 고리부(124)를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opener 120 includes a body portion 121 extending from the handle 110; double wing portions 122 and 123 extending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21 and protruding to be partially bent at the middl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121, extending an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centers of the two wing portions 122 and 123, and including a ring portion 124 bent so that the ends of the ends are ro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can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부(124)의 구부러진 방향은 도면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리부를 갖는 것이 주요 특징으로 방향은 제작에 따라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bent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Its main feature is that it has a ring part, and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제2 오프너(130)는 상기 손잡이(110)에서 수평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는 병마개 따개부(131)와; 상기 병마개 따개부(131)의 상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통조림용 캔을 일부 천공하여 오픈하도록 하는 구비되는 캔 천공용 따개부(1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econd opener 130 includes a bottle cap opener 131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handle 110 and protruding; The bottle cap opener 131 is provided with a can opener 133 extending and protruding upward to partially pierce a can for canning to open it.

또한, 상기 병마개 따개부(131)는 병 뚜껑의 일부를 걸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병마개 걸이부(131a)와, 상기 병마개 걸이부(131a)가 있는 안쪽으로 공간으로 형성되어 병마개가 삽입되는 병마개 수용홈(131b)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ottle cap opener 131 includes a bottle cap holder 131a protruding to hang a part of the bottle cap, and a bottle cap receiving groove formed into a space inside the bottle cap holder 131a and into which a bottle cap is inserted. (131b) is formed.

또한, 상기 캔 천공용 따개부(133)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캔 뚜껑을 천공하는 천공날(133a)과, 타측으로 절곡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캔 뚜껑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하는 걸이 고리부(133b)를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n-piercing opener 133 includes a perforating blade 133a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perforating the can lid, and a hook hook 133b that is bent and bent to the other side so as to be caught on the edge of the can lid. It can be provided including.

제3 오프너(140)는 상기 손잡이(110)의 일측 내부에 힌지축(114) 결합되는 결합부(141)와; 상기 결합부(141)에서 길이변으로 스프링 형태로 말려서 연장 돌출되어 와인용 코르크 마개를 오픈하도록 설치되는 와인 마개 따개부(143)를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opener 140 includes a coupling part 141 coupled to a hinge shaft 114 inside one side of the handle 110; It may include a wine stopper 143 installed to open a cork stopper for wine by extending and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art 141 in a spring shape along the length side.

제4 오프너(150)는 상기 손잡이(110)에서 형성되는 절곡부위의 측면부(112)와, 평면부(113)의 일측 가로 길이변을 따라 경위하도록 형성되며, 일곳에는 캔뚜껑을 관통 절취하는 칼날부(15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캔뚜껑을 테두리에 제4 오프너(150)를 걸치도록 하는 걸이홈(153)이 각각 형성할 수 있다.The fourth opener 150 is formed to orient along the side part 112 of the bent part formed in the handle 110 and alo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lat part 113, and cuts through the can lid at one place. A blade portion 151 is formed, and a hooking groove 153 for hanging the fourth opener 150 on the rim of the can li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이하, 본 발명의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름돠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른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multi-purpose opener for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llows the above structural description.

먼저, 병마개 및 캔 뚜껑을 일시 오픈할 경우 제2 오프너(130)를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second opener 130 can be used to temporarily open bottle caps and can lids.

여기서, 일반적인 병마개는 제2 오프너(130)의 병마개 따개부(131)를 사용하고, 쥬스 캔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제2 오프너(130)의 캔 천공용 따개부(133)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캔 천공용 따개부(133)는 일측에 캔 뚜껑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하는 걸이 고리부(133b)를 걸어 캔 뚜껑에 거치한 후, 천공날(133a)로 캔 뚜껑을 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bottle cap opener 131 of the second opener 130 is used as a general bottle cap, and the can opener 133 of the second opener 130 can be used when a juice can is used. The can-piercing opener 133 can be used by hanging the hook 133b on one side of the can lid to hang on the edge of the can lid and then piercing the can lid with the perforating blade 133a.

또한, 상기 제3 오프너(14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10)의 평면부(113)에 형성된 손가락 걸이홈(115)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서 제3 오프너(140)를 힌지축(114)으로 하여 외부로 오픈시켜 펼쳐지도록 하여 코르크 마개를 이용하여 와인 병 를 오픈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third opener 140, insert a finger into the finger hook groove 115 formed on the flat portion 113 of the handle 110 to move the third opener 140 to the hinge shaft 114. Open the wine bottle to the outside and unfold it, and use the cork stopper to open the wine bottle.

이때, 제3 오프너(140)는 상기 손잡이(110)의 평면부(113)에 형성된 걸림턱(117)에 걸려 안전하게 회전이 제약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opener 140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117 formed on the flat part 113 of the handle 110, and rotation is restricted so that the third opener 140 can be safely used.

또한, 상기 제4 오프너(150)를 사용할 경우에는 걸이홈(153)을 통하여 캔 뚜껑의 모서리부에 걸어 거치한 후, 칼날부(151)를 통하여 캔 뚜껑면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캔 뚜껑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진하면서 캔 뚜껑의 표면부를 절취하는 식으로 오픈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fourth opener 150 is used, it is hung on the edge of the can lid through the hook groove 153, and then penetrates the edge of the can lid through the blade 151 at the same time. It can be opened by cutting the surface of the can lid while advancing along it.

도 7을 조하여 상기 제1 오프너(120)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 the use of the first opener 120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손잡이(11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121)에서 돌출 형성된 양날개부(122)(123)를 사용하여 캔 뚜껑의 고리부의 밑으로 집어 넣는다.First, using the two wing parts 122 and 123 protruding from the body part 121 extending from the handle 110, it is put under the ring part of the can lid.

그런 다음, 상기 양날개부(122)(123)를 통하여 지렛대 원리로 캔 뚜껑의 고리부를 일부 들어 올린다.Then, a portion of the ring portion of the can lid is lifted through the two wing portions 122 and 123 using a lever principle.

끝으로, 상기 양날개부(122)(123)가 있는 쪽을 빼낸 후 뒤집어서 상기 말리도록 구부러진 고리부(124)를 캔 뚜껑의 고리부가 있는 반대쪽에서 걸어 손잡이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씩으로 캔 뚜껑을 쉽고 안전하게 오픈할 수 있다.Finally, after pulling out the side with the two wing parts 122 and 123, flip it over and hook the hook part 124 bent to dry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an lid with the hook part, and pull the handle backward to easily open the can lid. can be safely opened.

또 한편으로는, 상기 손잡이(110)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마감부(119)를 통하여 사용자의 파지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구 사용에 따른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ti-slip finish portion 119 formed on the handle 110 prevents slipping from the user's grasped hand,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using the tool.

이로써, 이러한 개봉과정으로 어린 학생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뚜껑의 예리한 절단부에 손가락을 상하거나 신체에 손상을 입기 쉬운 상태를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캔 뚜껑을 오픈할 수 있다.Thus, through this opening process, not only young students but also adults can safely open the can lid while preventing the sharp cutting portion of the lid from injuring their fingers or easily damaging their bodi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는 하나의 몸체에서 다양한 형태의 오프너를 일체로 제공하여 장소 구분없이 바로 사용용도에 맞는 오프너를 바로 선택하여 쉽고 안전하게 도구의 오프너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types of openers integrally in one body, so that the opener can be easily and safely used in various ways by selecting the opener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regardless of location. will b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0 :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110 : 손잡이
111 : 바닥 평판부
112 : 측면부
113 : 평면부
114 : 힌지축
115 : 손가락 걸이홈
117 : 걸림턱
119 : 미끄럼 방지 마감부
120 : 제1 오프너(120)
121 : 몸체부
122, 123 : 양날개부
124 : 고리부
130 : 제2 오프너
131 : 병마개 따개부
133 : 캔 천공용 따개부
140 : 제3 오프너
141 : 결합부
143 : 와인 마개 따개부
150 : 제4 오프너
151 : 칼날부
153 : 걸이홈
100: multipurpose opener
110: handle
111: bottom plate part
112: side part
113: flat part
114: hinge axis
115: finger hook groove
117: snag
119: non-slip finish
120: first opener (120)
121: body part
122, 123: both wing parts
124: ring part
130: second opener
131: bottle cap opener
133: opener for can perforation
140: third opener
141: coupling part
143: wine stopper
150: 4th opener
151: blade part
153: hanging groove

Claims (6)

일정 가로 길이변과 세로 길이변으로 형성되는 평판형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세로 길이변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캔 따개를 결착 및 당겨서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캔 따개용 제1 오프너와;
상기 손잡이의 세로 길이변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병마개 및 캔 뚜껑을 일시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다용도용 제2 오프너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서 수용 및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코르크 마개를 오픈하도록 설치되는 제3 오프너와;
상기 손잡이의 가로 길이변에 일단에 연장 돌출 형성되어 통조림 캔 뚜껑의 둘레부를 따라 절취하여 캔뚜껑을 오픈하도록 구비되는 캔뚜껑 오픈용 제4 오프너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제1.2 및 제3, 4오프너는 모두 하나의 손잡이의 길이 가로변과 세로변을 따라 일체로 연장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세로 길이변 모서리부가 연장 구부러져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절곡부위 내측에서 제3 오프너가 힌지축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A flat handle formed of a certain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a first can opener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handle and provided to open the can opener by binding and pulling the can opener;
a multi-purpose second opener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handle to temporarily open bottle caps and can lids;
a third opener installed inside the handle to be accommodated and unfolded to open the cork;
A fourth opener for opening the can lid is provided to open the can lid by cutt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n lid,
The 1.2, 3, and 4 openers are all provided so as to extend and protrude integrally along the lengthwise and longitudinal sides of one handle,
The handle is formed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ide is extended and bent, and the third opener is rotated with a hinge axis inside the bent portion to open. Characterized in that
A multipurpose ope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길이변 좌우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중간 부위에서 일부 구부러지도록 돌출되는 양날개부와;
몸체부에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양날개부의 중심 사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 형성되며, 끝단의 단부가 소정각도로 말리도록 구부러진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er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handle;
Both wing parts protruding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gth of the body part and protruding to be partially bent in the middle part;
It extends from the body and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w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a hook bent so that the ends of the ends are ro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multipurpose ope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에서 수평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는 병마개 따개부와;
상기 병마개 따개부의 상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통조림용 캔을 일부 천공하여 오픈하도록 하는 구비되는 캔 천공용 따개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pener
a bottle cap open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handle and protru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n piercing opener provided to extend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le cap opener to partially pierce and open a can for canning.
A multipurpose ope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 내부에 힌지축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길이변으로 스프링 형태로 말려서 연장 돌출되어 와인용 코르크 마개를 오픈하도록 설치되는 와인 마개 따개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opener
a coupling part coupled to a hinge shaft inside one side of th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cluding a wine stopper that is installed to open a cork stopper for wine by being rolled in the form of a spring along the length of the coupling part and extending and protruding
A multipurpose ope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평판면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손잡이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마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ormed along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and further provided with an anti-slip finish formed to prevent slipping on the handle
A multipurpose ope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오프너는 상기 손잡이에서 형성되는 절곡부위의 일측 가로 길이변을 따라 형성되며, 일곳에는 캔뚜껑을 관통 절취하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캔뚜껑을 테두리에 제4 오프너를 걸치도록 하는 걸이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따개용 오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opener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handle, has a blade portion for cutting through the can lid at one place, and has a blad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 hang the fourth opener on the rim of the can lid.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hook grooves is formed
A multipurpose opener.



KR1020210065574A 2021-05-21 2021-05-21 Versatile opener KR202201577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74A KR20220157706A (en) 2021-05-21 2021-05-21 Versatile op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74A KR20220157706A (en) 2021-05-21 2021-05-21 Versatile ope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06A true KR20220157706A (en) 2022-11-29

Family

ID=8423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574A KR20220157706A (en) 2021-05-21 2021-05-21 Versatile ope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70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16U (en) 2014-11-19 2016-05-27 이승준 Ope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16U (en) 2014-11-19 2016-05-27 이승준 Op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174A (en) Zip-top can with spoon
US3249250A (en) Olive dispensing device
US8312633B2 (en) Electric can opener having removable opener tools
EP2694429B1 (en) Sommelier's corkscrew
US20100288080A1 (en) Bottle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00012616A1 (en) Assembly with bottle stopp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4241626A (en) Opener device for sealed cans
US5913953A (en) Can opener apparatus for pull-ring containers
KR20220157706A (en) Versatile opener
US20070006685A1 (en) Can opener with tab removing device
US6971281B1 (en) Special opening tool and method
US20160264389A1 (en) Container Top Gripping and Prying Tool
US20110107878A1 (en) Tobacco Tin with Bottle Opener
US20140109727A1 (en)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opener
US3056534A (en) Bottle holder
KR20160001816U (en) Opener
KR101892808B1 (en) injury-preventive cap for safe opening of can's cover
CN207511054U (en) Disposable tamper mess-tin
KR101579451B1 (en) Can Opener
US4932130A (en) Key for gripping and piercing a beverage can
KR102113794B1 (en) Multi easy opener
KR20150020029A (en) A safety opener having one-touch opener
CN107986211A (en) A kind of shirt rim bottle cap opener
JP3017530U (en) Can opener combined crown remover
JP3097372U (en) Keychain with op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