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473A - 분립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473A
KR20220157473A KR1020227036752A KR20227036752A KR20220157473A KR 20220157473 A KR20220157473 A KR 20220157473A KR 1020227036752 A KR1020227036752 A KR 1020227036752A KR 20227036752 A KR20227036752 A KR 20227036752A KR 20220157473 A KR20220157473 A KR 2022015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ranular material
supply
stock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노리 세키
Original Assignee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 G01G19/2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using a single weighing apparatus
    • G01G19/3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using a single weigh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립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소한 구조이고, 분립체의 공급 정지시에는 공급구로부터 흘러나오는 분립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분립체의 공급시에는 공급구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누출방지부를 구비하는 분립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립체 공급장치(1)는, 본체(2)와, 복수의 스토커(3)와, 복수의 누출방지부(4)를 포함하고, 스토커(3)는, 스토커(3)의 내부로 분립체를 투입 가능한 투입구(31)와, 스토커(3)의 내부에 저장된 분립체를 공급구(321)로부터 공급하는 공급부(32)를 포함하며, 누출방지부(4)는, 수용부재(41)와 구동부(42)를 포함하고, 수용부재(41)는, 구동부(42)에 의해 공급구 321에서 흘러나오는 분립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1위치와, 공급구(321)에서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한 제2위치로의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립체 공급장치
본 발명은 분립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출방비부를 갖는 분립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급을 개시하고, 그 후에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는 공급구 부근에 전립체가 잔류하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해 공급구 부근에 잔류하는 분립체는 진동 등에 의해 흐트러져 공급구로부터 흘러나올 우려가 있다.
또한,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분립체 공급장치의 구동을 정지한 후에 분립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립체의 성질상 분립체 공급장치의 구동을 정지한 후에도 신속하게 분립체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공급구 부근에 잔류하는 분립체가 의도치 않게 계속 공급되는 것도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은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장치이고, 분립체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류측이 상기 케이싱에 접속되고, 하류단부가 개구된 반송로와, 분립체를 상기 반송로의 상류에서 하류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로의 상기 하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송로 내부에 부압이 걸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인력으로 상기 개구에 밀착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가 상기 개구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반송관의 하류단부에 있는 분립체를 상류측으로 밀어내는 기류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통기부를 구비한 분립체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분립체 공급장치는, 상기 덮개부를 개폐할 때에 반송로내의 압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흡인브로우 등의 기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요한 기기가 증가하여 장치제조가 복잡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특개2019-13137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로, 분립체의 공급 정지시에 공급구로부터 분립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수용하고, 분립체의 공급시에는 분립체 공급장치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누출방지부를 구비하는 분립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는, 본체와, 분립체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본체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스토커와, 복수의 누출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커는, 상기 스토커의 내부에 상기 분립체를 투입 가능한 투입구와, 공급구를 가지며, 상기 스토커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분립체를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하는 공급부를 가지며, 상기 누출방지부는, 상기 공급구에서 흘러넘치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급구로부터 흘러나오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1위치와 상기 공급구에서의 상기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한 제2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공급구는 분립체의 계측을 위한 용기의 상부개구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상부개구의 상부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는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공급구가 상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가 상기 분립체를 공급할 때에, 상기 수용부재에 축적된 상기 분립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에 상기 스토커가 착탈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공급부에 의한 분립체의 공급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토커는, 내부에 저장된 상기 분립체를 상기 공급부의 공급구로부터 공급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분립체의 계측 정확도를 높인다.
상기 공급장치가 상기 분립체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누출방지부의 수용부재는, 상기 누출방지부의 상기 구동부에 의해 해당 공급부의 상기 공급구로부터 흘러내리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 가능한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공급구로부터 분립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가 상기 분립체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누출방지부의 수용부재는 상기 누출방지부의 상기 구동부에 의해 해당 공급부의 상기 공급구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한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부재에 의한 간섭없이 상기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는 용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의를 사용한다.
「분립체」는, 분체, 입체 및 분체와 입체의 혼합체 어느 것이라도 포함한다. 식품, 약품, 건축, 토목, 반도체 등, 분립체의 용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분립체를 공급구로부터 공급」은, 공급구로부터 스토커의 외부로 분립체를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출된 분립체가 용기로 낙하하여 저장되고, 계량기로 용기 내의 분립체의 중량을 계측할 목적으로 공급된다.
「누출」은, 스토커가 공급구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에, 진동 등에 의해 공급구로부터 분립체가 흘러나와 의도치 않게 분립체가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흘러나오는 양은 분립체의 안식각(파쇄되거나 분쇄된 물질을 쌓아올릴 때, 그 퇴적물이 무너지지 않고 안정을 이룰 수 있는 최대 경사각)이 영향을 미친다.
「공급부」에는, 스크류 컨베이어, 스크류 피더가 예시되지만, 분립체의 이송기능을 갖는 것이면 다른 분립체 공급부, 예를 들어 진동 피더, 벨트 컨베이어 등도 채택할 수 있다.
「수용부재」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자형상 또는 원반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분립체를 수용하여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구동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존의 것을 사용 가능하고, 예컨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모터 등을 들 수 있다.
「분립체를 수용하다」는, 공급구로부터 흘러넘치는 분립체를 수용부재가 보관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급구로부터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은,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분립체가 수용부재에 간섭없이 공급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토커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공급구가 상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에 구비된 상기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를 교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분립체를 다른 분립체로 전환하는 작업을 간략화된다.
또한, 상기 스토커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의 정비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가 상기 분립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부재에 축적된 상기 분립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에 축적된 분립체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에 축적된 상기 분립체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게다가, 상기 수용부재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분립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가, 본체부와, 이 본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에 상기 스토커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공급부에 의한 분립체의 공급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탠드의 영역으로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하고, 분립체의 공급과 구동부의 제어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구가, 상기 분립체 계량용 용기의 상부개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상부개구의 상부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분립체의 계량 정도가 높아진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는, 간소한 구조로써, 분립체의 공급 정지시에는 분립체 공급장치의 공급구로부터 흘러넘치는분립체를 받아내며, 그리고, 분립체의 공급시에는 누출방지부에 의한 방해없이 분립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부로부터 분립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누출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부로부터 분립체가 공급되는 경우의 누출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분립체 공급장치(1)(이하, 공급장치(1)이라 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급장치(1)는 본체(2)와, 내부에 분립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분립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본체(2)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스토커(3)와, 복수의 누출방지부(4)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장치(1)는 계량기(6)와 용기(7)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2)는 본체부(21)와, 이 본체부(21)를 지지하고 스탠드(5)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5)에 스토커(3)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1)는 제어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11) 후술하는 공급부(32)에 의한 분립체의 공급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체(2)가 스토커(3)에 접속되었을 때 후술하는 구동부(42)의 구동도 제어한다.
제어는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5)는 재치부(51)와 복수의 다리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52)는 가이드수용부(53)를 가지며, 이 가이드수용부(53)와 후술하는 스토커(3)의 가이드부(35)를 가이드수용부(53)에 감합(맞물림)함으로써 상기 스토커(3)를 본체(2)에 접속한다.
본 실시예(제1실시예)의 스탠드(5)는 4개의 스토커(3)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는 내부가 중공인 스탠드(5)의 재치부(51)의 상부에 재치(올려놓음)된다.
상기 스토커(3)는 스토커(3)의 내부로 분립체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31)과, 스토커(3)의 내부에 저장된 분립체를 공급구(321)로부터 공급하는 공급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구(321)에서 용기(7)로 분립체를 공급하는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32)는 원통형 스크류피더이다.
상기 스토커(3)는 게다가 저부에 회전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캐스터(33)와, 탄성부재(34)와, 본체(2)에 삽입되는 가이드부(35)를 더 포함한다. 스토커(3)는 캐스터(33)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스토커(3)가 본체(2)를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복수개(여기서는 4개) 마련되고, 공급구(321)가 본체(2)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급부(32)의 나머지 부분은 스토커(3)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있고, 스토커(3)에 저장된 분립체는 공급부(32)의 개구로부터 공급부(32)의 내부로 공급된다.
스토커(3)는 본체(2)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기계적 삽입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스토커(3)를 본체(2)에 대해 압입하고 가이드부(35)를 본체(2)에 삽입함으로써 스토커(3)가 본체(2)에 장착된다.
스토커(3)를 본체(2)에서 꺼내고 가이드부(35)를 본체(2)에서 분리함으로써 스토커(3)가 본체(2)에서 분리된다.
이때, 스토커(3)가 본체(2)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이드부(35)는 본체(2)에 삽입되어 가이드수용부(53)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스토커(3)와 본체(2)가 고정되고, 공급구(321)의 방향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34)는 탄성을 가지며 충격을 완충하는 부재이고, 가이드부(35)의 외측에 배치되며, 스토커(3)가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2)와 접촉되어 있다.
탄성부재(34)에 의해 스토커(3)가 외부로부터 예기치 못한 충격을 받았을 때 스토커(3) 자체가 본체(2)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2)로의 스토커(3)의 장착은 스토커(3)를 분립체를 공급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스토커(3)의 가이드부(35)와 공급구(321)를 포함하는 공급부(32)의 선단 부근을 본체(2)의 스탠드(5)의 내부로 압입시키며, 캐스터(33)의 회전방지스톱퍼를 작동시켜 위치를 고정시키고, 본체(2)와 스토커(3)를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로 접속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본체(2)로부터 스토커(3)의 이탈은 본체(2)와 스토커(3)를 접속하는 케이블을 분리하여, 캐스터(33)의 회전방지스토퍼를 해제하고, 스토커(3)를 본체(2)로부터 꺼내어, 스토커(3)를 분립체의 공급위치로부터 스토커(3)를 이동시킴으로써 완료된다.
따라서, 본체(2)와 스토커(3)는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고, 장착되어 있는 스토커(3)와 다른 스토커(3)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스토커(3)와 다른 스토커(3)의 교환이 가능함으로써 공급하는 분립체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본체(2)로부터 스토커(3)를 이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토커(3)를 본체(2)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정비가 가능하게 되어 공급장치(1)의 정비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공급부(32)나 누출방지부(4)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리 교환이 용이하다.
누출방지부(4)는 공급구(321)로부터 흘러나오는 분립체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재(41)와, 수용부재(4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2)를 갖는다.
수용부재(41)는 상방이 개구된 개구부(411)을 가지는 상자 모양의 부재이다.
누출방지부(4)는 횡 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이다.
본 실시예의 누출방지부(4)는 공급부(32)의 하방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스탠드(5)의 다리부(52)에 고정되어 있지만,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재(41)가 후술하는 제1위치(A) 및 제2위치(B)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이면 채용 가능하다.
수용부재(41)는 개구부(411)가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구동부(42)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방에서 낙하하는 분립체를 받아낼 수가 있다.
수용부재(41)는 개구부(411)가 상방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공급부(32)의 공급구(321)로부터의 분립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부재(41)의 형상은 개구부(411)를 가지며, 공급구(321)로부터 배출되는 분립체를 받아내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구부(411)가 상방을 향한 직방체, 원형체, 타원체, 다각형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부재(41)의 크기는 공급구(321)로부터 흘러넘치는 분립체를 받아내는 것이 충분한 크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수용부재(41) 등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도 그 크기가 결정된다.
수용부재(4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립체의 특성에 응하여 기존 재료를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존의 열경화성수지, 열가소성수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구동부(42)는 접속한 것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42)는 동력실린더이고, 동력실린더의 내부에서 연장된 피스톤로드(421)의 선단부에 L자형부재를 통해 수용부재(4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동력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수용부재(4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부(42)로써는, 동력실린더의 다른 모터가 예시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부(42)에 의해, 공급부(32)의 축방향 X를 따라 수용부재(41)를 제1위치(A)(공급구(321)로부터 흘러넘치는 분립체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위치, 도 3 참고) 및 제2위치(B)(공급구(321)로부터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한 위치, 도 4 참고)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급구(321)는 제1위치(A)에서는 수용부재(41)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2위치(B)에서는 수용부재(41)의 전방벽의 전방 경사방향에 위치되어 있다.
구동부(42) 및 공급부(32)는 각각 동력실린더 및 원통형 스크류피더이다.
동력실린더의 피스톤로드(421)는 스크류피더의 스크류(도시되지 않음)의 축 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구동부(42)인 동력실린더의 피스톤로드(421)의 선단부에 접속되는 수용부재(41)는 스크류피더의 스크류의 축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수용부재(41)는 제1위치(A) 및 제2위치(B)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급부(32)가 분립체를 공급하지 않는 때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부재(41)는 구동부(42)에 의해 공급구(321)에서 흘러넘치는 분립체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제1위치(A)에 위치된다.
따라서, 누출방지부(4)의 수용부재(41)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구(321)에서 흘러나오는 분립체가 받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공급부(32)가 분립체를 공급할 때,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부재(41)는 구동부(42)에 의해 공급구(321)로부터 분립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위치(B)에 위치된다.
따라서, 누출방지부(4)의 수용부재(41)에 의해 수용되지 않고 공급구(321)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량기(6)와, 분립체의 저장이 가능하고, 계량기(6)의 상부에 재치된 계측용 용기(7)는 스탠드(5)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스토커(3)는 공급구(321)를 포함한 공급부(32)의 선단 부근이 스탠드(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2)에 장착되고, 공급구(321)는 용기(7)의 상부이고, 용기(7)의 내부로 분립체를 공급할 수 있는 장소이며, 용기(7)의 상부개구(71)의 상방에 위치된다.
수용부재(41)는 상부개구(71)의 상방 및 공급구(321)의 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계량기(6)에 의해 공급장치(1)로부터 공급되어 용기(7)에 저장된 분립체의 중량을 계측 가능하다.
본체(2)와 계량기(6)를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계량기(6)에 의해 계측되어 용기(7)에 저장된 분립체의 중량에 대응하여 본체(2)에 의해 스토커(3)로부터 공급되는 분립체의 공급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계량기(6)는 그 상부에 용기(7)를 반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구비한 것도 채용 가능하다.
이러한 계량기(6)를 채용함으로써, 용기(7)의 반송 및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컨베이어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공급장치(1)는 상술한 본체(2)에 의해 스토커(3)로부터 공급되는 분립체의 공급 유량을 제어하고, 누출방지부(4)의 수용부재(41)가 공급구(321)로부터 유출되는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토커(3)로부터 소정 중량의 분립체를 정도 좋게 용기(7)로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공급장치(1)의 동작 수순을 설명한다.
본체(2)에 스토커(3)를 장착한다.
본체(2)에 장착되는 스토커(3)의 수는 임의로 하고, 공급하는 분립체의 종류, 양 등을 고려하여 장착되는 스토커(3)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커(3)의 내부에 저장되는 분립체를 스토커(3)에 투입하는 타이밍은 분립체를 공급하기 전이면 언제라도 좋지만, 조작성의 관점에서, 분립체를 스토커(3)에 투입한 후에 스토커(3)를 본체(2)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커(3)가 본체(2)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출방지부(4)의 수용부재(41)는 제1위치(A)에 위치되어 있다.
스토커(3)가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이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똑같이 누출방지부(4)의 수용부재(41)는 제1위치(A)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커(3)의 본체(2)로의 장착시에 공급구(321)에서 분립체가 흘러나오는 경우에도, 상기 분립체는 제1위치(A)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에 의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분립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의 제어부(211)를 조작하여, 본체(2)에 장착된 스토커(3)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한다.
이때, 분립체를 공급하는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는 구동부(42)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구(321)로부터 공급되기 전에 제1위치(A)에서 제2위치(B)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재(41)에 의한 간섭없이 스토커(3)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 공급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중지한다.
이때,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는 구동부(42)에 의해 공급구(321)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이 정지된 후에 제2위치(B)에서 제1위치(A)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이 개시되지 않는 상태인 때와 마찬가지로, 분립체가 공급구(321)로부터 낙하되는 경우가 있어도, 해당 분립체는 제1위치(A)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므로, 분립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스토커(3)와는 달리, 분립체의 공급이 정지된 채로의 상태의 다른 스토커(3)에 대해서는 해당 다른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는 제1위치(A)에 위치한 채로 있다.
이것에 의해, 다른 스토커(3)의 공급구(321)에서 흘러넘친 분립체는 수용부재(41)에 의해 수용되어 분립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 개시 및 정지는 공급 작업의 상황에 따라 임의의 횟수를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이때는,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이 개시 또는 정지될 때마다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가 이동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분립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스토커(3)로부터 분립체의 공급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각 스토커(3)는 하나씩 순차적으로 분립체의 공급을 행한다.
이때에는, 분립체를 공급하는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가 제2위치(B)에 위치하여, 분립체를 공급하지 않는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는 제1위치(A)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각 스토커(3)에서 용기(7)로 공급되는 분립체의 중량을 계측할 수 있다.
계량기(6)에 의해, 용기(7)에 저장된 분립체의 중량이 설정 중량에 이른다고 판단되면 분립체 공급 처리는 종료되어, 용기(7)를 반출하고, 새로운 용기(7)를 설치하며, 다음의 분립체 공급 처리를 행한다.
모든 분립체 공급 처리의 완료 후, 스토커(3)를 본체(2)에서 이탈시킨다.
이때,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는 제1위치(A)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체(2)로부터 스토커(3)의 이탈시에 공급구(321)로부터 분립체가 낙하되는 경우에도, 해당 분립체는 제1위치(A)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립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스토커(3)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는 추가로 회전 등을 함으로써 수용부재(41)에 저장된 분립체를 용기(7)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수용부재(41)에 저장된 분립체를 공급함으로써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할 때에 비어있는 상태의 수용부재(41)를 제1위치(A)에서 제2위치(B)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용부재(41)로부터 분립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재(41)에 축적된 분립체를 공급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용부재(41)의 저면이 도어가 되도록 하여 이 도어를 개방하는 방법, 수용부재(41)에 축적된 분립체가 개구부(411)로부터 낙하 공급되도록 수용부재(41)를 회전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1)의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1)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채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1)의 동작 수순을 설명한다.
본체(2)에 장착된 스토커(3)로부터의 분립체를 공급할 때의 동작 이외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채용된다.
본체(2)에 장착된 스토커(3)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할 때에는, 우선 분립체를 공급하는 스토커(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41)가 회전함으로써, 해당 수용부재(41)에 축적된 분립체를 공급한다.
그 후, 누출방지부(4)는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수용부재(41)가 분립체를 받을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간다.
이어서, 구동부(42)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구(321)에서 공급되기 전에 제1위치(A)에서 제2위치(B)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분립체를 수용부재(41)에 의한 간섭없이 스토커(3)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량 등을 가할 수 있으며, 이들 개량, 균등물 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체(2)에 장착된 스토커(3)의 수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4개이지만, 1, 2, 3, 5 ... 등, 적절한 수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7)로 공급되는 분립체의 중량을 계량하기 위해 누출방지부(4)가 이용되고 있지만, 다른 용도의 분립체 처리기기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1 : 분립체 공급장치 2 : 본체
21 : 본체부 211 : 제어부
3 : 스토커 31 : 투입구
32 : 공급부 321 : 공급구
33 : 캐스터 34 : 탄성부재
35 : 가이드부 4 : 누출방지부
41 : 수용부재 411 : 개구부
42 : 구동부 421 : 피스톤로드
5 : 스탠드 51 : 재치부
52 : 다리부 53 : 가이드수용부
6 : 계량기 7 : 용기
71 : 상부개구 A : 제1위치
B : 제2위치

Claims (4)

  1. 본체와,
    분립체를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본체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스토커와,
    복수의 누출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커는,
    상기 스토커의 내부에 상기 분립체를 투입 가능한 투입구와,
    공급구를 가지며, 상기 스토커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분립체를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하는 공급부를 가지며,
    상기 누출방지부는,
    상기 공급구에서 흘러넘치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급구로부터 흘러나오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1위치와 상기 공급구에서의 상기 분립체의 공급이 가능한 제2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공급구는 분립체의 계측을 위한 용기의 상부개구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상부개구의 상부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는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공급구가 상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가 상기 분립체를 공급할 때에, 상기 수용부재에 축적된 상기 분립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에 상기 스토커가 착탈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공급부에 의한 분립체의 공급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장치.
KR1020227036752A 2020-10-19 2021-10-15 분립체 공급장치 KR202201574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5451 2020-10-19
JPJP-P-2020-175451 2020-10-19
PCT/JP2021/038293 WO2022085597A1 (ja) 2020-10-19 2021-10-15 粉粒体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473A true KR20220157473A (ko) 2022-11-29

Family

ID=8129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752A KR20220157473A (ko) 2020-10-19 2021-10-15 분립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7336A1 (ko)
EP (1) EP4230558A1 (ko)
JP (1) JP7387210B2 (ko)
KR (1) KR20220157473A (ko)
CN (1) CN115485220A (ko)
WO (1) WO2022085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1691A (ja) * 2021-06-21 2023-01-06 新東工業株式会社 鋳物砂供給装置及び鋳物砂検査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1378A (ja) 2018-02-01 2019-08-08 株式会社カワタ 粉粒体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438A (ja) * 2000-09-19 2002-03-26 Mitsuishi Fukai Tekkosho:Kk レンガ成形機への原料供給装置
JP6076820B2 (ja) 2013-04-24 2017-02-08 株式会社カワタ 粉粒体の計量混合装置
JP2018127335A (ja)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夕原テクノグループ 切り出し秤量装置
EP3767254B1 (en) 2019-03-13 2023-09-20 Ishida Co., Ltd. Combination weighing device
CN210135986U (zh) 2019-06-05 2020-03-10 流亚科技有限公司 粉体送料精密计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1378A (ja) 2018-02-01 2019-08-08 株式会社カワタ 粉粒体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85597A1 (ko) 2022-04-28
US20230107336A1 (en) 2023-04-06
EP4230558A1 (en) 2023-08-23
CN115485220A (zh) 2022-12-16
WO2022085597A1 (ja) 2022-04-28
JP7387210B2 (ja)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370B1 (ko) 과립 재료의 공압 운송 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09116147A1 (ja) 充填量秤量装置
CN109720614A (zh) 一种自定量粮食包装设备
KR20220157473A (ko) 분립체 공급장치
WO2000066466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materiaux pulverulents et granulaires pour systeme clos
KR100581482B1 (ko) 전해액 주액 장치
EA010320B1 (ru) Фасовочная установка
US20030054067A1 (en) Pellet feeding system for a moulding machine
EP4139099A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powdered material
JP3022448B2 (ja) 密閉系用粉粒体供給装置
JP2009286451A (ja) 粉末充填装置
JP7154179B2 (ja) 容器処理装置
KR200395689Y1 (ko) 첨가제 정량 공급장치
KR101419392B1 (ko) 원료 편중 방지장치
JP7109847B1 (ja) 粉体供給装置
JP2000053219A (ja) 詰まり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石炭シュート
JP4820146B2 (ja) ペレット状ドライアイスの充填装置
CN109720610A (zh) 一种粮食定重连续包装机
KR200288578Y1 (ko) 토너 리필 장치
US5411170A (en) System for metered feeding of cylindrical bodies from a stock to a processing machine
JP4132485B2 (ja) 計量ホッパー
CN116323445A (zh) 粉末供给装置
JP3888628B2 (ja) 粉体充填機
KR20230061680A (ko) 전극 원자재 공급장치
EP4139211A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powder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