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517A - elevating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517A
KR20220156517A KR1020227023694A KR20227023694A KR20220156517A KR 20220156517 A KR20220156517 A KR 20220156517A KR 1020227023694 A KR1020227023694 A KR 1020227023694A KR 20227023694 A KR20227023694 A KR 20227023694A KR 20220156517 A KR20220156517 A KR 20220156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ail
stator module
lifting device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아키 시모요시
다이스케 타카시마
Original Assignee
니혼토무손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토무손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토무손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5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60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near Motor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승강 장치(1)는, 제 1 베이스부(10)와, 제 2 베이스부(40)와, 제 1 레일(21A, 21B)과, 제 1 슬라이더(61A, 61B)와, 제 1 고정자 모듈(31)과, 복수의 제 1 자석(51)과, 테이블(70)과, 제 2 레일(22A, 22B)과, 제 2 슬라이더(62A, 62B)와, 제 2 고정자 모듈(32)과, 복수의 제 2 자석(52)을 포함한다.The lifting device 1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10, a second base portion 40, first rails 21A and 21B, first sliders 61A and 61B, and a first stator module ( 31),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a table 70, second rails 22A and 22B, second sliders 62A and 62B, a second stator module 32, and a plurality of It includes a second magnet 52 of.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Description

승강 장치elevating device

본 개시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3월 31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 제2020-06240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국 특허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援用)하는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lift device.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0-062407 filed on March 31, 2020, and incorporates all contents described i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제 1 베이스부와,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베이스부와, 제 1 베이스부와 제 2 베이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2 베이스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 기구와, 테이블과, 테이블과 제 2 베이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테이블을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승강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제 1 구동 기구 및 제 2 구동 기구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회전에 연동(連動)하여 이동 가능한 너트를 포함하는 볼 나사이다.A first base part, a second base part having an inclined surface, a first drive mechanism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and moving the second base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able, and a table and a second base part. BACKGROUND ART There is known a lifting device provided between two base parts and having a second drive mechanism for moving a table along an inclined surface (for example, refer to Patent Literature 1). In Patent Literature 1, the first drive mechanism and the second drive mechanism are ball screws including a screw shaft and a nut movable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screw shaft.

특허문헌 1 : 일본 실개평 제6-5304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ublication No. 6-53042

상기 특허문헌 1의 승강 장치에서는, 제 1 구동 기구 및 제 2 구동 기구가 볼 나사이기 때문에, 승강 장치의 단면(斷面) 높이(승강 장치를 설치한 설치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승강 장치의 단면 높이를 작게 하는, 즉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콤팩트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In the lift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first driving mechanism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are ball screws, the cross-sectional height of the lifting device (the lifting devi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lifting device is installed) height) may increase. In the lifting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height of the lifting device is reduced, that is, one capable of achieving compactness. Then, one of the objects is to provide an elevating device capable of achieving compactness.

본 개시에 따른 승강 장치는, 평면 모양의 제 1 면을 가지는 제 1 베이스부와, 제 1 면에 대향(對向)하는 평면 모양의 제 2 면과, 제 1 면에 수직인 방향인 제 1 방향에 있어서 제 2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며, 제 1 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평면 모양의 제 3 면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부와,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고정되며,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 1 레일과, 제 1 면 및 제 2 면 중, 제 1 레일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제 1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1 슬라이더와,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고정되며, 제 1 레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코일을 가지는 제 1 고정자 모듈과, 제 1 면 및 제 2 면 중, 제 1 고정자 모듈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제 1 코일에 대향함과 함께, 자계(磁界)의 방향이 교호(交互)로 반대가 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자석과, 제 3 면에 대향하는 평면 모양의 제 4 면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제 3 면 또는 제 4 면에 고정되며, 제 1 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직선 모양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 1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투영된 투영상(投影像)에 있어서 제 1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레일과, 제 3 면 및 제 4 면 중, 제 2 레일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제 2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2 슬라이더와, 제 3 면 또는 제 4 면에 고정되며, 제 2 레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코일을 가지는 제 2 고정자 모듈과, 제 3 면 및 제 4 면 중, 제 2 고정자 모듈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제 2 코일에 대향함과 함께, 자계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자석을 구비한다.An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having a planar first surface, a planar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base portion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in the direction and including a planar thir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fixed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an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 first rail, a first slider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rail is not fixed, and a first slider capable of traveling on the first rail, and fixed to the first or second surface, A first stato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oil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a first rail,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stator module is not fixed,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facing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In addition, a tabl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reversed, and a fourth surface of a planar shape opposite to the third surface; Or a second fixed to the fourth surfac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rail in a projected image projected on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slider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second rail is not fixed, among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and a second slider capable of traveling on the second rail, and fixed to the third or fourth surface, the second rail A second stato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coils disposed side by side along the , and among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the second stator module is fixed to a non-fixed surface, and faces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reversed.

상기 승강 장치에 의하면,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lifting device, compactness can be achieved.

[도 1] 도 1은,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 도 3은,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 도 4는, 제 2 지지부, 제 3 지지부, 제 2 레일, 제 2 슬라이더, 제 2 고정자 모듈,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제 1 자석, 제 2 베이스부, 제 2 레일, 제 2 슬라이더, 제 2 고정자 모듈,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도 6은, 제 2 슬라이더,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및 제 1 자석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및 제 1 자석을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 도 9는,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제 1 자석 및 제 2 부분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승강 장치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 도 12는, 승강 장치가 승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승강 장치가 승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Fig. 1]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ing device.
[Fig. 2]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ing device.
[Fig. 3]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ing device.
[Fig. 4]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upport part, the third support part, the second rail, the second slider, the second stator module,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
[Fig. 5]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 the second base part, the second rail, the second slider, the second stator module,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to be.
[Fig. 6]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lider,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Fig. 7]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and the first magnet are removed.
[Fig. 8]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and the first magnet are removed.
[Fig. 9]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part are removed.
[Fig. 10]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the first magnet,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to be.
[Fig. 11]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lifting device.
[Fig. 12] Fig. 1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is moving up and down.
[Fig. 13] Fig. 13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is moving up and down.

[실시형태의 개요][Overview of Embodiments]

최초로 본 개시의 실시 태양(態樣)을 열기(列記)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승강 장치는, 평면 모양의 제 1 면을 가지는 제 1 베이스부와, 제 1 면에 대향하는 평면 모양의 제 2 면과, 제 1 면에 수직인 방향인 제 1 방향에 있어서 제 2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며, 제 1 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평면 모양의 제 3 면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부와,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고정되며,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 1 레일과, 제 1 면 및 제 2 면 중, 제 1 레일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제 1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1 슬라이더와,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고정되며, 제 1 레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코일을 가지는 제 1 고정자(固定子) 모듈과, 제 1 면 및 제 2 면 중, 제 1 고정자 모듈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제 1 코일에 대향함과 함께, 자계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자석과, 제 3 면에 대향하는 평면 모양의 제 4 면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제 3 면 또는 제 4 면에 고정되며, 제 1 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직선 모양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 1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투영된 투영상에 있어서 제 1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레일과, 제 3 면 및 제 4 면 중, 제 2 레일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제 2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2 슬라이더와, 제 3 면 또는 제 4 면에 고정되며, 제 2 레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코일을 가지는 제 2 고정자 모듈과, 제 3 면 및 제 4 면 중, 제 2 고정자 모듈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제 2 코일에 대향함과 함께, 자계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자석을 구비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first listed and described. An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having a planar first surface, a planar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base unit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base portio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and including a third flat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first rail fixed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an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 amo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 first slider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rail is not fixed and capable of traveling on the first rail, and a first slider fixed to the first or second surface and along the first rail A first stato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oils arranged side by side,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stator module is not fixed,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facing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With,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reversed, and a table including a fourth surface of a planar shape opposite to the third surface, and fixed to the third or fourth surface, , Of the second rail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rail in a projected image projected on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 a second slider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second rail is not fixed and capable of traveling on the second rail, and a plurality of second coils fixed to the third or fourth surface and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second rail The branches are fixed to the second stator module and the surface to which the second stator module is not fixed, of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facing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and side by side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magnetic fields are alternately reverse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are disposed.

본 개시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제 1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 1 베이스부와 제 1 자석 사이의 자속(磁束) 밀도를 변화시키고, 제 2 베이스부는 제 1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 2 베이스부와 제 2 자석 사이의 자속 밀도를 변화시키고, 테이블은 제 2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경사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In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the magnetic flux density between the first base and the first magnet is changed, and the second base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il extends. (e.g. horizontal direction). Further,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il, the magnetic flux density between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is changed, and the table can move along the direction (inclination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ail extends.

여기서, 예를 들면, 제 1 레일이 수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승강 장치를 설치하면, 제 2 레일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제 2 레일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이 θ(rad)인 경우, 테이블이 제 2 베이스부에 대하여 거리 d만큼 이동하면, 테이블은 연직(鉛直)방향으로 d×sin(θ)만큼 이동함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d×cos(θ)만큼 이동한다. 이때, 제 2 베이스부를 제 1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테이블의 수평방향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d×cos(θ)만큼 이동시킴으로써, 테이블을 수평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이동(승강)시킬 수 있다.Here, for example, if the lift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rail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the second rail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rai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θ (rad), when the table moves by the distance 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se, the table moves by d × sin (θ)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ly It moves by d×cos(θ) in the direction. At this time, the tabl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moving the second base part by d × cos (θ)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part ( can be lifted).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테이블을 연직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직동(直動) 안내 기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테이블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승강 장치는, 제 1 슬라이더나 제 2 슬라이더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원(驅動源)으로서 볼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 장치의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승강 장치에 의하면, 승강 장치의 콤팩트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table can be raised and lowered without providing a linear guide device that moves the t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since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use a ball screw a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first slider or the second slider, the lifting device can be made compact.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fting device capable of achieving compactness of the lifting device.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제 2 레일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 2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제 1 단부(端部)와,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2 베이스부에 대하여 테이블이 제 1 베이스부에 접근하도록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승강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멈추었을 때에 테이블이 제 1 베이스부에 접근하도록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가해지는 탄성 부재의 장력(張力)에 의해서, 제 1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지도록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The elevating device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second rail and includes a first end fixed to the second base and a second end fixed to the 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se, the table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regulating relative movement so as to approach the first base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By employ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able from slipping down so as to approach the first base portion when power supply to the elevating device is stopped. Further,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table makes it easy to move the table away from the first base portion.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탄성 부재는, 나사선 스프링이어도 된다. 나사선 스프링의 중심축이, 제 2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나사선 스프링은, 승강 장치의 탄성 부재로서 적합하다.In the lifting device, the elastic member may be a spiral spring. The central axis of the spiral spring may be arranged so as to foll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ail extends. A spiral spring is suitable as an elastic member of an elevating device.

상기 승강 장치에서는, 제 2 레일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며, 탄성 부재의 제 1 단부를 보지(保持, 보유지지)하는 제 1 접속부와, 제 1 관통 구멍을 관통함과 함께 테이블에 나사 결합되며, 제 1 접속부를 테이블에 대하여 고정하는 나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테이블에 대하여 제 1 접속부가 고정되는 위치를 제 2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조정하고, 테이블에 가해지는 탄성 부재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elevating devic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has a first through hole extending along the second rail and holds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table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It is screwed together and may further include a screw for fixing the first connector to the table. By adopting such a structure, the position where the 1st connector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able can be adjus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2nd rail extends, and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table can be adjusted.

[실시형태의 구체예][Specific examples of embodiments]

다음으로, 본 개시의 승강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Next, an example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Y축 방향은 제 1 면의 긴 변을 따른 방향이며, X축 방향은 제 1 면의 짧은 변을 따른 방향이고, Z축 방향은 제 1 면(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도 2는,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2 지지부, 제 3 지지부, 제 2 레일, 제 2 슬라이더, 제 2 고정자 모듈,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관점에서 일부 부품을 부분적으로 절단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4에 있어서, 해칭이 부가된 영역은, 단면(斷面)에 대응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1 자석, 제 2 베이스부, 제 2 레일, 제 2 슬라이더, 제 2 고정자 모듈,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2 슬라이더,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및 제 1 자석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및 제 1 자석을 떼어 낸 상태에 대응하며, 도 7과는 상이한 시점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제 1 자석 및 제 2 부분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는,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관점에서 일부 부품을 부분적으로 절단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있어서, 해칭이 부가된 영역은, 단면에 대응한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장치로부터 제 1 베이스부, 제 1 레일, 제 1 슬라이더, 제 1 고정자 모듈,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테이블을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ft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 the Y-axis direction is along the long side of the first surface, the X-axis direction is along the short sid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Z-axis direction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X-Y plane). to be.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Fig.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upport part, the third support part, the second rail, the second slider, the second stator module,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from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n Fig. 4, a state in which some parts are partially cut is shown from the viewpoint of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In Fig. 4, hatched regions correspond to cross sections. FIG.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 the second base portion, the second rail, the second slider, the second stator module,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lider,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and the first magnet are remov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and the first magnet are removed from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viewed from a different viewpoint from Fig. 7; .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part are removed. It is a perspective view. In Fig. 9, a state in which some parts are partially cut is shown from the viewpoint of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In Fig. 9, hatched regions correspond to cross sections. FIG. 10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rail, the first slider, the first stator module, the first magnet, the second magnet, and the table are removed.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1)는, 제 1 베이스부(10)와, 제 2 베이스부(40)와, 제 1 레일(21A, 21B)과, 제 1 슬라이더(61A, 61B)와, 제 1 고정자 모듈(31)과, 복수의 제 1 자석(51)을 구비한다. 승강 장치(1)는, 후술(後述)하는 코일과 자석을 사용한 이른바 리니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한다.1 to 4, the lifting devic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10, a second base portion 40, first rails 21A, 21B, First sliders 61A and 61B, a first stator module 31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are provided. The lifting device 1 uses, as a drive source, a so-called linear motor using a coil and a magne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 1 베이스부(10)는,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 1 베이스부(10)는, 장방형(長方形) 모양의 평면인 제 1 면(10A)을 포함한다. 제 1 면(10A)의 외연(外緣)에는, Y축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나사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10A)상에 제 1 레일(21A, 21B)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레일(21A, 21B)의 나사 구멍(212)이 형성된 위치와 제 1 베이스부(10)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나사(211)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레일(21A, 21B)은 제 1 베이스부(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제 1 레일(21A, 21B)은,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 1 레일(21A, 21B)은, Y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제 1 레일(21A)과, 제 1 레일(21B)은, X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The first base portion 10 has a flat plate shape. The first base portion 10 includes a first surface 10A which is a rectangular flat surface. A plurality of screw holes 13 ar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first surface 10A at intervals along the Y-axis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10A, first rails 21A and 21B are fixed.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212 of the first rails 21A and 21B are formed coincide with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first base part 10 are formed, and the screws 211 are screwed together. , the first rails 21A and 21B are fixed to the first base portion 10. 1st rail 21A, 21B has a shape extending linearly. 1st rail 21A, 21B is arrange|positioned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1st rail 21A and the 1st rail 21B are arrange|positioned at intervals in the X-axis direction.

도 4를 참조하여, 제 1 고정자 모듈(31)은, 제 1 면(10A)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고정자 모듈(31)은, 평판 모양의 기판(316)과, 복수의 제 1 코일(311)과, 몰드부(312)와, 코드(313), 보호 시트(314)를 포함한다. 기판(316)은, 제 1 면(10A)상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316)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와 제 1 베이스부(10)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기판(316)이 배치되며, 나사(315)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베이스부(10)에 대하여 기판(316)이 고정되어 있다. Z축 방향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보아, 기판(316)은, 장방형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기판(316)의 표면상에 복수의 제 1 코일(31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311)은, 전자석이다. 복수의 제 1 코일(311)은, Y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제 1 코일(311)은, 평판 환상(環狀)의 형상을 가진다. 제 1 코일(311)의 중심축은, X-Y 평면에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直交))한다. 복수의 제 1 코일(311)끼리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코일(311)에 전류를 흘렸을 때에 제 1 코일(311)의 자계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복수의 제 1 코일(311)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코일(311)은, 결선부(結線部)를 통해서 코드(3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드(313)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tator module 31 is fixed on the first surface 10A. The first stator module 31 includes a flat board 316 , a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 a mold part 312 , a cord 313 , and a protective sheet 314 . The substrate 316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10A. The board 316 is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board 316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first base part 10 is formed, and the screw 315 is The substrate 316 is fixed to the first base portion 10 by being screwed together. When viewed planarly from the Z-axis direction, the substrate 316 has a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316 . The first coil 311 is an electromagnet.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first coil 311 has a flat annular shape.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il 311 intersects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first coils 311 is alternately reversed.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d 313 via a connection portion. Cord 3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기판(316) 및 복수의 제 1 코일(311)을 덮도록 수지제의 몰드부(312)가 배치되어 있다. 몰드부(312)에 의해서, 복수의 제 1 코일(311)은 기판(316) 위에 고정되어 있다. 몰드부(312)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이다. 몰드부(312)의 표면을 덮도록 보호 시트(314)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 시트(314)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서 몰드부(312)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면(10A)의 짧은 변을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14, 15)가 제 1 면(10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14, 15)를 배치함으로써, 후술하는 제 2 베이스부(40)가 제 1 베이스부(10)로부터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4, 15)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와 제 1 베이스부(10)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엔드 플레이트(14, 15)가 배치되며, 나사(141, 151)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14, 15)는 제 1 베이스부(1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엔드 플레이트(14, 15)는, 패드(14A, 15A)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베이스부(10)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센서(11)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11)의 코드(11a)는, 제 1 베이스부(10)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밴드(12)에 의해서 보지(保持)되어 있다.A mold portion 312 made of resin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substrate 316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are fixed on the substrate 316 by the mold unit 312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old portion 312 is, for example, epoxy resin. A protective sheet 314 is disposed to cover the surface of the mold unit 312 . The protective sheet 314 is fixed to the mold part 312 by, for example, an adhesive. Along the short side of the first surface 10A, end plates 14 and 15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10A. By arranging the end plates 14 and 15,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40 described later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0. The end plates 14 and 15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end plates 14 and 15 are formed coincide with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first base part 10 are formed. , By screwing the screws 141 and 151, the end plates 14 and 15 are fixed to the first base portion 10. Referring to FIG. 2 , the end plates 14 and 15 have pads 14A and 15A.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sensor 1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base portion 10 in the Y-axis direction. The cord 11a of the sensor 11 is held by the support band 12 fixed to the 1st base part 1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2 베이스부(40)는, 제 1 지지부(41)와, 제 2 지지부(42)와, 제 3 지지부(43)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41)는,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 1 지지부(41)는, Z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면(41A)과, 면(41A)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 면으로서의 면(41B)을 포함한다. 면(41A, 41B)은, 각각 장방형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면(41B)은, 제 1 면(10A)에 대향한다. 면(41B)은, 제 1 면(10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지지부(42)는, 제 1 지지부(41)의 면(41A)에 접촉하도록, 제 1 지지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부(42)는, 사각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 2 지지부(42)는, 제 1 지지부(41)의 면(41A)에 접촉하는 측면(42B)과, Z축 방향에 있어서 측면(42B)과는 반대측의 측면(42A)과, 측면(42A)과 측면(42B)을 접속하는 측면(42C, 42D)을 포함한다. 측면(42A)은, X-Y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측면(42A)은, 평면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지지부(42)의 측면(42C)에는, 오목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3 지지부(43)는, 제 2 지지부(42)의 측면(42A)에 접촉하도록, 제 2 지지부(42)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지지부(43)는,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 3 지지부(43)는, 두께방향에 있어서 제 2 지지부(4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3 면으로서의 면(43A)을 포함한다. 면(43A)은, 장방형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면(43A)은, X-Y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면(43A)은, Z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지지부(42)로부터 보아 제 1 지지부(41)의 면(41B)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면(43A)의 외연(外緣)에는,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나사 구멍(433)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지지부(43)의 나사 구멍(433)이 형성된 위치와, 제 2 지지부(42)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제 3 지지부(43)가 배치되며, 나사(422)가 나사 구멍(433)에 나사 결합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second base portion 4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41 , a second support portion 42 , and a third support portion 43 .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has a flat plate shape.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includes one surface 41A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surface 41B as a second surfac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41A. The surfaces 41A and 41B each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surface 41B opposes the first surface 10A. The surface 41B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10A.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so as to contact the surface 41A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has a square columnar shape.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includes a side surface 42B contacting the surface 41A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a side surface 42A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42B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side surface 42A. ) and side surfaces 42C and 42D connecting the side surface 42B. The side surface 42A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42 A of side surfaces have a planar shape. Referring to FIG. 3 , a concave portion 421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42C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42A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has a flat plate shape. The 3rd support part 43 includes the surface 43A as a 3rd surface arrange|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2nd support part 4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urface 43A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urface 43A is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The surface 43A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41B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when viewed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in the Z-axis direction. Referring to FIG. 6 , a plurality of screw holes 433 ar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surface 43A at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The third support part 43 is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433 of the third support part 43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second support part 42 is formed, and the screw 422 )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433.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지지부(41)의 면(41B)에는, 복수의 제 1 코일(311)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 1 자석(51)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자석(51)은, 영구 자석이다. 제 1 자석(51)은, 직방체(直方體)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제 1 자석(51)은, 자계(磁界)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Y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제 1 코일(311)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이 N극의 자극(磁極)인 제 1 자석(51)과, 제 1 코일(311)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이 S극의 자극인 제 1 자석(51)이 교호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지지부(41)의 면(41B)에는, 한 쌍의 제 1 슬라이더(61A, 61B)가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2조(組, 세트) 고정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더(61A, 61B)의 나사 구멍(612)이 형성된 위치와 제 1 지지부(41)의 나사 구멍(613)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제 1 슬라이더(61A, 61B)가 배치되며, 나사(611)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지지부(41)에 대하여 제 1 슬라이더(61A, 61B)가 고정된다. 제 1 슬라이더(61A)와 제 1 슬라이더(61B)는, 복수의 제 1 자석(5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더(61A)는, 제 1 레일(21A) 위를 주행 가능하다. 제 1 슬라이더(61B)는, 제 1 레일(21B) 위를 주행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 1 슬라이더(61A)와 2개의 제 1 슬라이더(61B)가, 제 1 지지부(41)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지지부(41)의 면(41B)에는, 센서(11)에 대향하도록 리니어 스케일(411)이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are fixed to a surface 41B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311 . The first magnet 51 is a permanent magnet. The first magnet 51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Y-axis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reversed. More specifically,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surface of the side facing the first coil 311 is the N-pole magnetic pole of the first magnet 51, and the side facing the first coil 311 The first magnets 51, the surface of which is the magnetic pole of the south pole, are alternately arranged side by side. 4 and 5, a pair of first sliders 61A, 61B are fixed to the surface 41B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in two sets at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have. The first sliders 61A, 61B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612 of the first sliders 61A, 61B are formed coincide with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613 of the first support part 41 are formed, and the screws ( 611 is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first sliders 61A and 61B are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41 . The first slider 61A and the first slider 61B are disposed with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slider 61A can travel on the first rail 21A. The first slider 61B can run on the first rail 21B. In this embodiment, the two first sliders 61A and the two first sliders 61B are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 A linear scale 411 is fixed to the surface 41B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 so as to face the sensor 11 .

도 6∼도 9를 참조하여, 승강 장치(1)는, 제 2 레일(22A, 22B)과, 제 2 슬라이더(62A, 62B)와, 제 2 고정자 모듈(32)과, 복수의 제 2 자석(52)과, 테이블(70)을 더 구비한다. 제 2 레일(22A, 22B)은, 제 3 지지부(43)의 면(4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레일(22A, 22B)의 나사 구멍(212)이 형성된 위치와, 제 3 지지부(43)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제 2 레일(22A, 22B)이 배치되며, 나사(212)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3 지지부(43)에 대하여 제 2 레일(22A, 22B)이 고정되어 있다. 제 2 레일(22A, 22B)은,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 2 레일(22A, 22B)은, 제 1 면(10A)에 경사진다. Z축 방향에 수직인 X-Y 평면에 제 1 레일(21A, 21B) 및 제 2 레일(22A, 22B)을 투영한 투영상(投影像)에 있어서, 제 1 레일(21A, 21B)과 제 2 레일(22A, 22B)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레일(22A)과, 제 2 레일(22B)은, X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레일(22A)과 제 2 레일(22B)의 간격은, 제 1 레일(21A)과 제 1 레일(21B)의 간격과 동일하다. 도 6에 있어서, 화살표 W는, 제 2 레일(22A, 22B)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6 to 9, the elevating device 1 includes second rails 22A and 22B, second sliders 62A and 62B, a second stator module 32,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52) and a table (70) are further provided. The second rails 22A and 22B are disposed on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 The second rails 22A, 22B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212 of the second rails 22A, 22B are formed coincide with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are formed. , 2nd rails 22A, 22B are fixed with respect to the 3rd support part 43 by screwing the screw 212 together. 2nd rail 22A, 22B has a shape extended in a straight line shape. The second rails 22A and 22B incline with the first surface 10A. In a projected image obtained by projecting the first rails 21A, 21B and the second rails 22A, 22B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Z-axis direction, the first rails 21A, 21B and the second rail (22A, 22B)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2nd rail 22A and the 2nd rail 22B are arrange|positioned at intervals in the X-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pace|interval of the 2nd rail 22A and the 2nd rail 22B in the X-axis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space|interval of the 1st rail 21A and the 1st rail 21B. In Fig. 6, an arrow W is a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ails 22A and 22B extend.

도 9를 참조하여, 제 2 고정자 모듈(32)은, 제 3 지지부(43)의 면(43A)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고정자 모듈(32)은, 평판 모양의 기판(326)과, 복수의 제 2 코일(321)과, 몰드부(322)와, 코드(323)와, 보호 시트(324)를 포함한다. 기판(326)은, 제 3 지지부(43)의 면(4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326)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와 제 3 지지부(43)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기판(326)이 배치되며, 나사(325)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3 지지부(43)에 대하여 기판(326)이 고정된다. 기판(326) 위에 복수의 제 2 코일(321)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321)은 전자석이다. 복수의 제 2 코일(321)은, 화살표(W)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제 2 코일(321)은, 평판 환상(環狀)의 형상을 가진다. 제 2 코일(321)의 중심축은, 면(43A)에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한다. 복수의 제 2 코일(321)끼리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코일(321)에 전류를 흘렸을 때에 제 2 코일(321)의 자계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복수의 제 2 코일(321)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코일(321)은, 결선부를 통해서 코드(3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드(323)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 stator module 32 is fixed on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43 . The second stator module 32 includes a flat substrate 326, a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 mold part 322, a cord 323, and a protective sheet 324. The substrate 326 is disposed on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 The board 326 is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board 326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third support part 43 is formed, and the screw 325 is screwed. By being coupled, the substrate 326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art 43 . A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326 . The second coil 321 is an electromagnet.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The second coil 321 has a flat annular shape.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il 321 intersects the surface 43A (orthogonal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re arranged so that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second coils 321 is alternately reversed.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d 323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Cord 3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기판(326) 및 복수의 제 2 코일(321)을 덮도록 수지제의 몰드부(322)가 배치되어 있다. 몰드부(322)에 의해서, 복수의 제 2 코일(321)은 기판(326) 위에 고정되어 있다. 몰드부(322)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이다. 몰드부(322)의 표면을 덮도록 보호 시트(324)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 시트(324)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몰드부(322)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지지부(43)의 면(43A)의 짧은 변을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434, 436)가 면(43A) 위에 배치된다. 엔드 플레이트(434, 436)를 배치함으로써, 후술하는 테이블(70)이 제 3 지지부(43)로부터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434, 436)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와 제 3 지지부(43)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엔드 플레이트(434, 436)가 배치되며, 나사(435, 437)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434, 436)는 제 3 지지부(43)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434, 436)는, 각각 패드(434A, 436A)를 가진다. 제 3 지지부(43)의 면(43A)의 긴 변의 중앙에는, 센서(431)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431)의 코드(431a)는, 제 3 지지부(4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밴드(432)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A mold portion 322 made of resin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substrate 326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are fixed on the substrate 326 by the mold unit 322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old portion 322 is, for example, epoxy resin. A protective sheet 324 is disposed to cover the surface of the mold part 322 . The protective sheet 324 is fixed to the mold part 322 by, for example, an adhesive. Along the short side of the 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43, end plates 434 and 436 are disposed on the face 43A. By arranging the end plates 434 and 436,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able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protruding from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43. The end plates 434 and 436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end plates 434 and 436 are formed coincide with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third support part 43 are formed, When the screws 435 and 437 are screwed together, the end plates 434 and 436 are fixed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 The end plates 434 and 436 each have pads 434A and 436A. A sensor 431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ng side of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 The cord 431a of the sensor 431 is held by a support band 432 fixed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

도 7∼도 9를 참조하여, 테이블(70)은, 제 1 부분(71)과, 제 2 부분(72)을 포함한다. 제 1 부분(71)은,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 1 부분(71)은,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면(71A)과, 면(71A)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4 면으로서의 면(71B)을 포함한다. 면(71A, 71B)은, 장방형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면(71B)은, 제 3 지지부(43)의 면(43A)에 대향한다. 면(71B)은, 면(43A)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부분(72)은, 제 1 부분(71)의 면(71A) 위에 접촉하도록, 제 1 부분(71)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부분(72)의 나사 구멍(722)이 형성된 위치와 제 1 부분(71)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제 2 부분(72)이 배치되며, 나사(721)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부분(71)에 대해서 제 2 부분(72)이 고정되어 있다. 제 2 부분(72)은, 사각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 2 부분(72)은, Z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부분(72)의 제 1 부분(71)과는 반대측의 측면(72A)을 포함한다. 측면(72A)은, 평면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측면(72A)은, X-Y 평면에 평행하다.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table 70 includes a first part 71 and a second part 72 . The first part 71 has a flat plate shape. The first part 71 includes one surface 71A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urface 71B as a fourth surfac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71A. The surfaces 71A and 71B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surface 71B opposes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 The surface 71B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urface 43A. The second part 72 is fixed to the first part 71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71A of the first part 71 . The second part 72 is dispos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722 of the second part 72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first part 71 is formed, and the screw 721 By being screwed together, the second part 72 is fixed to the first part 71 . The second part 72 has a square columnar shape. The second portion 72 includes a side surface 72A opposite to the first portion 71 of the second portion 72 in the Z-axis direction. 72 A of side surfaces have a planar shape. 72 A of side surfaces are parallel to the X-Y plane.

도 9를 참조하여, 제 1 부분(71)의 면(71B)에는, 복수의 제 2 코일(321)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 2 자석(52)이 고정되어 있다. 제 2 자석(52)은, 영구 자석이다. 제 2 자석(52)은, 직방체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제 2 자석(52)은, 자계의 방향이 교호(交互)로 반대가 되도록 화살표(W)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코일(321)에 대향하는 표면에 N극의 자극을 가지는 제 2 자석(52)과, 제 2 코일(321)에 대향하는 표면에 S극의 자극을 가지는 제 2 자석(52)이 교호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부분(71)의 면(71B)에는, 한 쌍의 제 2 슬라이더(62A, 62B)가 고정되어 있다. 제 2 슬라이더(62A, 62B)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와 제 1 부분(71)의 나사 구멍(622)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나사(621)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슬라이더(62A, 62B)는 제 1 부분(71)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 2 슬라이더(62A)와 제 2 슬라이더(62B)는, 복수의 제 2 자석(5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2 슬라이더(62A)는, 제 2 레일(22A) 위를 주행 가능하다. 제 2 슬라이더(62B)는, 제 2 레일(22B) 위를 주행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 2 슬라이더(62A)와, 2개의 제 2 슬라이더(62B)가 제 1 부분(71)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부분(71)의 면(71B)에는, 센서(431)에 대향하도록 리니어 스케일(711)이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52 are fixed to a surface 71B of the first portion 71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321 . The second magnet 52 is a permanent magnet. The second magnet 52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52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reversed. More specifically, a second magnet 52 having an N-pole magnetic pole on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coil 321 and a S-pole magnetic pole on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coil 321 (52) are alternately arranged side by side. 9 and 10, a pair of second sliders 62A, 62B are fixed to the surface 71B of the first part 71.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not shown) of the second sliders 62A and 62B are formed coincide with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holes 622 of the first part 71 are formed, and the screws 621 are screwed together. The second sliders 62A and 62B are fixed relative to the first part 71 . The second slider 62A and the second slider 62B ar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5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slider 62A can travel on the second rail 22A. The second slider 62B can travel on the second rail 22B. In this embodiment, the two second sliders 62A and the two second sliders 62B are attached to the first part 71 . A linear scale 711 is fixed to the surface 71B of the first part 71 so as to face the sensor 431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승강 장치(1)는, 탄성 부재로서의 나사선 스프링(81)과, 제 1 접속부(82)와, 제 2 접속부(83)를 더 구비한다. 제 1 접속부(82)는, 강판이 굴곡(屈曲)된 구조를 가진다. 제 1 접속부(82)는, 평판 모양의 헤드(821)와, 평판 모양의 접속부(822)와, 평판 모양의 굴곡부(823)를 포함한다. 접속부(822)는, 헤드(821)의 외연으로부터 Y-Z 평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굴곡부(823)는, 접속부(822)의 헤드(821)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X축 방향을 따라서 굴곡한다. 굴곡부(823)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2B)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821)에는, 화살표(W)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관통 구멍(82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부(82)의 제 1 관통 구멍(82A)이 형성된 위치와 제 2 부분(72)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제 1 접속부(82)가 배치되며, 2개의 나사(84)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접속부(82)는 제 2 부분(7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 2 접속부(83)는, 강판이 굴곡된 구조를 가진다. 제 2 접속부(83)는, 평판 모양의 판 모양부(板狀部)(831)와, 판 모양부(831)의 외연으로부터 Y-Z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평판 모양의 굴곡부(832)를 포함한다. 굴곡부(832)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3A)이 형성되어 있다. 판 모양부(831)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와 제 2 지지부(42)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도록 제 2 접속부(83)가 배치되며, 나사(85)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접속부(83)는 제 2 지지부(42)에 대하여 고정된다. 나사선 스프링(81)의 한쪽 단부에는, 제 1 계합부(係合部)(811)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선 스프링(81)의 다른쪽 단부에는, 제 2 계합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계합부(811)는, 제 1 접속부(82)의 관통 구멍(82B)에 삽통(揷通)되어 있다. 제 2 계합부(812)는, 제 2 접속부(83)의 관통 구멍(83A)에 삽통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나사선 스프링(81)은, 제 1 접속부(82)와 제 2 접속부(83)를 접속한다. 나사선 스프링(81)은, 제 2 베이스부(40)에 대하여 테이블(70)이 화살표(W)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elevating device 1 further includes a screw spring 81 as an elastic member, a first connecting portion 82 ,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83 . The 1st connection part 8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plate was b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2 includes a flat head 821, a flat connecting portion 822, and a flat bent portion 823. The connecting portion 822 is disposed along the Y-Z plane from the outer edge of the head 821 . The bent portion 823 is bent along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822 on the opposite side to the head 821 . A through hole 82B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823 . The head 821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82A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W.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82 is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82A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82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second part 72 is formed. By screwing the screw 84,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rt 72.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3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eel plate is ben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3 includes a flat plate-shaped portion 831 and a flat-shaped bent portion 832 dispose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late-shaped portion 831 along the Y-Z plane. A through hole 83A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832 .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3 is dispos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plate-shaped portion 831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hole (not shown) of the second support part 42 is formed, and the screw ( 85) is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83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 At one end of the spiral spring 81, a first engaging portion 81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piral spring 81, a second engaging portion 812 is forme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811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82B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82 .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8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83A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83 . In this way, the helical spring 81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3. The spiral spring 81 can restric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able 7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se portion 40 .

도 11을 참조하여, 승강 장치(1)는, 제어부(80)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제 1 고정자 모듈(31)의 제 1 코일(311)과, 제 2 고정자 모듈(32)의 제 2 코일(321)과, 센서(11, 4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80)는, 센서(11, 431)의 출력 신호(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코일(311) 및 제 2 코일(321)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제 2 베이스부(40)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수평방향의 위치), 및 테이블(70)의 화살표(W)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경사방향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도 11은, 도시되어 있는 내용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센서(11, 431)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lift device 1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80 . The controller 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311 of the first stator module 31, the second coil 321 of the second stator module 32, and the sensors 11 and 431. . 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311 and the second coil 321 based on the output signal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s 11 and 431, thereby The position in the Y-axis direc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wo-base part 40 and the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of the table 70 (position in the inclined direction) are controlled. In Fig. 11, description of the sensors 11 and 431 is omitt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shown.

다음으로, 테이블(70)이 승강할 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1 레일(21A, 21B)이 수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승강 장치(1)를 설치한다. 제 2 레일(22A, 22B)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이 θ(rad)인 경우, 테이블(70)이 제 2 베이스부(40)에 대해서 거리 d만큼 이동하면, 테이블은 연직방향으로 d×sin(θ)만큼 이동함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d×cos(θ)만큼 이동한다. 이때, 제 2 베이스부(40)를 제 1 베이스부(10)에 대해서, 상기 테이블(70)의 수평방향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d×cos(θ)만큼 이동시킴으로써, 테이블(70)을 수평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이동(승강)시킬 수 있다.Next, operation when the table 70 moves up and dow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the elevating apparatus 1 is installed so that 1st rail 21A, 21B may become parallel to a horizontal surfac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rails 22A and 22B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θ (rad), when the table 70 moves by the distance 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se portion 40, the tab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 × sin ( It moves by θ) and moves by d×cos(θ)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table 70 is moved horizontally by moving the second base part 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table 70 by d×cos(θ)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part 10. It can be moved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al position.

도 12를 참조하여, 제 2 베이스부(40)를 화살표(L1)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테이블(70)을 화살표(R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 장치(1)를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블(70)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 2 베이스부(40)를 화살표(L2)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테이블(70)을 화살표(R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 장치(1)를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블(70)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ile moving the 2nd base part 4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1 , the lifting device 1 is controlled so as to move the table 7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1 . By doing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table 70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lowered. Referring to FIG. 13, while moving the 2nd base part 40 in the direction of arrow L2, the elevator apparatus 1 is controlled so that the table 70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R2 . By doing in this way, the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table 70 can be rais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1)에 의하면, 테이블(70)을 연직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직동(直動) 안내 기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테이블(7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승강 장치는, 제 1 슬라이더(61A, 61B)나 제 2 슬라이더(62A, 62B)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볼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 장치(1)의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1)에 의하면, 콤팩트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 장치(1)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lifting apparatus 1 in this embodiment, the table 70 can be raised and lowered, even if it does not install the linear motion guide apparatus which moves the table 7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use a ball screw a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first sliders 61A and 61B and the second sliders 62A and 62B, the lifting device 1 can be made compact. can do. Thus, according to the lifting device 1 in this embodiment, the lifting device 1 capable of achieving compactness is provid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1)는, 공작 기계, 각종 조립 장치, 시험 장치, 또는 반도체 제조 장치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 장치(1)는, 가공, 조립 또는 검사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피처리 대상물을 재치(載置)한 테이블(70)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때에, 테이블(70)의 제 2 부분(72)의 측면(72A)은, 피처리 대상물의 재치면이 된다.The lifting device 1 in this embodiment is applicable to a machine tool, various assembling devices, testing device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s, and the like. The lifting device 1 in this embodiment is applicable to a lifting device that lifts a table 70 on which a target object to be processed is placed in order to perform processing such as processing, assembling, or inspection. At this time, the side surface 72A of the second portion 72 of the table 70 serves as a mounting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장치(1)는, 나사선 스프링(81)을 구비한다. 나사선 스프링(81)의 한쪽 단부는 제 1 접속부(82)에 보지되며, 다른쪽 단부는 제 2 접속부(83)에 보지되어 있다. 나사선 스프링(81)의 중심축은, 화살표(W)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승강 장치(1)로의 전력 공급을 멈추었을 때에 테이블(70)이 제 1 베이스부(10)에 접근하도록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70)에 가해지는 나사선 스프링(81)의 장력에 의해서, 제 1 베이스부(10)로부터 떨어지도록 테이블(70)을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로서 나사선 스프링(81)을 채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탄성 부재로서 화살표(W)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무를 채용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elevating device 1 includes a screw spring 81 . One end of the spiral spring 81 is held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2, and the other end is held b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3. The central axis of the spiral spring 81 is arranged so as to follow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By employ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ifting device 1 is stopped, the table 70 can be suppressed from sliding down so as to approach the first base portion 10 . Further, the tension of the helical spring 81 applied to the table 70 makes it easy to move the table 70 away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0 .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helical spring 81 is employed as the elastic member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rubber having a shape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may be employed as the elastic member.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장치(1)는, 화살표(W)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관통 구멍(82A)을 가지는 제 1 접속부(82)와, 제 1 관통 구멍(82A)을 관통함과 함께 제 2 부분(72)에 나사 결합되며, 제 1 접속부(82)를 제 2 부분(72)에 대하여 고정하는 나사(8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 2 부분(72)에 대하여 제 1 접속부(82)가 고정되는 위치를 화살표(W) 방향을 따라서 조정하고, 제 2 부분(72)에 가해지는 나사선 스프링(81)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elevating device 1 penetrate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2 having the first through hole 82A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and the first through hole 82A. It is screwed to the second part 72 and has a screw 84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82 to the second part 72 .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82 is fixed to the second portion 72 is adjust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W, and the helical spring 81 applied to the second portion 72 Tension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레일(21A, 21B) 및 제 1 고정자 모듈(31)이 제 1 베이스부(10)의 제 1 면(10A) 위에 고정되고, 제 1 슬라이더(61A, 61B) 및 복수의 제 1 자석(51)이 제 1 지지부(41)의 면(41B) 위에 고정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 1 레일(21A, 21B) 및 제 1 고정자 모듈(31)이 제 1 지지부(41)의 면(41B) 위에 고정되고, 제 1 슬라이더(61A, 61B) 및 복수의 제 1 자석(51)이 제 1 베이스부(10)의 제 1 면(10A) 위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레일(22A, 22B) 및 제 2 고정자 모듈(32)이 제 3 지지부(43)의 면(43A) 위에 고정되고, 제 2 슬라이더(62A, 62B) 및 복수의 제 2 자석(52)이 테이블(70)의 제 1 부분(71)의 면(71B) 위에 고정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레일(22A, 22B) 및 제 2 고정자 모듈(32)이 제 1 부분(71)의 면(71B) 위에 고정되고, 제 2 슬라이더(62A, 62B) 및 복수의 제 2 자석(52)이 제 3 지지부(43)의 면(43A) 위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몰드부(312, 322)를 구성하는 재료는 에폭시 수지에 한하지 않고, 벌크 몰딩 컴파운드(이하, BMC라고 한다)를 채용할 수 있다. BMC는, 강화재, 충전재 및 경화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에 혼합한 후에,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재료이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rails 21A, 21B and the first stator module 31 are fix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first base portion 10, and the first sliders 61A, 61B And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are fixed on the surface 41B of the first support part 41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rails 21A and 21B and the first stator module 31 ) is fixed on the surface 41B of the first support part 41, and the first sliders 61A, 61B and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s 51 are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first base part 10. may be fixed. 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rails 22A, 22B and the second stator module 32 are fixed on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3, and the second sliders 62A, 62B and a plurality of Although the case where the second magnet 52 is fixed on the surface 71B of the first part 71 of the table 70 has been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rails 22A, 22B and the second stator module 32 is fixed on the surface 71B of the first part 71, and the second sliders 62A, 62B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52 are fixed on the surface 43A of the third support part 43 It can be. In additi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old parts 312 and 322 is not limited to epoxy resin, and a bulk molding comp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MC) can be employed. BMC is a material obtained by injection molding after mixing a reinforcing material, a filler and a curing agent with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테이블(70)을 수평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 1 레일(21A, 21B)을 따라서 제 2 베이스부(4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테이블(70)을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블(70)과는 상이한 제 2 테이블을 Z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하고, X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 3 레일과, 제 3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3 슬라이더와, 제 3 레일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 3 코일을 가지는 제 3 고정자 모듈과, 복수의 제 3 코일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3 자석을 장착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승강 장치(1)로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table 7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base portion ( By moving only 40, the table 70 can be moved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a second table different from the table 70 is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Z-axis direction, a third rail dispos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 third slider capable of traveling on the third rail, and a third rail By attaching a third stato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third coils disposed along the , and a plurality of third magnets opposing the plurality of third coils, the lifting device 1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s well. .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어떠한 면에서도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규정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this time are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in any wa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not by the above description, but by the claims, and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within the meaning and scop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re included.

1: 승강 장치, 10: 제 1 베이스부, 10A: 제 1 면, 11, 431: 센서, 11a, 313, 323, 431a: 코드, 12, 432: 지지 밴드, 13, 212, 433, 612, 613, 622, 722: 나사 구멍, 14, 15, 434, 436: 엔드 플레이트, 14A, 15A, 434A, 436A: 패드, 21A, 21B: 제 1 레일, 22A, 22B: 제 2 레일, 31: 제 1 고정자 모듈, 32: 제 2 고정자 모듈, 40: 제 2 베이스부, 41: 제 1 지지부, 41A, 41B, 43A, 71A, 71B: 면, 42: 제 2 지지부, 42A, 42B, 42C, 42D, 72A: 측면, 43: 제 3 지지부, 51: 제 1 자석, 52: 제 2 자석, 61A, 61B: 제 1 슬라이더, 62A, 62B: 제 2 슬라이더, 70: 테이블, 71: 제 1 부분, 72: 제 2 부분, 80: 제어부, 81: 나사선 스프링, 82: 제 1 접속부, 82A: 제 1 관통 구멍, 82B, 83A: 관통 구멍, 83: 제 2 접속부, 84, 85, 141, 151, 211, 212, 315, 325, 422, 435, 437, 611, 621, 721: 나사, 311: 제 1 코일, 312, 322: 몰드부, 314, 324: 보호 시트, 316, 326: 기판, 321: 제 2 코일, 411, 711: 리니어 스케일, 421: 오목부, 811: 제 1 계합부, 812: 제 2 계합부, 821: 헤드, 822: 접속부, 823, 832: 굴곡부, 831: 판 모양부, L1, L2, R1, R2, W: 화살표, d: 거리.1: elevating device, 10: first base portion, 10A: first surface, 11, 431: sensor, 11a, 313, 323, 431a: cord, 12, 432: support band, 13, 212, 433, 612, 613 , 622, 722: screw holes, 14, 15, 434, 436: end plate, 14A, 15A, 434A, 436A: pad, 21A, 21B: first rail, 22A, 22B: second rail, 31: first stator Module, 32: second stator module, 40: second base portion, 41: first support portion, 41A, 41B, 43A, 71A, 71B: surface, 42: second support portion, 42A, 42B, 42C, 42D, 72A: Side, 43: third support, 51: first magnet, 52: second magnet, 61A, 61B: first slider, 62A, 62B: second slider, 70: table, 71: first part, 72: second part, 80: control part, 81: screw spring, 82: first connection part, 82A: first through hole, 82B, 83A: through hole, 83: second connection part, 84, 85, 141, 151, 211, 212, 315 , 325, 422, 435, 437, 611, 621, 721: screw, 311: first coil, 312, 322: mold part, 314, 324: protection sheet, 316, 326: substrate, 321: second coil, 411 , 711: linear scale, 421: concave portion, 811: first engagement portion, 812: second engagement portion, 821: head, 822: connection portion, 823, 832: bent portion, 831: plate-shaped portion, L1, L2, R1 , R2, W: arrows, d: distance.

Claims (4)

평면 모양(平面狀)의 제 1 면(面)을 가지는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면에 대향(對向)하는 평면 모양의 제 2 면과, 상기 제 1 면에 수직인 방향인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평면 모양의 제 3 면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면 또는 상기 제 2 면에 고정되며, 직선 모양(直線狀)으로 연장되는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 상기 제 1 레일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1 슬라이더와,
상기 제 1 면 또는 상기 제 2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코일을 가지는 제 1 고정자 모듈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 상기 제 1 고정자 모듈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코일에 대향함과 함께, 자계(磁界)의 방향이 교호(交互)로 반대가 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자석과,
상기 제 3 면에 대향하는 평면 모양의 제 4 면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제 3 면 또는 상기 제 4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직선 모양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투영된 투영상(投影像)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레일과,
상기 제 3 면 및 상기 제 4 면 중, 상기 제 2 레일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제 2 슬라이더와,
상기 제 3 면 또는 상기 제 4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코일을 가지는 제 2 고정자 모듈과,
상기 제 3 면 및 상기 제 4 면 중, 상기 제 2 고정자 모듈이 고정되지 않는 면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코일에 대향함과 함께, 자계의 방향이 교호로 반대가 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자석을 구비하는, 승강 장치.
A first base portion having a flat first surface;
A planar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surface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base portion including an inclined planar third surface;
a first rail fixed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an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 first slider fixed to a surface to which the first rail is not fixed, amo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capable of traveling on the first rail;
a first stator module fixed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oil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first rail;
Amo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the first stator module is fixed to a non-fixed surface, faces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an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opposite.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A table including a fourth surface of a planar shape opposite to the third surface;
In a projected image fixed to the third surface or the fourth surfac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nd projected on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 second rail extending parallel to the rail;
a second slider fixed to a surface to which the second rail is not fixed, among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and capable of traveling on the second rail;
a second stator module fixed to the third surface or the fourth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coil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second rail;
Among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the second stator module is fixed to a surface where the second stator module is not fixed, and a plurality of pluralities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and to have magnetic field directions alternately reversed. A lif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magnet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제 1 단부(端部)와,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테이블이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접근하도록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second rail, and includes a first end fixed to the second base and a second end fixed to the table, the 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se An elev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regulating relative movement so as to approach the first base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나사선 스프링이며,
상기 나사선 스프링의 중심축이, 상기 제 2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member is a spiral spr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a central axis of the spiral spring is arrang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ail extends.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 1 단부를 보지(保持)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관통 구멍을 관통함과 함께 상기 테이블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속부를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고정하는 나사를 더 구비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or claim 3,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through hole extending along the second rail and holding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The lif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crew that penetrates the first through hole and is screwed to the table and fixes the first connector to the table.
KR1020227023694A 2020-03-31 2021-03-05 elevating device KR2022015651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2407 2020-03-31
JP2020062407A JP2021160014A (en) 2020-03-31 2020-03-31 Lifting device
PCT/JP2021/008748 WO2021199912A1 (en) 2020-03-31 2021-03-05 Lif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517A true KR20220156517A (en) 2022-11-25

Family

ID=7793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694A KR20220156517A (en) 2020-03-31 2021-03-05 elevating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160014A (en)
KR (1) KR20220156517A (en)
CN (1) CN115135445A (en)
TW (1) TW202138105A (en)
WO (1) WO20211999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0991A (en) * 2023-11-30 2023-12-29 沈阳汇博热能设备有限公司 Workbench and electromechanical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042A (en) 1992-07-31 1994-02-25 Nec Kansai Ltd Air-core coil and its mount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8515A (en) * 1987-05-18 1989-06-13 Teledyne, Inc. Article positioner and method
JPH09266659A (en) * 1996-03-28 1997-10-07 Nippon Thompson Co Ltd Small size linear motor table
JP5006579B2 (en) * 2006-05-31 2012-08-2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Slide device with built-in movable magnet type linear motor
DE102008032057A1 (en) * 2008-07-08 2010-01-14 Ifr Engineering Gmbh Machine tool i.e. turning lathe, has tool slide divided into two slide parts that ar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for producing movement of tool carrier in third coordinate direction of three-axis,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JP5308551B2 (en) * 2012-03-21 2013-10-09 マイクロ・テック株式会社 Moving table positioning device and screen prin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042A (en) 1992-07-31 1994-02-25 Nec Kansai Ltd Air-core coil and its mount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35445A (en) 2022-09-30
JP2021160014A (en) 2021-10-11
WO2021199912A1 (en) 2021-10-07
TW202138105A (en) 202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4810B2 (en) Slide device with built-in movable magnet type linear motor
JP4094799B2 (en) Slide device with built-in movable magnet type linear motor
US7633188B2 (en) Sliding device with onboard moving-magnet linear motor
TWI362162B (en)
US6911747B2 (en) X-Y stage system with onboard linear motor
US8941271B2 (en) Linear motor for lifting and lowering suction nozzl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EP2234252A1 (en) Linear motor, part mounting apparatus, and part inspecting apparatus
US10340163B2 (en) Mounting apparatus
JP4684679B2 (en) Slide device with built-in linear motor
KR20200120865A (en) Construction of linear motor
KR20220156517A (en) elevating device
JP5475951B2 (en) Linear motor and component transfer device
JP4521221B2 (en) Slide device with built-in movable magnet type linear motor
JP5248150B2 (en) Slide device with built-in moving coil type linear motor
EP2439836A2 (en) Linear motor and stage device
JP6117056B2 (en) Linear conveyor
JP5313561B2 (en) Linear motor
JP2009171657A (en) Linear motor and component transfer apparatus
JP5248149B2 (en) Slide device with built-in moving coil type linear motor
EP3577750B1 (en) Planar positioning device
JP5512861B2 (en) Linear motor
KR20230071152A (en) Magnetic bear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JP2010148293A (en) Built-in slider
CN113647001A (en) Linear driving device and head for mounting component
JP2011250592A (en) Vertical type xz slide device with built-in linear motor