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656A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656A
KR20220157656A KR1020210065437A KR20210065437A KR20220157656A KR 20220157656 A KR20220157656 A KR 20220157656A KR 1020210065437 A KR1020210065437 A KR 1020210065437A KR 20210065437 A KR20210065437 A KR 20210065437A KR 20220157656 A KR20220157656 A KR 20220157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tressed concrete
manufacturing
formwork
reinforcing
concre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981B1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21006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장선과 멍에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PE,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표면의 편평도를 높이고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면서도 종래 강판을 바닥판으로 이용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의 하자를 줄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일정크기의 판 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부에서 바닥부의 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거치턱부;로 이루어져,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One-Body Type Mold for Concrete Member}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장선과 멍에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PE,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표면의 편평도를 높이고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면서도 종래 강판을 바닥판으로 이용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의 하자를 줄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형 거더 등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는 바닥을 평평하게 다진 후에 목재 등을 이용하여 장선 및 멍에로 프레임부재를 설치하고,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강판 등의 바닥판을 덮도록 한 후에 철근 조립체 및 측면 거푸집 등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을 이루는 장선이나 멍에로 사용되는 목재는 단가가 높고 재사용 기한이 짧아 거푸집 제작비용이 높이질 뿐만 아니라, 재사용시에도 뒤틀림 변형 등에 의하여 균일한 품질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강판의 경우에는 강판 표면의 녹 등의 이물 질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하자가 발생할 수 있고, 강판과 강판의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기 어려워 이음부의 간격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하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강판을 프레임부재에 연달아 복수개를 이어서 거치하고 다시 강판의 상부에 장판을 깔아 표면처리를 하고 탈형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장판 사용시에는 장판이 울거나 편평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장판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타설압 등에 의하여 장판이 군데군데 눌림 흔적이 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에 장판의 울거나 눌림 등의 자국이 그대로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에 표현되는 하자가 발생하며,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의 색상이 일정하지 않고 얼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또한, 바닥판으로 강판의 사용시에는 강판과 강판의 이음부 처리가 어려워 상부에 장판을 깔더라도 강판 간 이음부가 매끈하지 않아 그대로 콘크리트 부재의 하자로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614833호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101)이 형성된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설치된 측방 폐합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설치되며, 상기 측방 폐합부재(20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결합부(2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00)의 관통공(101)에는 양단이 노출되도록 비틀림 보강부재(120)가 삽입되며, 상기 비틀림 보강부재(120)의 양단은 체결부재(300)에 의해 상기 결합부(210)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측면 거푸집 조립시에 측면 거푸집의 하단부의 거치 및 고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에 시멘트 페이스트 등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고 또한 받침대(100) 간의 체결 및 이음부 처리가 어려워 콘크리트 부재의 하자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614833호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의 표면의 편평도가 높아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종래에 강판 등을 이용할 시 나타나는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의 하자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일정크기의 판 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부에서 바닥부의 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거치턱부;로 이루어져,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부는 폭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보강거치턱부의 외측으로 일정폭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부는 폭방향 양단부에 ㄷ 형 단면을 갖는 보강재가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부의 상부면과 보강거치턱부(120)가 만나는 내측 모서리에는 헌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체형 거푸집(10) 간의 이음시에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 및 보강거치턱부(120)와 보강거치턱부(120)의 이음부에는 접착용풀(2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부(110)의 측면부의 종방향 양측에는 각각 일정 크기로 요입된 블록아웃부(111)가 형성되고, 블록아웃부(111)에서 종방향 단부로 관통하여 체결구가 형성되어,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이음시 볼트(150)가 양측 바닥부(110)의 블록아웃부(111)의 체결구로 삽입되어, 블록아웃부(111)에서 너트(160)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강거치턱부(120)의 상부면의 종방향 양측에는 각각 일정 크기로 요입된 블록아웃부(111)가 형성되고, 블록아웃부(111)에서 종방향 단부로 관통하여 체결구가 형성되어, 보강거치턱부(120)와 보강거치턱부(120)의 이음시 볼트(150)가 양측 보강거치턱부(120)의 블록아웃부(111)의 체결구로 삽입되어, 블록아웃부(111)에서 너트(160)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은 종래에 장선과 멍에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PE,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표면의 편평도를 높이고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면서도 종래 강판을 바닥판으로 이용시 녹 등의 이물 질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하자와,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기 어려워 이음부의 간격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하자와, 강판의 상부에 장판을 깔아 사용시 콘크리트 타설압 등에 의하여 장판이 군데군데 눌림 흔적이 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에 장판의 울거나 눌림 등의 자국이 그대로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에 표현되는 하자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다양한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에 보강재가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형 거푸집 간 이음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다양한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은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거푸집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바닥을 평평하게 다진 후에 별도의 멍에, 장선 및 바닥판 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10)을 연달아 설치한 후 철근 조립체 및 측면 거푸집 등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거푸집(10)은 일정크기의 판 형상의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상부에서 바닥부(110)의 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거치턱부(120)로 이루어지며, 일체형 거푸집(10)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체형 거푸집(10)은 바닥부(110)와 보강거치턱부(120)가 일체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는 PE, PP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도 및 색상처리를 위하여 PE와 PP를 혼합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강거치턱부(120)는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바닥판(110)의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에 보강재가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형 거푸집 간 이음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1a , 도 2a 및 도 6a에서와 같이, 보강거치턱부(120)는 각각 바닥판(110)의 횡방향 양단부에 외측 단부가 일치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측면 거푸집(20)이 보강거치턱부(12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1b, 도 2b 및 도 6b에서와, 바닥부(110)는 폭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보강거치턱부(120)의 외측으로 일정폭 돌출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보강거치턱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바닥판(110)이 측면 거푸집(20)이 고정되는 결합면이 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결합면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보강거치턱부(120)는 콘크리트 부재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며, 보강거치턱부(120)에 측면 거푸집(20)을 거치하도록 하고, 내부에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는데, 콘크리트 타설시에 시멘트 페이스트 등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 거푸집(20) 조립시에 측면 거푸집(20)의 하단부의 거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바닥부(110)의 상부면과 보강거치턱부(120)가 만나는 내측 모서리에는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헌치부(130)가 형성되도록 하여 내측 모서리를 보강하도록 하면서도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 형상을 다듬을 수도 잇다.
이를 위하여, 도 2b에서와 같이, 직선형의 헌치부(130)나 도 2c에서와 같이 곡면형의 헌치부(130)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바닥부(110)는 폭방향 양단부에 ㄷ 형 단면을 갖는 보강재(29)가 끼워져 고정수단(29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바닥부(110)의 휨,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보강재(29)는 강재,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리벳 등 다양한 고정 수단(291)에 의하여 바닥부(110)의 폭방향 단부에 각각 끼워진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거푸집(10)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판에 비해서는 설치가 용이하지만 일체형 거푸집(10) 간의 이음부가 이격되는 등 이음부 처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바닥부(110)와 바닥부(110) 및 보강거치턱부(120)와 보강거치턱부(120)의 이음부에는 시멘트풀이나 석고풀과 같이 접착강도가 낮은 접착용풀(22)을 도포하여 이음부를 매끈하게 처리하도록 하면서도,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이후에 분해시에도 강도가 낮아 해체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거푸집(10) 간의 이음부는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볼트(150) 및 너트(17)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이때, 볼트(150)가 노출되거나 콘크리트 부재의 외부면에 하자 등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도 3a에서와 같이, 바닥부(110)의 측면부의 종방향 양측에는 각각 일정 크기로 요입된 블록아웃부(111)를 형성하고, 블록아웃부(111)에서 종방향 단부로 관통하여 체결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이음시 볼트(150)가 양측 바닥부(110)의 블록아웃부(111)의 체결구로 삽입되어, 블록아웃부(111)에서 너트(160)로 체결되도록 하여, 일체형 거푸집(10) 간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바닥부(110) 만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도 3b에서와 같이, 인접한 보강거치턱부(120)도 역시 볼트(150)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을 위하여, 보강거치턱부(120)의 상부면의 종방향 양측에는 각각 일정 크기로 요입된 블록아웃부(111)가 형성되고, 블록아웃부(111)에서 종방향 단부로 관통하여 체결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보강거치턱부(120)와 보강거치턱부(120)의 이음시 볼트(150)가 양측 보강거치턱부(120)의 블록아웃부(111)의 체결구로 삽입되어, 블록아웃부(111)에서 너트(160)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은 종래에 장선과 멍에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PE,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표면의 편평도를 높이고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면서도 종래 강판을 바닥판으로 이용시 녹 등의 이물 질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하자와, 이음부를 매끄럽게 처리하기 어려워 이음부의 간격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하자와, 강판의 상부에 장판을 깔아 사용시 콘크리트 타설압 등에 의하여 장판이 군데군데 눌림 흔적이 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에 장판의 울거나 눌림 등의 자국이 그대로 콘크리트 부재의 하부면에 표현되는 하자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프레임부재
110 : 바닥부
111 : 블록아웃부
120 : 보강거치턱부
130 : 헌치부
150 : 볼트
170 : 너트
20 : 측면 거푸집

Claims (7)

  1.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일정크기의 판 형상의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상부에서 바닥부(110)의 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거치턱부(120);로 이루어져,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부(110)는 폭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보강거치턱부(120)의 외측으로 일정폭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바닥부(110)는 폭방향 양단부에 ㄷ 형 단면을 갖는 보강재(29)가 끼워져 고정수단(29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부(110)의 상부면과 보강거치턱부(120)가 만나는 내측 모서리에는 헌치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체형 거푸집(10) 간의 이음시에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 및 보강거치턱부(120)와 보강거치턱부(120)의 이음부에는 접착용풀(2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부(110)의 측면부의 종방향 양측에는 각각 일정 크기로 요입된 블록아웃부(111)가 형성되고, 블록아웃부(111)에서 종방향 단부로 관통하여 체결구가 형성되어,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이음시 볼트(150)가 양측 바닥부(110)의 블록아웃부(111)의 체결구로 삽입되어, 블록아웃부(111)에서 너트(160)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보강거치턱부(120)의 상부면의 종방향 양측에는 각각 일정 크기로 요입된 블록아웃부(111)가 형성되고, 블록아웃부(111)에서 종방향 단부로 관통하여 체결구가 형성되어,
    보강거치턱부(120)와 보강거치턱부(120)의 이음시 볼트(150)가 양측 보강거치턱부(120)의 블록아웃부(111)의 체결구로 삽입되어, 블록아웃부(111)에서 너트(160)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KR1020210065437A 2021-05-21 2021-05-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KR10258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37A KR102581981B1 (ko) 2021-05-21 2021-05-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37A KR102581981B1 (ko) 2021-05-21 2021-05-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56A true KR20220157656A (ko) 2022-11-29
KR102581981B1 KR102581981B1 (ko) 2023-09-25

Family

ID=8423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37A KR102581981B1 (ko) 2021-05-21 2021-05-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07B1 (ko) * 2006-07-21 2007-11-07 김근택 프리-텐션 빔 제작대용 세그먼트, 이를 이용한 제작대 및이의 조립방법
KR20100037342A (ko) * 2008-10-01 2010-04-09 김대환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1451267B1 (ko) * 2013-09-30 2014-10-15 삼성물산(주) 조립형 pc부재 제작용 시스템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KR101614833B1 (ko) 2015-05-08 2016-04-22 이동호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07B1 (ko) * 2006-07-21 2007-11-07 김근택 프리-텐션 빔 제작대용 세그먼트, 이를 이용한 제작대 및이의 조립방법
KR20100037342A (ko) * 2008-10-01 2010-04-09 김대환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1451267B1 (ko) * 2013-09-30 2014-10-15 삼성물산(주) 조립형 pc부재 제작용 시스템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KR101614833B1 (ko) 2015-05-08 2016-04-22 이동호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81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979B1 (ko) 비탈형 보 거푸집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1384609B1 (ko)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US6283439B1 (en) Wall form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20130043324A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539454B1 (ko) 합성 트러스 탈형보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트러스 탈형보
KR101636246B1 (ko) 강판-pc 복합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220157656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일체형 거푸집
KR20170061449A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KR20180131929A (ko)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KR102071872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KR101346019B1 (ko) 휨성능이 향상된 강합성 보의 시공방법
JP2001026909A (ja) 橋桁に於けるコンクリート版付き立体トラスを用いた床版の結合構造
KR10252914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
KR102286167B1 (ko) 밴드 일체형 대형 선조립 기둥
CN205531337U (zh) 一种便于模板拼接的安装结构
KR100777131B1 (ko) 거푸집
KR102197816B1 (ko) 늑근고정브라켓을 구비한 보 거푸집
KR100701197B1 (ko) 해체 및 층고 절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시스템
KR200386804Y1 (ko) 거푸집
US20070107345A1 (en) Building panel
CN111702928A (zh) 模块化叠合楼板模具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