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58A -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 Google Patents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058A
KR20220157058A KR1020210064633A KR20210064633A KR20220157058A KR 20220157058 A KR20220157058 A KR 20220157058A KR 1020210064633 A KR1020210064633 A KR 1020210064633A KR 20210064633 A KR20210064633 A KR 20210064633A KR 20220157058 A KR20220157058 A KR 2022015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unit
mask
microcur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954B1 (ko
Inventor
황광석
Original Assignee
황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석 filed Critical 황광석
Priority to KR102021006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54B1/ko
Priority to US17/341,447 priority patent/US20220370799A1/en
Publication of KR2022015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 H05K3/4015Surface contacts, e.g. bumps using auxiliary conductive elements, e.g. pieces of metal foil, metallic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moting growth of cells, e.g. bon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4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tissue grow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36Recesses or grooves i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39Curved pads, e.g. semi-circular or elliptical pads or l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ll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체 머리(human head)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용기기는, 상기 좌측면에서 상기 머리의 배면을 지나 상기 우측면까지 연장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부는, 상기 마스크와 접촉하는 전도부; 상기 전도부가 결합되고, 상기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판을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전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도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SKIN CARE DEVICE PROVIDING MICRO CURRENT TO A MASK FOR PROMOTING PRODUCTION OF COLLAGEN AND ELAST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용을 위해 안면에 부착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여 미용효과를 얻도록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미용기기에 대한 것이다.
피부에 영양이나 수분을 공급하고 모공을 청소하는 용도로 얼굴에 붙여서 사용하는 마스크 팩이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 팩은 부직포 또는 하이드로겔에 각종 미용성분을 흡수시켜 제작되므로, 미용성분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 팩과는 별도로, 통상 영양을 공급하거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화장품을 사용할 때는 화장품을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해 피부에 도포한 화장품을 주로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해 문지르게 된다.
화장품의 성분에 따라 또는 고효율적인 피부 내 침투를 위해 다양한 기구 등이 도입되고 있는데, 주로 전기를 사용해 진동, 열, 미세전류 등의 자극을 부가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기구들은 화장품을 얼굴 등에 바른 후, 계속하여 기기를 손에 들고 마사지하게 되므로, 화장품이 묻은 손을 씻어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아 가정보다는 전문 미용센터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한 사용과 보다 높은 미용 효과를 위해 새로운 미용기기가 고려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6475호 (2019.10.25)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미용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체 머리(human head)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용기기는, 상기 좌측면에서 상기 머리의 배면을 지나 상기 우측면까지 연장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부는, 상기 마스크와 접촉하는 전도부; 상기 전도부가 결합되고, 상기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판을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전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도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곽에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는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미용기기는, 상기 착용부가 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완화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인가부는 상기 착용부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에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도전성 스프링과 접촉하도록 링 형상의 도전 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도전 패턴의 내부에 상기 도전성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 돌기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미용기기는 머리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타입으로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술 중 행동에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미세전류와 진동 등을 통해 마스크팩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세전류용 마스크를 나태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용기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용기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용기기 중 인가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용기기 중 착용부의 개념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미용기기 중 커버부의 개념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부 중 기판과 스프링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세전류용 마스크를 나태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용기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세전류용 마스크는 지지체(110)와, 지지체(110)의 일면에 인쇄된 도전층(12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는 부직포 또는 직조된 섬유로 제작된다. 마스크는 보습제/영양제와 같은 미용물질을 지지체에 흡수시키거나 또는 미용물질을 별도로 공급하여 사용시 지지체에 흡수시킬 수 있는 상태로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지지체(110)의 일면에는 도전성 물질로 인쇄된 패턴으로 도전층(120)이 형성된다. 도전성 물질은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이 함유된 페이스트나 용액으로, 인쇄시 인쇄층이 도전성을 구비하도록 된 것을 지칭한다.
도전성 물질은 잉크젯 인쇄, 그라비아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등 다양한 공지의 인쇄기법에 의해 인쇄되어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패턴은 서로 연결되는 선으로 이루어진다. 패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에 따라 마스크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I, II, III 구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선들이 형성하는 다수의 도형은 각 구역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각 구역에 배치된 도형들의 평균 면적은 I 구역 > II 구역 > III 구역 순으로 작아진다. 이와 같은 평균 면적의 감소는 팔자주름에 해당하는 II 구역과 눈가 주름에 해당하는 III 구역에 보다 많은 미세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형은 2종류 이상으로 구비하며, 가장 큰 것이 600~1000 ㎟의 범위의 면적을, 가장 작은 것은 150㎟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가 흐르게 되는 선의 굵기는 1~3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효과가 좋다. 선의 형태 역시 직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형의 배치 및 패턴의 반복은 롤 형태로 공급되는 지지체(부직포나 직조 섬유)에 그라비아 인쇄나 스크린 인쇄를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전류에 의한 자극을 얼굴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미세전류용 마스크(100)는 지지체(110)에 도전층(120)을 인쇄한 후, 얼굴 모양에 따라 눈, 코, 입 등의 위치를 절개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도 1과 같은 얼굴 모양을 형성한 후, 도전층(120)을 인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미세전류용 마스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용기 내에 미용물질을 흡수한 상태로, 또는 미용물질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미용물질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의 마스크(100)는 별도로 공급되는 미용물질을 지지체(110)에 흡수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2와 같이, 사용자는 미용물질이 흡수된 마스크(100)를 얼굴에 부착한 뒤, 미용기기(200)를 머리에 착용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용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용기기 중 인가부를 분해한 상태에서의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용기기 중 착용부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미용기기 중 커버부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부 중 기판과 스프링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미용기기(200)는 착용부(220)와 인가부(201)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220)는 인체 머리의 좌측면에서 배면을 지나 우측면까지 연장된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착용부(220)는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홈(222)을 구비한다. 홈(222)에 착용부(220)의 양단을 연결하는 와이어(223)가 삽입되고, 와이어(223)는 일단에서 발생한 전기나 신호를 타단에 전달한다. 와이어(223)를 통해 착용부(220)의 양단에 결합된 인가부(201)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 인가부(201)들의 어느 일측에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인가부(201)들의 어느 일측에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발생부(2421)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223)와 홈(222)을 덮도록 완화부(230)가 착용부(220)에 형성된다. 완화부(230)는 착용부(220)가 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완화부(230)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착용부(220)의 양단에는 마스크(100)와 접촉하여 마스크(100)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인가부(201)들이 각각 형성된다. 인가부(201)는 착용부(22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얼굴 형상과 관계없이 인가부(201)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마스크(10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착용부(220)와 인가부(201)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인가부(201)는 마스크(100)와 접촉하는 전도부(210) 및 전도부(210)와 결합되는 커버부(240)를 포함한다. 커버부(240)는 인가부(201)의 외관을 형성하고, 기판(242)이 실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비한다. 착용부(220)와 인가부(201)의 결합을 위해, 착용부(220)의 양단에 구형 돌기(221)가 형성되고, 커버부(240)는 돌기(221) 중 일부를 감싸도록 고리 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240)에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고, 미용기기(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2)가 형성되는 기판(Printed circuit board, 242)이 결합된다. 커버부(2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2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241)의 외곽에 밀폐부(243)가 형성된다. 커버부(240)와 결합되는 전도부(210)에는 돌출부(241)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커버부(240)와 밀폐부(243)가 결합될 때, 전도부(210)에 형성된 홈에 밀폐부(243)가 밀착된다. 밀폐부(243)는 탄성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밀폐부(243)가 커버부(240)와 전도부(210) 사이의 틈을 막아 미용기기(200)에 방수기능을 제공하고, 진동이나 충격에도 인가부(201)에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와 도 7을 참고하면, 인가부(201)는 기판(242)과 전도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전도부(210)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스프링(245)으로 형성된다. 도전성 스프링(245)과 접촉할 수 있게 기판(242)에 함몰부(242a)가 형성된다. 함몰부(242a)는 기판(242)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된 부분이다. 함몰부(242a)에는 도전성 스프링(245)과 접촉하도록 도전 패턴(242b)이 형성된다. 도전 패턴(242b)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전 패턴(242b)의 중앙에 원통형 돌기(242c)가 형성된다. 원통형 돌기(242c)는 도전성 스프링(245)의 내주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원통형 돌기(242c)는 도전성 스프링(245)과 접촉하면서 이를 지지한다.
전도부(210)에 전류를 공급할 때, 전도부(210)에 구형파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전도부(210)에 미세한 진동이 형성되는데, 도전성 스프링(245)을 이용하여 기판(242)과 전도부(2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전도부(210)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가부(201)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그 크기 및 형태를 변환하는 제어부(242)가 형성된다. 제어부(242)는 기판(24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242)는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도부(210)에 미세전류 또는 구형파 펄스를 인가하는 전류 발생부(2421)는 모듈 형태로 기판(242) 상에 장착된다. 제어부(242)와 전류 발생부(242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각각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용기기(200)에서는 인체전류와 유사한 40~100㎂의 전류를 전도부(210)로 제공한다. 전도부(210)를 통해 도전층으로, 도전층에서 미용물질 등을 통해 피부로 전해진 미세전류의 자극에 따라 미용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될 뿐만 아니라 피하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게 되어 탄력있는 피부를 가꿀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미용기기(2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인체 머리(human head)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용기기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기는,
    상기 좌측면에서 상기 머리의 배면을 지나 상기 우측면까지 연장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부는,
    상기 마스크와 접촉하는 전도부;
    상기 전도부가 결합되고, 상기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판을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전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도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곽에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는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기는,
    상기 착용부가 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부는 상기 착용부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도전성 스프링과 접촉하도록 링 형상의 도전 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도전 패턴의 내부에 상기 도전성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 돌기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KR1020210064633A 2021-05-20 2021-05-20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KR10257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33A KR102579954B1 (ko) 2021-05-20 2021-05-20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US17/341,447 US20220370799A1 (en) 2021-05-20 2021-06-08 Skin care device providing micro current to a mask for promoting production of collagen and elast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33A KR102579954B1 (ko) 2021-05-20 2021-05-20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58A true KR20220157058A (ko) 2022-11-29
KR102579954B1 KR102579954B1 (ko) 2023-09-15

Family

ID=8410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633A KR102579954B1 (ko) 2021-05-20 2021-05-20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70799A1 (ko)
KR (1) KR1025799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392A (ko) * 2017-10-12 2019-04-22 컨스핀솔루션(주) 복수의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KR20190114482A (ko) * 2018-03-30 2019-10-10 (주)조이쉬 전기자극 인가 마스크팩
KR102036475B1 (ko) 2019-02-19 2019-10-25 이창화 마스크팩 흡수력 개선용 웨어러블 피부 미용기
KR102196871B1 (ko) * 2020-07-16 2021-01-05 주식회사프시케 저주파 자극 마스크용 저주파 자극도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73012C (en) * 2014-01-06 2019-03-26 Interaxon Inc. Wearable apparatus for brain sensors
KR101691617B1 (ko) * 2016-07-04 2016-12-30 이상혁 갈바닉 마이크로 니들 장치
US20180292674A1 (en) * 2017-04-05 2018-10-11 Ryan Edward Bond Eyeglass cushioning device and method
KR20200133071A (ko) * 2019-05-16 2020-1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얼굴 미용기기 및 마스크 시트
KR102364306B1 (ko) * 2019-11-27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관리 기기
KR102357602B1 (ko) * 2020-10-13 2022-02-07 (주) 레지에나 시트 마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392A (ko) * 2017-10-12 2019-04-22 컨스핀솔루션(주) 복수의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KR20190114482A (ko) * 2018-03-30 2019-10-10 (주)조이쉬 전기자극 인가 마스크팩
KR102036475B1 (ko) 2019-02-19 2019-10-25 이창화 마스크팩 흡수력 개선용 웨어러블 피부 미용기
KR102196871B1 (ko) * 2020-07-16 2021-01-05 주식회사프시케 저주파 자극 마스크용 저주파 자극도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954B1 (ko) 2023-09-15
US20220370799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781B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팩형 피부 미용 기기
KR101879766B1 (ko) 금과 은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가 적용된 피부 미용 마스크 장치
KR101169747B1 (ko) 피부 미용방법, 미용기 및 미용시스템
KR20190019003A (ko)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JP2020192386A (ja) 皮膚美容機器
KR101885481B1 (ko) 복합기능을 가진 두피 치료기
KR101832903B1 (ko) 이탈이 방지되는 탈모 치료 헬멧
CN108159563A (zh) 电皮肤裹布
CN208389181U (zh) 一种柔性多功能面膜
US20190008721A1 (en) Multifunctional facial mask and assembly thereof
KR20180043015A (ko) 갈바닉 마사지기
CN114259648A (zh) 美容面具
KR20110026565A (ko) 습식 피부미용팩용 전류인가장치
KR102209529B1 (ko) 피부 미용 장치
KR20200030791A (ko) 안면마스크
KR20150124239A (ko) 전기자극이 가능한 피부미용 압박밴드
KR20220157058A (ko)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는 마스크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용기기
KR102099158B1 (ko) 미세전류용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미용기구
KR101533718B1 (ko) 피부미용장치
JP2003519510A (ja) スキンクレンジングデバイス
KR102283882B1 (ko) 전기 자극 마스크 시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멀티 마스크 시트
KR101110135B1 (ko) 고전도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전기마스크 장치
KR200276420Y1 (ko) 미용 마사지 마스크
WO2017222190A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 팩형 피부 미용 기기
KR20160002345U (ko) 미용 마사지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