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598A -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 Google Patents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598A
KR20220157598A KR1020210065330A KR20210065330A KR20220157598A KR 20220157598 A KR20220157598 A KR 20220157598A KR 1020210065330 A KR1020210065330 A KR 1020210065330A KR 20210065330 A KR20210065330 A KR 20210065330A KR 20220157598 A KR20220157598 A KR 2022015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ransparent mask
chin
chin gui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성흠
Original Assignee
연성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성흠 filed Critical 연성흠
Priority to KR102021006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598A/ko
Publication of KR2022015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 하악각의 굴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악각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는 턱 가이드부; 상기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며, 공기중에 부유하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필터링 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투명마스크 및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턱 가이드부 또는 투명마스크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에 둘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턱 가이드부와 투명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서 고정시키는 귀걸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될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되,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의 습기와 세균으로 인해 발생되는 입냄새와 전염병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Transparent mask with jaw-guide}
본 발명은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안면 정면의 외기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될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되,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의 습기와 세균으로 인해 발생되는 입냄새와 전염병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2019년 초에는 극심한 미세먼지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보편화 되었고, 2020년 초부터 발생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팬데믹(pandemic) 현상까지 발생하여 이제 마스크 착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는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일상 생활을 지냄에 있어, 그 전에는 전혀 겪어보지 못한 여러 어려움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 중, 제일 고충을 겪는 사람들이 마스크를 항시 착용하고 대민 업무를 보는 다수의 사람들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강의 해야하는 선생님들과 강사들이다.
구체적으로, 선생님과 강사 같이 말을 계속하면서 마스크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와 입 냄새 등으로 불쾌감이 발생하고 마스크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마스크 사용자가 겪는 고역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라 한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의 경우 마스크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상대방의 입이 보이지 않아 의사 소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의사들의 경우에도 환자와 대면하면서 입이 보이지 않아 환자와의 신뢰성이 약화된다고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1828호 "넥밴드형 에어블로어"와 같은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타입의 에어 마스크와 같은 기술개발이 수행되었으며, 이는 넥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외기를 유입하여 필터링한 후,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분사하거나 마스크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목에서부터 얼굴 주변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혼합되어 호흡기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된 공기를 호스연결부를 통해 에어공급마스크로 공급함으로 인하여 호기 시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재 흡입하는 문제가 있고, 마스크를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하고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을 정화하여 배출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확보함과 동시에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소재를 투명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는 주변인들 역시 유용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 안면 정면의 외기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될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되,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의 습기와 세균으로 인해 발생되는 입냄새와 전염병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 하악각의 굴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악각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는 턱 가이드부; 상기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며, 공기중에 부유하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필터링 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투명마스크 및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턱 가이드부 또는 투명마스크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에 둘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턱 가이드부와 투명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서 고정시키는 귀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는, 턱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투명마스크를 소정 깊이 수용하며, 내측으로 자성체가 마련되는 투명마스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마스크는, 투명마스크 삽입홈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부착되어 턱 가이드부에서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는, 일측에서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턱 가이드부의 단부 또는 투명마스크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타측의 단부로부터 귀걸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턱 가이드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2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는, 상기 턱 가이드부의 정면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공기를 정화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화부 및 사용자에게서 발생되는 날숨을 턱 가이드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표면에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중공홀이 형성되되, 턱 가이드부에 마련되는 흡입구에서 탈부착되도록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커버로 출입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 상기 정화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자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팬 및 상기 공급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팬과 배터리는, 상기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는, 상기 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유도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도록, 전단면의 형상이 'S' 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람 흐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사용자에게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마스크는,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나노입자 코팅막이 도포된 투명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투명마스크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상품 또는 단체를 홍보하는 광고지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는, 상기 턱 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까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4, 3/4 지점 또는 1/5, 4/5 지점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턱 가이드부의 일단과 타단이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턱 가이드부의 양단이 사용자의 하악각 방향으로 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 안면 정면의 외기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될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되,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의 습기와 세균으로 인해 발생되는 입냄새와 전염병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구비되는 정화부는,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이를 이용하여 턱 가이드부의 내부에서 삽탈되는 정화필터부로 하여, 보다 효과적인 공기 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부는, 정화된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바람 흐름막을 통해, 효과적인 공기 유입과 배출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마스크는,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투명마스크를 교환 또는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마스크는, 살균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표면에 광고지가 부착됨으로써,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공급자 또는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턱 가이드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부 및 습도 조절부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양질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턱 가이드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도 2 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예시도이다.
도 4 는 도 2 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예시도이다.
도 5 는 턱 가이드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턱 가이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좌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턱 가이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우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턱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가열부와 습도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는 공급팬과 배터리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은 투명마스크가 장착된 턱 가이드부의 예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 의 (a) 및 (b) 는 소정 위치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회동하는 턱 가이드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4 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하악각 방향으로 밀착되는 턱 가이드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자세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조립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조립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턱 가이드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 은 도 2 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예시도이고, 도 4 는 도 2 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예시도이다.
또한, 도 5 는 턱 가이드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 은 턱 가이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좌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좌측면도이고, 도 7 은 턱 가이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우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8 은 턱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가열부와 습도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9 는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는 공급팬과 배터리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 은 투명마스크가 장착된 턱 가이드부의 예시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3 의 (a) 및 (b) 는 소정 위치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회동하는 턱 가이드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또한, 도 14 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하악각 방향으로 밀착되는 턱 가이드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자세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6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조립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조립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턱 가이드부(100), 투명마스크(200) 및 귀걸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턱 가이드부(100)는, 사용자 하악각의 굴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악각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자의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턱 가이드부(100)는, 사용자의 하악각과 밀착되도록, 사용자의 하악각의 굴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턱 가이드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C'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100)는, 사용자의 하악각,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턱과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하는 돌출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1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이드부(100)의 하부로부터 사용자의 턱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턱과 맞닿아 효과적인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턱 가이드부(100)가 사용자의 안면에서 흘러내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0)가 사용자의 하악각과 맞닿는 표면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돌출부(1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고무 또는 스펀지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마찰 계수를 가지는 합성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100)는, 정화부(120) 및 배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화부(120)는, 턱 가이드부(100)의 정면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통해 출입 및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커버(121), 정화필터(122) 및 공급팬(1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커버(121)는, 표면에 다수의 중공홀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위한 공기가 이후 서술될 공급팬(123)에 의해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1)는, 상기 턱 가이드부(100)의 정면에 구비되되, 턱 가이드부(100)의 정면에 마련된 흡입구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필터(122)는, 상기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21)와 이후 서술된 공급팬(12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21)를 통해 출입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필터(122)는, 프리 필터(Pre filter), 헤파 필터(Hepa filter), 스트레이너 필터(Strainers filter), 부직포 필터(Melt blown filter) 및 활성탄 필터(Activated carbon filt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필터(12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 예를 들어 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정화필터(122)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우선 커버(121)를 제거하고, 드러난 정화필터(122)를 꺼내어, 새로운 정화필터(122)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팬(123)은, 상기 정화부(120)를 유동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턱 가이드부(100)의 내측, 즉, 사용자의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팬(123)은,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123a)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30)는,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을 투명마스크(200)의 외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대면하게 되는 다른 이의 안면을 피하기 위하여, 턱 가이드부(100)의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이드부(100)의 저면에서 복수개로 형성된 배출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부(100)는, 바람 흐름막(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람 흐름막(124)은, 상기 정화부(120)에서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유도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전단면의 형상이 'S' 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 와 같은 형태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 안면 정면의 외기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될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되,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날숨의 습기와 세균으로 인해 발생되는 입냄새와 전염병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부(100)는, 정화된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바람 흐름막(124)을 통하여, 효과적인 공기 유입과 배출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125) 및 사용자에게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125)는, 앞서 상술된 바람 흐름막(124)의 표면, 또는, 상기 커버(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공급팬(123)을 통해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에 열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선으로 운용되는 가열부(125)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공급팬(123)을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로 출입한 공기에 열을 부여할 수 있는 기계적 발열 수단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25)는,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정보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커버(121)의 내측 또는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급팬(123)을 통해 출입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 조절부(126)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도 조절부(126)는, 습도 조절부(126)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습도 조절부(126)에 물을 임시 저장 시키기 위한 입수부(126a)와, 습도 조절부(126)에 임시 저장된 물이 공급팬(123)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기화되는 기화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화부(126b)는, 물탱크의 형상을 가지는 습도 조절부(126)에 구비되되, 공급팬(123)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기화를 통해 습도를 조절함에 있어 공급팬(123)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기화가 원활히 촉진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위치이므로, 상기 기화부(126b)의 위치는 도 8 에 표시된 위치가 가장 바람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부(125)로 하여, 겨울철 사용자에게 공급될 공기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따듯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습도 조절부(126)로 하여, 사용자에게 일정 습도가 유지된 상태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부(100)에는, 앞서 상술된 정화부(120)와, 가열부(125) 및 습도 조절부(1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턱 가이드부(100)에 구비되는 공급팬(1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127) 및 가열부(125) 또는 습도 조절부(1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12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25)와 연동된 제어 스위치(128)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도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열부(125)의 공기 가열 온도를 직접 제어하도록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27) 및 제어 스위치(128)와 연동됨으로써, 공급팬(123)과 가열부(12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였던 온도 감지 센서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됨으로써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공기의 온도 정보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제어부로부터 수집되는 공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PC 혹은 PDA 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는, 앞서 상술된 공급팬(123)의 모터(123a)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129)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29)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음으로써 충방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팬(123)과 배터리(129)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턱 가이드부(100)의 정면 또는 하방의 방향으로 탈부착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마스크(200)는, 상기 턱 가이드부(100)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중에 부유하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필터링 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마스크(20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마스크(200)로 하여, 청각 장애인 또는 시각 장애인이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모양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마스크(200)는, 청각 장애인 또는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강의하거나 교육하는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형태일 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 미세먼지, KF94, 덴탈, 천 마스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마스크(2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콧날 굴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투명마스크(2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노즈 와이어(2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즈 와이어(210)란, 형상 유지 및 형상 가변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형된 이후,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금속 소재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턱 가이드부(100)의 상단에는, 상기 투명마스크(200)를 소정 깊이 수용할 수 있는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이드부(100)의 테두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U'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투명마스크(200) 하방의 테두리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턱 가이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투명마스크(200)의 하방 테두리 전체가 아닌 투명마스크(200)의 소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여 'U'의 형태로 형성되는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에 비해 고정력은 다소 약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투명마스크(200)의 탈부착이 보다 수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에는, 삽입된 투명마스크(200)에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자성체인 고정부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41)는, 상기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에 끼워진 투명마스크(200)와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투명마스크(200)의 하방에는, 상기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에 마련되는 자성체, 즉, 고정부재(141)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턱 가이드부(100)에서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라이너(2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라이너(220)에는, 상기 투명마스크 삽입홈(140)에 마련된 고정부재(141)의 간격과 상응하는 간격으로 마련되어, 고정부재(141)에 부착되는 부착부재(2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마스크(200)는, 턱 가이드부(10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투명마스크(200)를 교환 또는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마스크(200)의 소재는, 사용자의 날숨으로 인해 발생되는 김서림과, 사용자의 날숨에 포함된 세균의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나노입자 코팅막이 도포된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마스크(200)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상품 또는 단체를 홍보하는 광고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마스크(200)는, 살균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표면에 광고지가 부착됨으로써,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공급자 또는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부(100)는, 상기 턱 가이드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까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4, 3/4 지점 또는 1/5, 4/5 지점이 힌지(150)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150)를 중심으로 턱 가이드부(100)의 일단과 타단이 턱 가이드부(100)의 내측 또는 외측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턱 가이드부(100)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절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을 보관하거나 운용함에 있어서, 보다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부(100)는, 사용자의 하악각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턱 가이드부(100)는, 그 자체가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턱 가이드부(100)의 양단이 사용자의 하악각 방향으로 밀착하거나, 턱 가이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턱 가이드부(100)의 내부에는, 턱 가이드부(100)의 복원력을 형성함과 동시에, 턱 가이드부(100)가 탄성에 의해 허용 각도 이상으로 변형되더라도 휘어있는 중단이 파단되는 문제를 해소하는 보강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300)는, 상기 턱 가이드부(100)와 투명마스크(2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둘러짐으로써, 상기 턱 가이드부(100)를 사용자의 하악각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귀걸이부(300)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삽입부(310)와, 타측으로는 고정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귀걸이부(300)의 일측 단부에서,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삽입부(310)가 형성된 귀걸이부(3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턱 가이드부(100)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돌기(320a)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6 의 (a) 내지 (c) 를 자세히 살펴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부(300)의 체결 방식을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고정부(320)의 단부를 투명마스크(200)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홀(200a)에 관통시킨 후, 관통된 고정부(320)의 단부를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310)에 끼워 넣음으로써, 귀걸이부(300)를 투명마스크(200)에 임시 고정시킨다.
이후, 투명마스크(200)에 고정된 귀걸이부(300)에서, 고정돌기(320a)가 형성되는 고정부(320)의 단부를 턱 가이드부(100)의 양단에 마련된 제 2 고정홀(100a)에 끼워 넣음으로써, 귀걸이부(300)를 턱 가이드부(100)와 투명마스크(200)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통해 완료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턱 가이드부(100), 투명마스크(200) 및 귀걸이부(300)간의 간단하고 직관적인 체결 방식으로 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사용자가 쉽게 체결하여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턱 가이드부 110 : 돌출부
120 : 정화부 121 : 커버
122 : 정화필터 123 : 공급팬
124 : 바람 흐름막 125 : 가열부
126 : 습도 조절부 127 : 온오프 스위치
128 : 제어 스위치 129 : 배터리
130 : 배출구 140 : 투명마스크 삽입홈
141 : 고정부재 150 : 힌지
160 : 보강부재 200 : 투명마스크
210 : 노즈 와이어 220 : 고정 라이너
221 : 부착부재 300 : 귀걸이부
310 : 삽입부 320 : 고정부

Claims (10)

  1. 사용자 하악각의 굴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악각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는 턱 가이드부;
    상기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며, 공기중에 부유하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필터링 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투명마스크 및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턱 가이드부 또는 투명마스크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에 둘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턱 가이드부와 투명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서 고정시키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가이드부는,
    턱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투명마스크를 소정 깊이 수용하며, 내측으로 자성체가 마련되는 투명마스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마스크는,
    투명마스크 삽입홈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부착되어 턱 가이드부에서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는,
    일측에서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턱 가이드부의 단부 또는 투명마스크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타측의 단부로부터 귀걸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턱 가이드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2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가이드부는,
    상기 턱 가이드부의 정면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공기를 정화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화부 및
    사용자에게서 발생되는 날숨을 턱 가이드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표면에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중공홀이 형성되되, 턱 가이드부에 마련되는 흡입구에서 탈부착되도록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커버로 출입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 및
    상기 정화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자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팬 및
    상기 공급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팬과 배터리는,
    상기 턱 가이드부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턱 가이드부는,
    상기 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유도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도록, 전단면의 형상이 'S' 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람 흐름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사용자에게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마스크는,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나노입자 코팅막이 도포된 투명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투명마스크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상품 또는 단체를 홍보하는 광고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가이드부는,
    상기 턱 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까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4, 3/4 지점 또는 1/5, 4/5 지점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턱 가이드부의 일단과 타단이 회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가이드부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턱 가이드부의 양단이 사용자의 하악각 방향으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KR1020210065330A 2021-05-21 2021-05-21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KR20220157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30A KR20220157598A (ko) 2021-05-21 2021-05-21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30A KR20220157598A (ko) 2021-05-21 2021-05-21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598A true KR20220157598A (ko) 2022-11-29

Family

ID=8423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330A KR20220157598A (ko) 2021-05-21 2021-05-21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5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645B2 (en) Personal air filter
US4996983A (en) Inhaler filtration device with housing supportable by spectacle temple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WO2016204455A1 (ko) 마스크
US20050081849A1 (en) Personal oxygen and air delivery system
JP2007151823A (ja) 携帯型空調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ならびに携帯型空調装置
KR20110007565A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US11141611B2 (en) Filter tube respirator
JP2018512235A (ja)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TWI257872B (en) Nose mask
WO2018097507A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WO2005004993A1 (fr) Filtre nasal
US20210368877A1 (en) Personal Ai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Blocking Exposure to Airborne Pathogens
KR102023730B1 (ko) 호흡통로구분마스크
KR102484402B1 (ko)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KR20220157598A (ko) 턱 가이드가 구비된 투명마스크
US20220057829A1 (en) Wearable technology including ultra-thin led panels/screen
CN106621106B (zh) 穿戴式呼吸装置
US20170120086A1 (en) Nose apparatus
KR20040039250A (ko) 코 마스크와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7462A (ko) 귀걸이 끈을 구비하지 않는 기능성 마스크.
CN115226394B (zh) 鼻罩和相关过滤器
JP3244797U (ja) マスク
US20220193462A1 (en) Face Mask With Improved Air Flow
KR200496949Y1 (ko)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