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235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235A
KR20220157235A KR1020210065078A KR20210065078A KR20220157235A KR 20220157235 A KR20220157235 A KR 20220157235A KR 1020210065078 A KR1020210065078 A KR 1020210065078A KR 20210065078 A KR20210065078 A KR 20210065078A KR 20220157235 A KR20220157235 A KR 20220157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leep environment
bedding
smart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2619B1 (en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아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아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아드림
Priority to KR102021006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619B1/en
Publication of KR2022015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ing smart bedding are disclosed.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bedding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data related to a user's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a smart bed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s by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storing, by the user terminal, the collecte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and analyzing the store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to manage the user's sleep environment by the user terminal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mart bedding comprises: a first sensor unit comprising, as the plurality of sensor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a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are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and a second sensor unit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air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tion of the outside of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Description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ing smart bed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본 발명은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수면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ata on a sleep environment through a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managing a user's sleep environment using the measured data.

최근 수면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늘면서 수면과 경제의 합성어인 슬리포노믹스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관련 산업이 활기를 띠고 있고,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이 올라가면서 수면시장이 더욱 발달하고 있다. 이는 삶의 질을 중시해 수면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면의 양과 질을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면서 2019년 국내 수면시장규모가 2조원에 육박했고 곧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sleep disorders has increased, the related industry has become lively to the extent that the term sleeponomics, a compound word of sleep and economy, has appeared, and the sleep market is developing further as consumers' income levels rise. This is because they value the quality of life and become interested in the sleeping environment. As a result, various attempts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leep are underway, and the size of the domestic sleep market in 2019 approached 2 trillion won and is estimated to reach 3 trillion won soon.

해외에서는 이미 수면 산업이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산업 규모는 미국 45조 원, 중국 38조 원, 일본 9조 원에 달한다. 이에 비해 한국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성장세는 가파르다는 평이다. 사회경제적 수준이 올라가면서 수면 관련 질환도 많아지고 있어 앞으로 수면 산업이 더욱 발전하고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Overseas, the sleep industry is already forming a huge market. The size of the industry reaches 45 trillion won in the US, 38 trillion won in China, and 9 trillion won in Japan. In comparison, Korea is still in its infancy, but it is said that the growth rate is steep. As the socioeconomic level rises, the number of sleep-related diseases is also increasing, and it is predicted that the sleep industry will further develop and grow in the future.

소비자들은 단순한 전통적 수면 제품만이 아닌, 실제 수면에 도움이 되며 숙면의 가치를 표현해줄 제품을 원하고 있고, 수면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면서, 숙면을 유도하거나 수면 상태를 측정하여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다양한 수면관리 제품이 개발, 출시되고 있다. 과거에는 불면증을 치료하는 수면제 시장이 수면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최근 들어 수면클리닉이나 식품, IT제품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질 높은 수면에 대한 현대인들의 욕구로 웰 슬리핑(well-sleeping)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Consumers want products that help with real sleep and express the value of sound sleep, not just traditional sleep products. Various sleep management products that provide and manage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In the past, the sleeping pill market for treating insomnia accounted for most of the sleep industry, but recently, the market is expanding to include sleep clinics, food, and IT products. As such, modern people's desire for high-quality sleep has increased interest in well-sleeping products.

한국 등록특허 제10-123482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482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수면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여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차별화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게 최소한의 충진재를 사용하는 맞춤형 침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differentiated personalized services by measuring data on the sleep environment through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nalyzing and learning the measured data, and controll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easured data, it is intended to provide customized bedding that uses the minimum amount of filler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방법은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은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in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bedding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is installed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user's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a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Step of storing the collecte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at the user terminal, and analyzing the store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 order to manage the user's sleep environment at the user terminal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sis and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bove.

상기 스마트 침구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서, 상기 스마트 침구와 상기 스마트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됨 -를 포함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의 반대 측의 상기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The smart bedding is the plurality of sensor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a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are a plurality of the smart bedding A first sensor unit including a first sensor unit, and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air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It includes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를 통해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In the collecting step,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평균 취침 시간, 평균 기상 시간, 평균 수면 시간 및 선호하는 수면환경을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한다. The step of performing the analysis is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ge, occupation, gender, average bedtime, average wake-up time, average sleep time, and preferred sleep environment of the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store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to perform an analysi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면 요소에 대한 확률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학습, 분류, 탐지 및 예측을 수행한다. The step of performing the analysis performs a stochastic statistical analysis on sleep fact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and uses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o perform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t performs learning,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prediction on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상기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된 상기 제1 센서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침구의 각 부분에서 측정된 상기 스마트 침구와 상기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부분에 대해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거나, 상기 각 부분에 대해 상기 스마트 침구의 충진재의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한다.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nd learning in the server is measured in each part of the smart bedding by the first sensor unit embed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the user,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sleeping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for each part is provided, or the filler of the smart bedding needs to be supplemented or removed for each part. provides notifications indicating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의 상기 각 부분은 상기 스마트 침구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한 영역 중 하나이고, 상기 알림은 상기 스마트 침구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한 영역 중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거나 충진재의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한 영역과 연관하여 제공된다. Each part of the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is one of are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and the notification is a sleep environment among the are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It is provided in relation to areas that require improvement or supplementation or removal of fillers.

상기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서부가 포함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관하여 상기 분석에 따라 수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실내의 수면 환경을 제어한다. The step of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n the server is the outside of the smart bedding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ir sensor, and illuminance sensor included in the second sensor unit. In order to adjust the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tion, the indoor sleep environment is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indoor IoT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 조절기, 습도 조절기, 공기청정기 및 조명을 포함하는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 청정기를 통해 공기 질을 조절하고, 조명을 통해 실내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수면 환경을 제어한다. In the managing step, the indoor temperature is adjusted through the thermos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interlocking with the indoor IoT device including the thermostat, humidity controller, air purifier, and lighting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humidity controller The sleeping environmen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indoor humidity through the air purifier, adjusting the air quality through the air purifier, and adjusting the indoor brightness through the lighting.

상기 제2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면 환경 관리 방법은 상기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면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피드백 받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 환경에 관한 설문을 제공하여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second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 gyro sensor, and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receives feedback of the user's sleep pattern including the user's movement during sleep measured through the gyro sensor,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and storing user's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by providing a survey on the sleep environment.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저장된 상기 수면 패턴 및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반복한다. In the performing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s repeated by reflecting the stored sleep pattern and the user's questionnaire results.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장치는 스마트 침구와 상기 스마트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됨 -를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사용자의 반대 측의 상기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부 및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상기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스마트 침구에 내장된다. In another aspect,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using smart bedding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between a smart bedding and a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 the temperature A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are each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 a first sensor unit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tion of the outside of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humidity sensor, an air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and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measu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to a user terminal, and is embedded in the smart bedd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수면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여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차별화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는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fferentiated personalized service by measuring data on the sleep environment through a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nalyzing and learning the measured data, and controll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can In addition, it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a sleep environment that meets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according to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n conjunction with indoor IoT devices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에 내장되는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process using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using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ensor unit of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built into the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process using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사용자는 수면 중 실내(다시 말해,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향기, 소음 및 조명을 포함하는 수면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침구의 촉감, 보습성, 흡습성, 방습성 및 무게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user may be affected by the sleeping environment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fragrance, noise, and lighting of the room (ie, outside the smart bedding) during sleep. In addition, it may be affected by the touch, moisture retention, moisture absorption, moisture resistance, and weight of the bedding to be used.

기존의 침구는 보온성이 뛰어나고 포근하지만, 사용자 개개인의 개별적인 취향 또는 신체적인 차이에 따른 차별화가 불가능했다. 또한, 기존의 구스 침구의 경우 천연소재로 인해 수요, 공급 변동에 탄력적인 대처가 어려워 공급의 변화에 따라 원유처럼 다운원료 가격의 변동 심화로 인해 소비자에게 다운침구에 대한 가격적 부담감을 가중시켰다.Existing bedding is warm and cozy, but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or physical differences of each us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goose bedding, it is difficult to respond flexibly to changes in demand and supply due to natural materials, so the price fluctuations of down raw materials such as crude oil intensify due to changes in supply, increasing the price burden for down bedding to consumers.

따라서,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게 최소한의 충진재를 사용하는 맞춤형 침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수면 환경을 측정하여 사용자 맞춤형 수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bedding using minimum fillers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and for controlling a user-customized sleep environment by measuring various sleep environments.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수면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여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차별화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data on the sleep environment through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analyzing and learning the measured data, and controll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differentiated individuals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are proposed.

실시예의 스마트 침구는 예컨대, 이불, 담요, 블랭킷 등과 같이, 사용자가 덮는 용도로 사용되는 침구일 수 있다. The smart bedding of the embodiment may be, for example, a bedding used for a user to cover, such as a duvet, blanket, blanket,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쾌적한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수면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Feedback suitable for the us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manage a comfortable sleep environment,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sleep environment in conjunction with an indoor IoT device.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면 중의 공기 질, 온도, 습도, 소음, 조도 등을 측정하여 분석 및 학습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기청정기와 연동하여 수면 중 공기 질을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리모컨 기능을 통해 TV나 에어컨을 제어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ir quality, temperature, humidity, noise, illumination, etc. during sleep are measured, analyzed and learn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nd air quality during sleep can be managed in conjunction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results. Furthermore, you can control the TV or air condition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function.

또한,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면 요소에 대한 확률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ochastic statistical analysis on sleep fact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and to provide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user's sleep quality using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예를 들어, 솔루션은 사용자의 수면 유형을 판별하는 기능,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최적의 인자를 판별하여 해당 가이드 문구를 선정하는 스마트 가이드 기능, 가이드에 필요한 설문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olution may provide a function of determining a user's sleep type, a smart guide function of determining an optimal factor required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guide phrase, and a survey function necessary for the guid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방법은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210), 사용자 단말은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220),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230) 및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피드백 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서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반영하도록 하는 단계(240)를 포함한다. In the proposed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bedding, a user terminal with an application for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installed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user's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a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210), the user terminal Step 220 of storing the collect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and analyzing the sto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to manage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n a user terminal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20),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 230 of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receiving feedback of the user's sleep pattern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the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the database Storing and reflecting the stored sleep pattern of the user when analyzing the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n the server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240).

단계(210)에서,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In step 210,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user's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the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상기 복수의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에 내장된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 포함될 수 있다.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제1 센서부는 스마트 침구와 스마트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제2 센서부는 사용자의 반대 측의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를 통해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of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built into the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unit of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a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of the first sensor unit may be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respectively. The second sensor unit of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air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As such,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침구를 상, 중, 하 세 부분으로 구분하고, 각 부분에서의 스마트 침구와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예를 들어, 바(bar) 형태로 구성됨)를 스마트 침구에 내장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of the first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smart bedding is divided into three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eg, bar typ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the user in each part. (consisting of) can be embedded in smart bed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통해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can be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ir sensor, and illuminanc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는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The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measur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단계(2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In step 220, the user terminal stores the collect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and the user terminal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sto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to manage the user's sleep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평균 취침 시간, 평균 기상 시간, 평균 수면 시간 및 선호하는 수면환경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와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학습을 수행한다.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age, occupation, gender, average bedtime, average wake-up time, average sleep time, and preferred sleeping environment may be stored in advance. Analysis and learning are performed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ased on pre-stored user-related information and the stored sleep-environment-related data.

이때,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면 요소에 대한 확률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학습, 분류, 탐지 및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probabilistic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on sleep fact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and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to analyze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t can perform learning,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prediction for

단계(230)에서,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한다. In step 230,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s manag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n the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된 상기 제1 센서부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통해 각 부분에서 측정되는 스마트 침구와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기반하여 상기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각 부분 별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해 스마트 침구의 충진재를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nalysis and In order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ach part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filler of the smart bedding needs to be supplemented or removed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or user-customized to provide an optimal sleeping environment. can provide information.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의 각 부분은 스마트 침구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한 영역 중 하나이고, 상기 알림은 스마트 침구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한 영역 중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거나 충진재의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한 영역과 연관하여 제공될 수 있다. Each part of the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is one of the areas divided in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and the notification requires improvement of the sleeping environment among the areas divided in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or may b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areas requiring supplementation or removal of fillers.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침구의 상, 중, 하 세 부분 중 하 부분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정적 온도보다 낮게 측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진재 보충을 위한 알림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 보충을 위해 충진재 추가 구매를 위한 판매 사이트를 안내하거나 또는 주문을 요청을 진행하도록 알림을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tic temperature, a notification for filling material replenishment may be display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a notification may be displayed to guide a sales site for additional purchase of a filler or to proceed with a request for an order in order to replenish the filler.

기존의 침구는 보온성이 뛰어나고 포근하지만, 사용자 개개인의 개별적인 취향 또는 신체적인 차이에 따른 차별화가 불가능했다. 또한, 기존의 구스 침구의 경우 천연소재로 인해 수요, 공급 변동에 탄력적인 대처가 어려워 공급의 변화에 따라 원유처럼 다운원료 가격의 변동 심화로 인해 소비자에게 다운침구에 대한 가격적 부담감을 가중시켰다.Existing bedding is warm and cozy, but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or physical differences of each us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goose bedding, it is difficult to respond flexibly to changes in demand and supply due to natural materials, so the price fluctuations of down raw materials such as crude oil intensify due to changes in supply, increasing the price burden for down bedding to consumers.

또한, 기존의 구스침구는 현재 사계절용 2인용 침구의 경우 구스 약 1000g을 균등하게 충진해서 사용하고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상, 중, 하 부분에 대해 차별적으로 구스를 충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스 약 500g의 적용도 가능하며, 구스 원료 사용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existing goose bedding is currently used by filling about 1000g of goose evenly in the case of bedding for two people for all seasons, while the smart bed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to meet the user's needs. It can be used by filling the goose differentiall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ly about 500 g of goose,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 of goose raw materials.

이와 같이,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게 최소한의 충진재를 사용하는 맞춤형 침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수면 환경을 측정하여 사용자 맞춤형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bedding using minimum fillers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and to control a user-customized sleep environment by measuring various sleep environments.

뿐만 아니라,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른 수면 점수, 설문, 가이드 등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customized information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such as sleep scores, questionnaires, and guides according to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관하여 상기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수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스마트 침구 외부의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of the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ir sensor, and illuminanc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just the sleep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leep environment outside the smart bedding in conjunction with the indoor IoT devic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 조절기, 습도 조절기, 공기청정기 및 조명을 포함하는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온도에 맞춰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외기온도 예보를 반영하여 수면 시 최적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nterlocks with indoor IoT devices including a thermostat, humidity controller, air purifier, and lighting, and adjust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thermos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and control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humidity controller. Humidity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indoor temperatur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leeping may be controlled by reflecting the outside temperature forecast.

또한, 공기 청정기를 통해 공기 질을 조절하고, 조명을 통해 실내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환경 설정에 따른 조명의 색,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eeping environmen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ir quality through an air purifier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room through lighting. For example, the color, brightness, etc. of lighting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sleep environment settings.

뿐만 아니라,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음향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의 평균 취침 시간에는 수면유도를 위한 뇌파 음원, 파도 소리, 또는 빗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평균 기상 시간에는 기상유도를 위한 각성 뇌파 음원 또는 알람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EG sound source, wave sound, or rain sound for inducing sleep at the user's average bedtime through a sound speaker, etc. An brain wave sound source or an alarm soun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IoT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재실감지, 자동제어, 음성인식 기술 등을 딥러닝 서버에 결합시킨 스마트 홈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사용자 생활패턴을 학습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선호 온도를 설정하고 외기온도 예보를 반영해 수면 시 최적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재실 유무와 수면상태를 판단하여 자동 조명 소등, 콘센트 차단, 자동환기시스템 제어 등 맞춤형 수면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하지 않아도 인공지능과 음성만으로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An IoT device that works wit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smart home technology that combines user presence detection, automatic control,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ith a deep learning server as well as control through an appli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s the user's life pattern, automatically sets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sleeping by reflecting the outside temperature forec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a customized sleep environment, such as automatically turning off lights, blocking outlets, and controlling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the room and the sleeping stat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leep environment onl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oice without controlling it through a user terminal.

또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상품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 및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용 광고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전용 광고 페이지를 통해 개별 사용자에게 신상품 홍보나 공지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user-customized product marketing through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nd learning of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 this way, a dedicated advertisement pag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collect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a new product promotion or notice may be provided to individual users through the dedicated advertisement page.

단계(240)에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피드백 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서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반영하도록 한다. In step 240, the user terminal receives feedback of the user's sleep pattern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the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stores it in a database, and provides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to the server. The stored sleep pattern of the user is reflected when analyzing and learning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in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에 내장되는 복수의 센서 중 자이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수면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사용자 단말에 피드백할 수 있다. A user's sleep pattern may be measured through a gyro sensor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built into the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movement during sleep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may be measured through a gyro sensor, and the user's sleep pattern may be fed back to the user terminal.

또한, 피드백되는 사용자의 수면 패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 환경에 관한 설문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sleep pattern that is fed back, a questionnaire about the sleep environm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s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are collected and stored.

상기 저장된,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패턴 및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user's sleep pattern and the user's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stored and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the server may repeat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learning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using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스마트 침구를 이용한 수면 환경 관리 장치(300)는 제1 센서부(310), 제2 센서부(32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하고, 스마트 침구에 내장될 수 있다. The proposed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300 using smart bedding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310, a second sensor unit 320, and a communication unit 330, and may be embedded in smart bed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310)는 스마트 침구와 스마트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311) 및 습도 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311 and a humidity sensor 31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the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부(320)는 사용자의 반대 측의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321), 습도 센서(322), 공기 센서(323), 조도 센서(324) 및 자이로 센서(3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321, a humidity sensor 322, and an air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323 , an illuminance sensor 324 and a gyro sensor 315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310)의 온도 센서(311) 및 습도 센서(312)는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침구를 상, 중, 하 세 부분으로 구분하고, 각 부분에서의 스마트 침구와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311) 및 습도 센서(312)(예를 들어, 바(bar) 형태로 구성됨)를 스마트 침구에 내장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311 and the humidity sensor 312 of the first sensor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respectively. In other words, a temperature sensor 311 and a humidity sensor 312 (e.g., ,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r) can be embedded in smart bed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부(320)의 온도 센서(321), 습도 센서(322), 공기 센서(323), 조도 센서(324)를 통해 사용자의 반대 측의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스마트 침구에 내장되는 제1 센서부(310) 및 제2 센서부(320)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321, humidity sensor 322, air sensor 323, and illuminance sensor 324 of the second sensor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tion of the room can be measured.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ensor unit 3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320 built into the smart bedd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 센서부(310) 및 제2 센서부(320)에서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3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320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30 to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30)는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상기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을 수행하도록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nalysis and learning on the measu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n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은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The user terminal stores the collect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and analyzes the sto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n order to manage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n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평균 취침 시간, 평균 기상 시간, 평균 수면 시간 및 선호하는 수면환경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와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학습을 수행한다.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age, occupation, gender, average bedtime, average wake-up time, average sleep time, and preferred sleeping environment may be stored in advance. Analysis and learning are performed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ased on pre-stored user-related information and the stored sleep-environment-related data.

이때,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면 요소에 대한 확률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학습, 분류, 탐지 및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한다. At this time,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probabilistic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on sleep fact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and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to analyze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t can perform learning,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prediction f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nd learning in the server,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s managed through the user terminal.

뿐만 아니라,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른 수면 점수, 설문, 가이드 등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user-customized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such as sleep scores, questionnaires, and guides according to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부의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관하여 상기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수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스마트 침구 외부의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The analysis and In order to adjust the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 the sleep environment outside the smart bedding can b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indoor IoT devic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 조절기, 습도 조절기, 공기청정기 및 조명을 포함하는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온도에 맞춰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외기온도 예보를 반영하여 수면 시 최적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nterlocks with indoor IoT devices including a thermostat, humidity controller, air purifier, and lighting, and adjust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thermos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and control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humidity controller. Humidity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indoor temperatur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leeping may be controlled by reflecting the outside temperature forecast.

또한, 공기 청정기를 통해 공기 질을 조절하고, 조명을 통해 실내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환경 설정에 따른 조명의 색,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eeping environmen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ir quality through an air purifier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room through lighting. For example, the color, brightness, etc. of lighting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sleep environment settings.

뿐만 아니라,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음향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의 평균 취침 시간에는 수면유도를 위한 뇌파 음원, 파도 소리, 또는 빗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평균 기상 시간에는 기상유도를 위한 각성 뇌파 음원 또는 알람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EG sound source, wave sound, or rain sound for inducing sleep at the user's average bedtime through a sound speaker, etc. An brain wave sound source or an alarm soun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IoT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재실감지, 자동제어, 음성인식 기술 등을 딥러닝 서버에 결합시킨 스마트 홈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사용자 생활패턴을 학습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선호 온도를 설정하고 외기온도 예보를 반영해 수면 시 최적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재실 유무와 수면상태를 판단하여 자동 조명 소등, 콘센트 차단, 자동환기시스템 제어 등 맞춤형 수면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하지 않아도 인공지능과 음성만으로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An IoT device that works wit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smart home technology that combines user presence detection, automatic control,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ith a deep learning server as well as control through an appli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s the user's life pattern, automatically sets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sleeping by reflecting the outside temperature forec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a customized sleep environment, such as automatically turning off lights, blocking outlets, and controlling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the room and the sleeping stat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leep environment onl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oice without controlling it through a user terminal.

또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상품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 및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용 광고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전용 광고 페이지를 통해 개별 사용자에게 신상품 홍보나 공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user-customized product marketing through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nd learning of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 this way, a dedicated advertisement pag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collect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a new product promotion or notice may be provided to individual users through the dedicated advertisement page.

이후, 제1 센서부(310) 및 제2 센서부(320)는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측정한다. Then, the first sensor unit 3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320 measure the user's sleep pattern according to the sleep environment controll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and learning in the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부(320)의 구성 중 자이로 센서(325)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수면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자이로 센서(325)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사용자 단말에 피드백할 수 있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sensor unit 3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leep pattern may be measured through the gyro sensor 325 . The user's movement during sleep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may be measured through the gyro sensor 325, and the user's sleep pattern may be fed back to the user terminal.

통신부(330)는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서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시 상기 측정된 수면 패턴을 반영하도록 사용자 단말로 피드백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330 provides feedback to the user terminal to reflect the measured sleep pattern when analyzing the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n the server in order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되는 사용자의 수면 패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 환경에 관한 설문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naire about a sleep environment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sleep pattern that is fed back. The user's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are collected and stored.

상기 저장된,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패턴 및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user's sleep pattern and the user's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stored and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the server may repeat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learning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에 내장되는 수면 환경 관리 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ensor unit of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built into the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스마트 침구(400)의 복수의 부분(410, 420, 430)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침구를 상(410), 중(420), 하(430) 세 부분으로 구분하고, 스마트 침구의 상부(410)에는 제1 내부 온, 습도 센서(411)를 내장하고, 스마트 침구의 중간부(420)에는 제2 내부 온, 습도 센서(412)를 내장하고, 스마트 침구의 하부(410)에는 제3 내부 온, 습도 센서(413)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장된 제1 내부 온, 습도 센서(411), 제2 내부 온, 습도 센서(412) 및 제3 내부 온, 습도 센서(413)를 통해 스마트 침구의 상(410), 중(420), 하(430) 각 부분에서의 스마트 침구(400)와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of the first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410 , 420 , and 430 of the smart bedding 400 ,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smart bedding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upper 410, the middle 420, and the lower 430, and the first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11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410 of the smart bedding, and the smart bedding A second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12 may be embedded in the middle portion 420 of the smart bedding, and a third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13 may be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410 of the smart bedding. Through the first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11, the second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12, and the third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13 built in this way, the upper (410) and middle (420) of the smart bedding ,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400 and the user in each part of the lower part 4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의 상부(410), 중간부(420), 하부(430) 각각에 내장되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통해 각 부분에서 측정되는 스마트 침구와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각 부분 별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해 스마트 침구의 충진재(예컨대, 이불 내에 충전되는 이불솜으로서, 구스, 오리털 등일 수 있음)를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the user measured in each part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built into the upper part 410, the middle part 420, and the lower part 430 of the 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ach part according to the humidity, a notification indicating the need to supplement or remove the filling material of the smart bedding (e.g., duvet cotton filled in the duvet, which may be goose or down) is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or user-customized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침구의 상(410), 중(420), 하(430) 세 부분 중 하 부분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정적 온도보다 낮게 측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진재 보충을 위한 알림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 보충을 위해 충진재 추가 구매를 위한 판매 사이트를 안내하거나 또는 주문을 요청을 진행하도록 알림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410), 중(420), 하(430) 중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및/또는 기준 습도보다 일정 값 이상 높거나 낮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해당 부분에 대한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410), middle (420), and lower (430) parts of the smart bedding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tic temperature, the filling material is replenish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notifications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a notification may be displayed to guide a sales site for additional purchase of a filler or to proceed with a request for an order in order to replenish the filler. In addition, when the upper 410, the middle 420, and the lower 430 are higher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and/or reference humidity, the user terminal notifies that the sleeping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for that part. can out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침구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상, 중, 하 부분에 대해 차별적으로 구스를 충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게 최소한의 충진재를 사용하는 맞춤형 침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수면 환경을 측정하여 사용자 맞춤형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Smart bed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fferentially filling the goose for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to suit the user's need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bedding using minimum fillers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and to control a user-customized sleep environment by measuring various sleep environment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품 연결 GUI(512)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화경 관리 장치가 내장된 스마트 침구와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5(a) is a diagram showing a start screen of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pairing of the smart bedding with the sleep sce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product connection GUI 512.

또한, 로그인 GUI(511)를 통해 도 5(b)와 같은 사용자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학습 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및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평균 취침 시간, 평균 기상 시간, 평균 수면 시간 및 선호하는 수면환경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rough the login GUI 511,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user login screen as shown in FIG. 5(b). By performing the user log-in, analysis and learn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corresponding user-rela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when analyzing and learning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User-related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databas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ge, occupation, gender, average bedtime, average wake-up time, average sleep time, preferred sleeping environment, and the like.

사용자 로그인 및 스마트 침구와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완료하면, 도 5(c)와 같은 수면 환경 설정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침구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수면 환경 설정 GUI(513)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 온도, 소음 정도, 공기 질 단계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수면 환경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환경 관리 장치로부터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user login and pairing of the smart bedding with the user terminal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sleep environment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5 (c). The user terminal may communicate with smart bedding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A sleep environment desired by the user may be set through the sleep environment setting GUI 513 . For example, the user may arbitrarily set desired humidity, temperature, noise level, air quality level, and the like. Based on the sleep environment set as described above, a user-customized sleep environment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results of analysis and learning of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collected from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환경 관리 장치를 통해 측정되는 실내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관한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수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실내의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o adjust the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of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ncluding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tion measured by th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door sleeping environment by interlocking with the indoor IoT device.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 조절기, 습도 조절기, 공기청정기 및 조명을 포함하는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또는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온도에 맞춰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외기온도 예보를 반영하여 수면 시 최적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nterlocks with indoor IoT devices including a thermostat, humidity controller, air purifier, and lighting, and adjust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thermos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and control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humidity controller. Humidity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indoor temperatur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or set according to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leeping may be controlled by reflecting the outside temperature forecast.

또한, 공기 청정기를 통해 공기 질을 조절하고, 조명을 통해 실내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수면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환경 설정에 따른 조명의 색,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eeping environmen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ir quality through an air purifier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room through lighting. For example, the color, brightness, etc. of lighting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sleep environment settings.

뿐만 아니라, 수면모드 설정 GUI(514)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user may set a desired sleep mode through the sleep mode setting GUI 514 .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모드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음향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의 평균 취침 시간에는 수면유도를 위한 뇌파 음원, 파도 소리, 또는 빗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평균 기상 시간에는 기상유도를 위한 각성 뇌파 음원 또는 알람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5(d) shows a sleep mode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nd learning of data related to the sleep environment, an EEG sound source, wave sound, or rain sound for inducing sleep may be provided at the user's average bedtime through a sound speaker, etc., and the user's average wake-up time may provide an arousal brain wave sound source or an alarm sound for wake-up induction.

음원 리스트 GUI(515)를 통해 도 5(e)와 같은 수면모드 음원 선택을 위한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면모드 음원에는 수면 유도를 위한 빗소리, 파도 소리, 새소리, 시냇물 소리, 화이트노이즈 등의 음원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모드 음원을 선택한 후 음원 선택 완료 GUI(516)를 통해 다시 도 5(f)와 같은 수면모드 설정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수면모드 종료 GUI(517)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 환경 설정을 종료할 수 있다. Through the sound source list GUI 515, it is possible to move to a screen for selecting a sleep mode sound source as shown in FIG. 5(e). The sleep mode sound source may include sound sources such as rain sound, wave sound, bird sound, stream sound, and white noise for inducing sleep. After the user selects a desired sleep mode sound source, the user may move to the sleep mode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5(f) again through the sound source selection completion GUI 516. Thereafter, the sleep environment setting desired by the user may be terminated through the sleep mode termination GUI 517 .

이와 같이 설정된 수면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차별화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By controll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leep environment set as described above, a differentiated personalized service may be provid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면 요소에 대한 확률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솔루션은 사용자의 수면 유형을 판별하는 기능,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최적의 인자를 판별하여 해당 가이드 문구를 선정하는 스마트 가이드 기능, 가이드에 필요한 설문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feedback for providing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to the user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probabilistic statistical analysis on sleep fact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and to provide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user's sleep quality using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olution can provide a function to determine the user's sleep type, a smart guide function to select the guide phrase by determining the optimal factor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and a survey function necessary for the guid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The device can be commanded.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can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구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은 수집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침구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서,
상기 스마트 침구와 상기 스마트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됨 -를 포함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의 반대 측의 상기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를 통해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Collecting, by a user terminal wit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sleep environment, data related to a user's sleep environment measured through a smart bed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he user terminal stores the collect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and analyzes the sto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to manage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n the user terminal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cluding,
The smart bedding is the plurality of sensor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a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are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respectively. a first sensor unit;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air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including,
The collecting step is
Collecting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How to manage your sleep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평균 취침 시간, 평균 기상 시간, 평균 수면 시간 및 선호하는 수면환경을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상기 저장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analysis is,
Provides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age, occupation, gender, average bedtime, average wake-up time, average sleep time, and preferred sleep environment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and the store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to perform an analysis to
How to manage your sleep environ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면 요소에 대한 확률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학습, 분류, 탐지 및 예측을 수행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performing the analysis is,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perform probabilistic statistical analysis on sleep factors to provide an optimal sleep environment, and lear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using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 which performs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prediction.
How to manage your sleep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된 상기 제1 센서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침구의 각 부분에서 측정된 상기 스마트 침구와 상기 사용자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부분에 대해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거나, 상기 각 부분에 대해 상기 스마트 침구의 충진재의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n the server,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ace between the smart bedding and the user measured in each part of the smart bedding by the first sensor unit embed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the sleeping environment for each part Provid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improvement is required, or provid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supplementation or removal of the filler of the smart bedding is required for each part.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의 상기 각 부분은 상기 스마트 침구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한 영역 중 하나이고,
상기 알림은 상기 스마트 침구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한 영역 중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거나 충진재의 보충 또는 제거가 필요한 영역과 연관하여 제공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4,
Each part of the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is one of the areas divided in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The notification i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area where the sleeping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or the filler needs to be supplemented or removed among the areas divided in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mart bedding
How to manage your sleep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의 분석 및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서부가 포함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관하여 상기 분석에 따라 수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실내의 수면 환경을 제어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learning results in the server,
The sleep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leep environment-related data inclu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f the outside of the smart bedding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ir sensor, and illuminance sensor included in the second sensor unit In order to control the indoor sleep environment by interlocking with the indoor IoT devic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How to manage your sleep enviro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 조절기, 습도 조절기, 공기청정기 및 조명을 포함하는 실내의 IoT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절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 청정기를 통해 공기 질을 조절하고, 조명을 통해 실내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수면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management step is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nterlocks with indoor IoT devices including a thermostat, humidity controller, air purifier, and lighting, and adjusts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thermos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controls the indoor humidity through the humidity controller. Controlling the sleeping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air quality through air purifiers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room through lighting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면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피드백 받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 환경에 관한 설문을 제공하여 제어된 수면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 gyro sensor,
The user's sleep pattern, including the user's movement during sleep measured by the gyro sensor, is fed back,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 sleep environment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s survey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leep environment Steps to collect and store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저장된 상기 수면 패턴 및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반복하는
수면 환경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performing the analysis is,
Reflecting the stored sleep pattern and the user's survey results, repeating the analysis of the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How to manage your sleep environment.
스마트 침구와 상기 스마트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 침구의 복수의 부분에 각각 내장됨 -를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사용자의 반대 측의 상기 스마트 침구 외부의 온도, 습도, 공기 질 및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부; 및
사용자의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서 상기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수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스마트 침구에 내장되는
수면 환경 관리 장치.
A first step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between a smart bedding and a user using the smart bedding,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are respectively embedded in a plurality of parts of the smart bedding 1 sensor unit;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ir sensor, and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ir quality, and illuminance outside the smart bed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and
The sleep environment measur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is performed to analyze the measured sleep environment related data in a user terminal where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user's sleep environment is installed or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related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is built into the smart bedding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KR1020210065078A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KR102562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78A KR102562619B1 (en)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78A KR102562619B1 (en)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235A true KR20220157235A (en) 2022-11-29
KR102562619B1 KR102562619B1 (en) 2023-08-03

Family

ID=8423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078A KR102562619B1 (en)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1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831A (en) * 2009-05-28 2010-12-09 Mitsuba Corp Body movement detector, sleep condition measu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quantity of body movement
KR101234821B1 (en) 2010-11-25 2013-02-19 (주)유엔씨 Controlling Apparatus for Comfort Sleeping and Its Method
KR101917855B1 (en) * 2017-03-31 2018-11-12 코웨이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sleep state and discovering sleep factor by collecting bio-signal and server using the same
KR20190064055A (en) * 2017-11-30 2019-06-10 이정기 System for sleep guidance and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of sensing by electromotive bed
KR20200007253A (en)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알스피릿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coltrolling lab enviornment data
KR20210006590A (en)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Home Appliances Control Method For Improve sleep quality And Control Apparatus of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831A (en) * 2009-05-28 2010-12-09 Mitsuba Corp Body movement detector, sleep condition measu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quantity of body movement
KR101234821B1 (en) 2010-11-25 2013-02-19 (주)유엔씨 Controlling Apparatus for Comfort Sleeping and Its Method
KR101917855B1 (en) * 2017-03-31 2018-11-12 코웨이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sleep state and discovering sleep factor by collecting bio-signal and server using the same
KR20190064055A (en) * 2017-11-30 2019-06-10 이정기 System for sleep guidance and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of sensing by electromotive bed
KR20200007253A (en)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알스피릿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coltrolling lab enviornment data
KR20210006590A (en)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Home Appliances Control Method For Improve sleep quality And Control Apparatus of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619B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983B2 (en) Device control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of an animal and for determining a control detail for an electronic device
JP67062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1158423B2 (en) Adapted digital therapeutic plans based on biomarkers
CN111770705B (en) Bed with presence detection feature
US9857238B2 (en) Thermodynamic model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using observed HVAC and/or enclosure characteristics
TWI752913B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habitat connectivity and control
US11406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US201502862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climate control algorithms
EP3152981B1 (en) Light scene creation or modification by means of lighting device usage data
US20190347635A1 (en) Configuring a physical environment based on electronically detected interactions
US10037494B2 (en) Apparatus for representing sensory effect and method thereof
CN112782990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626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eeping environment using smart bedding set
CN116047930A (en) Visual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based on multi-terminal interaction
CN112712444A (en) Hotel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related equipment
WO2021191905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hich uses biometrics as a feedback for home control monitoring to enhance wellbeing
KR1025322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nd outputting an advertisement
KR102291735B1 (en) Home Appliances Control Method For Improve sleep quality And Control Apparatus of Thereof
Tsolakis et al.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tertiary buildings through user-driven recommendations delivered on optimal micro-moments
CN114397826B (en) Smart home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KR102121778B1 (en) Method of controlling exhibition lighting
CN117270411B (en) Househol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ombining user portrait and monitoring
KR102639285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medical guide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personalized health data
CN114397826A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KR20240055199A (en) Iot based personalized sleep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