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25A -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025A
KR20220157025A KR1020210064533A KR20210064533A KR20220157025A KR 20220157025 A KR20220157025 A KR 20220157025A KR 1020210064533 A KR1020210064533 A KR 1020210064533A KR 20210064533 A KR20210064533 A KR 20210064533A KR 20220157025 A KR20220157025 A KR 20220157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age
code
den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6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025A/ko
Priority to PCT/KR2022/007192 priority patent/WO2022245160A1/ko
Priority to JP2023567128A priority patent/JP2024516688A/ja
Publication of KR2022015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치아 정보 처리를 하는 연산장치가 각각의 치아의 상태를 덴탈 데이터 코드의 형태로 정의 및 생성함으로써 전체 치아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구현하는 방법 및 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METHOD AND OPERATING DEVICE FOR PROCESSING TOOTH INFORMATION}
본 발명은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치아 정보 처리를 하는 연산장치가 각각의 치아의 상태를 덴탈 데이터 코드의 형태로 정의 및 생성함으로써 전체 치아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방법 및 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치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은 치과 치료하는 것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과정이라 할 것이다. 또한, 획득된 환자의 치아 정보가 일응 얻어진 후에는 이를 기초로 다양한 응용에 활용할 수 있기에 환자의 치아 정보를 어떤 형태로 얻느냐도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오래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환자 치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어떻게 하면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거나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종래 치과에서 치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들 중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알지네이트(alginate)를 이용하여 치아의 본을 뜬 뒤 치아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본뜨기는 말 그대로 치아의 구조, 즉 치아수복, 치아결손 시 작업용 모형이 필요할 때에, 또는 진단용 모형이 필요할 때에 구조를 알기 위한 것이어서 그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며,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모형은 디지털화 된 것이 아니므로 데이터의 활용성, 응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치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3차원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의 치아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 치과 진료, 구강 진료에 점차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방법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3차원 치아 이미지는 치아의 특정한 부분을 확인하려 할 때 3차원 이미지 특성상 정면 시점에서는 배면의 치아가 보이지 않거나, 시야에 사각지대가 형성되어 모든 치아들을 한눈에 파악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3차원 치아 이미지는 대용량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3차원 치아 이미지의 저장, 송수신, 데이터 분석 등에 많은 리소스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3차원 치아 이미지는 실제 환자의 구강 내부를 들여다 보는 것과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친근하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컴퓨터와 같은 연산장치를 이용한 처리, 그리고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송수신 등에는 대용량의 치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되므로 이러한 불편함을 모두 해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아 모니터링 체계지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구강 내 모든 치아들의 위치 및 상태를 숫자 및/또는 문자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 소위 덴탈 데이터 코드(Dental Data Code)를 생성 및 활용하는 방법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치아 전체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용량이 가벼워져 많은 양의 치아 정보를 큰 비용 부담 없이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치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 할 때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10-2180922(2020.11.13.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덴탈 데이터 코드라 명명될 수 있는 데이터 세트를 정의하고, 연산장치로 하여금 촬영된 치아 이미지들을 기초로 위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이를 다양한 영역에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덴탈 데이터 코드를 활용하여 전체 치아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 이미지 생성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덴탈 데이터 코드로부터 관찰 항목 내지 검사 항목, 치아 상태 값 내지 평가 값, 또는 시술 진행정도에 대한 정보 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연산장치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단한 코드 만으로 치아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정보 처리 방법은,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장치가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되, 상기 연산장치가 획득한 치아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하여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는, 적어도 각 치아의 구강 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좌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는, 치아 검사 항목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검사 코드; 및 검사된 치아의 검사 결과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가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치아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초로 치아 전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전개 이미지로부터 개별 치아면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치아 전개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개별 치아면들이, 기 저장되어 있는 3차원 데이터와 병합되어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정보 처리를 위한 연산장치는,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연산장치가 획득한 치아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하여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되,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는, 적어도 각 치아의 구강 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좌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산장치가 치아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연산장치로 하여금 전체 치아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한눈에, 그리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산장치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연산 처리가 용이한 텍스트(숫자 및/또는 문자) 기반의 데이터, 내지 2차원 이미지만을 다루도록 함으로써 연산에 필요한 리소스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 이미지, 또는 단순 텍스트 코드(덴탈 데이터 코드)로만 이루어진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단말기들 간,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서비스 서버 사이에서 어떤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송수신 되어야 할 데이터들이 쉽게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정보 처리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덴탈 데이터 코드(DDC) 및 이들의 집합인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2차원 표준 이미지 내에 각 치아들의 좌표 코드가 기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탈 데이터 코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좌표 코드에 한 자리 숫자가 더 부가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좌표 코드를 활용하였을 때 생성 가능한 2차원 표준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연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치아 정보 처리 방법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데이터 가공 플랫폼에 의해 2차원 표준 이미지를 기초로 새로운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이해를 위해 촬영된 치아 이미지의 모습과 이로부터 변환되거나 이를 기초로 생성된 덴탈 데이터 코드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할 때, 좌측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임의의 환자 치아, 내지 치아 구조를 촬영 한 결과물이 도시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전체 치아의 모습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각 치아들의 보이는 면들을 평면에 나열한 덴탈 데이터 코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덴탈 데이터 코드 이미지는 사용자가 치아의 전체 상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생성 및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각 셀들은 관찰 가능한 치아들의 면들과 대응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 셀들의 내부에는 덴탈 데이터 코드들이 기재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각 셀들은 내부적으로 다시 구획이 나뉠 수 있으며, 각 구획들이 임의의 치아가 가지는 면들과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치아 이미지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임의의 촬영장치(카메라)로 촬영한 후 결과물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결과물들은 이미지 스티칭 기술 등을 이용하여 여러 장이 서로 연속성 있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류의 이미지는 치아 전개(展開) 이미지라 한다. 이렇듯 환자의 치아들은 여러 방향에서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될 수 있으며, 촬영의 결과물로서 얻은 복수 개의 이미지 혹은 하나 이상의 동영상 등은 치아 전개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대상으로는 이미지 스티칭(Image Stitching) 기술이 적용되어 평면 상에 이어 붙여짐으로써 치아 전개 이미지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영상을 대상으로도 동영상에 의해 캡쳐 된 여러 장의 이미지들을 이미지 스티칭 기술로 이어 붙임으로써 치아 전개 이미지 생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의 우측에서 도시하고 있는 덴탈 데이터 코드 이미지, 또는 아직 이미지로 구성되지 않은 덴탈 데이터 코드 그 자체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해 내는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덴탈 데이터 코드의 정의 및 구조>
덴탈 데이터 코드(DDC)란 개별 치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일련의 숫자,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덴탈 데이터 코드(DDC)는 기본적으로 구강 내 존재하는 치아의 개수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치아들의 면들에 대해 따로따로 덴탈 데이터 코드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치아의 면수들에 매칭되어 덴탈 데이터 코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자 하는 덴탈 데이터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덴탈 데이터 코드는 숫자의 조합으로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할 때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덴탈 데이터 코드는 적어도 치아의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코드, 치아에 대한 검사 항목을 나타내는 검사 코드, 또는 각 치아를 검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덴탈 데이터 코드를 구성하는 세부 코드들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좌표 코드는 구강 내 존재하는 각 치아들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또는 여기서 더 나아가 각 치아들의 관찰된 관찰면(面)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일 수 있다. 참고로, 치과 분야에서는 FDI(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라는 표기법을 활용하여 위치 별로 각 치아들을 구분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좌표 코드는 위 FDI를 일부 참조하되, 각 치아들의 관찰면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또는 문자)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종래 FDI 표기법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좌표 코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숫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앞의 두 자리 숫자는 구강 내에서의 치아 위치를, 세 번째 숫자는 관찰면을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의 두 자리 숫자 중 10의 자리에 기재되어 있는 숫자는 환자 치아의 좌우상하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숫자 1은 환자 치아의 우측 상단, 숫자 2는 환자 치아의 좌측 상단, 숫자 3은 환자 치아의 좌측 하단, 숫자 4는 환자 치아의 우측 하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앞의 두 자리 숫자 중 1의 자리에 기재되어 있는 숫자는 치열에서의 각 치아 순서를 구분하기 위한 숫자로, 치열상 중간에 해당하는 첫 번째 앞니(중절치)를 1번, 두 번째 앞니(측절치)를 2번, 송곳니(견치)를 3번, 작은 어금니 2개는 4번(제 1소구치), 5번(제 2소구치), 그리고 큰 어금니 2개는 6번(제 1대구치), 7번(제 2대구치) 마지막 사랑니는 8번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할 때, 좌표 코드 중 세 번째 숫자는 치아 관찰면의 방향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환자의 관점에서 협측면은 1번, 교합면은 2번, 설측면은 3번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의 좌표 코드는 숫자 3개를 활용함으로써 구강 내 치아의 위치, 그리고 보고자 하는 관찰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구강 내 각 치아들의 상하좌우교합면, 상하좌우협측면, 상하좌우설측면, 전치부설측면 및 전치부협측면이 2차원 이미지로 도시되어 있고, 각 치아들에는 첫 3자리에 좌표 코드들이 부여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덴탈 데이터 코드는 총 4자리 숫자로 표시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1의 자리에 기입되어 있는 숫자 "0"은 제외하고 살펴보기로 한다) 일 예로 좌표 코드 ‘181’이 어떤 치아를 가리키는 것인지 살펴볼 때, 좌측의 두 자리 수 ‘18’은 우측 상악의 제3대구치(사랑니)를 나타내고, 나머지 한 자리 수 ‘1’은 협측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181’의 좌표 코드는 우측 상악에 위치한 제3대구치(사랑니)의 협측면으로 특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사 코드에 대해 설명한다. 검사 코드란, 치아 검사의 종류 또는 검사 항목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코드로, 예를 들어 각 치아의 온도, 부피, 치태, 충치, 또는 마모도 등을 검사한다고 할 때에 각 검사 항목 별로 서로 다른 숫자가 부여될 수 있다. 다만, 검사 코드는 반드시 치아 검사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아 검사 장비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에 그 장치를 사용하여 획득된 결과에 대해서는 사전에 정의된 숫자가 부여될 수 있으며, 또는 치아 상의 미생물 활성도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에 그 장치를 사용하여 획득된 결과에 대해서는 사전에 정의된 또 다른 숫자가 부여될 수 있다.
다음으로 평가 코드에 대해 설명한다. 평가 코드란, 검사된 치아의 검사 결과에 따른 상태를 그 정도에 따라 숫자로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아의 심각성, 치아의 위험도, 시술 우선 순위 등에 대한 치아 상태 값을 3자리의 숫자 값으로 표현하여 덴탈 데이터 코드에 포함 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치아 표면에 존재하는 크랙과 관련된 검사가 진행되었다고 가정할 때, 크랙의 정도가 가장 심한 치아에 대해서는 999가, 크랙의 정도가 가장 약한 치아에 대해서는 001의 숫자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평가 코드는 자리수가 3개 존재한다고 하여 반드시 모든 평가 항목들이 0부터 999까지의 숫자로 표시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숫자의 레인지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01부터 005까지 사용하는 평가 항목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상기 평가 코드는 반드시 세 자리 숫자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자리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코드의 부여는, 후술하게 될 연산장치(100)에 의해 부여되거나 또는 연산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술자(치과 의사 등)의 입력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촬영된 치아를 이미지 분석함으로써 그 정도가 얼마나 심한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임의의 알고리즘이 연산장치(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좌표 코드, 검사 코드, 평가 코드 외에 치아의 시술 진행상황에 대한 코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를 시술진행 코드라 명명하기로 한다. 시술진행 코드는 덴탈 데이터 코드의 특정 치아의 시술 진행상황을 숫자로 나타낸 것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환자가 치과 병원을 방문한 횟수, 복수개의 시술들 중 현재 환자가 받은 시술들의 개수, 또는 일련의 시술들 중 환자가 가장 최근에 받은 시술의 순서 등이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a)에는 개별 치아의 위치 및 상태를 알 수 있는 덴탈 데이터 코드(DDC)가, 도 2의 (b)에는 복수 개의 덴탈 데이터 코드들이 포함되어 있는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는 임의의 환자 구강 내 모든 치아들에 대한 덴탈 데이터 코드들이 하나의 집합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는 2차원 이미지를 구현해 내는 데에 활용될 수 있거나, 또는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가 2차원 이미지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정보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덴탈 데이터 코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서의 덴탈 데이터 코드는 총 13자리의 숫자(digit)들로 구성되되, 이 중 첫 4자리의 숫자들은 좌표 코드를, 그 다음 4자리의 숫자들은 검사 코드를, 그리고 마지막 5자리의 숫자들은 평가 코드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각 코드 내 포함되는 숫자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덴탈 데이터 코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임을 이해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덴탈 데이터 코드와 비교할 때, 도 4의 덴탈 데이터 코드는 좌표 코드가 한 자리 추가되어 총 4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검사 코드 역시 두 자리가 추가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서는 이 중 특히 좌표 코드가 4자리로 확장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능적 효과, 활용성에서의 효과에 대해 더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앞서 설명하였던 3자리 수의 좌표 코드(Original Digit)에 한 자리 숫자(Additional Digit)가 더해져 총 4자리 수의 좌표 코드로 확장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이 때 추가된 한 자리 숫자는 치아면 상에서의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것, 또는 치아를 다면체(바람직하게는 사각뿔대)로 형상화 하였을 때 생성되는 각 면을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5의 (a)는 치아의 일면 상에서 영역을 다섯 개로 나누고, 그 각 영역에 대해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부여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의 좌측은 특정 치아의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치아면을 총 다섯 개의 영역, 즉 상측 영역(①), 우측 영역(②), 하측 영역(③), 좌측 영역(④), 중앙 영역(⑤)으로 구획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5(a)의 우측은 이를 보다 간략히 도식화 한 것이다.
도 5의 (b)는 관찰의 대상이 되는 특정 치아 1개를 다면체(사각뿔대)로 형상화 하였을 때 사각뿔대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보이는 각 면들에 대해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부여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의 좌측은 사각뿔대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사각뿔대를 기준으로 상측면(①), 우측면(②), 하측 면(③), 좌측면(④), 중앙면(⑤)으로 나눈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5(b)의 우측은 이를 간략히 도식화 한 것이다. 참고로, 도 5(b)의 좌측에 도시한 사각뿔대는 우측이 순측, 좌측이 설측, 상측이 볼쪽인 것을 전제로 도시한 것이나, 그 방향성이나 방향성에 따른 숫자(digit)의 부여는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의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 좌표 코드에는 도 5의 (a) 또는 (b)에서 정의하고 있는 치아면 상에서의 특정 영역, 또는 다면체로 형상화 된 치아 상에서의 개별면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환자의 치아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치아가 어떤 상태인지를 전반적으로 관찰하는 것, 예를 들어 치아에 치태나 충치가 있는지, 치아에 파절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관찰하는 것이 기본이라 할 것인데, 이렇게 치아 상태를 관찰할 시 문제가 있는 부분을 정확히 구분하여 기록할 수 있다면 그 기록을 참고하게 될 사용자들(특히 치과의사)은 치과 치료 또는 치아 건강 유지에 있어 큰 도움을 얻게 될 수 있다. 위 도 5에서 제안하고 있는 덴탈 데이터 코드, 그 중에서도 좌표 코드에 추가정보를 부가하는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효과를 이끌어내는 데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6은 좌표 코드가 도 5에서와 같이 추가 숫자를 포함할 때 생성될 수 있는 2차원 표준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고할 때, 2차원 표준 이미지는 크게 구강 내 협측(Buccal)에서 본 치아들의 모습을 표시하고 있는 협측면도(501), 교합면측(Occlusal)에서 본 치아들의 모습을 표시하고 있는 교합면도(502), 그리고 설측(Linual)에서 본 치아들의 모습을 표시하고 있는 설측면도(503)로 나뉠 수 있다. 또한, 협측면도(501) 및 설측면도(503)는 도 5의 (a)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치아면 상에서의 각 영역들이 구별된 상태의 치아들을, 그리고 교합면도(502)는 도 5의 (b)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치아의 사각뿔대 상에서의 각 면들이 구별된 상태의 치아들을 도식화 하여 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내 "No occlusal"이라 표시된 부분은 교합면의 면적값이 작은 치아들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일반적으로 이 영역 치아들의 교합면은 단독으로 질병을 갖지 않고, 협측, 설측 등의 근접한 생체조직에 맞닿아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합면 자체에 대한 관찰보다는 그 주변에 대한 관찰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6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2차원 표준 이미지 내에 "No occlusal"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나, 실시예는 반드시 "No occlusal"영역을 가져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 모든 치아들의 교합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도 6에서의 2차원 표준 이미지는 도 3의 2차원 표준 이미지와 비교할 때 특히 교합면들의 배치를 달리하고 있는데, 비단 교합면들의 배열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관찰면들의 배열은 이 2차원 표준 이미지의 활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열은 치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것, 또는 일반인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형태의 것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별도로 덴탈 데이터 코드가 각 셀 내, 또는 각 셀 내부의 구획면들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술한 데이터 코드가 각 셀 내부에, 특히 각 셀 내부의 구획면들 별로 생성될 수 있음을 전술한 이상,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 코드가 도 6과 같은 이미지 내에도 함께 표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덴탈 데이터 코드의 생성 주체 및 생성 방법>
덴탈 데이터 코드, 또는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는 그 자체가 하나의 연산장치가 읽어 들일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라 할 것이며, 당연히 이러한 덴탈 데이터 코드의 생성 주체는 컴퓨터와 같은 연산장치(100)가 될 것이다. 연산장치(100)의 하드웨어적 구조에 대해 잠시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치아 정보 처리를 위한 연산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연산장치 (100)는 중앙처리유닛(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스토리지(4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버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유닛(10)은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유닛(1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e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형태의 중앙처리유닛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유닛(10)은 후술하게 될 다양한 방식의 치아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본 발명의 치아 정보 처리 방법을 위한 연산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그 밖의 공지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그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스토리지(4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메모리(30)의 하나로 RAM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30)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토리지(4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42)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41)은 메모리(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유닛(10)에 의해 후술하게 될 다양한 실시예들 내 포함되는 단계들을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50)는 이상 설명한 중앙처리유닛(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및 스토리지(40) 사이의 명령 및/또는 정보의 이동 경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치아 정보 처리방법을 위한 연산장치(100)는 유형의 물리적인 서버 또는 무형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구형의 물리적인 서버인 경우 그 설치 위치에 있어서 반드시 시술실에 국한시킬 필요가 없는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치아 정보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정보 처리방법을 위한 연산장치(100), 즉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연산장치(100)의 하드웨어적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연산장치(100)가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연산장치(100)는, 소위 치아 정보 처리방법을 실행시킴으로써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할 때, 연산장치(100)는 가장 먼저 치아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1)를 수행할 수 있다. 촬영 이미지란,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장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이다. 구강 전용 카메라(스캐너), 또는 반드시 구강 전용이 아니더라도 임의의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된 뒤 치아를 촬영하면 치아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들, 혹은 치아를 여러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촬영한 동영상이 레코딩 될 수 있는데, 연산장치(100)는 이러한 방식으로 치아들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산장치(100)는 치아 전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3)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개 이미지란 대상물의 표면을 평면상에 펼쳐 놓은 이미지를 의미하며, 따라서 치아 전개 이미지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각 치아들의 표면을 평면상에 펼쳐 놓은 이미지로 이해될 수 있다. 연산장치(100)는 앞서 획득한 촬영 이미지(들)를 대상으로 이미지 스티칭(Image Stitching)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미지 스티칭에 의해서는 여러 장의 이미지들이 서로 간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는 하나의 파노라믹 이미지와 같은 형태의 치아 전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스티칭 기술은 이미 관련 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연산장치(100)는 앞서 획득한 치아 전개 이미지를 대상으로 이미지 세그멘테이션(Image segmentation)을 실행함으로써 개별 치아면을 식별하는 단계(S105)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치아 전개 이미지로부터 치아면(齒牙面)들만을 추출하고, 각각의 추출한 치아면을 특정 치아로 식별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치아 전개 이미지 중에서 전방의 치아면을 추출해 낸 후 해당 치아면을 중절치(앞니)로 식별하는 과정이 본 단계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세그멘테이션이란, 디지털 영상을 여러 개의 픽셀 집합으로 나누는 과정을 일컫는데, 본 발명에서의 이미지 세그멘테이션은 특히 치아 전개 이미지에서 각 치아면들의 경계(선, 곡선)를 찾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세그멘테이션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임계값을 활용하는 방식, 에지 검출 방식, 영역 성장 방식, 텍스처 특징 값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연산장치(100)는, 이미지 세그멘테이션에 의해 치아면 영역이 식별된 후 그 치아면이 어떤 치아의 치아면인지를 식별하여야 하는데, 이 때 식별 과정에는 식별된 치아면이 가지는 특징점들, 식별된 치아면이 가지는 영역의 크기, 또는 식별된 치아면의 외형 등이 참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장치(100)는 어느 한 치아면이 특정 치아로 식별되었다면 그 특정 치아를 기준으로 삼아 인접해 있는 치아면들에 대한 치아 식별을 할 수도 있다.
참고로 S105 단계 중에서는 식별된 치아면들이 2차원의 표준 이미지로 재구성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된 치아면들은 앞서 도 3에서 본 복수 개의 셀(cell)들로 이루어진 2차원의 표준 이미지 내에 표시되되, 각 치아면들이 대응되는 셀 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관찰 가능한 전체 치아면들을 한 눈에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2차원 표준 이미지와 관련하여 부연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2차원 표준 이미지는 3차원 치아 이미지에 비해 용량이 작아 가볍기에 데이터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같은 스토리지 공간이라면 더 많은 양의 치아 정보들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2차원 표준 이미지는 용량이 작기에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의 속도가 3차원 치아 이미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의 속도에 비해 빠르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2차원 표준 이미지는 3차원 치아 이미지에 비하여 치태, 충치 등 각 치아들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2차원 표준 이미지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는 각 치아의 뿌리측 면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치아의 뿌리에 해당되는 면은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촬영장치에 의해 뿌리측 면 스캔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나, 향후 치아의 뿌리측 면도 촬영이 가능한 촬영장치가 개발될 경우에는 당연히 치아의 뿌리측 관찰면도 상기 2차원 표준 이미지 상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2차원 표준 이미지에서는 전치부 상악의 교합면과 전치부 하악의 교합면이 표시되지 않는데, 이는 굳이 이미지 데이터화를 하지 않더라도 술자가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전치부의 상하악 교합면은 그 교합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 이미지화가 어려운 점 등의 이유에 기한 것이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상기 전치부 상하악 교합면 역시 필요에 따라 2차원 표준 이미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개별 치아면이 식별된 후, 연산장치(100)는 각 치아 별로 덴탈 데이터 코드를 연산(S107)할 수 있다. 즉, 본 단계에서 연산장치(100)는 식별된 각 치아들에 덴탈 데이터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덴탈 데이터 코드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좌표 코드, 검사 코드, 및 평가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좌표 코드는 앞선 S105단계에서 식별된 치아면이 특정 치아로 식별되었을 때 결정될 수 있으며, 검사 코드 및 평가 코드는 상기 식별된 치아면에 대해 이루어진 검사(분석)의 종류, 상기 치아를 촬영하는 데에 사용된 장치의 종류, 또는 검사(분석)에 따른 결과값 등을 기초로 그 값이 정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검사 코드 및 평가 코드와 관련하여, 연산장치(100)는 별도로 획득 및 저장되어 있는 구강 검진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검사 코드 및 평가 코드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구강 검진 데이터란, 구강 내 치아 또는 조직의 검사를 한 결과가 데이터화 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구강 검진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필터를 이용하여 형광이미지를 촬영하는 바이오필름 형광검사(큐레이검사)용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검사하였을 경우에는 치아 표면에 미생물 활성 정도에 따라 형광색을 띤 이미지가 촬영되는데,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 역시 구강 검진 데이터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또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충치 형성 상황이나 플라그 형성 상황을 이미지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는데 이 역시 구강 검진 데이터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구강 검진 데이터는 반드시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구강 검진 데이터는 숫자,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텍스트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검진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일 경우, 상기 구강 검진 데이터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연산장치(100)는 상기 식별된 치아에 대해 검사 코드 및 평가 코드를 부여함에 있어 전술한 구강 검진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으며, 구강 검진 데이터를 기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그로부터 값을 산출한 뒤 산출된 값을 상기 검사 코드 및 평가 코드로 활용할 수 있다.
연산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S101단계 내지 S107단계를 거쳐 각 치아 별로 덴탈 데이터 코드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연산된 덴탈 데이터 코드는 그 자체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2차원 표준 이미지의 형태로 구성되어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연산장치(100)가 제2 실시예에 따라 치아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할 때, S201단계 내지 S205단계까지는 앞선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207단계는 개별 치아면을 분석하는 단계(S207)로, 연산장치(100)는 상기 S205단계에서 식별된 개별 치아면들에 대해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의 분석은,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처리를 수반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07단계에 의해 분석 가능한 치아 이상의 종류에는, 치관잔금, 치관파절, 복잡치관파절, 치근파절, 치관-치근파절 등과 같이 치아 표면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된 손상, 충치나 치태 등과 같이 세균성 원인에 의해 치질이 파괴되는 질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S207단계에서는 앞서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잠시 언급하였던 큐레이검사 방식도 활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연산장치(100)는 개별 치아면에 대한 분석을 마친 후 각 치아별로 덴탈 데이터 코드를 부여(S209)함으로써 전체 치아들에 대한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를 완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개별 치아면들을 식별한 이미지 또는 개별 치아면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3차원 이미지를 구성(S210)할 수도 있다.
S209단계에서는 모든 치아들에 대해 덴탈 데이터 코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덴탈 데이터 코드는 또 다른 연계 서비스단에 제공되어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S210단계는 연산장치(100)가 별도로 획득한 3차원 데이터에 상기 식별된 개별 치아면, 또는 상기 치아 전개 이미지 중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쉽게 말하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사전에 3차원 촬영해 두었던 데이터가 존재함을 전제로, 상기 3차원 데이터 상에 앞서 획득한 치아면들을 덧씌우는 과정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3차원 데이터의 종류에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엑스레이 데이터, 또는 CT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를 3차원 좌표계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들이 존재한다면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연산장치(100)가 개별 치아면 이미지들을 상기 3차원 데이터에 병합시킴에 있어, 상기 연산장치(100)는 3차원 데이터와 2차원의 개별 치아별 이미지를 비교하되, 복수 개의 특징점들을 정하고 이들 특징점들이 매칭되는 형상을 탐색함으로써 상기 3차원 데이터에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씌울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3차원 이미지는 전문가(치과 의사)나 환자 개인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3차원 이미지는 이들로 하여금 환자 또는 자신의 치아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정보 처리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덴탈 데이터 코드 또는 덴탈 데이터 코드 세트 또는 2차원 표준 이미지가 생성되었을 때, 이러한 결과물들이 추가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고할 때, 덴탈 데이터 코드 등은 재차 연산장치(100) 내에서 가공될 수 있으며, 가공에 따라 유의미한 부가정보로 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산장치(100) 내에는 덴탈 데이터 코드 등을 기초로 부가적인 정보를 생성해 내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가공 플랫폼(60), 가령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는 덴탈 데이터 코드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초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실제 덴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예. 치과 의사, 치과 병원 직원 등), 또는 홈케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예. 가정 내에서 구강 관리용 장치를 사용하는 자)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또는 리포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가공 플랫폼(60)은, 구체적으로, 각 환자에 맞는 구강 관리법을 기록한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리포트 내에는 환자가 어떤 치아들을 특히 유의하여 관리하여야 하는지, 칫솔질은 어떤 방식으로 하여야 하는지, 치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식습관을 가져야 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데이터 가공 플랫폼(60)은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 등을 기초로 치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들이 활용 가능한 백업 데이터들을 제공함으로써 치과 의사 등의 전문가들이 직접 환자를 대상으로 처방을 내릴 때에 참조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치아정보 처리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모두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프로세서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 메모리
40: 스토리지
41: 컴퓨터 프로그램
50: 데이터 버스
60: 데이터 가공 플랫폼
100: 연산장치

Claims (5)

  1.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장치가 치아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가 획득한 치아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하여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는, 적어도 각 치아의 구강 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좌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정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는,
    치아 검사 항목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검사 코드; 및
    검사된 치아의 검사 결과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가 코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정보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치아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초로 치아 전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전개 이미지로부터 개별 치아면을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정보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치아 전개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개별 치아면들이, 기 저장되어 있는 3차원 데이터와 병합되어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정보 처리 방법.
  5. 치아정보 처리를 위한 연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는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연산장치가 획득한 치아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하여 덴탈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되,
    상기 덴탈 데이터 코드는, 적어도 각 치아의 구강 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좌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산장치.
KR1020210064533A 2021-05-20 2021-05-20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KR20220157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33A KR20220157025A (ko) 2021-05-20 2021-05-20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PCT/KR2022/007192 WO2022245160A1 (ko) 2021-05-20 2022-05-19 임상 진단 및 처방을 위한 진료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23567128A JP2024516688A (ja) 2021-05-20 2022-05-19 臨床診断及び処方のための診療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33A KR20220157025A (ko) 2021-05-20 2021-05-20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25A true KR20220157025A (ko) 2022-11-29

Family

ID=8423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533A KR20220157025A (ko) 2021-05-20 2021-05-20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0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22B1 (ko) 2020-04-13 2020-11-19 주식회사 룰루랩 멀티모달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분산형 엣지 컴퓨팅 기반 피부 질환 분석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22B1 (ko) 2020-04-13 2020-11-19 주식회사 룰루랩 멀티모달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분산형 엣지 컴퓨팅 기반 피부 질환 분석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0534B1 (en) Dental variation tracking and prediction
KR102267197B1 (ko) 디지털 치아 영상에 치아 진료 데이터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15215B1 (ko) 구강내 스캔 중 관심 구역의 식별
US2021011813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Orthodontic Measurement, Treatment Planning, And Risk Assessment
KR20180090308A (ko) 디지털 치과 차트들을 파퓰레이팅하기 위한 치아 상태 정보의 도출
JP2017520292A (ja) 3d頭部計測分析の方法
US11450426B2 (en) Tooth virtual editing method and system,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246269A1 (en)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mplant structur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nd teeth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WO2023274690A1 (en) Non-invasive periodontal examination
Deleat-Besson et al. Automatic segmentation of dental root canal and merging with crown shape
KR20150075125A (ko) 악골 분석방법, 악골 분석 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23099629A (ja) 識別装置、スキャナシステム、識別方法、および識別用プログラム
KR20220157025A (ko) 치아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Mitchell et al. Diagnosis of pit-and-fissure caries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d images
KR102200060B1 (ko)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1360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for clin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Umar Clinical decision-making using computer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KR102369100B1 (ko) 멀티 파노라마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JP2024516688A (ja) 臨床診断及び処方のための診療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Silva-Dantas et al. Accuracy of linear measurements of dental models scanned through 3d scanner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comparison with plaster models
JP7267974B2 (ja) 識別装置、スキャナシステム、識別方法、および識別用プログラム
Ünsal et al. Deep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CN117242529A (zh) 提供用于临床诊断和处方的诊疗服务的方法及其系统
US11456063B2 (en)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Crasto et al. ROLE AND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NTISTRY: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